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albus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8-03
    방문 : 860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1076995
    작성자 : L.albus
    추천 : 60
    조회수 : 12424
    IP : 222.99.***.50
    댓글 : 3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06/10 12:45:44
    원글작성시간 : 2015/06/10 09:40:07
    http://todayhumor.com/?humorbest_1076995 모바일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들
    옵션
    • 펌글
    위키백과에 앞으로 물리학자들이 해결해야 할 미해결 문제들의 목록이 있네요. 그런데 설명 하나하나가 보스급....<br><br><h1 lang="ko" class="firstHeading">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h1> <div class="mw-body-content"> <div>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div> </div> <div lang="ko" class="mw-content-ltr" dir="ltr"><div class="rellink relarticle mainarticle"><img height="16" width="16"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alt=""> 이 부분의 본문은 <a title="미해결 문제 목록"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 target="_blank">미해결 문제 목록</a>입니다.</div> <p><b>물리학의 미해결 문제</b>(List of unsolved problems in physics)는 <a title="물리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물리학</a> 분야의 <a title="미해결 문제 목록"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 target="_blank">미해결 문제</a>들로 <a title="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A1%A0" target="_blank">이론</a>적인 의미로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관측 <a title="현상 (철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C%83%81_%28%EC%B2%A0%ED%95%99%29" target="_blank">현상</a> 및 실험 결과들을 의미한다. 또한, <a title="실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A4%ED%97%98" target="_blank">실험</a>적인 의미로는 제안된 이론을 검증하거나 상세한 현상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구축하는데 매우 어려움이 따르는 것들을 의미한다.</p> <div class="toc"> <div> <h2>목차</h2></div></div></div> <div class="toc"><ul><li class="toclevel-1 tocsection-1"><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EC.9D.98_.ED.95.98.EC.9C.84_.EB.B6.84.EC.95.BC"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span> <span class="toctext">미해결 문제의 하위 분야</span></a> <ul><li class="toclevel-2 tocsection-2"><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C.9A.B0.EC.A3.BC.EB.A1.A0.2C_.EC.9D.BC.EB.B0.98_.EC.83.81.EB.8C.80.EC.84.B1_.EC.9D.B4.EB.A1.A0"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1</span> <span class="toctext">우주론, 일반 상대성 이론</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3"><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C.96.91.EC.9E.90.EC.A4.91.EB.A0.A5.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2</span> <span class="toctext">양자중력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4"><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A.B3.A0.EC.97.90.EB.84.88.EC.A7.80_.EB.AC.BC.EB.A6.AC.ED.95.99_.2F_.EC.9E.85.EC.9E.90.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3</span> <span class="toctext">고에너지 물리학 / 입자물리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5"><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C.B2.9C.EB.AC.B8.ED.95.99_.EB.B0.8F_.EC.B2.9C.EC.B2.B4.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4</span> <span class="toctext">천문학 및 천체물리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6"><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D.95.B5.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5</span> <span class="toctext">핵물리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7"><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C.9B.90.EC.9E.90.2C_.EB.B6.84.EC.9E.90.2C_.EA.B4.91.ED.95.99_.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6</span> <span class="toctext">원자, 분자, 광학 물리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8"><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C.9D.91.EC.A7.91.EB.AC.BC.EC.A7.88.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7</span> <span class="toctext">응집물질물리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9"><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C.83.9D.EB.AC.BC.EB.A6.AC.ED.95.99"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8</span> <span class="toctext">생물리학</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10"><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A.B8.B0.ED.83.80_.EB.AC.B8.EC.A0.9C"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1.9</span> <span class="toctext">기타 문제</span></a></li></ul></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1"><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B.8D.94_.EB.B3.B4.EA.B8.B0"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2</span> <span class="toctext">더 보기</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2"><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A.B0.81.EC.A3.BC"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3</span> <span class="toctext">각주</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3"><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EB.B0.94.EA.B9.A5_.EA.B3.A0.EB.A6.AC" target="_blank"><span class="tocnumber">4</span> <span class="toctext">바깥 고리</span></a></li></ul></div> <h2><span class="mw-headline">미해결 문제의 하위 분야</span></h2> <p>다음 목록은 물리학의 폭넓은 영역을 하위 분야로 나눈 미해결 문제 목록이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 target="_blank">[1]</a></sup></p> <h3><span class="mw-headline">우주론, 일반 상대성 이론</span></h3><dl><dt><a title="급팽창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9%ED%8C%BD%EC%B0%BD_%EC%9D%B4%EB%A1%A0" target="_blank">급팽창 이론</a></dt><dd>급팽창 이론은 정확한가? 만약 그렇다면, 이 당시에는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무엇이 가상의 <a title="인플라톤"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D%94%8C%EB%9D%BC%ED%86%A4" target="_blank">인플라톤</a> 급팽창을 일으켰는가? 만약 급팽창이 어느 지점에서 일어났다면, <a title="영구적 팽창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8%81%EA%B5%AC%EC%A0%81_%ED%8C%BD%EC%B0%BD&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역학적 변동으로 인한 팽창으로 자발적으로 발생했으며</a>, 매우 먼 장소에서는 지금도 계속 진행하고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podolsky-NEQNET-2" target="_blank">[2]</a></sup></dd><dt><a title="지평선 문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7%80%ED%8F%89%EC%84%A0_%EB%AC%B8%EC%A0%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지평선 문제</a></dt><dd>왜 먼 우주가 <a title="대폭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8F%AD%EB%B0%9C" target="_blank">대폭발</a>이 예측한 <a title="비등방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93%B1%EB%B0%A9%EC%84%B1" target="_blank">비등방성</a> 값보다 현재 밤하늘을 관측한 값이 더 적고 매우 균질한가? 우주론적 <a title="급팽창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9%ED%8C%BD%EC%B0%BD_%EC%9D%B4%EB%A1%A0" target="_blank">급팽창</a>에서는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지만, <a title="광속의 가변성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B4%91%EC%86%8D%EC%9D%98_%EA%B0%80%EB%B3%80%EC%84%B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광속의 가변성</a>과 같이 더욱 적절한 이론으로 설명할 수는 없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ewscientist-3" target="_blank">[3]</a></sup></dd><dt><a title="전자기약력 지평선 문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84%EC%9E%90%EA%B8%B0%EC%95%BD%EB%A0%A5_%EC%A7%80%ED%8F%89%EC%84%A0_%EB%AC%B8%EC%A0%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전자기약력 지평선 문제</a></dt><dd><a title="전자기약력의 시대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84%EC%9E%90%EA%B8%B0%EC%95%BD%EB%A0%A5%EC%9D%98_%EC%8B%9C%EB%8C%8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전자기약력의 시대</a>가 끝날 때 관측 가능한 우주의 먼 부분이 인과관계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다면 왜 <a title="전자기약력 진공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84%EC%9E%90%EA%B8%B0%EC%95%BD%EB%A0%A5_%EC%A7%84%EA%B3%B5&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전자기약력 진공</a>에서 대규모 불연속성이 보이지 않는가? 표준적인 우주 인플레이션 모델은 <a title="힉스 메커니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E%89%EC%8A%A4_%EB%A9%94%EC%BB%A4%EB%8B%88%EC%A6%98" target="_blank">전자기약력 대칭성 파괴</a>가 일어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므로 어떻게 인플레이션이 불연속성을 없앴는지는 분명하게 알 수 없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 target="_blank">[4]</a></sup></dd><dt><a title="우주의 종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EC%9D%98_%EC%A2%85%EB%A7%90" target="_blank">우주의 미래</a></dt><dd>우주는 <a title="팽창 우주의 미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C%BD%EC%B0%BD_%EC%9A%B0%EC%A3%BC%EC%9D%98_%EB%AF%B8%EB%9E%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픽 프리즈</a>, <a title="대파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8C%8C%EC%97%B4" target="_blank">빅 립</a>, <a title="대함몰"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A8%EB%AA%B0" target="_blank">빅 크런치</a>, <a title="진동 우주론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7%84%EB%8F%99_%EC%9A%B0%EC%A3%BC%EB%A1%A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빅 바운스</a> 중 어느 것이 될 것인가? 아니면 무한히 반복하는 <a title="순환 모델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8%9C%ED%99%98_%EB%AA%A8%EB%8D%B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순환 모델</a>의 일부인가?</dd><dt><a title="중력파"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A0%A5%ED%8C%8C" target="_blank">중력파</a></dt><dd>중력파를 직접 검출할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rc-gravity-5" target="_blank">[5]</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seattle-pi-6" target="_blank">[6]</a></sup></dd><dt><a title="중입자 비대칭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4%91%EC%9E%85%EC%9E%90_%EB%B9%84%EB%8C%80%EC%B9%AD&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중입자 비대칭</a></dt><dd>왜 <a title="관측 가능한 우주"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4%80%EC%B8%A1_%EA%B0%80%EB%8A%A5%ED%95%9C_%EC%9A%B0%EC%A3%BC" target="_blank">관측 가능한 우주</a>에서 <a title="물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C%A7%88" target="_blank">물질</a>이 <a title="반물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B%AC%BC%EC%A7%88" target="_blank">반물질</a>보다 많은가?</dd><dt><a title="우주 상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_%EC%83%81%EC%88%98" target="_blank">우주 상수 문제</a></dt><dd>왜 <a title="진공"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A%B3%B5" target="_blank">진공</a>의 <a title="영점 에너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C%A0%90_%EC%97%90%EB%84%88%EC%A7%80" target="_blank">영점 에너지</a>가 <a title="우주 상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_%EC%83%81%EC%88%98" target="_blank">우주 상수</a>를 크게 만들지 않는가? 무엇이 이를 상쇄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7" target="_blank">[7]</a></sup></dd></dl><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5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DMPie_2013.sv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250" width="25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f/DMPie_2013.svg/250px-DMPie_2013.svg.png" alt=""></a> <div class="thumbcaption"></div></div></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52px;" class="thumbinner"> <div class="thumbcaption">우주에서 추정되는 암흑 물질 및 암흑 에너지의 분포 지도.</div></div></div><dl><dt><a class="mw-redirect" title="암흑 물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94%ED%9D%91_%EB%AC%BC%EC%A7%88" target="_blank">암흑 물질</a></dt><dd>암흑 물질의 정체는 무엇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ewscientist-3" target="_blank">[3]</a></sup> 이것이 <a title="기본 입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B%B3%B8_%EC%9E%85%EC%9E%90" target="_blank">입자</a>인가? 이것이 가장 가벼운 <a title="초대칭짝"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B%8C%80%EC%B9%AD%EC%A7%9D" target="_blank">초대칭짝</a>인가? 암흑 물질로 인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사실은 물질 때문이 아니라 중력의 팽창 때문은 아닐까?</dd><dt><a title="암흑 에너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94%ED%9D%91_%EC%97%90%EB%84%88%EC%A7%80" target="_blank">암흑 에너지</a></dt><dd><a title="우주의 가속팽창"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EC%9D%98_%EA%B0%80%EC%86%8D%ED%8C%BD%EC%B0%BD" target="_blank">우주의 가속팽창</a>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물질, 에너지 두개가 시간이 지나면서 매우 다르게 흘러갔는데도 왜 암흑 에너지의 에너지 밀도가 현재의 물질 밀도와 동일한가? 이 이유가 단순히 <a title="인간 중심 원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A%B0%84_%EC%A4%91%EC%8B%AC_%EC%9B%90%EB%A6%AC" target="_blank">인간 중심 원리</a> 덕분에 우리가 이 값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인가? 암흑 에너지는 순수한 우주 상수인가, <a title="양자 에너지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9E%90_%EC%97%90%EB%84%88%EC%A7%8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 에너지</a> 등이 적용되는 <a title="전형 (물리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84%ED%98%95_%28%EB%AC%BC%EB%A6%AC%ED%95%99%2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전형적인</a> 모델인가?</dd><dt><a title="암흑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94%ED%9D%91%EB%A5%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암흑류</a></dt><dd>중력의 비구형적 대칭이 관측 가능한 우주 외부에 존재하는 우주의 은하 클러스터와 같은 거대 물체의 관측 운동과 같은 것인가?</dd><dt><a title="코페르니쿠스 원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D%8E%98%EB%A5%B4%EB%8B%88%EC%BF%A0%EC%8A%A4_%EC%9B%90%EB%A6%AC" target="_blank">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선의 황도면 정렬</a></dt><dd>130억 광년 떨어져 있는 거리의 마이크로파의 거시적 모양이 태양계와 방향, 속도가 모두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계산 과정에서 일어난 정오차로 인해 나타난 부분적 결과 오염 현상인가, 아니면 <a title="코페르니쿠스 원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D%8E%98%EB%A5%B4%EB%8B%88%EC%BF%A0%EC%8A%A4_%EC%9B%90%EB%A6%AC" target="_blank">코페르니쿠스 원리</a>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증거인가?</dd><dt><a title="우주의 모양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A%B0%EC%A3%BC%EC%9D%98_%EB%AA%A8%EC%96%9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우주의 모양</a></dt><dd>비공식적으로는 "우주의 모양"이라고 부르는 우주의 팽창 공간 부분의 3차원 <a title="팽창 거리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C%BD%EC%B0%BD_%EA%B1%B0%EB%A6%A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팽창 거리</a>는 무엇인가? 우주의 곡률과 토폴로지 모두 현재는 알 수 없지만, 현재 관측 가능한 수준에서 곡률은 거의 0인 것으로 보인다. <a title="급팽창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9%ED%8C%BD%EC%B0%BD_%EC%9D%B4%EB%A1%A0" target="_blank">급팽창 이론</a>에서는 우주의 모양이 측정 불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2003년부터 <a title="장피에르 루밍트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E%A5%ED%94%BC%EC%97%90%EB%A5%B4_%EB%A3%A8%EB%B0%8D%ED%8A%B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장피에르 루밍트</a>와 같은 여러 연구진들은 우주의 모양이 <a title="호몰로지 공간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8%B8%EB%AA%B0%EB%A1%9C%EC%A7%80_%EA%B3%B5%EA%B0%8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푸앵카레 면체 공간</a> 형태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우주는 과연 측정 불가능한 모양인가, 혹은 푸앵카레 공간인가, 아니면 또 다른 모양의 3차원 공간인가?</dd></dl><h3><span class="mw-headline">양자중력학</span></h3><dl><dt><a title="진공 재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7%84%EA%B3%B5_%EC%9E%AC%EC%95%9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진공 재앙</a></dt><dd>왜 <a title="진공 상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7%84%EA%B3%B5_%EC%83%81%ED%83%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 진공</a>의 예측된 질량이 우주 팽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가?</dd><dt><a title="양자 중력"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A4%91%EB%A0%A5" target="_blank">양자 중력</a></dt><dd><a title="양자역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EC%97%AD%ED%95%99" target="_blank">양자역학</a>과 <a title="일반 상대성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B%B0%98_%EC%83%81%EB%8C%80%EC%84%B1_%EC%9D%B4%EB%A1%A0" target="_blank">일반 상대성 이론</a>을 <a title="양자장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EC%9E%A5%EB%A1%A0" target="_blank">양자장론</a>이라는 하나의 이론으로 합칠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8" target="_blank">[8]</a></sup> 시공간은 근본적으로 연속적인가, 불연속적인가? 하나로 합쳐진 이론에서 힘은 <a title="중력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A0%A5%EC%9E%90" target="_blank">중력자</a>와 같은 가상의 입자가 매개하는 것인가, 혹은 <a title="루프 양자중력"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D%94%84_%EC%96%91%EC%9E%90%EC%A4%91%EB%A0%A5" target="_blank">루프 양자중력</a>과 같이 시공간 자체의 기하학적 모양으로 인한 현상인가? 매우 작거나, 매우 크거나, 양자 중력 이론에서의 흐름과 같이 극단적인 환경에서 나오는 일반 상대성 이론과의 편차는 무엇인가?</dd><dt><a title="블랙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8%94%EB%9E%99%ED%99%80" target="_blank">블랙홀</a>, <a title="블랙홀 정보 역설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8%94%EB%9E%99%ED%99%80_%EC%A0%95%EB%B3%B4_%EC%97%AD%EC%84%A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블랙홀 정보 역설</a>, <a title="호킹 복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D%82%B9_%EB%B3%B5%EC%82%AC" target="_blank">호킹 복사</a></dt><dd>이론적으로 예상되는 것과 같이 블랙홀은 열복사를 방출하는가? 이 열복사는 <a title="끈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1%88_%EC%9D%B4%EB%A1%A0" target="_blank">끈 이론</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블랙홀 내부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가? 아니면 <a title="호킹 복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D%82%B9_%EB%B3%B5%EC%82%AC" target="_blank">호킹 복사</a>에 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정보가 뒤섞여 있는가? 만약 그렇지 않고 블랙홀이 증발할 수 있다면 이 블랙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어떻게 되는가?(양자역학에서는 정보가 파괴되지 않는다.) 혹은 어느 시점에서 블랙홀의 잔해에서의 열복사가 중지되는가? 만약 이러한 구조가 <a title="털없음 정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4%B8%EC%97%86%EC%9D%8C_%EC%A0%95%EB%A6%AC" target="_blank">존재하지 않을 경우</a>에도 어떻게든 내부 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dd><dt><a title="여분 차원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7%AC%EB%B6%84_%EC%B0%A8%EC%9B%9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여분 차원</a></dt><dd>우주에서 4차원 이상의 <a title="시공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3%B5%EA%B0%84" target="_blank">시공간</a>이 존재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이 차원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이러한 차원의 우주에서 기본적인 법칙이 어떻게 존재하거나, 물리학 법칙이 어떻게 바뀌는가? 우리는 실험적으로 고차원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는가?</dd><dt><a title="우주 검열 가설"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_%EA%B2%80%EC%97%B4_%EA%B0%80%EC%84%A4" target="_blank">우주 검열 가설</a>, <a title="연대 보호 추측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7%B0%EB%8C%80_%EB%B3%B4%ED%98%B8_%EC%B6%94%EC%B8%A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연대 보호 추측</a></dt><dd>흔히 <a title="벌거숭이 특이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2%8C%EA%B1%B0%EC%88%AD%EC%9D%B4_%ED%8A%B9%EC%9D%B4%EC%A0%90" target="_blank">벌거숭이 특이점</a>라고 하는 사건의 지평선에 가려지지 않은 특이점은 초기의 여러 조건들로 인해 생겨나는 것인가? 혹은 <a title="로저 펜로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C%A0%80_%ED%8E%9C%EB%A1%9C%EC%A6%88" target="_blank">로저 펜로즈</a>가 주창한 '우주 검열 가설'처럼 실제로 나타나는 것이 불가능한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9" target="_blank">[9]</a></sup> 이와 비슷하게, 일반 상대성 이론의 방정식의 일부 해에서 나타나는 <a title="닫힌 시간 곡선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8B%AB%ED%9E%8C_%EC%8B%9C%EA%B0%84_%EA%B3%A1%EC%84%A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닫힌 시간 곡선</a>(과거로 <a title="시간 여행"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0%84_%EC%97%AC%ED%96%89" target="_blank">시간 여행</a>을 가능하게 해주는 해)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통합한 <a title="양자 중력"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A4%91%EB%A0%A5" target="_blank">양자 중력</a> 이론에서 <a title="스티븐 호킹"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B%B0%EB%B8%90_%ED%98%B8%ED%82%B9" target="_blank">스티븐 호킹</a>이 "연대 보호 추측"을 제시했던 것과 같이 금지되어 있는가?</dd><dt><a title="국소성의 원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C%86%8C%EC%84%B1%EC%9D%98_%EC%9B%90%EB%A6%AC" target="_blank">국소성의 원리</a></dt><dd>양자물리학에서 국소적이지 않은 현상이 있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비국소적 현상이 벨 부등식이 틀렸다는 것과 연관이 있거나 정보 및 보존량이 국소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이동할 수 있는가? 어떤 상황에서 비국소적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가? 비국소적 현상의 존재 유무는 시공간의 기본 구조와 무슨 연관이 있는가? 이 현상은 <a title="양자 얽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96%BD%ED%9E%98" target="_blank">양자 얽힘</a>과 무슨 관련이 있는가? 양자물리학의 기본적인 성질로 이 현상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dd></dl><h3><span class="mw-headline">고에너지 물리학 / 입자물리학</span></h3> <div class="rellink boilerplate seealso"><img height="16" width="16"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alt=""><a title="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1%9C%EC%A4%80_%EB%AA%A8%ED%98%95_%EC%9D%B4%ED%9B%84%EC%9D%98_%EB%AC%BC%EB%A6%AC%ED%95%9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a> 문서를 참고하십시오.</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0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MS_Higgs-event.jp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184" width="20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c/CMS_Higgs-event.jpg/200px-CMS_Higgs-event.jpg" alt=""></a> <div class="thumbcaption"></div></div></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02px;" class="thumbinner"> <div class="thumbcaption"><a class="mw-redirect" title="CERN" href="https://ko.wikipedia.org/wiki/CERN" target="_blank">CERN</a>의 <a title="압축 뮤온 솔레노이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95%EC%B6%95_%EB%AE%A4%EC%98%A8_%EC%86%94%EB%A0%88%EB%85%B8%EC%9D%B4%EB%93%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CMS</a> 감지기에서 힉스 입자가 어떻게 검출될 것인지에 대한 <a title="시뮬레이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 target="_blank">시뮬레이션</a>.</div></div></div><dl><dt><a title="힉스 메커니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E%89%EC%8A%A4_%EB%A9%94%EC%BB%A4%EB%8B%88%EC%A6%98" target="_blank">힉스 메커니즘</a></dt><dd><a class="mw-redirect" title="힉스 보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E%89%EC%8A%A4_%EB%B3%B4%EC%86%90" target="_blank">힉스 보손</a>의 <a title="갈래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88%EB%9E%98%EB%B9%84" target="_blank">갈래비</a>는 표준 모형과 일치하는가? 힉스 보손은 오직 하나의 유형만 존재하는가?</dd><dt><a title="계층 문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3%84%EC%B8%B5_%EB%AC%B8%EC%A0%9C" target="_blank">계층 문제</a></dt><dd>왜 <a title="중력"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A0%A5" target="_blank">중력</a>은 힘이 너무 약한가? 중력은 <a title="플랑크 스케일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4%8C%EB%9E%91%ED%81%AC_%EC%8A%A4%EC%BC%80%EC%9D%B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플랑크 스케일</a>에서는 10<sup>19</sup><a class="mw-redirect" title="GeV" href="https://ko.wikipedia.org/wiki/GeV" target="_blank">GeV</a> 정도로 강력하여 <a title="전자기약력 스케일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84%EC%9E%90%EA%B8%B0%EC%95%BD%EB%A0%A5_%EC%8A%A4%EC%BC%80%EC%9D%B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전자기약력 스케일</a>은 대략 100 GeV보다 훨씬 높다. 왜 이 스케일은 엄청난 차이가 나는가? 힉스 보손의 질량과 같은 전자기약력 스케일의 양이 플랑크 규모에서의 <a title="재규격화"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E%AC%EA%B7%9C%EA%B2%A9%ED%99%94" target="_blank">양자적 재규격화</a>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a title="초대칭"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B%8C%80%EC%B9%AD" target="_blank">초대칭</a>, <a title="여차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7%AC%EC%B0%A8%EC%9B%90" target="_blank">여차원</a>, 또는 <a title="인간 중심 원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A%B0%84_%EC%A4%91%EC%8B%AC_%EC%9B%90%EB%A6%AC" target="_blank">인간 중심 원리</a>의 <a title="미세 조정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F%B8%EC%84%B8_%EC%A1%B0%EC%A0%95&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미세 조정</a>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dd><dt><a title="자기 홀극"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A%B8%B0_%ED%99%80%EA%B7%B9" target="_blank">자기 홀극</a></dt><dd>고에너지 시대와 같은 과거 시점에서 "자기 입자"를 매개하는 입자가 존재햇었는가? 만약 그렇다면 이들은 지금도 남아 있는가? (<a title="폴 디렉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F%B4_%EB%94%94%EB%A0%8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폴 디렉</a>은 자기 홀극의 일부 형태의 존재를 통해 <a title="기본 전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B%B3%B8_%EC%A0%84%ED%95%98" target="_blank">전하 양자화</a>를 설명했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0" target="_blank">[10]</a></sup></dd><dt><a title="양성자 붕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84%B1%EC%9E%90_%EB%B6%95%EA%B4%B4" target="_blank">양성자 붕괴</a>와 <a title="양성자 스핀 위기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84%B1%EC%9E%90_%EC%8A%A4%ED%95%80_%EC%9C%84%EA%B8%B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성자 스핀 위기</a></dt><dd>양성자는 근본적으로 안정한가? 아니면 표준 모형의 확장 이론에서 예측했던 바와 같이 유한한 수명을 가지고 붕괴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li-proton2011-11" target="_blank">[11]</a></sup> 쿼크와 글루온의 스핀이 어떻게 양성자의 스핀에 영향을 미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hansson2010-12" target="_blank">[12]</a></sup></dd><dt><a title="초대칭"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B%8C%80%EC%B9%AD" target="_blank">초대칭</a></dt><dd>TeV 스케일에서 시공간의 초대칭이 나타날 것인가? 만약 그렇다면, 초대칭 파괴의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초대칭이 고에너지 양자 보정을 막아 전자기약력 스케일을 안정화하는가? 가장 가벼운 <a title="초대칭짝"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B%8C%80%EC%B9%AD%EC%A7%9D" target="_blank">초대칭 입자</a>(LSP)가 <a class="mw-redirect" title="암흑 물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94%ED%9D%91_%EB%AC%BC%EC%A7%88" target="_blank">암흑 물질</a>을 이루는가?</dd><dt><a title="세대 (물리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4%B8%EB%8C%80_%28%EB%AC%BC%EB%A6%AC%ED%95%99%29" target="_blank">물질의 세대</a></dt><dd><a title="쿼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F%BC%ED%81%AC" target="_blank">쿼크</a>와 <a class="mw-redirect" title="렙톤"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0%99%ED%86%A4" target="_blank">렙톤</a>은 왜 3개의 세대로 구성되어 있는가? 특정 세대에서 <a title="유카와 상호작용"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B9%B4%EC%99%80_%EC%83%81%ED%98%B8%EC%9E%91%EC%9A%A9" target="_blank">유카와 상호작용</a>의 첫째 원칙을 통해 특정 쿼크와 렙톤의 질량을 설명할 수 있는가?</dd><dt><a title="중성미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84%B1%EB%AF%B8%EC%9E%90" target="_blank">중성미자의 질량</a></dt><dd>중성미자의 질량은 <a title="페르미-디랙 통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E%98%EB%A5%B4%EB%AF%B8-%EB%94%94%EB%9E%99_%ED%86%B5%EA%B3%84" target="_blank">디렉 통계</a>인가, <a title="마요라나 페르미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9A%94%EB%9D%BC%EB%82%98_%ED%8E%98%EB%A5%B4%EB%AF%B8%EC%98%A8" target="_blank">마요라나</a> 통계인가? 질량 계층은 정상인가 반전인가? CP 위상이 0을 위반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ino-tifr-13" target="_blank">[13]</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christianto2007-14" target="_blank">[14]</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5" target="_blank">[15]</a></sup></dd><dt><a title="가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B%91%A0" target="_blank">점금적 가둠</a></dt><dd>왜 자유 쿼크나 자유 글루온은 관측된 적이 없고 <a title="중간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A%B0%84%EC%9E%90" target="_blank">중간자</a>나 <a class="mw-redirect" title="바리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A6%AC%EC%98%A8" target="_blank">바리온</a>과 같이 핵자 내부에만 존재하는 것인가? <a title="양자 색역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83%89%EC%97%AD%ED%95%99" target="_blank">양자 색역학</a>(QCD)에서는 이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가?</dd><dt><a class="mw-redirect" title="강한 상호작용의 CP 문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D%95%9C_%EC%83%81%ED%98%B8%EC%9E%91%EC%9A%A9%EC%9D%98_CP_%EB%AC%B8%EC%A0%9C" target="_blank">강한 상호작용의 CP 문제</a> 및 <a title="액시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A1%EC%8B%9C%EC%98%A8" target="_blank">액시온</a></dt><dd>왜 <a title="강한 상호작용"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D%95%9C_%EC%83%81%ED%98%B8%EC%9E%91%EC%9A%A9" target="_blank">강한 상호작용</a>에서 <a title="반전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A0%84%EC%84%B1" target="_blank">반전성</a>과 <a title="전하 켤레 대칭"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D%95%98_%EC%BC%A4%EB%A0%88_%EB%8C%80%EC%B9%AD" target="_blank">전하 켤레 대칭</a>이 불변인가? <a title="페체이-퀸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E%98%EC%B2%B4%EC%9D%B4-%ED%80%B8_%EC%9D%B4%EB%A1%A0" target="_blank">페체이-퀸 이론</a>이 이 문제의 해결책인가?</dd><dt><a title="변칙적 자기 쌍극자 모멘트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3%80%EC%B9%99%EC%A0%81_%EC%9E%90%EA%B8%B0_%EC%8C%8D%EA%B7%B9%EC%9E%90_%EB%AA%A8%EB%A9%98%ED%8A%B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변칙적 자기 쌍극자 모멘트</a></dt><dd>왜 실험적으로 측정된 <a class="mw-redirect" title="뮤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E%A4%EC%98%A8" target="_blank">뮤온</a>의 변칙적 자기 쌍극자 모멘트(뮤온 g-2)가 이론적으로 예측된 값과 차이가 크게 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6" target="_blank">[16]</a></sup></dd><dt><a title="양성자 크기 문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84%B1%EC%9E%90_%ED%81%AC%EA%B8%B0_%EB%AC%B8%EC%A0%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성자 크기 문제</a></dt><dd>양성자의 진짜 <a title="전하 반경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84%ED%95%98_%EB%B0%98%EA%B2%BD&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전하 반경</a>은 어느 정도인가?</dd></dl><h3><span class="mw-headline">천문학 및 천체물리학</span></h3>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7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Galaxies_AGN_Inner-Structure-of.jp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228" width="27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0/Galaxies_AGN_Inner-Structure-of.jpg/270px-Galaxies_AGN_Inner-Structure-of.jpg" alt=""></a> <div class="thumbcaption"></div></div></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72px;" class="thumbinner"> <div class="thumbcaption">상대론적 제트. <a title="특수 상대성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A%B9%EC%88%98_%EC%83%81%EB%8C%80%EC%84%B1_%EC%9D%B4%EB%A1%A0" target="_blank">상대론적</a> <a title="플라스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4%8C%EB%9D%BC%EC%8A%A4%EB%A7%88" target="_blank">플라스마</a>가 있는 <a title="활동은하핵"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C%EB%8F%99%EC%9D%80%ED%95%98%ED%95%B5" target="_blank">활동은하핵</a> 주변 환경은 <a title="초대질량 블랙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B%8C%80%EC%A7%88%EB%9F%89_%EB%B8%94%EB%9E%99%ED%99%80" target="_blank">초대질량 블랙홀</a>의 극을 따라 탈출하는 제트로 인해 수평화된다.</div></div></div><dl><dt><a class="mw-redirect" title="상대론적 제트"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B%8C%80%EB%A1%A0%EC%A0%81_%EC%A0%9C%ED%8A%B8" target="_blank">상대론적 제트</a></dt><dd>왜 <a title="활동은하핵"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C%EB%8F%99%EC%9D%80%ED%95%98%ED%95%B5" target="_blank">활동은하핵</a>과 같이 특정 천체를 둘러싸고 있는 <a title="강착원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B0%A9%EC%9B%90%EB%B0%98" target="_blank">강착원반</a>은 왜 축의 극점을 따라서 <a class="mw-redirect" title="상대론적 제트"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B%8C%80%EB%A1%A0%EC%A0%81_%EC%A0%9C%ED%8A%B8" target="_blank">상대론적 제트</a>를 분사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7" target="_blank">[17]</a></sup> 왜 많은 강착원반에 <a title="준주기 진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4%80%EC%A3%BC%EA%B8%B0_%EC%A7%84%EB%8F%9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준주기 진동</a>이 일어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8" target="_blank">[18]</a></sup> 왜 이 진동 주기가 중앙에 위치한 물체 질량의 역수에 비례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19" target="_blank">[19]</a></sup> 왜 때때로 배음 현상이 나타나며, 왜 서로 다른 물체는 다른 주파수 비율이 나타나는 것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0" target="_blank">[20]</a></sup></dd><dt><a title="코로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B%A1%9C%EB%82%98#.EC.BD.94.EB.A1.9C.EB.82.98_.EA.B0.80.EC.97.B4_.EB.AC.B8.EC.A0.9C" target="_blank">코로나 가열 문제</a></dt><dd>왜 태양의 코로나가 태양의 표면보다 더 뜨거운가? 왜 <a title="자기 재결합"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A%B8%B0_%EC%9E%AC%EA%B2%B0%ED%95%A9" target="_blank">자기 재결합</a> 효과가 일어나는 규모가 표준 모형에서 예측한 정도보다 더 빠른가?</dd><dt><a title="확상 성간 밴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9%95%EC%83%81_%EC%84%B1%EA%B0%84_%EB%B0%B4%EB%93%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확상 성간 밴드</a></dt><dd>천문학적 거리에서 관측한 스펙트럼에서 발견되는 다수의 성간 흡수 스펙트럼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가? 이 스펙트럼에 영향을 주는 분자가 존재한다면, 이들은 그 분자 하나로만 흡수 스펙트럼이 발생하는 것인가? 이 분자는 어디서 온 것인가?</dd><dt><a title="감마선폭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0%90%EB%A7%88%EC%84%A0%ED%8F%AD%EB%B0%9C" target="_blank">감마선폭발</a></dt><dd>짧은 시간동안 거대한 크기의 폭발은 어떻게 발생한 것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Open_Questions-21" target="_blank">[21]</a></sup></dd><dt><a title="초대질량 블랙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B%8C%80%EC%A7%88%EB%9F%89_%EB%B8%94%EB%9E%99%ED%99%80" target="_blank">초대질량 블랙홀</a></dt><dd>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과 은하의 속도 분산과의 차이인 <a title="M-시그마 관계" href="https://ko.wikipedia.org/wiki/M-%EC%8B%9C%EA%B7%B8%EB%A7%88_%EA%B4%80%EA%B3%84" target="_blank">M-시그마 관계</a>는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2" target="_blank">[22]</a></sup> 어떻게 우주 초기에 가장 먼 곳의 퀘이사가 태양 질량의 10<sup>9</sup>배 이상 질량의 초대질량 블랙홀로 성장할 수 있었는가?</dd></dl><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5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GalacticRotation2.sv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150" width="25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9/GalacticRotation2.svg/250px-GalacticRotation2.svg.png" alt=""></a> <div class="thumbcaption">전형적인 나선 은하의 회전곡선. 예측된 방향(<b>A</b>)와 실제 관측된 방향(<b>B</b>)은 다르다. 두 값의 차이는 암흑 물질에 기인한 것인가?</div></div></div><dl><dt><a title="카이퍼 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C%9D%B4%ED%8D%BC_%EB%8C%80" target="_blank">카이퍼 절벽</a></dt><dd>왜 태양계 <a title="카이퍼 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C%9D%B4%ED%8D%BC_%EB%8C%80" target="_blank">카이퍼 대</a>의 천체 갯수는 50 AU를 넘어서기 시작하면 예기치 못하게 급격하게 감소하는가?</dd><dt><a title="스윙바이 변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A%A4%EC%9C%99%EB%B0%94%EC%9D%B4_%EB%B3%80%EC%B9%9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스윙바이 변칙</a></dt><dd>왜 <a title="스윙바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C%9C%99%EB%B0%94%EC%9D%B4" target="_blank">스윙바이</a> 기법으로 이동하는 우주선의 관측된 에너지가 때때로 이론적으로 예측된 값보다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dd><dt><a title="은하의 회전곡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80%ED%95%98%EC%9D%98_%ED%9A%8C%EC%A0%84%EA%B3%A1%EC%84%A0" target="_blank">은하 회전 문제</a></dt><dd>은하의 중심 주위를 도는 천체의 이론적인 속도와 실제 측정된 속도가 다른 이유는 <a class="mw-redirect" title="암흑 물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94%ED%9D%91_%EB%AC%BC%EC%A7%88" target="_blank">암흑 물질</a> 때문인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가?</dd><dt><a title="초신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C%8B%A0%EC%84%B1" target="_blank">초신성</a></dt><dd>죽어가는 별이 붕괴하여 폭발하게 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무엇인가?</dd><dt><a title="삼체 문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B2%B4_%EB%AC%B8%EC%A0%9C" target="_blank">삼체 문제</a></dt><dd>중력을 통해 서로 끌어당기는 공간 위에 있는 3가지, 또는 그 이상 물체들의 정확한 위치의 일반값을 고전적으로 알 수 없다면, 상대론을 적용할 경우에는 일반해가 존재하는가?</dd><dt><a title="초고에너지 우주선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4%88%EA%B3%A0%EC%97%90%EB%84%88%EC%A7%80_%EC%9A%B0%EC%A3%BC%EC%84%A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초고에너지 우주선</a></dt><dd><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ewscientist-3" target="_blank">[3]</a></sup> 왜 어떤 우주선은 지구 근처에 충분한 에너지를 줄 수 있는 것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a title="오마이갓 입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7%88%EC%9D%B4%EA%B0%93_%EC%9E%85%EC%9E%90" target="_blank">오마이갓 입자</a>와 같이 극단적으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가? 왜 일부 우주선은 분명히 먼 거리에서 왔음에도 불구하고 <a title="그레이슨-제트세핀-쿠즈민 한계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B7%B8%EB%A0%88%EC%9D%B4%EC%8A%A8-%EC%A0%9C%ED%8A%B8%EC%84%B8%ED%95%80-%EC%BF%A0%EC%A6%88%EB%AF%BC_%ED%95%9C%EA%B3%8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그레이슨-제트세핀-쿠즈민 한계</a>(GZK 한계)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ewscientist-3" target="_blank">[3]</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Open_Questions-21" target="_blank">[21]</a></sup></dd><dt><a title="토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C%84%B1" target="_blank">토성</a>의 자전 속도</dt><dd>왜 <a title="토성의 자기장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6%A0%EC%84%B1%EC%9D%98_%EC%9E%90%EA%B8%B0%EC%9E%A5&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토성의 자기장</a>이 행성의 구름이 자전하는 주기와 거의 비슷하게 매우 느리게 변화하는가? 토성의 내부 깊은 곳의 실제 회전 속도는 어느 정도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3" target="_blank">[23]</a></sup></dd><dt><a title="마그네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A%B7%B8%EB%84%A4%ED%83%80#.EC.9E.90.EA.B8.B0.EC.9E.A5" target="_blank">마그네타 자기장의 기원</a></dt><dd>마그네타 자기장의 기원은 무엇인가?</dd><dt><a title="거대 규모 이방성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B1%B0%EB%8C%80_%EA%B7%9C%EB%AA%A8_%EC%9D%B4%EB%B0%A9%EC%84%B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거대 규모 이방성</a></dt><dd>매우 큰 규모에서 우주의 <a title="비등방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93%B1%EB%B0%A9%EC%84%B1" target="_blank">비등방성</a>이 나타나는 것은 <a title="우주 원리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A%B0%EC%A3%BC_%EC%9B%90%EB%A6%A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우주 원리</a>를 틀린 가정으로 만드는가? NRAO VLA Sky Survey (NVSS) 카톨로그에서 수집한 라디오파의 비등방성의 수와 쌍극자 세기는<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4" target="_blank">[24]</a></sup> CMBR에서 파생한 국부적 움직임과는 일치하지 않으며 <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5" target="_blank">[25]</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6" target="_blank">[26]</a></sup> 고유한 쌍극자 비등방성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같은 NVSS 라디오파 데이터에서는 동일한 방향에서 쌍극자의 편광 밀도와 편광 세기는 수와 세기와 같이 고유한 값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7" target="_blank">[27]</a></sup> 또한, 이 외에도 대규모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관측 결과가 존재한다. 퀘이사의 광학적 편광은 Gpc과 같은 매우 큰 규모 이상에서는 편광이 정렬되어 있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8" target="_blank">[28]</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29" target="_blank">[29]</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0" target="_blank">[30]</a></sup><a title="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_%EB%A7%88%EC%9D%B4%ED%81%AC%EB%A1%9C%ED%8C%8C_%EB%B0%B0%EA%B2%BD" target="_blank">우주 마이크로파 배경</a> 복사선(CMBR)의 데이터에서는 빅뱅 모델과는 일치하지 않는 여러 이등방성이 관측되었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1" target="_blank">[31]</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2" target="_blank">[32]</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3" target="_blank">[33]</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4" target="_blank">[34]</a></sup></dd><dt><a title="광자 과소생산 위기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B4%91%EC%9E%90_%EA%B3%BC%EC%86%8C%EC%83%9D%EC%82%B0_%EC%9C%84%EA%B8%B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광자 과소생산 위기</a></dt><dd>왜 은하와 퀘이사는 적색 편이가 낮은 우주에서 예상된 것보다 5배 더 적은 자외선을 방출하는가?</dd><dt><a title="우주 굉음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A%B0%EC%A3%BC_%EA%B5%89%EC%9D%8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우주 굉음</a></dt><dd>왜 우주 굉음이 예상한 것보다 6배 크게 들리는가? 우주 굉음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dd><dt>은하 디스크의 <a title="나이-금속성 관계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82%98%EC%9D%B4-%EA%B8%88%EC%86%8D%EC%84%B1_%EA%B4%80%EA%B3%8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나이-금속성 관계</a></dt><dd>은하 디스크(얇고 굵은 디스크)에서 보편적인 나이-금속성 관계(AMR)이 존재하는가? 국부적 디스크(주로 얇음)에서는 AMR이 성립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존재하지 않지만,<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5" target="_blank">[35]</a></sup> 두꺼운 은하 디스크에서 나이-금속성 관계를 밝히기 위해 근처의 두꺼운 디스크 별 샘플 229개를 추출했다. 그 결과, 현재 두꺼운 디스크에서는 나이-금속성 관계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6" target="_blank">[36]</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7" target="_blank">[37]</a></sup></dd><dt><a title="대폭발 핵합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8F%AD%EB%B0%9C_%ED%95%B5%ED%95%A9%EC%84%B1" target="_blank">리튬 문제</a></dt><dd>왜 <a title="대폭발 핵합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8F%AD%EB%B0%9C_%ED%95%B5%ED%95%A9%EC%84%B1" target="_blank">대폭발 핵합성</a>에서 예측하는 생성량과 실제로 아주 오래된 별에서 관측되는 리튬-7의 양이 서로 차이가 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38" target="_blank">[38]</a></sup></dd><dt><a title="맥노트 혜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A5%EB%85%B8%ED%8A%B8_%ED%98%9C%EC%84%B1" target="_blank">혜성과 태양풍의 상호작용</a></dt><dd>2007년 <a title="율리시스 (우주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8%EB%A6%AC%EC%8B%9C%EC%8A%A4_%28%EC%9A%B0%EC%A3%BC%EC%84%A0%29" target="_blank">율리시스 우주선</a>이 <a title="맥노트 혜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A5%EB%85%B8%ED%8A%B8_%ED%98%9C%EC%84%B1" target="_blank">C/2006 P1</a> 혜성의 꼬리를 통과했을 때 혜성 꼬리와 태양풍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놀라운 결과를 발표했다.</dd><dt><a title="M82 X-2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82_X-2&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초고광도 펄서</a></dt><dd><a title="초고광도 X선 발광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4%88%EA%B3%A0%EA%B4%91%EB%8F%84_X%EC%84%A0_%EB%B0%9C%EA%B4%91%EC%B2%B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초고광도 X선 발광체</a> <a title="M82 X-2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82_X-2&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M82 X-2</a>는 블랙홀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14년 10월 NASA의 우주 X선 관측 망원경 <a title="NuSTAR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NuSTAR&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NuSTAR</a>의 관측 결과 M82 X-2는 <a title="에딩턴 한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94%A9%ED%84%B4_%ED%95%9C%EA%B3%84" target="_blank">에딩턴 한계</a>보다 수 배 밝은 <a title="펄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E%84%EC%84%9C" target="_blank">펄서</a>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떻게 된 일인가?</dd></dl><h3><span class="mw-headline">핵물리학</span></h3>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3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sland-of-Stability.pn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105" width="23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6/Island-of-Stability.png/230px-Island-of-Stability.png" alt=""></a> <div class="thumbcaption"></div></div></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232px;" class="thumbinner"> <div class="thumbcaption">무거운 입자에서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가 적절한 비를 이루는 <a title="안정성의 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A0%95%EC%84%B1%EC%9D%98_%EC%84%AC" target="_blank">안정성의 섬</a>.</div></div></div><dl><dt><a title="양자 색역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83%89%EC%97%AD%ED%95%99" target="_blank">양자 색역학</a></dt><dd>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물질의 위상은 무엇이며, <a title="우주 (계통)"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_%28%EA%B3%84%ED%86%B5%29" target="_blank">우주</a>에서 이는 무슨 역할을 하는가? <a title="핵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B5%EC%9E%90" target="_blank">핵자</a>의 내부 모습은 어떤가? QCD에서는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물질의 특징을 어떻게 예측하는가? <a title="글루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0%EB%A3%A8%EC%98%A8" target="_blank">글루온</a>의 역할은 무엇이며, 핵자와 원자핵에서 자가 상호작용하는 글루온의 역할은 무엇인가? QCD의 주요한 특징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이며, QCD에서 <a title="중력"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A0%A5" target="_blank">중력</a>과 <a title="시공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3%B5%EA%B0%84" target="_blank">시공간</a>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a title="글루볼"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0%EB%A3%A8%EB%B3%BC" target="_blank">글루볼</a>이 존재하는가? <a class="mw-redirect" title="하드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93%9C%EB%A1%A0" target="_blank">하드론</a> 내에서 <a title="불변 질량"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B%B3%80_%EC%A7%88%EB%9F%89" target="_blank">불변 질량</a>이 0임에도 불구하고 <a title="글루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0%EB%A3%A8%EC%98%A8" target="_blank">글루온</a>이 운동 질량을 얻는가? QCD는 진짜로 <a title="CP 위반" href="https://ko.wikipedia.org/wiki/CP_%EC%9C%84%EB%B0%98" target="_blank">CP 위반</a>을 만족하기 부족한가? 원자 번호가 큰 경우 글루온은 포화 상태인가? 글루온이 <a title="색안경 응축물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3%89%EC%95%88%EA%B2%BD_%EC%9D%91%EC%B6%95%EB%AC%B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색안경 응축물</a>이라는 고밀도 상태를 형성하는가? <a title="발리스키-파딘-쿠아레프-리파토프 방정식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0%9C%EB%A6%AC%EC%8A%A4%ED%82%A4-%ED%8C%8C%EB%94%98-%EC%BF%A0%EC%95%84%EB%A0%88%ED%94%84-%EB%A6%AC%ED%8C%8C%ED%86%A0%ED%94%84_%EB%B0%A9%EC%A0%95%EC%8B%9D&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발리스키-파딘-쿠아레프-리파토프 방정식</a>, <a title="발리스키-코브체고프 방정식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0%9C%EB%A6%AC%EC%8A%A4%ED%82%A4-%EC%BD%94%EB%B8%8C%EC%B2%B4%EA%B3%A0%ED%94%84_%EB%B0%A9%EC%A0%95%EC%8B%9D&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발리스키-코브체고프 방정식</a>, <a title="카타니-치아팔로니-피오라니-마르첸시키 진화 방정식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9%B4%ED%83%80%EB%8B%88-%EC%B9%98%EC%95%84%ED%8C%94%EB%A1%9C%EB%8B%88-%ED%94%BC%EC%98%A4%EB%9D%BC%EB%8B%88-%EB%A7%88%EB%A5%B4%EC%B2%B8%EC%8B%9C%ED%82%A4_%EC%A7%84%ED%99%94_%EB%B0%A9%EC%A0%95%EC%8B%9D&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카타니-치아팔로니-피오라니-마르첸시키 진화 방정식</a>의 특징과 증거는 무엇인가?</dd><dt><a title="원자핵"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9E%90%ED%95%B5" target="_blank">원자핵</a>과 <a title="핵 천체물리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5%B5_%EC%B2%9C%EC%B2%B4%EB%AC%BC%EB%A6%AC%ED%95%9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핵 천체물리학</a></dt><dd><a title="안정 동위원소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8%EC%A0%95_%EB%8F%99%EC%9C%84%EC%9B%90%EC%86%8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안정 동위원소</a>와 희귀 동위원소 내의 <a title="양성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84%B1%EC%9E%90" target="_blank">양성자</a>와 <a title="중성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84%B1%EC%9E%90" target="_blank">중성자</a>를 묶는 <a title="핵력"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B5%EB%A0%A5" target="_blank">핵력</a>의 본질은 무엇인가? 복잡한 원자핵에서 나오는 간단한 패턴의 기원은 무엇인가? 안정성의 섬 지역에서 핵의 특이한 성질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별의 진화 과정에서 이것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a title="중성자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84%B1%EC%9E%90%EB%B3%84" target="_blank">중성자별</a>과 조밀한 <a title="핵물질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5%B5%EB%AC%BC%EC%A7%8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핵물질</a>의 본질은 무엇인가? <a title="우주 (계통)"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3%BC_%28%EA%B3%84%ED%86%B5%29" target="_blank">우주</a>에 존재하는 원소의 기원은 무엇인가? <a title="항성"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AD%EC%84%B1" target="_blank">항성</a>이 존재하고 별이 폭발하는 과정의 핵반응은 무엇인가?</dd><dt><a title="플라스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4%8C%EB%9D%BC%EC%8A%A4%EB%A7%88" target="_blank">플라스마 물리학</a> 및 <a title="핵융합 발전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5%B5%EC%9C%B5%ED%95%A9_%EB%B0%9C%EC%A0%8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핵융합 발전</a></dt><dd>핵융합 에너지는 수소와 같은 풍부한 자원을 통해 현재의 핵분열 발전으로 배출하는 방사능 폐기물을 방출하지 않고 거대한 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a title="토카막"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C%B9%B4%EB%A7%89" target="_blank">제대로 가둔 채로</a> 기체를 이온화(플라스마) 시킬수 있는가? 이를 만들기 위해서 재료과학적으로 여러 발전이 일어나야 하는가?</dd></dl><h3><span class="mw-headline">원자, 분자, 광학 물리학</span></h3><dl><dt><a class="mw-redirect" title="수소 원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86%8C_%EC%9B%90%EC%9E%90" target="_blank">수소 원자</a></dt><dd>임의의 전자기장 위의 수소 원자의 <a title="슈뢰딩거 방정식"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A%88%EB%A2%B0%EB%94%A9%EA%B1%B0_%EB%B0%A9%EC%A0%95%EC%8B%9D" target="_blank">슈뢰딩거 방정식</a>의 해는 무엇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amo-nrc-39" target="_blank">[39]</a></sup></dd><dt><a title="뮤입자 수소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E%A4%EC%9E%85%EC%9E%90_%EC%88%98%EC%86%8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뮤입자 수소</a></dt><dd>뮤입자 수소의 반지름은 일반 수소의 반지름과 일치한가?</dd><dt><a title="레이저 냉각"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C%9D%B4%EC%A0%80_%EB%83%89%EA%B0%81" target="_blank">레이저 냉각</a></dt><dd><a title="분자"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6%84%EC%9E%90" target="_blank">분자</a>가 레이저 냉각법을 통해 원자처럼 냉각이 될 수 있는가?</dd><dt><a title="아브라함-민코브스키 논쟁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4%EB%B8%8C%EB%9D%BC%ED%95%A8-%EB%AF%BC%EC%BD%94%EB%B8%8C%EC%8A%A4%ED%82%A4_%EB%85%BC%EC%9F%8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아브라함-민코브스키 논쟁</a></dt><dd>광학 매체에서 광자의 모멘텀은 어떠한가?</dd></dl><h3><span class="mw-headline">응집물질물리학</span></h3>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15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I2223-piece3_001.jp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133" width="15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5/BI2223-piece3_001.jpg/150px-BI2223-piece3_001.jpg" alt=""></a> <div class="thumbcaption"></div></div></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152px;" class="thumbinner"> <div class="thumbcaption"><a title="큐프레이트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1%90%ED%94%84%EB%A0%88%EC%9D%B4%ED%8A%B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큐프레이트</a> <a class="mw-redirect" title="초전도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C%A0%84%EB%8F%84%EC%B2%B4" target="_blank">초전도체</a> 중 하나인 <a title="BSCCO" href="https://ko.wikipedia.org/wiki/BSCCO" target="_blank">BSCCO</a> 초전도체의 모습. 이 물질이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div></div></div><dl><dt><a title="고온 초전도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C%98%A8_%EC%B4%88%EC%A0%84%EB%8F%84%EC%B2%B4" target="_blank">고온 초전도체</a></dt><dd>특정한 물질이 25<a title="켈빈"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C%88%EB%B9%88" target="_blank">켈빈</a>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a title="초전도 현상"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C%A0%84%EB%8F%84_%ED%98%84%EC%83%81" target="_blank">초전도 현상</a>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이를 이용해 실온에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물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Open_Questions-21" target="_blank">[21]</a></sup></dd><dt><a title="비결정질 고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A%B2%B0%EC%A0%95%EC%A7%88_%EA%B3%A0%EC%B2%B4" target="_blank">비결정질 고체</a></dt><dd>액체와 고체 사이의 <a title="유리 전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A6%AC_%EC%A0%84%EC%9D%B4" target="_blank">유리 전이</a>의 특징은 무엇이며, 유리의 <a title="상 (물리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81_%28%EB%AC%BC%EB%A6%AC%ED%95%99%29" target="_blank">상</a>은 무엇인가? 유리의 일반적인 특징과 유리 전이를 일으키는 물리적 작용은 무엇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0" target="_blank">[40]</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1" target="_blank">[41]</a></sup></dd><dt><a title="극저온 전자 방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B7%B9%EC%A0%80%EC%98%A8_%EC%A0%84%EC%9E%90_%EB%B0%A9%EC%B6%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극저온 전자 방출</a></dt><dd>왜 빛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a title="광전 증폭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0%84_%EC%A6%9D%ED%8F%AD%EA%B4%80" target="_blank">광전 증폭관</a>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전자가 방출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2" target="_blank">[42]</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3" target="_blank">[43]</a></sup></dd><dt><a title="음 발광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D%8C_%EB%B0%9C%EA%B4%9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음 발광</a></dt><dd>소리가 발생할 때 액체 내의 거품 내파에서 빛이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4" target="_blank">[44]</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5" target="_blank">[45]</a></sup></dd><dt><a title="난류 (역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2%9C%EB%A5%98_%28%EC%97%AD%ED%95%99%29" target="_blank">난류</a></dt><dd>난류, 특히 내부 구조를 통계역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을 세울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Open_Questions-21" target="_blank">[21]</a></sup> 또한, 어떠한 조건에서 <a title="네비어-스톡스 방정식의 해와 평활도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84%A4%EB%B9%84%EC%96%B4-%EC%8A%A4%ED%86%A1%EC%8A%A4_%EB%B0%A9%EC%A0%95%EC%8B%9D%EC%9D%98_%ED%95%B4%EC%99%80_%ED%8F%89%ED%99%9C%EB%8F%8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네비어-스톡스 방정식의 스무스한 해</a>가 존재하는가? 이 문제는 <a title="밀레니엄 문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80%EB%A0%88%EB%8B%88%EC%97%84_%EB%AC%B8%EC%A0%9C" target="_blank">밀레니엄 문제</a> 중의 하나로도 선정되어 있기도 하다.</dd><dt><a title="알프베닉 난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C%ED%94%84%EB%B2%A0%EB%8B%89_%EB%82%9C%EB%A5%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알프베닉 난류</a></dt><dd>태양풍과 태양 플레어 내의 난류, 코로나 질량 분출 및 자기장 폭풍이 불 때의 난류를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46" target="_blank">[46]</a></sup></dd><dt><a title="위상적 순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C%84%EC%83%81%EC%A0%81_%EC%88%9C%EC%84%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위상적 순서</a></dt><dd>0도가 아닌 온도에서 위상적 순서는 안정한가? 똑같이, 3차원 <a title="안정화 코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8%EC%A0%95%ED%99%94_%EC%BD%94%EB%93%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자가 안정화</a> <a title="큐비트"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81%90%EB%B9%84%ED%8A%B8" target="_blank">양자 메모리</a>를 제작할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yoshida-47" target="_blank">[47]</a></sup></dd><dt><a title="부분 양자 홀 효과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6%80%EB%B6%84_%EC%96%91%EC%9E%90_%ED%99%80_%ED%9A%A8%EA%B3%B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부분 양자 홀 효과</a></dt><dd><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math/8/c/1/8c13183799a56d615313f93333daa2ae.png" alt="\nu=5/2" class="mwe-math-fallback-image-inline tex">에서 부분 <a title="양자 홀 효과"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D%99%80_%ED%9A%A8%EA%B3%BC" target="_blank">양자 홀 효과</a>를 설명하는 수학적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a title="애니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A0%EB%8B%88%EC%98%A8" target="_blank">#분수 양자 홀 효과|비아벨 부분 통계</a>를 통해 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podolsky-NEQNET-fqhe-48" target="_blank">[48]</a></sup></dd><dt><a title="보스-아인슈타인 응축"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C%8A%A4-%EC%95%84%EC%9D%B8%EC%8A%88%ED%83%80%EC%9D%B8_%EC%9D%91%EC%B6%95" target="_blank">보스-아인슈타인 응축</a></dt><dd>일반적인 상호작용 시스템에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 존재함을 엄밀하게 증명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schlein-BEC-49" target="_blank">[49]</a></sup></dd></dl><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302px;" class="thumbinner"><a class="image" h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QHE_Hall.png?uselang=ko" target="_blank"><img height="209" width="300" class="thumbimage"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4/FQHE_Hall.png/300px-FQHE_Hall.png" alt=""></a> <div class="thumbcaption"></div></div></div> <div class="thumb tright"><div style="width:302px;" class="thumbinner"> <div class="thumbcaption"><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math/4/1/6/41679736f023a7c55ac96a87c03e7f58.png" alt="\nu=8/5" class="mwe-math-fallback-image-inline tex"> 부분 양자 홀 효과 상태에서의 자기 저항 그래프.</div></div></div><dl><dt><a title="액정"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A1%EC%A0%95" target="_blank">액정</a></dt><dd>액정 상태에서 네마틱 액정이 스멕틱 액정으로 상전이 하는 것이 <a title="배경 독립성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0%B0%EA%B2%BD_%EB%8F%85%EB%A6%BD%EC%84%B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범적인</a> 상전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mukherjee-liqcryst-50" target="_blank">[50]</a></sup><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yethiraj-liqcryst-51" target="_blank">[51]</a></sup></dd><dt><a title="양자점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9E%90%EC%A0%90&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점</a></dt><dd>양자점의 가장 낮은 <a title="흡광"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D%A1%EA%B4%91" target="_blank">광자 흡수 전이</a> 정도가 에너지 크기와 비포물선 형태로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orris-electronic-52" target="_blank">[52]</a></sup></dd><dt><a title="띠구조"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9D%A0%EA%B5%AC%EC%A1%B0" target="_blank">띠구조</a></dt><dd>왜 밴드갭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는가?</dd></dl><h3><span class="mw-headline">생물리학</span></h3><dl><dt><a title="유전자 발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A0%84%EC%9E%90_%EB%B0%9C%ED%98%84" target="_blank">유전자 발현</a>에서 <a title="확률 과정"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5%EB%A5%A0_%EA%B3%BC%EC%A0%95" target="_blank">확률 과정</a>과 <a title="신호 대 잡음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D%98%B8_%EB%8C%80_%EC%9E%A1%EC%9D%8C%EB%B9%84" target="_blank">잡음비</a> 강인성</dt><dd>우리 몸에서 유전자가 발현할 때, 다른 외부의 압력과 내부의 확률성을 견디는가? <a title="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C%A0%EC%A0%84%EC%9E%90_%EC%A1%B0%EC%A0%88_%EB%84%A4%ED%8A%B8%EC%9B%8C%ED%81%A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특정 유전 모델</a>에서는 유전자 발현 과정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는 전체 그림, 특히 <a title="형태 형성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8%95%ED%83%9C_%ED%98%95%EC%84%B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형태 형성</a> 부분에서 유전자 발현을 정밀하게 조절해야 할 부분에서의 부분은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dd><dt><a title="면역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9%B4%EC%97%AD%EA%B3%84" target="_blank">면역계</a>의 정량적 연구</dt><dd>면역 반응의 정량적 특성은 무엇인가? 면역계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확률성은 어떤 방향으로 발현되는가?</dd><dt><a title="호모키랄성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8%B8%EB%AA%A8%ED%82%A4%EB%9E%84%EC%84%B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호모키랄성</a></dt><dd><a title="생화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9D%ED%99%94%ED%95%99" target="_blank">생화학</a>적으로 특정한 <a title="광학 이성질체"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D%95%99_%EC%9D%B4%EC%84%B1%EC%A7%88%EC%B2%B4" target="_blank">광학 이성질체</a>가 우세한 이유는 무엇인가?</dd></dl><h3><span class="mw-headline">기타 문제</span></h3><dl><dt><a title="엔트로피 (시간의 화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7%94%ED%8A%B8%EB%A1%9C%ED%94%BC_%28%EC%8B%9C%EA%B0%84%EC%9D%98_%ED%99%94%EC%82%B4%2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엔트로피 (시간의 화살)</a></dt><dd>왜 우주는 과거에 <a title="엔트로피"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7%94%ED%8A%B8%EB%A1%9C%ED%94%BC" target="_blank">엔트로피</a>가 낮아 과거와 미래 사이 엔트로피 차이가 생기는 <a title="열역학 제2법칙"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7%B4%EC%97%AD%ED%95%99_%EC%A0%9C2%EB%B2%95%EC%B9%99" target="_blank">열역학 제2법칙</a>이 존재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Open_Questions-21" target="_blank">[21]</a></sup> 왜 특정 약한 상호작용의 붕괴 시 <a title="CP 위반" href="https://ko.wikipedia.org/wiki/CP_%EC%9C%84%EB%B0%98" target="_blank">CP 위반</a>이 관측되지만 다른 경우에는 관측되지 않는가? CP 위반은 어떻게든 열역학 제2법칙 내에 존재하는가, 혹은 또 다른 시간의 화살에 속해 있는가? <a class="mw-redirect" title="인과율"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A%B3%BC%EC%9C%A8" target="_blank">인과율</a>의 법칙에 예외가 존재하는가? 하나의 가능한 과거가 존재하는가? <a title="현재"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84%EC%9E%AC" target="_blank">현재</a>는 과거와 미래와는 구분되는 한 순간인가, 혹은 의식의 신흥적인 산물에 불과한가? 왜 시간은 <a title="시간의 화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B%9C%EA%B0%84%EC%9D%98_%ED%99%94%EC%82%B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한 쪽 방향으로만</a> 흐르는가?</dd><dt><a title="양자역학의 해석"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EC%97%AD%ED%95%99%EC%9D%98_%ED%95%B4%EC%84%9D" target="_blank">양자역학의 해석</a></dt><dd>현실에서 <a title="양자 중첩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9E%90_%EC%A4%91%EC%B2%A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 중첩</a> 상태, <a title="파동 함수의 붕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C%8C%EB%8F%99_%ED%95%A8%EC%88%98%EC%9D%98_%EB%B6%95%EA%B4%B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파동 함수의 붕괴</a>, <a title="양자 결어긋남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9E%90_%EA%B2%B0%EC%96%B4%EA%B8%8B%EB%82%A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 결어긋남</a>을 어떻게 설명하며, 이 현상들이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현실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또한, <a title="측정 문제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8%A1%EC%A0%95_%EB%AC%B8%EC%A0%9C&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측정 문제</a>에서 어떤 "측정"이 파동함수를 명확한 하나로 붕괴시키는가? 고전물리학과는 달리 일부 양자역학에서는 (<a title="양자 얽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96%BD%ED%9E%98" target="_blank">양자 얽힘</a>으로 인한 <a title="양자 순간이동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9E%90_%EC%88%9C%EA%B0%84%EC%9D%B4%EB%8F%99&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 순간이동</a>처럼) "국소적"이면서 "인과관계"적이면서 "실제"인 것을 동시에 만족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과정에서의 양자역학적 과정을 일종의 '희생'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양자역학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a title="분류 오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6%84%EB%A5%98_%EC%98%A4%EB%A5%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분류 오류</a>라고 보기 때문에 다른 해석을 해야 한다.</dd><dt><a title="모든 것의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A%A8%EB%93%A0_%EA%B2%83%EC%9D%98_%EC%9D%B4%EB%A1%A0" target="_blank">모든 것의 이론</a> ("<a title="대통일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86%B5%EC%9D%BC_%EC%9D%B4%EB%A1%A0" target="_blank">대통일 이론</a>")</dt><dd>모든 <a title="무차원 물리 상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C%B4%EC%B0%A8%EC%9B%90_%EB%AC%BC%EB%A6%AC_%EC%83%81%EC%88%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무차원 물리 상수</a>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존재하는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Open_Questions-21" target="_blank">[21]</a></sup> 끈 이론이 그럴 수 있는가? 왜 <a title="표준 모형"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1%9C%EC%A4%80_%EB%AA%A8%ED%98%95" target="_blank">표준 모형</a>의 <a title="게이지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2%8C%EC%9D%B4%EC%A7%80_%EC%9D%B4%EB%A1%A0" target="_blank">게이지 이론</a>이 그렇게 생겼으며, 왜 <a title="시공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3%B5%EA%B0%84" target="_blank">시공간</a>에 서 공간이 3차원이고 시간이 1차원이며, 왜 물리학의 모든 법칙은 그렇게 되어있는가? 시간에 따라서 "무차원 물리 상수"는 변하는가? 입자물리학의 표준 모형에 존재하는 입자가 실제로는 현재의 실험 수준에서는 관측할 수 없을 정도로 묶여 있는 또 다른 입자들로 구성된 것은 아닌가? 아직까지 관측되지 않은 기본 입자들이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 입자는 어떤 것이며 특성은 어떠한가? 물리학의 다른 미해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통합된 힘을 관측할 수 있는가?</dd><dt><a title="양-밀스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B%B0%80%EC%8A%A4_%EC%9D%B4%EB%A1%A0" target="_blank">양-밀스 이론</a></dt><dd>임의의 주어진 <a title="콤팩트 공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BD%A4%ED%8C%A9%ED%8A%B8_%EA%B3%B5%EA%B0%84" target="_blank">콤팩트한</a> <a title="게이지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A%B2%8C%EC%9D%B4%EC%A7%80_%EC%9D%B4%EB%A1%A0" target="_blank">게이지 대칭</a>에서 <a title="양-밀스 이론"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B%B0%80%EC%8A%A4_%EC%9D%B4%EB%A1%A0" target="_blank">양-밀스 이론</a>에 따른 비자명하고 유한한 <a title="질량 간극"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A7%88%EB%9F%89_%EA%B0%84%EA%B7%B9" target="_blank">질량 간극</a>이 존재하는가? 이 문제는 수학의 <a title="밀레니엄 문제"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80%EB%A0%88%EB%8B%88%EC%97%84_%EB%AC%B8%EC%A0%9C" target="_blank">밀레니엄 문제</a> 중 하나에도 올라 있다.</dd><dt><a title="물리학적 정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C%BC%EB%A6%AC%ED%95%99%EC%A0%81_%EC%A0%95%EB%B3%B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물리학적 정보</a></dt><dd><a title="파동 함수 붕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C%8C%EB%8F%99_%ED%95%A8%EC%88%98_%EB%B6%95%EA%B4%B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파동 함수 붕괴</a>나 <a title="블랙홀"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B8%94%EB%9E%99%ED%99%80" target="_blank">블랙홀</a>과 같은 현상이 자신의 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가역적으로 파괴하는가? 어떻게 <a title="양자적 정보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91%EC%9E%90%EC%A0%81_%EC%A0%95%EB%B3%B4&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양자적 정보</a>가 양자계 내에 저장되는가?</dd><dt><a title="양자 컴퓨터"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C%BB%B4%ED%93%A8%ED%84%B0" target="_blank">양자 컴퓨터</a></dt><dd><a title="데이비드 도이치"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9D%B4%EB%B9%84%EB%93%9C_%EB%8F%84%EC%9D%B4%EC%B9%98" target="_blank">데이비드 도이치</a>가 제안한 <a title="양자 튜링 기계"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E%90_%ED%8A%9C%EB%A7%81_%EA%B8%B0%EA%B3%84" target="_blank">양자 튜링 기계</a>의 개념이 임의의 물리학적 계를 <a title="알고리즘의 효율성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C%EA%B3%A0%EB%A6%AC%EC%A6%98%EC%9D%98_%ED%9A%A8%EC%9C%A8%EC%84%B1&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효율적으로</a> <a title="역학 시뮬레이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7%AD%ED%95%99_%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시뮬레이션</a>하기 충분한가?<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nielson.2Fchuang-53" target="_blank">[53]</a></sup></dd><dt><a title="무차원 물리 상수 (없는 문서)" class="new" href="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C%B4%EC%B0%A8%EC%9B%90_%EB%AC%BC%EB%A6%AC_%EC%83%81%EC%88%98&action=edit&redlink=1" target="_blank">무차원 물리 상수</a></dt><dd>현재는 무차원 물리 상수의 값을 계산할 수 없다. 이 상수는 오직 물리적 측정에 의해서만 알 수 있다.<sup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cite_note-Effelsberg-54" target="_blank">[54]</a></sup> 다른 모든 차원의 물리 상수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최소 차원의 물리 상수는 무엇인가? 차원 물리 상수는 여전히 꼭 필요한가?</dd></dl><br>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A6%AC%ED%95%99%EC%9D%98_%EB%AF%B8%ED%95%B4%EA%B2%B0_%EB%AC%B8%EC%A0%9C_%EB%AA%A9%EB%A1%9D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6/10 10:15:58  1.252.***.179  kanona  635012
    [2] 2015/06/10 10:27:10  121.133.***.114  S.Guri  5374
    [3] 2015/06/10 10:51:06  147.43.***.199  비감공니합다.  339513
    [4] 2015/06/10 11:40:24  175.223.***.155  Everlasting  458760
    [5] 2015/06/10 11:42:06  121.144.***.97  쬬쭁  304963
    [6] 2015/06/10 11:53:58  211.247.***.73  배찌귀여워요  549289
    [7] 2015/06/10 11:55:15  211.253.***.194  aiidyn  440003
    [8] 2015/06/10 11:59:17  112.151.***.176  호로라민씨  375823
    [9] 2015/06/10 12:43:34  175.239.***.23  레딧토깽이  650761
    [10] 2015/06/10 12:45:44  141.223.***.217  이즈리얼  139961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02년 올해의 사진 수상작들 목록 [15] L.albus 15/12/15 22:13 16460 58
    서양권 웹의 가장 큰 비밀결사 떡밥, Cicada 3301 [8] 창작글 L.albus 15/09/12 18:18 14332 50
    진화의 중요한 증거, 고리종에 대하여 [30] 창작글 L.albus 15/08/22 03:27 10550 75
    지구에 근접했던 여러 소행성들 [17] L.albus 15/08/16 14:35 7531 26
    소행성"이었던" J002E3 [34] 창작글 L.albus 15/08/13 23:50 10932 45
    구 일본제국의 패기 [46] L.albus 15/07/24 10:48 8238 36
    CERN에서 Pentaquark 발견 [52] L.albus 15/07/15 21:14 7329 47
    NASA의 대인배적 저작권 [12] L.albus 15/07/15 17:05 11719 30
    명왕성 고화질 사진이 올라오고 있네요. [45] L.albus 15/07/14 21:58 12729 93
    러시아 반정부 운동가가 납치당하는 모습 [9] 펌글 L.albus 15/07/11 02:10 15883 73
    오늘은 여러 안타까운 날입니다. [5] L.albus 15/06/16 00:16 2207 38
    [수학, 단편] 감염 여부를 여러 차례 검사하는 이유 [12] 창작글 L.albus 15/06/15 22:46 5619 33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들 [31] 펌글 L.albus 15/06/10 12:45 12424 60
    로리 왕국의 역사 [16] 창작글 L.albus 15/06/07 11:59 7398 42
    먼 미래에 일어날 일들 (100만년~1000만년) [7] 창작글 L.albus 15/05/30 10:26 8076 42
    먼 미래에 일어날 일들 (10만년~100만년) [10] 창작글 L.albus 15/05/26 13:32 8098 41
    먼 미래에 일어날 일들 (1만년 ~ 10만년) [10] L.albus 15/05/25 18:30 8189 55
    테슬라코일을 이용한 Slayer Exciter 회로 만들기 [13] albus 15/05/09 09:08 5240 22
    축전기의 위력 [14] albus 15/05/08 09:14 8305 32
    AC와 DC의 차이점을 몸으로 보기 [22] albus 15/05/07 19:16 14027 33
    세계 최대의 폭발 사고, 핼리팩스 대폭발 [16] albus 15/04/06 06:46 15075 80
    어느 국가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 지역, 무주지 [8] albus 15/02/10 04:05 12776 36
    세계 최대 정전 TOP 10 [26] albus 15/01/11 21:00 19507 55
    사상자수 포위전 Best 10 [20] albus 14/07/26 12:16 6648 33
    어이없게 끝난 강대국의 충돌 - 사모아 위기 [6] albus 14/07/04 12:02 4577 23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