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그치만...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09-09-15
    방문 : 3957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436425
    작성자 : NormalUtopia
    추천 : 1
    조회수 : 475
    IP : 163.239.***.207
    댓글 : 4개
    등록시간 : 2013/09/06 20:07:14
    http://todayhumor.com/?sisa_436425 모바일
    민주정권이 양극화를 만들었다에 대한 반론 정리<약 스압>
    출처 : <a target="_blank" href="http://fkauswntlrghltk.tistory.com/7" target="_blank">http://fkauswntlrghltk.tistory.com/7</a> <div><br /></div> <div>요약 : </div> <div><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1. 양극화 시작 시기</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    기존주장 : 1997년~98년의 외환위기 이후</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    반론 : </span></fo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1991년~94년 사이에 이미 증후가 있었다</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1) 노동조합으로 인한 대기업 인금격차 심화</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근거(</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2006년 노동부『KLI노동통계』「소득분배 지표의 추이:1982년~2005년,」, </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임금격차의 추이:1982년~2005년」</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line-height: 21px">)</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line-height: 21px">           2)  저임금 서비스 직의 증가.</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line-height: 21px">           근거(</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2006년 한국은행『KLI노동통계』「생산성 격차:1982년~2004년」, </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외환위기D:1998년~200년』「추세전환 시점 </span><span style="line-height: 21px; font-size: 13.63636302947998px">추정 결과」</span><span style="line-height: 21px; font-size: 13.63636302947998px">)</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line-height: 21px; font-size: 13.63636302947998px"><br /></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line-height: 21px; font-size: 13.63636302947998px">2. 양극화 이유</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line-height: 21px; font-size: 13.63636302947998px">    기존주장 : </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진보(외국 자본의 영향력이나 신자유주의 담론), 보수(경기침체를 부각하면서 적하이론을 주장)</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line-height: 21px; font-size: 13.63636302947998px">    반론 : 1. </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적대적 노사관계로 인한 대기업의 고용회피 경향으로 가속화된 제조업 고용의 감소와 서비스경제로의 이행</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2. 재벌에 의한 경제력 집중의 강화와 중소기업의 피폐화라는 두가지 구조적 변화</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                 (</span><span style="font-size: 13.63636302947998px">70년대의 국가 주도 관치경제로 정부지원에 의한 재벌 팽창이 일어나 막강함 힘을 가진 상태에서 바로 시장자유화에 진입하여 재벌을 힘을 막을 제도적 장치 미비)</span></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br /></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br /></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br /></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양극화는 IMF의 산물일 뿐이라고 생각해왔는데, 또다른 시각이라 정리해 봅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잘못된 부분 지적해 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br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br /></p></div> <div><br /></div> <div><br /></div> <div><원문></div> <div><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3. 양극화 거슬러 올라가면, 박정희 장기집권시대의 그림자</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필자를 포함해서 진보성향의 학자들이 민주화정부의 가장 심각한 정책 실패로 양극화를 꼽는다. 양극화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가 양극화가 1997년~98년의 외환위기 이후에 전개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진보성향의 학자들은 대체로 김대중 정권과 노무현 정권에 의해 실시된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과 제도개혁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보수성향의 학자들은 저성장과 경기침체라는 경기적 요인을 강조하여, 양극화의 해법도 성장률 제고에서 찾아야 한다는 이른바 트리클다운(Trickle-down)론[<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滴下理論]</font>의 근거로 삼는다. 일반적으로는 세계화와 중국의 부상, IT기술의 진보 등 환경 변화, 비정규직 증가와 구조조정에 따른 자영업자 급증 및 연봉제 확산 등 노동시장의 변화, 산업연관관계의 약화와 중소기업 성장기반의 취약이라는 경제구조상의 문제, 대기업과 금융 분야에서의 제도적 변화 등이 양극화의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양극화가 나타난 시점과 원인에 관해서 보다 정교한 논의를 하지 않으면 그릇된 결론에 도달하기 십상이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우선 양극화에 관한 수많은 논의가 외환위기 이후에 양극화가 나타났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고 있다. 극히 예외적으로 유경준 KDI 사회경제연구부장은 외환위기 이전부터 중산층 감소추이가 나타났다고 지적했고, 전병유 한신대학 교수와 김복순 명지대학 교수가 1990년대 이후 고용구조 양극화가 심화되었음을 지적한 정도다. 그런데 관련 통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양극화와 관련된 대부분의 지표들이 1991년~94년 사이에 개선추세에서 약화주세로 전환했음을 알 수 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2006년 노동부가 작성한『KLI노동통계』「소득분배 지표의 추이:1982년~2005년」이라는 도표를 보면 1982년~2005년 기간 중 대표적인 소득분배 지표들의 시계열 자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 두 행은 도시근로자가구 소득의 불평등도를 측정한 지니(GINI)계수와 소득양극화 정도를 수치화한 ER지수이고, 다음 두 행은 임금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측정한 지니계수와 분위수배율(P9/P1)이다. 이 모든 지표들이 1980년대 초반의 높은 수준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다가 1990년대 초반 하락세가 멈추고 미약하나마 상승세로 반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니계수와 ER지수는 1993년에, 그리고 임금지니계수와 분위수배율은 1994년에 각각 최저점을 기록했다. 물론 외환위기 직후에 급격히 상승한 것도 사실이지만, 하락추세의 반전이 그보다도 더욱 중요한 현상임을 강조하고자 한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역시 2006년 노동부가 작성한『KLI노동통계』「임금격차의 추이:1982년~2005년」이라는 도표에는 학력별, 성별,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학력별과 성별 격차는 각각 1995년과 2001년에 최저점에 이른다. 역시 격차 완화의 추세가 반전되기는 하지만 추세반전의 시점이 소득분배지표의 추세반전 시점보다 늦고, 그 이후에도 임금격차의 상승이 크지 않아 1980년대 전반에 비해서는 훨씬 양호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졸자들의 공급이 급격히 확대되는 가운데 이러한 반전이 일어났다는 것은 주목해야 할 일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는 양상이 상당히 다르다. 3백인 이하 중소기업 대비 3백인 이상 대기업의 임금 비율은 1980년대 초중반에는 110% 내외에 머물다가 민주화 이후 대기업 중심으로 노동조합이 활성화됨에 따라 1988년부터 120%대로 상승하더니, 1999년에 130%대를 넘어섰고, 2004년에는 140%에 육박했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가 양극화의 한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해준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2006년 한국은행이 작성한『KLI노동통계』「생산성 격차:1982년~2004년」이라는 도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의 추이를 보여준다.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이 1982년 178.26%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5년에는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을 능가하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어 2004년에는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이 43%에 불과해졌다. 3백인 이상 대기업과 3백인 미만 중소기업 간의 노동생산성 격차는 1980년대 중반까지 감소하다 1988년에 최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세로 반전했고, 이후 꾸준히 확대되어 80년대 초반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2002년 한국은행이 작성한『외환위기D:1998년~200년』「추세전환 시점 추정 결과」라는 도표는 양극화의 시점에 관한 보다 엄밀한 분석을 위해서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중반 사이에 한 번의 추세변화가 있었고 이전과 이후의 추세는 모두 선형추세로 표시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추세전환의 시점을 희귀분석을 통해 추정한 결과다. 이 도표에 따르면 1991년에서 1994년 사이에 양극화가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이제는 상식이 되어버린 외환위기발 양극화론은 양극화의 구조적 원인을 간과하게 했다. 진보파는 외국 자본의 영향력이나 신자유주의 담론을 원흉으로 보고, 보수파는 경기침체를 부각하면서 적하이론을 주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양극화의 시발(<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始發</span></font>)이 1990년대 초반이었다면 이러한 요인들을 양극화의 주된 원인으로 꼽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필자는 누차 양극화의 구조적 원인과 구조적 해법을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양극화의 시발점이 1990년대 초반이라면 양극화와 관련한 민주화 세력의 책임이 무엇인지, 정책적으로 잘못한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해 새롭게 규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조적 변화에 대한 대응에 실패한 것을 제쳐놓고 일시적 구조조정을 탓한다거나 복지정책의 미흡만을 나무라는 것은 번지수를 잘못 찾는 일이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양극화의 원인과 관련해서 1990년대에 급진전된 세계화와 정보화라는 거대한 외부적 환경 변화 때문에 양극화가 불가피하게 일어났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중국 등 값싼 노동력을 구할 수 있는 제3국으로의 아웃소싱(outsourcing)이 증가해 숙련노동과 비숙련노동 간의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빠른 기술 변화에 적응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임금격차가 확대됨으로써 임금소득분배가 악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타당한 지적이지만 문제는 제도적 여과장치나 보완장치 없이 그런 현상을 방치한 데 있다. 일찍이 애킨슨(Atkinson)은 각국의 제도와 정책의 차이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강조한 바 있으며, 폴 크루그먼(P. Krugman)도 미국의 양극화는 세계화나 기술 변화보다는 소수 부유층을 위한 정책에 의해 초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그렇다면 1990년대 초반에 분배의 개선 추세를 반전시킨 구조적 변화는 무엇인가?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이전의 동반성장 규모는 어떻게 작동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이는 과연 박정희 장기집권시대의 경제성장이 진정한 동반성장인가와도 관련이 있는 문제다. 우선 국제적으로 한국의 소득분배가 비교적 괜찮은 것으로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보다 본격적인 경제개발이 시작되기 전의 역사적 특수상황에 기인한다. 즉, 토지개혁이 단행되었고, 6·25동란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이 파괴됨으로써 자산의 하향평준화가 이루어졌다. 게다가 극도로 낮은 소득수준에도 불구하고 건국 초기부터 의무교육을 실시해 인적자본의 분배 또한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교육시스템이 계층 상승의 주요한 통로가 되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이렇게 유리한 초기 조건하에서 1960년대의 고도성장은 실제로 동반성장의 양상을 띠었다. 노동집약적 수출산업을 중심으로 대단히 급속한 고용창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성장의 과실이 어느 정도 분배되는 효과를 가져온 것이다. 1960년대 초에 20%에 육박했던 도시 지역의 실업률이 한자릿수로 떨어졌고, 도시 지역 전체 고용의 3분의 2를 상회하던 비공식부문도 반 이하로 축소되었다. 분배와 관련한 박정희 정권의 정책은 전무하다시피 했고, 오히려 급속한 자본축적을 위해 노동자와 농민을 쥐어짜는 저임금-저곡가정책을 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동반성장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경제의 구조적 특성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반증하는 것이다. 어쨌든 이러한 사정도 1970년대에는 중화학공업화 정책에 의해 변한다. 가용자원을 자본집약적인 중화학공업에 집중 투입하면서 재벌은 고속성장을 했지만 수혜계층의 폭은 한정되었다. 투자재원 확대를 위해 인플레에 의한 강제저축(국민수탈)이 행해짐으로써 성장의 혜택이 반감되었고, 부동산 값이 폭등하면서 자산분배의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1970년대에는 그래서 동반성장이 아니라 고도성장에도 불구하고 분배의 불평등이 확대되는 양극화 성장이 발생한 것이다. 양극화를 비판하는 이들에게 정부는 아예 ‘선성장후분배(<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先成長後分配</font>)’를 정책방향으로 내세우기까지 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1980년대에는 경제가 안정화되고 중화학공업 분야의 수출이 ‘3저호황’에 이르기까지 크게 확대됨으로써 고용확대 효과에 의한 동반성장이 다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 초부터 상황이 다시 반전된다. 이는 두가지 핵심적인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다. 첫째는 성장과 고용 간의 관계가 변한 것이다. 제조업 부문의 고용비중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성장의 고용탄성치가 현저하게 하락하는 등 과거 핵심적인 분배의 메커니즘이었던 고용창출에 문제가 발생했다. 제조업의 고용비중이 감소하는 것은 경제발전단계가 고도화되면 나타나는 탈산업화(de-industrialization) 현상이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선진국들과는 달리 제조업의 생산비중은 줄어들지 않으면서 고용비중만 급격히 감소했다. 이것은 앞에서 살펴본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 확대와 동전의 양면을 이루는 현상이다. 결국 제조업의 고용비중 축소는 서비스업 분야에 저임금 고용이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1980년대 후반 ‘3저호황’ 시기에 노동조합운동의 활성화로 실질임금이 급상승하고 노사갈등이 증대함에 따라 대기업들이 자동화 설비에 과도하게 투자하거나 아웃소싱을 확대하는 등 고용회피 전략을 구사한 탓이다. 대기업들의 고용회피 전략은 다른 한편 비정규직 고용의 증대를 불러왔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또 다른 구조변화는 재벌 대기업들에 희한 시장지배력 강화다. 재벌에 의한 경제력 집중과 시장왜곡이 심화되어 고용의 절대다수를 감당하고 있는 중소기업 부문이 갈수록 피폐화됨으로써 기업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이것이 소득의 양극화로 이어진 것이다. 통계개발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2005년의 26년간 우리나라 광업·제조업의 시장집중도와 산업집중도는 장기적 하락 추세를 보인 반면, 일반집중도는 이재형 통계개발원장이 2008년에 작성한《우리나라 산업집중 및 시장구조 실태분석》〈우리나라 산업의 일반집중도〉라는 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1980년대 후반 이후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즉 좁게 정의된 시장 내기 산업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한국 경제의 경쟁력이 제고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소수 대기업의 국민경제적 영향력(이른바 경제력 집중)은 1980년대 말경부터 증가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 일반집중도가 대기업 각각의 개별재무재표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을 감안할 때, 계열사를 모두 포함한 기업집단 단위로 측정한다면, 경제력 집중의 심화 경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이와 같이 1980년대 후반부터 재벌에 의한 경제력 집중이 강화된 배경으로는 1980년대 초중반에 추진된 금융자유화 정책에 따른 재벌들의 제2금융권 진출, ‘3저호황’기의 중화학공업 수출 증대에 따른 이익 증가,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정책금융과 산업정책을 폐기하는 등 시장자유화 정책이 추진된 것을 들 수 있다. 시장자유화로 과거의 통제는 사라지는데, 이미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구축한 재벌들에 대한 시장규율은 제대로 부과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문어발식 확장과 규모 확대 경쟁의 고삐가 풀린 것이다. 이로 인한 과잉투자와 부실이 외환위기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고, 위기 이후에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일시적으로 경제력 집중이 약화되었지만 다시 개혁이 후퇴하면서 경제력 집중이 재가동되었던 것이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적대적 노사관계로 인한 대기업의 고용회피 경향으로 가속화된 제조업 고용의 감소와 서비스경제로의 이행 및 재벌에 의한 경제력 집중의 강화와 중소기업의 피폐화라는 두가지 구조적 변화가 양극화 추세의 근본 원인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자본시장, 노동시장, 상품시장, 기업지배구조 등 제반 제도와 정책이 또한 양극화의 요인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양극화 구조의 저변에는 재벌 중심 성장과 적대적 노사관계가 핵심적인 문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곧 유신독재체제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이라는 점에서 양극화의 연원을 박정희 장기집권시대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단, 1970년대의 양극화는 국가 주도 관치경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정부지원에 의한 재벌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일어난 데 비해, 1990년대 초반 이후의 양극화는 시장자유화에 따라 국가통제가 약화되면서 시장의 실패를 보정하기 위한 제도는 미흡했기 때문에 이미 지배적 지위를 구축한 재벌들이 더욱 자유롭게 확장해나가면서 일어난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span></font></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 </p> <p style="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border: 0px; font-family: dotum; font-size: 13px; line-height: 21px; margin-top: 0px !important; margin-bottom: 0px !important; padding-top: 0px !important; padding-bottom: 0px !important"><font color="#00000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ize: 10pt">‘선성장후분배’로 표현된 성장지상주의와 재벌 중심이라는 박정희 장기집권시대의 유산이 양극화의 뿌리다. 그런 의미에서 국가 주도 경제에는 없었던 양극화가 민주화정부가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해서 발생했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다. 물론 시장자유화가 재벌의 고삐를 풀어준 것이 양극화의 요인이 된 것도 사실이고, 외환위기를 계기로 노동시장 유연화 등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이 많이 도입되면서 양극화가 가속화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시장자유화를 근본 원인으로 보면 구조적 문제를 보지 못하게 되고, 시장자유화 자체에 반대하는 논리가 된다. 그렇다면 관치경제를 계속했어야 한다는 것인가? 문제는 시장자유화 그 자체가 아니라 그에 따르는 시장의 실패를 보완하는 정책들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은 것이며, 거꾸로 시장자유화에 따르는 양극화라는 부작용을 통제할 만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유화만 서두른 데에 있다.</span></font></p></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9/06 20:16:31  175.223.***.238  길가돌  45266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0
    노이즈 마케팅 [3] NormalUtopia 13/09/15 01:04 106 1
    민주정권이 양극화를 만들었다에 대한 반론 정리<약 스압> [1] NormalUtopia 13/09/06 20:07 33 1
    168
    왜 토론이 안되는 걸까요? [4] NormalUtopia 13/09/04 23:06 75 2
    167
    NLL 대화록에 대해 좀 알아보고자 하는데 좋은 곳 있나요? [2] NormalUtopia 13/07/22 20:43 42 0
    166
    벼룩시장 덕에... [2] NormalUtopia 13/07/20 22:10 57 1
    165
    그냥 못 찾은거면 그것도 웃길 듯.. NormalUtopia 13/07/18 16:05 46 0
    164
    누가 그렇게 무서웠을까... NormalUtopia 13/06/21 15:42 65 1
    163
    고민게는 댓글 신고를 좀 활성화 시켜야 될 것 같네요.. [1] NormalUtopia 13/06/12 12:34 44 1
    162
    네이버 화요 웹툰 본초비담 쩌네요... [2] NormalUtopia 13/06/07 10:58 72 2
    161
    정장 사기에 좋고 배송 빠른 인터넷 쇼핑몰 좀 추천해 주세요~ [2] NormalUtopia 13/05/29 14:11 33 0
    160
    일베 버림받는 거 보면... [1] NormalUtopia 13/05/23 01:06 88 0
    159
    갑자기 돈이 생긴다는 신년운세가 맞은 Ssul~ NormalUtopia 13/04/29 00:06 6 0
    158
    싸이보면 느껴지는 게, 여기는 진짜 민족주의가 강한 듯 합니다. [5] NormalUtopia 13/04/14 13:24 99 1
    157
    똥게 때문에 화이트 데이가 묻혔다 NormalUtopia 13/03/14 01:08 40 2
    156
    싸잡아서 비난하지 좀 맙시다.. [2] NormalUtopia 13/03/11 12:03 53 1
    155
    북한이 과연 핵을 쏠까요? [9] NormalUtopia 13/02/13 16:14 78 0
    154
    [SWF][박보영]욱하는 척 연기 [1] NormalUtopia 13/02/01 22:11 150 3
    153
    [SWF][박보영]박보영 눈빛연기 [3] NormalUtopia 13/02/01 22:10 105 2
    152
    국정원도 하나의 조직 아닌가요? [6] NormalUtopia 13/02/01 20:38 87 5
    151
    시사 쪽 좋은 토론이 있는 게시물 알려주실 수 있나요? [6] NormalUtopia 13/02/01 20:05 36 0
    150
    [SWF][박보영]정글가기 전 준비물 [4] NormalUtopia 13/02/01 19:34 244 7
    149
    [SWF][박보영_이수근]정글가는 뽀 [1] NormalUtopia 13/02/01 19:22 146 1
    148
    IP 벤 사라졌네요 NormalUtopia 13/02/01 12:21 35 0
    147
    일베의심 신고요 NormalUtopia 13/02/01 12:20 26 0
    146
    너무 공격적인 거 아닐까요. NormalUtopia 13/01/31 23:04 36 0
    145
    댓글 5초 제한이 뭘말하는 건가요? [1] NormalUtopia 13/01/31 17:28 129 6
    144
    일베 게시판 신설 찬성합니다. [30] NormalUtopia 13/01/30 21:16 223 7/11
    143
    차라리 오유 일베 모르는 사람이 오유로 오게 합시다... [5] NormalUtopia 13/01/28 13:29 102 1
    142
    직접 와서 보고 까면 걱정 없는데 말이죠. NormalUtopia 13/01/28 11:37 32 2
    141
    일베의 무서운 점은 자료가 많다는 게 아닐까요. [3] NormalUtopia 13/01/16 17:10 89 2
    [1] [2] [3] [4] [5] [6] [7] [8] [9] [10]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