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science_66582
    작성자 : 싸댕
    추천 : 10
    조회수 : 967
    IP : 122.46.***.26
    댓글 : 3개
    등록시간 : 2017/12/17 22:41:09
    http://todayhumor.com/?science_66582 모바일
    공상과학의 현실화?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i P S세포로  뇌조직  배양 성공 … 기억 담당  해마 등도  포함</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span style="color:#7d7d7d;">(iPS세포 : </span><span style="line-height:1.5;color:#7d7d7d;">완전히 자란 체세포에 세포분화 관련 유전자를 지닌 조작된 유전자를 주입해 </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color:#7d7d7d;">마치 배아줄기세포와 같이 세포 생성 초기의 만능세포 단계로 되돌아간 세포(iPS)</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span style="font-size:11px;color:#7d7d7d;">[네이버 지식백과]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시사상식사전, 박문각)</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인간의 iPS세포에서 직경 약 4mm의 입체적인 뇌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오스트리아 과학아카데미분자생물공학연구소와 영국 에딘버러대학 공동 연구팀은 <span style="line-height:1.5;">29일 ‘네이처’ 인터넷판에 </span><span style="line-height:1.5;">발표한 연구논문에서 </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인간의 iPS세포(만능세포)와 ES세포(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여 대뇌의 입체적인 조직 </span><span style="line-height:1.5;">구조를 생성하는 배양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연구팀은 실험용 인간 iPS세포를 신경세포로 변화시켜 젤리 속에 넣어 배양했으며 4일 후 배양액이 들어간 <span style="line-height:1.5;">용기로 옮겨 더 배양했다.</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러자 신경계의 세포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20~30일 후 특정 뇌 영역의 입체 조직이 형성되고, 2개월 후에는 <span style="line-height:1.5;">최대 4mm 크기로 성장했다 . </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하략</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img src="http://appkim.com/data/file/3003/15134505472225.jpg" alt="15134505472225.jpg" class="img-ta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middle;width:auto;height:auto;" filesize="43434"></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기사출처: <a target="_blank" href="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725">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725</a></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img src="http://appkim.com/data/file/3003/15134505473855.jpg" alt="15134505473855.jpg" class="img-ta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middle;width:auto;height:auto;" filesize="60106"><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이미지 출처:<a target="_blank" href="http://boribab.tistory.com/7657?srchid=IIMpdEh4600">http://boribab.tistory.com/7657?srchid=IIMpdEh4600</a></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비록 성장은 4mm 크기에서 멈췃지만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빛을 감지하는 망막의 생성이 확인 되었다고 합니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두번째 이미지 출처에선 망막 외에도 뇌척수액을 생성하는 "맥랑막망"(아마 맥락총 같은데. 왜 이렇게 썻지?)<span style="line-height:1.5;">도 있었다고 하네요.</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크기도 작고 각 부위의 배치도 부적절해 불완전한 대용품으로 그쳤지만 이정도면 9개월된 인간의 수정체의 뇌와 <span style="line-height:1.5;">비슷하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연구 이전에 미국에서도 예의 한 성과가 기사에 오르기도 했습니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THE KOREA TIMES 06-08-2011 14:50<span class="Apple-tab-span" style="white-space:pre;"> </span>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Lab brain memorizes for 12 seconds</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img src="http://appkim.com/data/file/3003/15134505477908.jpg" alt="15134505477908.jpg" class="img-ta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middle;width:auto;height:auto;" filesize="71552"><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A research team of University of Pittsburgh has announced that they have successfully developed a microbrain, which started off with a brain cell of embryonic rats and proteins.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The new invention is getting attentions from the world, making people to wonder what this human-made brain can do in the science field, DiscoveryNews reported on June 2 on its website.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The microbrain consists of about 40 to 60 rat neurons, capable of memorizing for 12 seconds. This brain was made by first letting proteins to dry, and then put a rat’s brain cell in the protein, giving time to let them grow and connect.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After they have are connected each other completely, it formed a natural ring-shaped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or a very short term.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The researchers plan to use this microbrain to study how our brains transmit electrical signals and how our neural networks so efficiently process and store data. Many scientist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this microbrain’s effects in a science field, said a research of the team.</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과학자들이 만든 '인공 뇌', 12초 기억해</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미국 피츠버그 대학 연구팀이 실제 뇌와 동일한 메모리 활동을 수행하는 인공 뇌를 개발해 화제를 모았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쥐의 배아에서 추출한 뇌세포를 단백질 체에 이식하여 아주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브레인을 배양하는 데 성공한 것.</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세포 분열을 통해 40-60개 정도의 뉴런 구조를 갖추게 된 이 도넛 형태의 인공 뇌 조직은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실제 뇌와 마찬가지로 신경 세포 사이에 전기 자극을 주고받아 일명 '작업 기억'이라 부르는 뇌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고.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최초의 자극이 주어진 후 인공 뇌를 통해 지속되는 기억의 저장 시간은 약 12초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사진 상 총천연색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선들이 바로 고리 형태로 연결된 이 인공 뇌의 신경 조직.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피츠버그 연구팀은 뇌 속에서의 전기 자극 전송 방식과 데이터 처리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이 인공 뇌를 개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출처] 과학자들이 만든 '인공 뇌', 12초 기억해|작성자 혼돈녀</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펌 출처:<a target="_blank" href="http://blog.naver.com/kaosgirl79/80132454121">http://blog.naver.com/kaosgirl79/80132454121</a></span></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리고 아고라에 뜬 한 러시아 갑부의 프로젝트 기사.</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2045년, 인간의 영생불멸 실현되나?</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러시아의 한 거물급 인사가 향후 33년 내에 인공두뇌에 의한 ‘인간의 영생불멸’을 실현시키고 싶어 하고 있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는, 인공두뇌를 장착하여 완벽한 기능 수행하는 홀로그램 인간 아바타를 개발하는데 전념할, 팀 하나를 조직했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이제 그는 그러한 아바타 개발과정에 필요한 각 진척단계에 대해 자금을 대는데 도움이 되어 달라고 억만장자들에게 요청하고 있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비영리기관이라고 알려진 ‘2045 이니셔티브’를 설립한 사람은, ‘드미트리 이츠코프’라는 이름을 가진 러시아인이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가 제시한 야심찬 일정표에는 여러 종류의 아바타 개발 일정이 나와 있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먼저, 두뇌 접속을 통해 원격 조종되는 로봇 아바타가 개발된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 다음에는 사람의 생이 끝날 때 사람의 두뇌를 이식 받을 수 있는 로봇 아바타가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개발된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 다음에 개발될 로봇 아바타에는, 인공두뇌를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마치 영화 ‘써로게이트’처럼, 인간의 지능을 갖춘 홀로그램 아바타가 개발된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호주 IT 분야 잡지 ‘기즈맥’사의 ‘보르기노’가 다음과 같이 경고했는데 현명한 일이다. “있을 법하지 않은 기술적 진보가, 단지 아주 먼 미래에 일어날 일처럼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그런 진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자동적으로 높아진다고 생각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런데 큰 틀에서 보면, 2045년은 그리 멀지 않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그렇다면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는 게 과연 얼마나 가능한 일일 까?</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최근 ‘이츠코프’는 ‘포브스’잡지의 억만장자 명단에 실린 사람들에게 보낸 공개 요청서한 하나를 발표했는데, 이 서한은 이 억만장자들에게, 이들이 자신들의 생명을 영생불멸의 시간까지 연장시키는데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재력이 있다고 밝혔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이츠코프’는 이 서한에서, 이 프로젝트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든, 이 프로젝트가 실행 가능한 프로젝트라는 걸 입증 할 수 있으며, 이 억만장자들의 개인적 영생불멸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무료로 설계해 주겠다고 밝혔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파퓰러 사이언스’지의 ‘딜로우’가 2012년 3월, ‘이츠코프’는 31세의 언론계 거물이라고 말한 바 있지만, 필자는 그가 살아온 이야기를 찾을 수 없었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이 프로젝트의 최종목표는, 사람들을 고통과 죽음에서 구하는 것이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똑똑한 전문가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인간의 영생불멸이야 말로, 추구할만한 가치가 있는 목표이기 까지도 하다는 게 분명하다는 건 결코 아니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대중문화에 상처를 입혔던 뱀파이어 열기에 빠져 본 사람이라면 누구든,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자신에게 선택이 주어졌을 때, 정말 영원히 살기를 원할 것인지를 놓고, 곰곰이 생각했으니까 말이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필자는, 하지마비 환자에게 제어능력을 되찾도록 도움을 주게 될, 두뇌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골격을 추구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인간의 두뇌를 인공몸체에 이식시키기를 원하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본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필자는 육체로부터 분리된 살아있는 뇌가 등장하는 공상과학 소설을 한 번 읽은 적이 있는데, 결말이 좋지 않았다.</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원문기사></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a target="_blank" href="http://news.discovery.com/tech/human-immortality-2045-120727.html">http://news.discovery.com/tech/human-immortality-2045-120727.html</a></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인용</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a target="_blank" href="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usang08&logNo=20163494863">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usang08&logNo=20163494863</a></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부록으로 인간 뇌구조 간단한 그림.</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img src="http://appkim.com/data/file/3003/15134505479457.jpg" alt="15134505479457.jpg" class="img-ta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middle;width:auto;height:auto;" filesize="65659"><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a target="_blank" href="http://appkim.com/data/file/3003/15134505481526.PNG" target="_blank" style="background:0px 0px;color:#000000;"><img src="http://appkim.com/data/file/3003/thumb-15134505481526_600x339.png" alt="15134505481526.PNG" class="img-tag" title=""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middle;width:auto;height:auto;" filesize="70014"></a><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밑에 올라온 인공자궁 연구도 그렇고....인공뇌 까지.</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공상과학이 하나하나 현실화 되어가는 모양입니다. </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아이작 아시모프가 생각해낸 양자컴퓨터는 현재 돈과 시간만 잡아먹고 있지만 존재는 하고 있고...</div> <div style="color:#333333;font-family:dotum, sans-serif;"><br></div>
    출처 http://appkim.com/bbs/board.php?bo_table=3003&wr_id=4929&sca=%EC%A7%80%EA%B5%AC&page=10

    김군앱&커뮤니티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12/17 22:44:29  110.47.***.251  Young.K  25347
    [2] 2017/12/17 22:46:51  115.145.***.123  연구원1호  583021
    [3] 2017/12/18 08:42:35  58.141.***.138  추태산발호미  429659
    [4] 2017/12/18 12:25:01  108.162.***.191  심심한3인  662832
    [5] 2017/12/18 13:40:23  211.212.***.208  TheSea  765732
    [6] 2017/12/19 05:02:01  211.178.***.155  연애따위  499092
    [7] 2017/12/19 10:07:37  113.30.***.165  라이샌더  563703
    [8] 2017/12/19 14:45:30  121.144.***.63  Toze  78698
    [9] 2017/12/19 15:15:01  211.230.***.154  우로보로스  74444
    [10] 2017/12/19 15:46:08  125.133.***.89  통성명은.무슨  72758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591
    날자꾸나님 이중성은 삼가주세요 [1] 본인삭제금지외부펌금지 아라이너구리 17/12/18 22:53 405 11
    66589
    불로영생이 이렇게 실현된다면 어떨까요? [7] 달빛오징어 17/12/18 17:55 653 5
    66588
    물체에 힘을 줘서 가속도를 만들었다는 말이 정확히 뭔말이죠 [4] 루미쿵 17/12/18 17:46 576 1
    66587
    (닉언죄) 구리님 질문 있습니다!! [4] 모래날개 17/12/18 16:39 279 0
    66586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구분이 가능한가요 [12] 본인삭제금지 치킨주의자 17/12/18 15:44 581 1
    66584
    현실에서 기술력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요 [2] 그네블로 17/12/18 02:00 629 0
    66583
    한국 망중립성 수정 논란 [1] 응?? 17/12/17 23:00 540 3
    공상과학의 현실화? [3] 싸댕 17/12/17 22:41 968 10
    66581
    베스트에 올라온 OLED램프를 보고... [3] q꾼p 17/12/17 21:03 656 0
    66580
    파스칼의 법칙.jpg [4] 펌글 한쿸인 17/12/17 18:22 1232 10
    66579
    노량진 수산시장 근황 [2] 사닥호 17/12/17 18:01 1043 3
    66578
    목성과 화성의 중요성 gif [2] 운동남입니다 17/12/17 16:39 1191 4
    66577
    전 세계에서 오직 한 사람만 이해"했던" 이론.jpg [37] sergelang 17/12/17 11:32 1777 19
    66576
    과게 원자력 박사님들, 핵융합 기사 관련해서 팁을 부탁드립니다. [7] 본인삭제금지 스타☆로드 17/12/17 09:42 625 1
    66575
    불로영생하면 많은 사람들이 인구폭발을 우려하지만... [11] 달빛오징어 17/12/17 09:27 1228 2
    66574
    문과생 질문하나만 봐주세요! [7] 본인삭제금지 osip 17/12/17 09:09 360 1
    66573
    아스파탐에 대한 한글로 된 신뢰할만한 정보를 볼수있는곳이 있을까요? [7] 본인삭제금지 깊은밤굿모닝 17/12/17 07:34 576 0
    66571
    이런 거 보면 다들 좋아한다면서요? [1] キャスター 17/12/17 03:17 414 3
    66570
    분명 먹는 것보다 많이 싸는 데 [3] 방구★오빠 17/12/17 02:34 509 1
    66569
    오늘(토요일인데?) 정역학 시험 보는 곳은 어디인가요? [12] q꾼p 17/12/16 16:55 614 12
    66568
    스펀지 귀마개의 위험성. [4] q꾼p 17/12/16 06:49 1084 10
    66567
    색약자들을 위한 배터리 완충여부 알기 꿀팁 [22] 오즈™ 17/12/15 22:51 1120 15
    66565
    물리1 공부할때 궁금했던거 질문해봅니다...! [5] 본인삭제금지 우헿헹엥 17/12/15 22:07 436 0
    66564
    뜻밖의 인정 [4] WAㄹㅇㅇㅇ 17/12/15 21:33 661 5
    66563
    꾸벅... Adjusted OR 질문합니다.. 의생 구해줍쇼... [1] 석까 17/12/15 21:27 326 0
    66562
    직류와 교류 아라이너구리 17/12/15 19:58 661 5
    66561
    시게 분리 요청합니다. [143] S.Guri 17/12/15 19:44 1377 35
    66559
    골드바흐의 추측 증명했습니다 [4] 본인삭제금지 포도포도당 17/12/15 16:35 1025 1/14
    66558
    도쿄대 연구팀 세계 최초 "깨져도 몇십초 만에 다시 붙는 유리 개발" [34] 동동주우 17/12/15 16:27 1049 10
    66557
    질문이있는데요..! [5] 본인삭제금지 루부뤼빙 17/12/15 14:51 458 0
    [◀이전10개]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