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379191
    작성자 : 역둔토
    추천 : 24
    조회수 : 2397
    IP : 125.138.***.85
    댓글 : 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02/09 02:43:12
    원글작성시간 : 2017/02/03 04:23:04
    http://todayhumor.com/?humorbest_1379191 모바일
    구한말 간략한 간도이야기 (~1904년까지)
    <p><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의 중심지가 북경으로 이동한 후</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만주일대는 인구가 감소하여 황폐화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하지만 청은 만주를 비우기는 하였지만</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만주의 통제권까지 놓을 생각은 없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초기 유조변을 설치하여 한</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font-size:11pt;">漢</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인의 이주를 막은 것이 그 증거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만주의 인구가 격감하자 압록강</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두만강 이남의 조선인들은 채삼</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벌목</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사냥</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화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월경하여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호구책으로 삼았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이러한 조선인의 월경행위는 청</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 양국 정부 모두가 제한하고자 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은 조선인의 거주를 발견하면 조선으로 쇄환하였고 조선정부도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에 한</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font-size:11pt;">漢</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인 등의 거주 지역을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포착하면 청에게 통보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span><span style="font-size:11pt;">세기 이전 조선정부는 조선인들이 강을 건너 만주로 넘어가는 것이 국경지역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대한 통제 약화</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인구감소 등을 불러 올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를 엄금하고자 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668</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유조변을 설치한 청은 만주 봉금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만주의 길목인 요동에 유조변을 설치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한족이든 조선인이든 불문하고 이 지역에 들어오는 자를 엄하게 처벌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1686</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 조선인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8</span><span style="font-size:11pt;">명이 압록강을 건너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인삼을 캐다 청군에게 붙잡혀 처벌받았으며 압록강 인근의 조선 지방관들이 이를 제대로 감독하지 못했다고 조선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주장하여 조선정부가 삼수군수 등을 처벌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71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청과 조선은 국경을 확정하기 위해 백두산 정계비를 세운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백두산 정계비를 세운 이후 청은 압록강 지역의 통제 뿐 아니라 두만강 일대의 통제를 위해 훈춘에 팔기군을 주둔시켰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이 두만강 일대까지 통제하고 만주 월경을 막고자 노력하자 조선 또한 청의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이 붙잡아 보내는 조선인들을 처벌하고 두만강 북안의 거주지에 대해 청 조정에 보고하여 청군이 이를 파괴하게</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하였다</span><span style="font-size:11pt;">. 그러나 청과 조선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족과 조선인들이 사적으로 만주로 건너와 개간하는 것을</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완전히 막는 것은 불가능했다.<br></span></p> <p>   </p> <p><span style="letter-spacing:0pt;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letter-spacing:0pt;font-size:11pt;">①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span><span style="font-size:11pt;">세기 초 중반 조선인의 만주 이주</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청 국경은 백두산 정계비 설립 이후 비교적 안정되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런 흐름은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1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부터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3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까지 조선 북부 지역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가몸</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홍수</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냉해</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전염병 피해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흔들린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 북부가 재해로 큰 피해를 입자 조선인들은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살아남기 위해 이전에 비해 대규모로 월경하기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은 이러한 상황에서 최대한 조선인의 이주를 막고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노력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184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 청군은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 마을들을 파괴하고 조선인들을 국경 밖으로 추방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인의 이주는 막을 수 없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는 청나라가 말기적 상황과 아편전쟁을 겪으면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지방 통제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었던 것과 변방 관리들의 기강이 해이해져 뇌물을 바치면 만주 거주를 눈감아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주는 일이 광범위하게 벌어졌기 때문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또한 청나라 관리들은 산둥성에서 만주로 밀려들기 시작한 한족 이주를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통제하는 것에도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배를 타고 산둥성에서 압록강 하구 일대로 넘어온 한족 이주민들은</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69</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 이미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0</span><span style="font-size:11pt;">만 명을 넘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여기에 러시아가 연해주를 차지하면서 만주가 청의 탄생지이자 안정적인 배후지에서</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강력한 서양열강과 국경을 맞댄 접경지역이 되면서 청은 만주 개발을 위해 점차 봉금을 해제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이주민의 토지소유를 인정하기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의 만주 이주가 본격화 한 것은 위의 시대와 겹치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59</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함경도에서 재해가 발생하여 아사자가</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속출하자 조선인들이 살아남기 위해 도강하여 만주로 건너가기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또한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64</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도 흉작으로 조선인들이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이주하였고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70</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대흉작 때에도 조선인들이 대규모로 월강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시기 조선인들은 불법으로 월경하였던 것과 굶주림을 이기지 못한 이들이 빈 손으로 강을 건넜던 것</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이미 한족 이주민 등이 선주민을 이루고 있었던 점 때문에 많은 조선인들은 토지를 경작하여 마을을 이루는 등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정착하는 것 보다는 자진해서 청나라 사람의 노비가 되거나 자식을 노비로 삼아 양식과 교환하고 청인의 양자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들어가고 식모나 고용인 등으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정부는 조선인의 만주 유출을 결코 좌시하지 않았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전부터 강력하게 처벌하던 것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64</span><span style="font-size:11pt;">년</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유민이 대규모로 만주로 떠난 것을 문제 삼아 경흥부사를 처벌하는 등 평안도</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함경도의 관리들에게 국경관리와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유민관리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이시기 경흥부에서는 국경 수비를 맡은 한 개 진에 소속된 병사와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가족들이 굶주림에 한꺼번에 만주로 넘어가버리거나 기근에 살아남은 마을 주민들이 한꺼번에 월경하는 일이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발생하는 등 조청국경에 대한 조선의 장악력도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약해져 있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그나마 압록강</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두만강과 가까운 지역으로 떠난 조선인들은 청과 협조하거나 조선정부의 노력으로 국경을 넘어간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유민들을 다시 조선으로 잡아 오는 것이 가능했으나 만주 깊숙한 곳으로 도망친 유민들은 완전히 통제에서 벗어났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의 만주이주가 늘어나자 만주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귀화도 늘어났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이 귀화하지 않으면 청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만주 개발을 위해 나눠주고 있던 토지를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일부 이주 조선인들이 귀화를 선택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귀화하지 않은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들은 토지를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고용인이나 소작농에 머물러야했고 청국 관리에 적발될 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즉시 조선으로 돌려보내졌지만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청나라 귀화를 거부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76</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 접어들면</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고종과 조선정부도 함경도 일대의 유민이 만주로 넘어가는 것이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그렇기 때문에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76</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고종은 함경도 백성들에게 탐관오리들과 행패를 부리는 토호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각종 폐단들을 자신에게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상주하고 세금을 면제할 필요가 있다면 세금을 면제할 것이며 만주에서 유민이 돌아온다면 죄를 묻지 않겠다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윤음을 반포한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이러한 고종의 윤음에도 불구하고 만주로 향하는 조선인 이주는 꾸준히 증가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특히 함경도에서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꾸준히 유민이 발생하여 월경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는 고종이 필요하다면 면제해 주겠다던 조세가 실제로는 계속 부과되었으며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환곡문제와 부역문제도 폐단이 누적되고 있었지만 고종의 윤음과는 달리 전혀 시정되지 않았던 것이 가장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큰 원인이었다</span><span style="font-size:11pt;">. 또한 윤음 반포 이후에도 여전히 탐관오리와 토호들의 횡포가 고쳐지지 않았던 점도 중요한 원인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중 하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여기에 고종과 조선정부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이유도 있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청국경에 위치한 회령과 경원에서는 개시가 열려</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개시무역이 행해졌는데 개시를 열고 관리하는 잡다한 비용이 국가에서 지출하는 것이 아닌 근처 주민들에게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부담을 지우는 방식이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정부도 일정한 지원을 했으나 백성들은 과도한 부담으로 말미암아 두만강을 건너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만주로 달아났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 폐단이 가장 심했던 온성의 경우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4</span><span style="font-size:11pt;">천호에서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70</span><span style="font-size:11pt;">년대에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span><span style="font-size:11pt;">천호로 인구가 격감하고 종성에서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호수의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70%</span><span style="font-size:11pt;">가 감소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어쨌든 이런 상황이 계속되어 만주로 조선인들이 지속적으로 넘어오자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청의 광서제는 원칙대로라면 국경을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넘어 온 조선인들을 엄중하게 처벌하여야 하지만 조선인들이 개간한 지가 오래되었고 많이 건너왔으니 이미 건너온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들은 관대하게 용서하는 대신에 허가증을 발급받고 소작료를 납부할 것을 명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다만 이후에 넘어오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들은 엄중하게 처벌하겠다고 조선에 통보하는 등 국경 통제를 강하게하고자 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의 이러한 조치는 청이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5</span><span style="font-size:11pt;">년부터 조선인의 이주와 개간을 공식적으로 허락하면서 변한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이 만주</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특히 두만강 이북의 간도일대에 조선인의 이주와 개간을 허락한 이유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7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압록강 이북의 봉금을 해제하고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75</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는 토지를 무상으로 나눠주고 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식량</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농기구 등을 공급하는 등 한족의 이주를 장려하였는데 훈춘을 비롯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간도일대는 길이 험하고 멀어 한족이 많이 이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만약 훈춘을 비롯한 간도 일대가 중요하지 않은</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지역이었더라면 개척을 점진적으로 실시할 수 있었지만 만주</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특히 간도 일대에서 러시아의 위협이 점증하고 있었으며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실제로 러시아가 두만강 하류의 청의 영토에서 도발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시급히 개척에 나서야했기 때문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또한 그나마 간도로 넘어온 소수의 한족은 농민이 아닌 유배형에서 풀려난 죄인이나 독신남성 혼자 건너온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부랑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농업에 대한 의지가 매우 부족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렇기 때문에 청 정부는 소수의 한족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토지를 분배하고 그들이 조선인들을 고용하여 농사를 짓거나 소작을 주는 형태로 개척을 시작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의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조선에서도 만주로 월경하여 이주하는 것에 대해 변화가 생겼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1880</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회령부사가</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함경도 백성의 만주 이주와 개척을 묵인하기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러한 묵인은 민생이 파탄 난 조선북부 문제를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해결하기 위한 조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1880</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이후 만주</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특히 간도로 향하는 조선인 이주는 대폭 증가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청의 길림장군 명안은 간도에 정착한 조선인들에게 귀화와 변발의 시행과 호복을 입히겠다고 조선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통보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정부는 귀화시행</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변발</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호복 시행 통보로 간도 이주의 위험성을 깨닫고 청에 간도에 이주한 조선인들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대해 조선정부가 조사하고 이주민을 조선으로 다시 불러들이겠다고 제안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4</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서북경략사 어윤중이 간도로 이주한 이주민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100</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을 쇄환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정부의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일시 쇄환이 시작되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어 청나라는 조선정부가 조선인의 귀화를 허락하지 않는다면 조선인들 간도에서 축출한다고 선언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5</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3</span><span style="font-size:11pt;">월부터 청 지방관과 청군은 간도 일대에서 조선인의 귀환을 명령했고 조선인들이 이에 응하지 않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무력으로 두만강 이남으로 쫒아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나라가 강경한 입장으로 귀화를 요구하자 간도의 일부 조선인들은 귀화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변발과 호복 착용에 순응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간도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숫자가 많고 귀화한 조선인들이 일부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청은 국경관리를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강화하기 위해 두만강변에 통상총국과 분국을 설치하고 무역을 개시함과 동시에 국경 통제를 강화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이 통상총국은 통상의 관련한 사무도 담당했지만 두만강을 넘어온 조선인들의 관리</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들의 추가 월경을 저지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업무도 담당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런 상황에서 조선이 개항하고 청국의 허실이 드러나자 조선정부는 영토 확장 의식을 보이기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특히 만주일대에서 조선인이 청국인보다 많이 거주하고 있고 두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토문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간도일대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영토 확장 열망을 품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런 관점에서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5</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조선정부는 청에 두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토문강 문제를 제기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이 국경문제를 확정하기 위해 조선의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제기를 받아들여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span><span style="font-size:11pt;">차 감계회담이 열렸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은 조선이주민이 개척한 간도일대가 이주민의 소유고</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주민은 조선인이므로 그 땅은 조선의 영토이며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두만과 토문은 다르다는 주장을 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은 두만과 토문이 같으며 그동안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span><span style="font-size:11pt;">세기에 훈춘 일대에 팔기를 주둔시키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등 관리 아래에 있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span><span style="font-size:11pt;">차 감계회담은 합의점을 이끌어 내지 못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5</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span><span style="font-size:11pt;">차 감계회담이 합의점을 이끌어내지 못하자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887</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span><span style="font-size:11pt;">차 감계회담이 다시 열렸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이시기 두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토문 문제는 조선이 물러서 두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토문이 같은 강임을 인정하였으나 조선은 토문이 두만의 일부 인</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간도에서 흘러오는 지류라고 주장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양측의 주장은 평행선을 달렸으므로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span><span style="font-size:11pt;">차 감계회담도 합의점을 내지 못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후 청일전쟁에서 청이 패배하고 청의 국경 장악 능력과 국가위신이 매우 떨어지자 조선은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의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인 마을에 행정기관을 설치하고 세금을 걷기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일전쟁 이전에는 조선인의 쇄환과 잠정적 관리를 위한</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관리 정도에 머물렀지만 청일전쟁 이후에는 압록강과 두만강 쪽의 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초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강계</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등</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에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의 조선인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마을을 면으로 편성하고 호구조사를 실시하며 영토 확장을 꾀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8</span><span style="font-size:11pt;">월 대한제국의 이러한 시도는 서간도 일대에 특파변계정탐관을 파견하여 서간도를 중심으로 호구조사와</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거주 조선인의 실태를 파악하려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선이 파견한 관리들은 압록강 너머의 서간도에서 조사를 하던 중 마적단에게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납치를 당했는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한국정부는 그들이 마적단에게 납치당했다는 걸 안 직후</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에 그들을 구해달라고 요청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은 군대와 관리를 파견하여 한국관리들을 구해줬으나 그들이 간도에 건너온 목적과 한국 관리가 청의 허가 없이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월경했다는 것에 한국에 항의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은 한국 관리들을 구한 후 한국 관리들이 국경 밖으로 나갈 것을 요청했으나 한국 정부는 청의 요구를 묵살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서간도 일대를 중심으로 조선인에 대한 호구조사</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징세와 관아설립을 추진한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도 한국의 관리파견과 관아설립이 추진되었지만 청은 한국의 관아설립을 저지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시기 간도 방어를 위해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설립한 청의 요새에 한국인들이 공격을 하는 일도 있는 등 대한제국은 지속적으로 청의 간도지배를 흔들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대한제국은 백성이 있으면 토지가 있고 토지가 있으면 국가가 있는 것이니</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한국인이 간도에 있고 한국인이 간도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토지를 소유하니 간도는 한국 땅이라는 주장을 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북간도에서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1</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회령에 경무서를 설치하고 두만강 건너 북간도 관리를 시작했고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는 이범윤을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간도시찰사</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는 간도관리사로 임명하고 사포대를 육성하는 등 북간도 일대에서도 영토 야심을 드러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북간도 일대에서 한국이 서간도에 비해 공세적 입장을 취한 것은 북간도에 조선인이 더 많이 살고 있던 점과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0</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러시아군이 북간도 일대에 진주한 것과 큰 관련이 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보다는 러시아에 가까웠던 당시 한국정부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러시아의 북간도 진출에 편승하여 두만강 남안에 진위대를 주둔시켰고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1</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는 고종의 칙령 제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5</span><span style="font-size:11pt;">호에 의하여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회령에 변계경무서를 설치하고 무산과 종성 분서에서 북간도 한국인의 위생</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행정</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사법을 관할하게 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회령분서에는 순검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00</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분서에는 각각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50</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을 배치하여 두만강 이북의 북간도를 확실히 관할하고자 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의지를 보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은 북간도에 파견되어 있는 이범윤을 소환하도록 하였지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일전쟁과 의화단 등 추락한 청의 위상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북간도 일대에서 대한제국의 활동을 보면 고종의 구한말 후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간도정책의 성격과</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영토 확장 의식을 잘 알 수 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다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진위대는 근대 군대라고 부르기 어려운 수준이었으며 대한제국 경찰도 근대 경찰 수준에 미달했기 때문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진위대와 경찰이 주둔했다고 하더라도 국경관리와 이주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힘들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므로 간도 일대에서 악명을 떨치는 마적들이 두만강을 넘어와 약탈하는 일도 군대와 경찰 주둔 후에도 발생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이범윤이 간도에 있을 때</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이 간도의 조선인들에게 세금을 걷고 조선인들에게 변발과 호복을 입으라는</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고시를 했으며 이범윤도 간도에 사는 조선인들의 호구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렇게 됨으로써 간도 지역의</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청 지방관과 이범윤의 갈등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국 지방관들은 이범윤이 청국 영토에 무단으로 들어와 행정권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이범윤은 사실상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간도 조선인 관리를 맡아 파견왔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한청통상조약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2</span><span style="font-size:11pt;">조에 따른 간도 주재 영사라고 주장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한청통상조약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2</span><span style="font-size:11pt;">조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변방 백성으로서 이미 국경을 넘어 농사를 짓는 자는 자기 직업에 안주하게 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주되 이후 몰래 변계를 넘어가는 자가 있을 때에는 모두 금지하여 사단을 일으키는 일에서 면하게 한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였는데 이범윤은 한청조약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2</span><span style="font-size:11pt;">조 조항을 한청양국이 변경 백성을 상호 보호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상호간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인정한 것으로 해석하고 북간도에서 자신의 행동이 정당하다고 주장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면서 청도 함경도의 청인을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관리하기 위해서 관리를 파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북간도에만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0</span><span style="font-size:11pt;">만 여명이 넘는 한국인에 비해 함경도 온성</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회령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일대에는 청인이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000</span><span style="font-size:11pt;">명에 채 미치지 못했으므로 사실상 한국의 일방적인 간도 관리를 인정하라는 주장이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시기 북간도의 조선인들도 청나라가 변발과 호복</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중세를 부과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이범윤의 파견을 반겼고 군대의 주둔도 원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도 이범윤이 북간도 일대에서 자신들의 권한을 침해하고 있는 것을 좌시하지 않았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2</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북간도 연길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연길청을 설치하고 지방행정기구를 세세하게 편재해 북간도 일대의 행정을 세분화하여 이범윤을 행동을 제약하고자</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에 고종은 이범윤을 정</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3</span><span style="font-size:11pt;">품 북간도 관리관으로 승격시키고 북간도를 중심으로 간도 한국인에 대한 직접적인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관할권을 행사하도록 명령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은 간도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무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대한제국 정규군을 두만강 너머로 북상시킨다면 국제분쟁이 야기될 가능성이 크고</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진위대의 상태가 전투에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간도 한국인들 중에서 병사를 모아 자체적인 무력을 갖추고자 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은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장정을 모아 병사로 만들고 병사를 유지하기 위한 조세를 체계적으로 걷기 위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계획을 세웠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2</span><span style="font-size:11pt;">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0</span><span style="font-size:11pt;">일</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은 북간도의 한국인들에게 자신에게 조세를 납부하고 청에 조세납부를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엄금한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또한 미비한 호구조사를 진행시켜 장정을 뽑고 그들을 훈련시키고 병기를 구매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은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약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7,000</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의 병력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실제로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5</span><span style="font-size:11pt;">년까지 이범윤이 육성한 병사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500</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북간도 자체의 세금만으로는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500</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의 급료를 지불하는 것도 매우 큰 부담이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은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4</span><span style="font-size:11pt;">년</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과 이범윤이 모집하고 훈련시킨 병사들이 입힌 피해상황을 한국에 알리고 손해배상을 청구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청이 한국에 알린 이범윤이 청에 입힌 피해는 아래와 같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 1901</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span><span style="font-size:11pt;">월 청인 마을을 습격하여 주민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34</span><span style="font-size:11pt;">호가 한국인의 방화와 약탈을 당한 것</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 1901</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2</span><span style="font-size:11pt;">월</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한국 병사가 13</span><span style="font-size:11pt;">여명의 청인을 살해하고 마을을 방화한 것</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3. 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9</span><span style="font-size:11pt;">월</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한국 병사가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5</span><span style="font-size:11pt;">명의 청인을 창으로 살해한 것</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4. 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8</span><span style="font-size:11pt;">월</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9</span><span style="font-size:11pt;">월</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 주민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80</span><span style="font-size:11pt;">호가 한국 병사의 약탈과 방화 피해를 입은 것</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5. 1903</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9</span><span style="font-size:11pt;">월</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청에 귀화한 한국인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26</span><span style="font-size:11pt;">호를 한국 병사가 약탈하고 방화한 것</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은 청의 이러한 보고를 받은 한국 정부에</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러시아에 파병을 요청하여 북간도를 완전히 장악하자고 주장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p> <p>   </p> <p><span style="font-size:11pt;">갈등이 지속되자 한청 양국의 변경관리들은 모여 장정을 체결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 장정에서 청은 한국이 더 이상 변경에서</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분란을 조장하는 것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을 두만강 이남으로 철수시킬 것</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이범윤 휘하에서 병사를 지휘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등 직책을 맡은 간도 한국인들은 청이 처벌한 것을 합의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size:11pt;">대한제국 정부는 장정을 인정하고 간도관리사 이범윤을 소환할 것을 약속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 </span><span style="font-size:11pt;">그러나 고종은 장정 이후 청이 이범윤을</span></p> <p><span style="font-size:11pt;"> 철수 시키라고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4</span><span style="font-size:11pt;">년 </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2</span><span style="font-size:11pt;">월에야 간도관찰사의 직위를 해지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1905년부터는 2편에서...<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br></span></p> <p><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letter-spacing:0pt;font-size:11pt;" lang="en-us"><br></span></p> <p>   </p> <p style="background:#ffffff none repeat scroll 0% 0%;">   </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2/03 07:04:24  223.62.***.80  고려  350528
    [2] 2017/02/03 07:57:33  211.117.***.94  눈거울  725598
    [3] 2017/02/05 11:59:57  110.70.***.191  라이온김치  287910
    [4] 2017/02/05 13:43:45  2.246.***.192  크리톤  740247
    [5] 2017/02/07 07:03:55  113.30.***.53  트램폴린  477784
    [6] 2017/02/07 19:04:19  211.36.***.194  푸쉬킨  279646
    [7] 2017/02/07 20:37:56  182.211.***.111  cobain  273427
    [8] 2017/02/07 21:21:54  119.148.***.195  안양  186899
    [9] 2017/02/08 15:10:22  111.118.***.89  saga  256063
    [10] 2017/02/09 02:43:12  219.249.***.44  뽀룹뽀룹  54677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79508
    (스압) (브금) 51장의 상징적인 근현대사 사진. [43] 창작글 잠이안온당 17/02/09 19:32 3876 86
    1379410
    전 청와대 민정수석 김영한씨의 '업무수첩' 비망록 전문.link [2] Desert_Fox 17/02/09 16:23 2038 25
    구한말 간략한 간도이야기 (~1904년까지) [3] 역둔토 17/02/09 02:43 2397 24
    1379075
    일본 교토에 있는 '귀무덤'.jpg [17] Desert_Fox 17/02/08 21:52 5905 65
    1378572
    미국 사상 최악의 대통령 순위 (부제:ㅀ가 다 이김!) [26] 창작글 ㅇrㅡ헨ㅌi_r 17/02/07 21:02 6206 63
    1377885
    [비정상회담 주의] 일본인의 역사인식이 ㅄ인 이유 [41] 닷디 17/02/06 09:34 7710 105
    1377588
    일본과 조선의 세금 비교 - 극 단순화 [12] kelynn 17/02/05 15:53 5247 38
    1377487
    인류 역사상 최대의 인해전술 [83] 펌글 고두막간 17/02/05 11:04 9214 81
    1377439
    성숙한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 [29] 눈물한스푼 17/02/05 07:23 6097 58
    1376733
    1946년 당시 한국의 모습 (데이터 주의) [6] 펌글 루나틱월드 17/02/03 17:28 5174 41
    1374862
    조선은 작은 정부를 지향한 게 맞습니다. [26] 마법산 17/01/30 22:59 3931 27
    1372617
    중화민국(현 대만)에서 쓰는 한자의 모양 [14] 두부먹는쯔위 17/01/25 17:35 8029 35
    1372046
    바이마르공화국 시기 독일인들이 굳게 믿었던 정서 중 하나.jpg [18] Desert_Fox 17/01/24 11:52 7012 53
    1369912
    한자는 곧 사멸할 것... [130] 창작글 yhpdoit 17/01/20 01:12 11340 69
    1369821
    단파방송 수신 사건 [5] 드럽게큰타이거 17/01/19 22:02 4932 51
    1369452
    90년대 사진 몇 장... [69] 눈물한스푼 17/01/19 08:13 5909 52
    1368997
    옥저에서 발견된 위나라 동전 [11] 고려 17/01/18 12:54 6931 36
    1368222
    100년전의 삶.. [25] 눈물한스푼 17/01/16 21:35 5742 56
    1368194
    1883년 미국을 방문한 보빙사들의 충격 [48] 눈물한스푼 17/01/16 20:33 8407 73
    1364470
    어제자 tvN 어쩌다어른에 나온 '흥수아이' [5] 나이뚜리깔 17/01/09 15:42 6271 39
    1363091
    파락호의 비밀 [9] 조용함의미학 17/01/06 23:17 3210 60
    1362151
    미국인이보는 한일문제 [19] 펌글 번뜩구름이다 17/01/05 11:06 4726 73
    1360774
    마케팅의 역사 1. 마왕의 마케팅 [6] Strategist 17/01/02 18:42 2997 45
    1360085
    중세 국어 발음 듣기 [24] 펌글 믕음믕음 17/01/01 08:57 4919 41
    1359291
    이중제국 시기, 헝가리 잡설 [1] 역둔토 16/12/30 14:57 2801 15
    1356343
    2131년간 지속된 전쟁 [16] 하리토 16/12/24 10:04 8821 51
    1356331
    (약스압)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사소한 역사적 오류들 Ⅲ [33] 표면적고 16/12/24 09:13 7066 59
    1354343
    어떤 만화의 현실고증 수준.jpg [9] 펌글 사닥호 16/12/20 13:22 11324 27
    1354070
    일본의 이와미 은광과 16~17세기 아시아 무역 네트워크 [2] 역사광황 16/12/19 22:10 3052 33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