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ongoing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4-28
    방문 : 64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ongoing님의 댓글입니다.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135 빛에 대한 궁금증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더 복잡해 져 계속 증폭되네요 [새창] 2015-04-28 13:15:49 0 삭제
    아마 빛이 momentum을 가진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착각 같은데 말이죠.
    classical mechanism에서 momentum p = mv로 기술되기 때문에,
    velocity와 momentum을 모두 갖는 광자가 질량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를 봐서...
    134 상사법칙이 뭔가요??? [새창] 2015-04-27 21:30:32 0 삭제
    이러한 similarity의 발생 원인은 governing equation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dimensionless variable로 해당 equation을 풀면 dimensionless #가 비슷할 때 비슷한 solution이 나오게 되겠죠.
    본문 예시처럼 flow의 경우 Reynold's #가 상당히 대표적이고...
    133 상사법칙이 뭔가요??? [새창] 2015-04-27 18:22:29 0 삭제
    그 similarity 때문에 dimensionless #을 배우죠.
    http://ocw.mit.edu/courses/materials-science-and-engineering/3-185-transport-phenomena-in-materials-engineering-fall-2003/study-materials/handout_numbers.pdf
    132 상사법칙이 뭔가요??? [새창] 2015-04-27 18:21:41 0 삭제
    http://faculty.poly.edu/~rlevicky/Handout10_6333.pdf
    여기 보시면 5번째 장에 "similarity" 라고 큰 글씨가 보일텐데...
    시간 되면 전체 다 읽어보세요.

    예시는
    http://download-v2.springer.com/static/pdf/5/chp%253A10.1007%252F978-1-4020-8537-6_10.pdf?token2=exp=1430127628~acl=%2Fstatic%2Fpdf%2F5%2Fchp%25253A10.1007%25252F978-1-4020-8537-6_10.pdf*~hmac=5768c3656ff6df44bef5ad32fbd94e3e481e4d638a285dd498516be12f313091
    여기에 physical interpretation 부분 조금 보시면
    131 터치센서 [새창] 2015-04-26 17:49:47 0 삭제
    뇌에 전극을 심어서 생각으로 마우스를 움직이는 기술이 몇 십년전에 가능했던걸로 알고 있는데... 밑에분 처럼 brain imaging을 통해서 뇌에 물리적으로 전극을 심지 않고 manipulation이 가능한게 더 상위 기술 같네요.
    130 터치센서 [새창] 2015-04-26 17:47:51 0 삭제
    http://en.wikipedia.org/wiki/Eye_tracking
    http://www.extremetech.com/extreme/173848-eye-tracking-is-finally-coming-to-gaming-the-greatest-control-revolution-since-the-joystick
    "Sniping a terrorist in Counter-Strike might soon be as simple as glancing at him, rather than trying to quickly and accurately move the mouse."
    129 '터치센서' 기술에 대한 과게 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새창] 2015-04-26 17:22:36 0 삭제
    piezoelectric sensor glove
    첫번째 예시는 어느정도 비슷한 물건이 있긴 한데 말이죠. 상용화까지는 멀었겠지만 작동은 하는 것 같네요.

    http://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9700709_Ultrasensitive_mechanical_crack-based_sensor_inspired_by_the_spider_sensory_system
    이거는...sensitivity가 높아서 진동도 감지할 수 있고, 그래서 소리도 감지하고... 아직 마이크 정도의 성능까지는 안나오지만, sensing mechanism 자체가 달라서 noise가 적고 특정 wavelength쪽만 감지를 할 수도 있는 것 같은데 (주변 noise는 cut 하고 사람 목소리만 sensing 한다던가)
    그리고 요즘 hot한 bio 분야에서의 맥박 측정까지도 가능하고 (심지어 수축기, 이완기까지 구별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128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5-04-25 14:00:42 0 삭제
    여기서 생각하는 religion 처럼 실제 religion community가 철학적인 사고를 중시한다면 다행이지만, 실제 제가 본 종교는 세속적이며 정치적이고 물질적이더군요. 이러한 글을 쓸 때 사실 term을 define하고 시작을 해야 할텐데, 단순히 religion이라는 단어 하나로 실제 모습을 포함할 수 없죠.
    127 죄송한데 이게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 수 있을까요?? [새창] 2015-04-24 23:53:39 1 삭제
    ㅎㅎ... 저기서 1, 2, 3학년 과정이라고 나와있는 내용은 대부분의 공학계열에서 1학년과정에 들어가는걸로 알고 있는데...
    경제에서 쓰이는 수학이 어렵지 않다는건 아니지만... stochastic calculus 같은 예시를 들어줘야 공감이 갈텐데 말이죠.
    126 철학과 과학에 대해서 의견이 궁금합니다 [새창] 2015-04-24 21:49:45 0 삭제
    지금 와서 철학과 과학은 전혀 다른... 것이라고 생각하고, 따라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쪽으로 생각할 수가 없다고 봅니다.

    "science"를 단순히 무언가 답을 낸다~ 라고 생각하시는건 너무 일부분만을 고려한 것이며,
    현재 science community를 넓게 바라보면 (시간적으로도), 과학적 발견, 발전 등이 답을 내듯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으로 발전해나가며, 이는 academic journal, seminar 등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예전에 어떤 교수님께서 science가 인류의 가장 훌륭한 발명이다, 라는 말을 했는데, 이때의 science는 위처럼 지식을 공유하는 system을 포함하는거겠죠.
    ph.D.는 "doctor of philosophy"의 약자지만, 사실 철학에 한정되지 않죠. wikipedia에 이런 말이 있군요. "In the context of academic degrees, the term philosophy does not refer solely to the field of philosophy, but is used in a broader sense in accordance with its original Greek meaning, which is "love of wisdom"."
    제가 생각하는 철학이 당신이 생각하는 철학보다 범위가 좁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들지만, 제가 생각하는 철학은 과학을 모두 포함하지 못하며 둘을 비교할 필요도 없습니다.
    125 그래핀 만들어 보기 [새창] 2015-04-24 21:28:19 1 삭제
    bulk resistance를 측정하셨군요... sheet resistance를 측정하시는건 어떤가요, 비교하기가 더 편할텐데.
    사실 bulk metal이랑 비교하기가 애매한게 geometry가 graphene과 많이 다르기 때문에...
    그리고, multimeter 1개 (2 probe)로 측정하셨는데, multimeter 2개로 4 probe measurement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듯 한데 알아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http://en.wikipedia.org/wiki/Four-terminal_sensing
    124 상대성 이론에 대한 질문입니다. [새창] 2015-04-24 19:47:33 0 삭제
    http://en.wikipedia.org/wiki/Time_dilation
    123 상대성 이론에 대한 질문입니다. [새창] 2015-04-24 19:47:27 2 삭제

    122 [본삭금] 양자역학 Stern-Gerlach Experiment [새창] 2015-04-22 17:00:00 0 삭제
    http://quantummechanics.ucsd.edu/ph130a/130_notes/node253.html
    matrix operation for spin
    Sx, Sz가 commute 하지 않네요.
    121 궁금해요. 무한에너지 발광전구 [새창] 2015-04-22 13:37:37 3 삭제
    https://www.youtube.com/watch?v=-poc9JSHoWA&feature=iv&src_vid=ljKX9Om7Z4s&annotation_id=annotation_1972730961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