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istory_9105
    작성자 : 풍림화산2
    추천 : 9/13
    조회수 : 1501
    IP : 61.37.***.11
    댓글 : 6개
    등록시간 : 2013/05/13 18:03:29
    http://todayhumor.com/?history_9105 모바일
    국뽕이 식빵들에게 이야기 하는 대륙 백제 유적
    <P>중국 당대에 최고의 지식인들이 기록한 중국 정사에 기록된 대륙 백제 기록도 믿을 수 없어..</P> <P>왜? 식빵이니까..</P> <P> </P> <P>삼국사기의 대륙 백제도 못 믿어?</P> <P>왜? 식빵이니까 </P> <P> </P> <P>그저 이야기 하는 것이 중국에 백제 유물 없어.. 그 정도 수준인가..</P> <P>백제의 국력을 가늠해보려면 풍납토성 전체의 규모를 봐야지 어째서 어떻게 고증이 되었는지 </P> <P>정체도 불분명한 백제 왕궁.. 당시에 일본 왜왕들은 초가집에서 살았다는 이야기도 해야 하는건지 </P> <P>그런 유치한 이야기는 하기 싫고.. 식빵들의 유일한 희망..문헌에는 있지만 어쨋든 유물은 없잖아? </P> <P>뭐 이런 해괴망칙한 논리가 있는지 한산도 대첩은 조선 일본 중국 여러 나라 문헌에서 기록되어 있지만 </P> <P>파손된 일본 전함 유물이 없으니 없던 사실이 되는건가? 나오느니 한숨이오.. 어쨋든 식빵들의 유일한 희망</P> <P>문헌은 있지만 유물은 없잖아? 의 논거를 없애서 미안하지만.. </P> <P> </P> <P style="TEXT-ALIGN: left"><IMG style="MAX-WIDTH: 800px" class=tcx_image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05/52a47c3747c1e72f01a99bde6b566511.JPG"></P> <P style="TEXT-ALIGN: left"> </P> <P style="TEXT-ALIGN: left">중국 요녕성에는 라마동 유적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중국 학자들이 처음에는 선비족 유적이라고 생각했다가 </P> <P style="TEXT-ALIGN: left">한반도 남부 김해 대성동 유물들과 여러가지로 비슷해서 부여인의 유적이라고 생각을 바꾼 것이 있지 </P> <P style="TEXT-ALIGN: left"> </P> <P style="TEXT-ALIGN: left">아래가 그 내용 ..</P> <P style="TEXT-ALIGN: left"> </P><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DIV class="article_subject line_sub"> <DIV class=subject><SPAN class=headcate></SPAN><SPAN class=b><STRONG><SPAN style="COLOR: #670000">요녕성 북표시 라마동(喇麻洞) 유적 대성동 유적과의 관계 </SPAN></STRONG></SPAN></DIV></DIV><!-- end article_subject --> <DIV class=article_writer><A class="txt_point p11" href="http://cafe420.daum.net/_c21_/bbs_read?grpid=13PZW&mgrpid=&fldid=IWCE&content=N&contentval=0000e0000gzzzzzzzzzzzzzzzzzzzz&page=1&prev_page=0&firstbbsdepth=&lastbbsdepth=zzzzzzzzzzzzzzzzzzzzzzzzzzzzzz&listnum=20#" target=_blank><U><FONT color=#0000ff size=2 face=돋움><SPAN style="COLOR: #670000">心濟</SPAN></FONT></U></A><SPAN style="COLOR: #670000"> </SPAN><SPAN class="p11 ls0"><FONT size=2 face=돋움><SPAN style="COLOR: #670000">2010.08.30. 10:02</SPAN></FONT></SPAN><SPAN style="COLOR: #670000"> </SPAN></DIV> <DIV class=article_writer><SPAN style="COLOR: #670000"> </SPAN></DIV><!-- end article_writer --> <style type=text/css>.bbs_contents P { MARGIN: 0px } #uploader_replyWrite-42 { VISIBILITY: hidden } </style> <DIV id=bbs_contents class="bbs_contents "> <DIV class=bbs_contents_inbox> <DIV id=user_contents class="user_contents tx-content-container scroll" name="user_contents"> <TABLE class=protectTable> <TBODY> <TR> <TD><!-- clix_content 이 안에 본문 내용 외에 다른 내용을 절대 넣지 말 것 --><!-- 스크립트 사용은 허용되지 않으며 제거 되었습니다. -->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사국(四國)시대 정립을 위해 김해문화원에서 주최하는 가야사국제학술회의가 4월 30일(금) 국립김해박물관 강당에서 막이 오른다. 올해로 16회째인 이번 가야사국제학술회의에는 우리나라에서 4명, 일본과 중국에서 각각 2명의 전공 학자가 참석해 오는 5월 1일(토)까지 이틀간 “대성동고분군과 동아세아”라는 주제를 놓고 논문발표와 종합토론을 벌인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 </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이번 국제학술회의는 금관가야 왕들의 무덤인 대성동고분군발굴 20주년을 기념하는 뜻 깊은 자리이기도 하다. 첫날인 30일에는 대성동고분군 발굴의 산증인인 신경철교수를 비롯하여, 5명의 국내·외 학자들의 발표가 있다. 그중 중국 길림대교수인 </SPAN></SPAN><FONT color=#e316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朱泓교수의 ‘라마동 삼연문화 주민의 족속 문제에 대한 생물고고학적인 고찰’이 </SPAN></SPAN></FON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주목된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 </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주홍교수는 라마동 무덤을 삼연시대 모용선비의 무덤으로 보는 중국의 일반적인 학설을 부정하고 새로이 라마동 무덤의 주인을 형질인류학 등 인골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2송화강유역에서 온 부여인으로 추정하였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 </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중국 북표 라마동유적은 4세기대 가야에서 출토되는 마구 를 비롯한 북방계유물의 원류 중 한 곳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라마동유적의 족속문제는 가야문화의 계보 파악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앞으로 국내외의 뜨거운 논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 </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두 번째 날인 5월 1일에는 국내학자 2명의 발표와 종합토론이 예정되어 있다. 이날 발표 중 대성동고분발굴의 주역 중의 한명인 경성대학교 김재우 학예실장은 ‘금관가야의 갑주’에서 대성동고분군의 갑주(갑옷과 투구) 부장이 복천동고분군보다 많고, 4세기후엽의 대성동2호에서 소찰(작은 비늘)과 소형 소찰의 부속갑을 동반하는 괘갑(철비늘갑옷) 및 소찰 볼가리개가 부착된 만곡종방판 투구가 처음으로 등장한다고 주장하였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 </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또한 대성동집단은 찰갑(가죽제 갑옷과 부속 철제갑옷을 갖춘 갑옷)과 괘갑 부장을, 복천동집단은 판갑 부장을 선호하였는데, 대성동집단은 찰갑을 실용품, 판갑을 의장용으로 사용하였고 복천동집단은 판갑을 실용품과 의장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종래의 통설을 깨는 새로은 학설로 4세기말에 복천동집단이 금관가야권역으로부터 이탈하였고 이 때문에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시 대성동집단이 더욱 심각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았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 </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 COLOR: #670000">논문발표 이후에는 종합토론이 마련되어 있어 대성동고분군과 동아세아에 대한 밀도 있는 토론이 기대되며 이를 통해 한국 고대사를 삼국시대에서 사국시대로 개정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관심있는 일반시민·학생 등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마지막날 토론시간에는 평소 가야사에 관해 궁금했던 것을 전문학자들에게 직접 질의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되어 있다.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a target="_blank" href="http://tour.gimhae.go.kr/program/multibbs/out.jsp?m=M704&gcode=M70401&idx=129" target=_blank><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Gulim"><U><FONT color=#0000ff><SPAN style="COLOR: #670000">http://tour.gimhae.go.kr/program/multibbs/out.jsp?m=M704&gcode=M70401&idx=129</SPAN></FONT></U></SPAN></SPAN></A></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요약하면 김해 대성동 고분의 유물과 라마동 고분의 유물은 같은 게통의 유물이다 </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유물뿐만 아니라 형질 인류학이나 유골 분석을 하니까 한국 사람 계통이더라</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그런데 어째서 가야 지역이냐 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부여가 가야를 세웠다는 것은 </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무리한 가설인 것 같고 </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이런 가설을 세우는 이유는 백제가 대륙에 진평군 진평현을 세우던 전성기 근초고왕 </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근구수왕 시절에 실질적으로 신라를 백제 왕족이 다스리는 속국으로 만들었던 것을 간과한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함..</SPAN></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 FONT-SIZE: 11pt"></SPAN> </P> <P style="TEXT-ALIGN: left"><IMG style="MAX-WIDTH: 800px" class=tcx_image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05/24b2d9efe7eb94d106f6b93e1d5d64e2.jpg"></P> <P style="TEXT-ALIGN: left"> </P> <P>양직 공도에는 왕의 자제 종족을 파견해서 다스리는 것을 담로라 하였는데 그 담도를 나열하는데 거기에 신라의 다른 이름인 </P> <P>斯羅가 있음. 신라왕족 출신 김부식이 적은 삼국사기에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백제는 신라에 백제 왕족을 파견하여 통치하였고 </P> <P>그로 인해 김해 대성동 고분에서 부여계열 유물이 출토된 것으로 보는 것이 부여가 가야를 세웠다는 가설보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음</P> <P> </P></SPAN></TD></TR></TBODY></TABLE></DIV></DIV></DIV></SPAN></SPAN></SPAN></SPAN>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5/13 18:07:11  114.200.***.118  겁내추워  223975
    [2] 2013/05/13 18:18:19  124.146.***.251  일곱난장이  140713
    [3] 2013/05/13 18:42:47  112.155.***.66  미카엘☆  138686
    [4] 2013/05/13 18:59:41  182.222.***.135  비올때우산  320215
    [5] 2013/05/14 02:32:32  141.0.***.75  릴케  22364
    [6] 2013/05/14 11:28:29  112.171.***.210  춘J  262470
    [7] 2013/05/14 20:29:49  182.208.***.94  헌터87  334572
    [8] 2013/05/15 14:51:03  223.33.***.39  힘내라힘내요  361057
    [9] 2014/04/18 00:06:21  115.94.***.28  GilgaMesh  16238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95
    그냥 올려본다는 [15] 풍림화산2 13/06/06 18:47 672 10/12
    9778
    박정희가 친일파라는 근거.. 풍림화산2 13/06/02 21:10 745 7/19
    9513
    늘 웃자님 한문 공부 많이 하시면 없던 문법도 막 생기나요.. [1] 풍림화산2 13/05/27 01:11 684 5/16
    9512
    늘 웃자님 [2] 풍림화산2 13/05/27 00:30 485 4/11
    9510
    늘웃자님께 [2] 풍림화산2 13/05/26 23:35 379 4/7
    9503
    늘웃자님께 풍림화산2 13/05/26 21:42 477 6/6
    9496
    푸쉬킨님께 (마지막입니다 ) [5] 풍림화산2 13/05/26 18:40 673 6/12
    9479
    신라 백제인이 왜를 큰 나라로 만들었다고 기록한 북사 [11] 풍림화산2 13/05/25 21:28 1618 7/11
    9437
    푸쉬킨님 댓글이 안달려서 ^^ [3] 풍림화산2 13/05/24 00:27 448 0
    9435
    푸쉬킨님도 반갑습니다. [2] 풍림화산2 13/05/23 23:50 368 0
    9434
    so what 님.. 오히려 제가 죄송하네요 풍림화산2 13/05/23 23:37 321 1
    9427
    So what 님께 풍림화산2 13/05/23 21:50 499 2/6
    9420
    일곱 난장이님 ㅜ_ㅜ 풍림화산2 13/05/23 16:47 421 3/8
    9415
    Captain님 강단 사학의 연구 성과를 가지고 절 논파해주세요 [3] 풍림화산2 13/05/23 13:32 498 4/9
    9413
    쉽게 보면 쉽게 보이는 나주 고분군.. 풍림화산2 13/05/23 13:13 604 1
    9411
    한반도 남부의 전방 후원분..(2) [2] 풍림화산2 13/05/23 12:05 1518 3/6
    9408
    한반도 남부의 전방 후원분 풍림화산2 13/05/23 08:45 729 2/5
    9407
    그냥 그런 생각이 듭디다... [9] 풍림화산2 13/05/23 08:37 544 2/9
    9369
    詐書 일본서기의 이해 ( 연오랑 세오녀 그리고 아라사등 ) [2] 풍림화산2 13/05/21 19:51 909 5/4
    9158
    현대 일본 역사가들이 황국사관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은 사실? 풍림화산2 13/05/14 23:26 679 4/8
    9153
    이병도 이야기만 하지 말고 신채호 선생님 이야기도 하지요 [2] 풍림화산2 13/05/14 22:53 500 7/12
    9119
    글을 계속 써야 하나.. [19] 풍림화산2 13/05/13 22:31 645 10/13
    국뽕이 식빵들에게 이야기 하는 대륙 백제 유적 [6] 풍림화산2 13/05/13 18:03 1502 9/13
    8988
    중생 님 댓글에 대한 답변들 (보류 안가게 추천부탁 ) [3] 풍림화산2 13/05/11 21:07 326 4/13
    8980
    日 오자와 간사장 " 천황은 한국에서 왔다" (추천부탁-_-) [1] 풍림화산2 13/05/11 20:01 645 5/9
    8922
    일왕계가 백제 계열이라고 하는 신찬 성씨록 기록 ( 추천부탁.. 풍림화산2 13/05/09 00:13 1545 5/5
    8855
    결론은 소설 일본서기에서 소설 창작에 사용된 실제 역사를.. 풍림화산2 13/05/07 21:46 426 7/8
    8831
    인물 화상경 그리고 일본 재야 역사학자 이야기(추천부탁-_-) [5] 풍림화산2 13/05/06 21:19 973 4/8
    8786
    댓글을 달 수 없어서 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추천부탁굽신굽신) [3] 풍림화산2 13/05/04 22:56 566 7/12
    8780
    좀 근본적인 것들을 고민해 봅니다. ( 보류 안가게 추천좀..) [11] 풍림화산2 13/05/04 18:10 659 7/14
    [1] [2] [3]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