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Dementist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02
    방문 : 2492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12290
    작성자 : Dementist
    추천 : 6/4
    조회수 : 7136
    IP : 115.88.***.168
    댓글 : 22개
    등록시간 : 2013/10/25 13:40:47
    http://todayhumor.com/?history_12290 모바일
    연개소문의 재평가와 고구려의 비도술 <BGM>
    BGM : Nightwish- Last Ride Of The Day
     
     
    134950893764873.jpg
     
     
    흔히, 고구려를 멸망으로 이끈 사람하면 연개소문을 꼽는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은 연개소문을 극악무도한 포악한 독재자라 알고 있다.
    게다가 연개소문이 칼 다섯 자루를 차고 다닌 것을 가지고, 그를 독재자라 몰아부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과연 그가 포악한 독재자였을까? 그것에 대해 필자는 단호히 NO라고 말하고 싶다.
    왜냐하면 고구려 역사를 살펴보면 임금을 시해한 사람이 여러명 있었기 때문이다.
     
    계루부의 사주로 5대 모본왕을 죽인 두로,
    포악한 봉상왕을 제거하고 미천왕을 옹립시킨 국상 창조리, 그리고 당에 굴종적인 모습을 보임으로써,
    고구려인들의 분노를 산 영류왕을 죽인 연개소문 등이다.
    그런데 역사서에는 두로, 창조리를 포악한 독재자라 그리지 않고,
    유독 연개소문만 포악한 독재자로 그리고 있다. 왜 그럴까?
     
    그것은 바로 삼국사기가 중국의 역사서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당시 중국인들은 자신들의 최고 영웅이라 생각하는 당 태종이 연개소문에게
    무참히 깨져 거지꼴로 돌아온 것에 참을 수 없어,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연개소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었다.
    그리고 신라 역시 이것에 한 몫 단단히 했다.
     
    그렇다면 연개소문은 왜 영류왕을 죽였을까?
    앞서 말했듯이 영류왕의 당에 대한 정책 차이 때문일 것이다.
    영류왕 앞서 영양왕 때 고구려는 수나라의 100만 대군을 물리치고 사기가 충전해 있었다.
    하지만 영양왕 다음 왕으로 즉위한 영류왕은 신생국 당에 굴종적인 태도
    (경관 파괴, 세자 환권을 보내 조공을 바침, 당에 고구려 지도인 봉역도를 건넴)
    를 보여줌으로써 장수들과 백성들의 분노를 샀고,
    이에 대당강경파의 거수인 연개소문이 혁명을 일으켜 영류왕을 죽인 것이다.
     
    연개소문은 정권을 잡은 이후 당에 대한 전쟁을 대비하여,
    당과의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으며,
    더불어 당을 공격하여 당의 영토인 요서지방을 차지하였다.
    당의 야욕을 저지함으로써 연개소문은 고구려 뿐만 아니라
    백제와 신라를 당의 마수에서 구했으며,
    게다가 고구려가 동방의 천자국임을 실력으로 입증하였다.
    이런 그에게 포악무도한 난신적자라 하는 건 재고해보아야 한다.
     
     
     
    <연개소문과 칼 다섯 자루의 비밀>
     
     
    1. 다섯 자루의 칼은 고구려의 생활 풍습
     
    많은 사람들은 연개소문이 칼 다섯 자루를 차고 다님으로써 독재자의 위엄을 과시하였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연개소문이 차고 다닌 칼 다섯 자루는 독재자의 위엄이 아니다.
    이것이 과연 독재자의 증거가 될까? 많은 사람들은 연개소문의 독재만 생각했지,
    왜 연개소문이 칼을 다섯 자루나 차고 다녔는가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면 왜 연개소문은 칼을 다섯 자루나 차고 다녔을까? 그 답은 『한원』이라는 사료에 있다.
     
    한원 고려조를 보면 남자들이 허리에 은띠를 차는데,
    왼쪽에는 숫돌을, 오른쪽에는 칼 다섯 자루를 달고 다닌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를 통해 칼 다섯 자루는 고구려 남성들의 일상 풍습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고구려 남성들은 왜 칼을 다섯 자루나 차고 다녔을까?
    아마 생활상의 필요(사냥)와 함께 각종 무술 연마를 하기 위해 차고 다니지 않았나 생각된다.
     
    왜냐하면 고구려는 주변국과의 투쟁을 통해 성장한 나라였고,
    상무정신이 고구려의 기본 정신이었기 때문에,
    무술연마, 사냥을 위해 칼 다섯 자루를 차고 다녔다 볼 수 있다.
    결국 연개소문이 칼 다섯 자루를 차고 다닌 것은 삼국사기에 기록된대로
    독재자의 위엄이 아닌 고구려 남성의 평범한 모습임을 알 수 있다.
    이를 가지고 독재자의 증거로 본다는 것은 억지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2. 비도와 연개소문의 칼 다섯 자루
     
     
    ① 중국 경극에 등장하는 연개소문
     
    3_ohyh45.jpg

    연개소문이 등장하는 경극은 여러 종류이다.
    <독목관(獨木關)>, <분하만(汾河灣)>, <살사문(殺四門)>, <어니하(淤泥河)> 등
    확인된 종류만해도 네 종류나 된다.
    어니하와 분하만은 독목관과 대강의 줄거리가 비슷하다.
    당 태종 이세민이 연개소문에게 쫓겨 위기에 처하자 설인귀(薛仁貴)가
    구해준다는 이야기로 연개소문과 설인귀가 주연이고, 당 태종이 조연이다.
     
    "당 태종 이세민은 봉황산(鳳凰山)에서 연개소문에게 쫓겨 도망간다.
    그가 위기에 처했을 때 백포(白袍)를 입은 설인귀가 등장한다.
    연개소문은 특유의 비도(飛刀)를 사용해 대항하지만,
    설인귀에게 패해 죽는다. 당태종은 위지공(尉遲公)에게 설인귀를 찾게 하는데,
    설인귀를 시기하는 상관 장사귀(張士貴)는 그를 만나는 것을 방해한다.
     
    설인귀는 산신묘(山神廟)에서 달을 보며 신세 한탄을 하다가
    위지공이 몰래와 끌어안자 놀라서 도망가다가 병을 얻고 만다.
    당(唐)나라 군사들이 고구려 군사들로부터 독목관을 빼앗으려 공격했으나,
    오히려 고구려 장군 안전보(安殿寶)에게 장사귀의 아들과 사위가 포로로 잡힌다.
    장사귀는 할 수없이 설인귀에게 출전 명령을 내렸는데,
    먼저 설인귀의 부하 주청(周靑) 등이 안전보와 싸웠으나 상대가 되지 못하자,
    설인귀가 병든 몸을 이끌고 출전해 안전보를 죽이고 독목관을 탈환한다."
     
    경극에 비춰진 연개소문은 용맹한 장군으로 묘사된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바로 '나는 칼'이라는 비도(飛刀)를 차고,
    등에 깃발 모양의 고기를 하였는데, 이는 이민족임을 상징한다고 한다.
    푸른 빛의 얼굴 화장은 위엄이 있는 그의 모습과 아울러, 동방 즉 고구려의 장군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경극을 보면 중국인들이 연개소문에 대해 두려워 하며,
    무술이 뛰어난 인물로 보면서 잔인하고, 사납고, 포악한 인물로 묘사했다.
    이는 일본의 전통극 가부끼에 등장하는 김시민 장군을 우스꽝스러운 인물로 묘사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일본군에게 있어 진주성 대첩은 치욕스러운 전투이고,
    그런 진주성 대첩을 승리로 이끈 김시민 장군을 좋게 볼리 없기 때문이다.
     연개소문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나, 설인귀가 죽이지도 않은
    연개소문을 죽였다는 것은 연개소문을 두려워한 중국인들의 심리를 잘 다룬다 하겠다.
    연개소문을 두려워 한 그들의 심리가 연개소문으로 하여금 전설의 영웅으로 그린 것이 아닌가 한다.
    그렇다면 경극에 등장하는 연개소문이 사용했다는 날아다니는 칼 ‘비도(飛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② 연개소문의 비도(飛刀)와 설인귀의 신전(神箭)
     
    134952451638504.jpg

    앞에서 연개소문의 상징 다섯자루의 칼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연개소문의 다섯자루 칼은 고구려 남자들의 일상생활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연개소문의 다섯자루 칼에는 놀라운 비밀이 숨어 있으니 바로 ‘비도(飛刀)’이다.
    송원 때의 『사략』에는 연개소문이 “등에 다섯 자루의 비도를 둘러맸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그의 생전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자, 중국인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전장에서의 실제 모습을 그린 것이다.
     
    경극 <독목관>에 등장하는 ‘날아다니는 칼’을 사용하는 연개소문과 맞붙는
    설인귀의 무기는 신통력 있는 화살, 신전(神箭)으로 이는
    무기를 통해 연개소문과 설인귀의 대립구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하겠다.
     
    연개소문의 ‘비도’는 권위용이 아닌 실전용이었다.
    사략은 연개소문에 대해 “키는 열 척인데, 진홍색 사복(獅服)을 입고 적규마(赤虯馬)를 타고,
    허리에는 두 개의 활집을 매고, 등에 다섯 자루의 비도를 둘러맸으니,
    바로 고려장군 갈소문(曷蘇文)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실전에 나섰을 때 모습으로 여차하면 목숨을 잃는 전장에 나서면서
    거추장스런 권위용 칼을 다섯 자루씩 지고 나갈 장수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연개소문의 다섯 자루 칼이 실전용이라는 것은 이 칼이 ‘비도’라는데서 알 수 있다.
    경극에서는 날아다는 칼이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자유자재로 날아다니는 칼이라면 한 자루면 충분하지 다섯 자루일 이유가 없다.
    비도는 고구려 고유의 ‘비도술(飛刀術)’, 또는 ‘비검술(飛劍術)’을 위한 무기인 것이다.
     
     
    ③ 공포의 고구려 비도술
     
    1305888944.jpg

    『신간전상당 설인귀 과해정료 고사』(新刊全相唐薛仁貴跨海征遼故事:이하
    『고사』로 약칭)는 명(明) 성화(成化) 7~14년(1471~1478) 사이에 북경에서 간행된 사회이다.
    『고사』에 실려있는 <막리지 비도대전(莫利支 飛刀對箭)>이란
    그림은 연개소문이 사용했던 비도술의 실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우측 위쪽에 ‘천자’라고 쓴 당 태종이 있고, 아래측 좌측에 신전을 든 설인귀,
    우측에 비도를 든 막리지 연개소문이 잇다.
    연개소문은 설인귀의 화살에 맞서 칼을 던지고 있다.
    이것이 일부 전통무예 연구가들 사이에서 전설처럼 전하던
    검이나 도를 던지는 고구려 특유의 비도술(또는 비검술)의 실상이다.
    그림에서 연개소문이 던지는 칼은 신통력으로 날아다니는게 아닌 그의 무술 실력 때문이다.
     
    고구려를 침략한 수 • 당군은 고구려 장수들의 ‘비도술’에 혼이 빠졌을 것이다.
    옛 싸움에서 장수들의 무예 실력은 중요했다.
    왜냐하면 장수들의 무예가 그 군대의 승패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창이나 칼을 가지고 덤빈 중국 장수들은 열이면 열 고구려 장수들에게 패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창이나 칼이 닿기도 전에 묵직한 칼이 번개처럼 목을 관통했거나 갑옷을 뚫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 태종은 경극에 묘사된 것처럼 연개소문의 비도술에 혼쭐이 났으며,
    그 어느 장수도 그에게 맞설 수 없었다. 비도술은 연개소문 개인의 것이 아니라
    고구려 장수나 전사들의 검술이었고, 연개소문은 비도술에 가장 정통한 무장이었을 것이다.
     
    비도가 일어나 공중에서 춤을 추네
     
    화살과 비도가 먼지를 일으키며 대적하네
     
    비도가 화살을 대적하니 노을빛이 찬란하네
     
    화살이 비도를 대적하니 화염이 일어나네
     
    공중에서 두 보배가 대적하니
     
    두 장수 모두 신통력으로 겨루네
     
    -『고사』에 묘사된 연개소문의 비도술 -
     
     
     
    ④ 청룡의 화신 연개소문
    %BB_-%~1.JPG
     
    경극을 보면 연개소문의 복장을 홍포(紅袍)로 묘사한다.
    『사략』에서 연개소문의 복장을 ‘진홍색 사복(獅服)’으로 묘사한 것이나,
    『설인귀과해정동백포기(薛仁貴跨海征東白袍記)』에서
    연개소문을 ‘문무에 능한 홍포장군’이라고 묘사한 것이 그 예이다.
    중국인에게 있어 붉은색은 각별하다. 그들은 광적으로 붉은 색을 좋아하는 민족이다.
    경극에서도 붉은 색은 긍정적인 인물을 가리키고,
    검은색은 지혜로운 인물, 푸른색과 녹색은 민간의 영웅호걸,
    금색과 은색은 신이나 귀신을 나타내는데,
    연개소문이 홍포로 묘사되었다는 것은 설인귀가 백포를 입고 있기 때문이라 해도 예사롭지 않다.
     
    경극 <분하만> 서두를 보면 연개소문이 영혼으로 등장해
    "나는 본래 청룡으로서 세상에 내려온 것이다"라며 자신을 청룡으로 소개하고 있는데,
    여기에 설인귀는 백호(白虎)로 등장한다.
    청룡과 백호는 풍수나 고대 천문학의 사상(四象)에서 동쪽과 서쪽을 의미한다.
    고구려가 중국의 동쪽에 있다는 점에서 이는
    중국인들이 연개소문을 동쪽을 지키는 사방신으로 승화시켰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당시 중원의 서쪽과 동쪽이 당과 고구려에 의해 분할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고사』를 보면 이런 구절이 있다.
     
    “온 군영에서 두 장군(연개소문과 설인귀)을 환호하니,
    온 세상이 두 사람을 강하게 하네/
    당조(唐朝)가 이 두 장군을 얻는다면 천하가 태평지 않은들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이는 중국인들이 연개소문의 신과 같은 무예에 경탄한 나머지,
    그를 중국의 장수로 회유하고 싶었던 것이고,
    이런 마음이 동쪽을 지키는 청룡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중국인들은 연개소문을 두려워하고,
    경멸하면서도 마음 한 구석에는 연개소문에 대한 경외심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그를 청룡의 화신이라 평한 것이다.
     
     
    텍스트 출처 : Daum블로그 - http://blog.daum.net/tm0119/7107527
    이미지 출처 : 구글
    Dementist의 꼬릿말입니다
    ★공포 게시판 정화 켐페인★


    ★일베스샷 및 일베언급게시물 올리지말기★

    ★게시판에 어울리지않는 글이나 사진 올리지말기★
    ex:~~가 공포,이런사람이 공포 등등


    ★이유없는 분란조성용 어그로글은 상대할 가치없이 신고하기 ★

    ★고어사진,극혐오자료 올리지말기★

    ★제노포비즘 적인 게시물 지양하기★

    ★논쟁이 벌어지더라도 함부로 인신공격하지 않기★



    귀신짤방 출처 : Daum블로그 -땡초의 캐릭터 일러스트-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0/25 14:17:17  175.113.***.39  Soulcry  377880
    [2] 2013/10/25 14:18:44  61.252.***.154  칼립소  463348
    [3] 2013/10/25 14:24:57  155.230.***.233  크킄흑화한다  167606
    [4] 2013/10/25 19:49:14  39.114.***.19  Naburange  12717
    [5] 2013/11/02 14:17:37  211.200.***.142  귀여웠던나  223534
    [6] 2013/11/27 15:25:03  121.179.***.141  첨성대  40400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1
    백혈병 어린이의 소원을 들어준 고담시티 <BGM> Dementist 13/11/18 11:39 43 2
    1540
    세계의 미스터리 (2) -보이니치 문서-<BGM> [1] Dementist 13/11/18 09:28 182 3
    1539
    [포켓몬] 유품 <BGM> [1] Dementist 13/11/15 18:23 33 1
    1538
    C.I.Q (Carrier IQ) <BGM> [1] Dementist 13/11/15 13:32 353 5
    1537
    세계의 미스터리 (1) -로어노크섬 사건-<BGM> Dementist 13/11/15 12:48 182 1
    1536
    히틀러의 마지막 유보트 U-234의 충격적인 비밀 <BGM> Dementist 13/11/14 18:18 389 1
    1535
    [2CH] 세상에서 가장 굉장한 생물들 <BGM> [6] Dementist 13/11/14 14:00 702 5
    1534
    개인적으로 뽑은 최고의 공포인물 TOP10 <BGM> [1] Dementist 13/11/14 13:19 554 2
    1533
    소름(토리하다) 극장판 - NECK 2부 完 - <BGM> [1] Dementist 13/11/14 10:32 278 3
    1532
    소름(토리하다) 극장판 - NECK 1부 - Dementist 13/11/14 10:25 333 3
    1531
    Snezana Skaric의 섬뜩하거나 기괴한 사진들 <BGM> Dementist 13/11/13 18:38 343 0
    1530
    [2CH] 스토킹 당하고 있다 <BGM> [11] Dementist 13/11/13 14:22 369 60
    1529
    [재업]외톨이의 슬픔과 두려움을 표현한-테츠야 이시다-<BGM> Dementist 13/11/01 09:29 179 1
    1528
    턱밑의 상처 Dementist 13/10/31 19:38 163 1
    1527
    1992年 김보은양 사건 <BGM> [4] Dementist 13/10/31 17:12 773 7
    1526
    인간내면에 숨어있던 악마의 재림 -산티아고 카루소- <BGM> [1] Dementist 13/10/31 10:24 484 1
    1525
    12월 그날 새벽 [2] Dementist 13/10/31 09:43 84 12
    1524
    딱딱한 꽃잎 [2] Dementist 13/10/30 21:20 196 5
    1523
    [일본괴담] 아이돌A Dementist 13/10/30 21:11 212 5
    1522
    하이퍼 OR 포토리얼리즘 작품 모음 <BGM> Dementist 13/10/30 13:55 36 2
    1521
    블랙아트의 정점-Juha Arvid Helminen- <BGM> [8] Dementist 13/10/30 10:35 396 1
    1520
    [단편] 왕따당해 죽은 친구의 한 <BGM> [1] Dementist 13/10/30 08:39 292 1
    1519
    후배를 부르던 여자 [1] Dementist 13/10/29 19:03 241 3
    1518
    사람의 마음을 가지고 장난치지 마십시오 [2] Dementist 13/10/29 18:01 305 35
    1517
    아름다운 호러일러스트 - 나탈리 샤우 - <BGM> [3] Dementist 13/10/29 12:34 522 41
    1516
    인간은 가장 무서운 동물이다 [1] Dementist 13/10/29 08:22 349 35
    1515
    지금 생각하니 무서웠던 친구 Dementist 13/10/28 19:26 220 7
    1514
    2013 IPA 수상작들 <BGM> [1] Dementist 13/10/28 15:32 45 18
    1513
    서양의 유명 여자연예인과 닮은여자들 <BGM> [3] Dementist 13/10/25 14:27 483 2
    연개소문의 재평가와 고구려의 비도술 <BGM> Dementist 13/10/25 13:40 69 3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