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mystery_4336
    작성자 : adfdfd1
    추천 : 3
    조회수 : 9179
    IP : 61.85.***.20
    댓글 : 2개
    등록시간 : 2014/05/15 05:16:09
    http://todayhumor.com/?mystery_4336 모바일
    우주의종말 (브금주의)
    <embed width="422" height="180" src="http://player.bgmstore.net/s75Ri"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allowscriptaccess="always" allowfullscreen="true"></embed><br /><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s75Ri"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s75Ri</a>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Black"><span style="font-family: Arial">영원할 것만 같은 이 광활한 우주… 하지만 최근의 천체 관측 결과에 따르면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 </span></span></span><br /></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Black"><span style="font-family: Arial">더욱이 이 속도는 점점 가속되어 가고 있다고 하는데…. </span></span></span><br /></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Black"><span style="font-family: Arial">과연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의 우주는 궁극적으로 어떤 최후를 맞이하게 될 것인가? </span></span></span></span></div> <div><br /><span style="font-size: 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color: rgb(0, 112, 192)"><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과 프리드만의 해 </span></span></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은 중력에 의한 광자의 휘어짐을 이론적으로 정확이 예측함으로써 최상의 성공을 거두었지만, 우주론에 관해선 이와는 달리 명확한 답을 제시하지 못했다.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은 그 난이도가 너무 어려워 컴퓨터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우주론에 대한 연구의 진척은 크지 않았다. </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하지만 러시아의 물리학자인 알렌산드르 프리드만은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에 몇 가지 가정을 추가하여, 방정식을 단순화 시킴으로써 일련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다. </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프리드만이 사용한 가정은 </span></span></span><span style="color: rgb(48, 88, 210); font-family: 맑은 고딕;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우주는</span></span></span></span><span style="color: rgb(48, 88, 210); font-size: 10pt;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역동적이며, 공간은 등방적이고 균질하다.</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color: rgb(48, 88, 210);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였는데, 여기서 등방적이란 말은 한 지점에서 어떤 방향을 바라보아도 모두 똑같이 보인다는 뜻이고, 균질하다는 의미는 우주의 모든 지점에서 밀도가 균일하다는 뜻이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렇게 하여 프리드만이 구한 해는 다음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세 가지 상수</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에 의해 좌우된다. </span></span></span></span></div> <div><table style="width: 783px; height: 112px;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0"><colgroup><col style="width: 638px" /></colgroup> <tbody valign="top"> <tr style="height: 54px"> <td style="border-width: 1pt medium; border-style: solid none; padding-right: 7px; padding-left: 7px"> <div><span style="color: rgb(49, 132, 155)"><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1.   H – 우주의 팽창속도를 좌우하는 상수. 오늘날 이 상수는 허블상수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color: rgb(49, 132, 155)"><strong><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2.   Ω(오메가)</span></span></span><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 우주공간의 평균밀도 </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color: rgb(49, 132, 155)"><strong><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3.   Λ(람다)</span></span></span><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 빈 공간과 관련된 에너지, 또는 암흑에너지</span></span></strong></span></div></td></tr></tbody></table></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span></div>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img width="750" height="300" alt="" src="http://cfile24.uf.tistory.com/image/195DD1214B1CE5D85D6CF9" /></div> <style>.eskin001 {width:100%; height:32px; table-layout:fixed;}.eskin001 .eskin_l{width:80px;background:url(http://image.bizshop.daum.net/ui/adclix_b/skin/eskin001_01.gif) no-repeat left top;}.eskin001 .eskin_c{width:100%;padding:2px 0 0 10px;background:url(http://image.bizshop.daum.net/ui/adclix_b/skin/eskin001_02.gif) repeat-x left top;}.eskin001 .eskin_r{width:6px;background:url(http://image.bizshop.daum.net/ui/adclix_b/skin/eskin001_03.gif) no-repeat right top;}.eskin001 a{color:#000;font:normal 13px Dotum,'돋움';}</style> <div></div> <div id="Clixad"></div> <div></div> <div><span style="color: rgb(0, 112, 192); 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프리드만의 해의 세 가지 상수의 의미 </span></span></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프리드만의 해가 알려진 후 우주론을 연구하는 다수의 학자들 사이에선 프리드만의 세 가지 상수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H</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Ω</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Λ</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이 세 가지 상수들은 서로 미묘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우주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예를 들어, 빅뱅 이후로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지만 천체들 간의 중력이 팽창을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우주의 밀도 Ω</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는 우주의 팽창을 저지하는 일종의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span> <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한 가지 예를 통해 이를 설명해 보자. 지표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던진 돌맹이는 일상적인 조건하에서 위로 상승하다 지구 중력의 영향을 받아 다시 아래로 떨어진다. 그러나 돌맹이를 아주 빠른 속력으로 던지면 아래로 다시 떨어지지 않고 지구를 벗어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빅뱅에 의해 팽창한 우주는 우주의 밀도 Ω에 의해 팽창을 저지하는 일종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암흑에너지를 나타내는 Λ</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는 Ω와는 달리 팽창을 가속하는 역할을 하는, 반중력 효과를 나타내는 에너지의 밀도를 나타낸 값이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마지막으로, 은하의 이동속도를 거리로 나눈 값은 항상 일정하게 나타났는데 이 상수를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허블상수 H</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라고 부른다. 이 상수는 현재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상수로 취급되고 있으며 실제로, 허블상수의 역수를 계산하면 우주의 대략적인 나이를 알 수 있어 빅뱅이론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span></span></div> <div><span style="color: rgb(0, 112, 192); 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우주 미래의 세 가지 시나리오 </span></span></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우주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우주공간에 암흑에너지 즉, Λ=0 이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Ω는 우주의 밀도를 임계밀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여 논의를 단순화 시켜보자. 여기서 임계밀도는 1m³당 수소원자 열 개 정도의 밀도를 나타낸다. <br /><span id="callbacknestblackcherryingtistorycom259514" style="width: 1px; height: 1px; float: right"></span>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br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span></span></span></span></div> <div class="imageblock right" style="margin-left: 10px; float: right"><img width="365" height="282" style="cursor: pointer" alt="" src="http://cfile27.uf.tistory.com/image/125A5F234B1CE9205D9AED"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첫 번째 가능한 시나리오는 Ω<1 의 경우이다.</span></span></span></strong></span> <div></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span></strong> <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는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이 원래의 팽창을 저지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는 뜻이다. 앞서 보여준 예와 같이 지구의 중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수직으로 던져올린 돌맹이가 느린속력에도 지구를 탈출 할 수 있다. </span></span><br /></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처럼 우주가 지속적으로 팽창을 하게되면 우주공간을 그대로 유지 할 수 있을것 같으나 실제론 매우 암울한 최후를 맞게된다.</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우주가 대책없이 팽창을 거듭하면 열역학법칙에 의해 온도가 하락한다. 같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 부피가 상승하면 온도가 하락하는데 자전거 타이어에 바람을 불어넣어 압력이 높아지면 온도가 올라가는것과 같은 원리이다.</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렇게 우주의 온도가 하락을 지속하다 절대온도 0도에 거의 접근하면 원자의 운동과 결합 중지되고 우주는 총체적으로 얼어붙게 되는데, 이를 </span><span style="color: rgb(48, 88, 210)"><span style="font-family: Arial">빅립(Big Rip)</span></span><span style="font-family: Arial"> 이라 한다. <br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br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두 번째 가능한 시나리오는 Ω>1 의 경우이다.</span></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span></strong> <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는 우주공간의 물질들에 작용하는 중력의 영향이 충분히 커서, 우주는 어느시점에서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한다. 이는 지구중력에 붙잡힌 돌맹이가 다시 아래로 떨어지는 것과 같다.</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 렇게 되면 우주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면서 위의 첫번째 시나리오와는 반대로 온도가 다시 올라가고 별과 행성들은 서로 가까워진다. 이런 식으로 수축이 계속되면 결국 우주는 초고온, 초고압, 초고밀도 상태에 이르러 우주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일대의 파국을 맞이하게 되는데, 이를 </span></span><span style="color: rgb(48, 88, 210)"><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빅 크런치(Big Crunch)</span></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라고 부른다.</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우주가 만일 빅 크런치를 맞이할 경우 이로부터 새로운 빅뱅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우주론 학자들은 이러한 우주를 </span></span><span style="color: rgb(48, 88, 210)"><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진동하는 우주(Oscillating Universe)</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라 부른다. <br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br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마지막 세 번째 시나리오는 Ω=1 인 경우이다.</span></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 경우 앞서 살펴본 두 가지의 시나리오의 중간상태를 절묘하게 유지하며 영원히 팽창하게 된다.</span></span></span><br /><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는 앞선 시나리오에 반해 매우 이상적인 우주의 미래이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  </span></span></div> <div><span style="color: rgb(0, 112, 192); font-family: 맑은 고딕"><strong><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프리드만의 결론과 우주의 최후 </span></span></span></spa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span></span></div> <div class="imageblock left" style="margin-right: 10px; float: left"><img width="300" height="300" alt="" src="http://cfile9.uf.tistory.com/image/1656041F4B1CE6529406C0" /></div><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Ω가 1보다 크면 우주는 작은 점으로 수축하는 빅 크런치를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프리드만의 계산에 의하면 빅 크런치는 일어나지 않는다. </span></span><br /> <div></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또한 WMAP 위성이 보내온 관측 결과에 따르면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Ω+Λ=1</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즉, 우주는 영원히 팽창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이론 과도 일치되는 결론을 보여주고 있다. </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하지만 구체적인 우주 종말의 형태는 아직 정확하게 예견할 수 없다. </span></span><br /></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그의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동결되거나, 한 점으로 응축되거나, 또는 영원히 진동하는 우주등 다소 극단적인 우주의 미래가 포함되어 있다.</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color: rgb(48, 88, 210); 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이 세 가지의 시나리오 중 어떤 것이 맞는지는 이 세 가지의 상수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H</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Ω</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span></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Λ</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Verdana"><span style="font-family: Arial"> 의 값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span></span></span></span></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5/15 07:32:25  118.221.***.155  아유사태  18802
    [2] 2014/05/15 09:39:29  125.130.***.188  건전만화  281843
    [3] 2014/05/15 23:04:48  175.211.***.157  Xacra_Cype  45945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90
    방금 오유에서 글들을 보다가 희안해서 남깁니다. [9] 인티머스 14/05/24 01:53 4846 5
    4387
    소수의미스터리 [27] adfdfd1 14/05/23 20:17 6917 19
    4383
    오유에서 본 소설(정신변원 관련)같은 글 혹시 아시는 분... [6] 아담이기사 14/05/23 10:23 1562 0
    4382
    트럭이 공 찾아준 이야기 [1] todayhomo 14/05/23 09:53 1090 1
    4381
    SF꿈을 꾸었습니다. 블랙쿵이 14/05/23 05:04 1142 1
    4379
    지금살고있는 세계가 인위로만들어졌다는생각을해봤는데요 [7] 산업스파이 14/05/22 21:25 3644 3
    4378
    우리 학과 교수님이 내신 사이코패스 테스트...후기..글쓴이... [6] 옻오리햅반 14/05/22 15:46 5941 11
    4377
    엄마 생일선물로 꽃다발 사드리고싶은데 가격이 얼마정도 하나요?? [10] 본인삭제금지 MediLife 14/05/22 09:14 3001 13/19
    4376
    매몰된 광산에서 17년동안 살아온 사나이 [13] uithing 14/05/21 17:13 8830 19
    4375
    마추픽추로 가는 길 [22] ㅴㅵㅫㅩ 14/05/21 16:46 5857 20
    4372
    실지 살아 있는 메머드가 촬영된 동영상..... [19] 바람... 14/05/21 04:09 8896 20
    4370
    5월 16일 중국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에 떨어진 미확인 물체 [30] ㅴㅵㅫㅩ 14/05/20 21:35 8319 11
    4368
    엔트로피 생성 극대화 이론과 '생명' [3] aiidyn 14/05/20 13:49 2991 6
    4366
    창작소설) 9가지맛 사탕 <딸기맛> [4] 으우왓 14/05/20 02:23 3458 11
    4364
    신비하고 고어한 문신들(극혐주의) [22] 새록샐죽 14/05/19 22:17 9939 19
    4362
    순간이동을경험한사람들 [1] adfdfd1 14/05/19 21:36 4622 3
    4358
    맥시코 상공에 나타난 거대한 소용돌이 빛 [25] ㅴㅵㅫㅩ 14/05/19 01:38 6324 11
    4354
    운명은정해져있는가? (브금,스압주의) [19] adfdfd1 14/05/18 06:40 9704 13
    4352
    카사노바의 여자 꼬시는 법.jpg [50] 9862 14/05/17 22:46 13752 18
    4350
    1947년 로스웰 UFO 이거 사실이라는 증거가 조금이라도 있나요? [13] 사면초가집 14/05/17 18:13 4830 8
    4348
    삼풍 백화점 붕괴 2주일 전부터 있던일. [3] 맨날공부 14/05/17 00:36 11075 24
    4347
    부적같은 모양의 피 묻은 돈을 받았어요 ㅠㅠㅠ [9] 고대이집트인 14/05/16 20:00 7610 3
    4346
    너무나도 이상한 블로그 발견!!!![스크롤주의] [10] 집중3초 14/05/16 19:05 9115 0
    4344
    전철에서 화재가 났을 때의 대처 방법? [16] 차오름 14/05/16 13:08 3418 12
    4343
    수면 중 무호흡. [2] 암행어사.진 14/05/16 08:42 3396 1
    4341
    김보성의 토요 미스테으리~! [13] 햄물 14/05/15 23:06 4980 10
    4340
    미국 캘리포니아 스톡턴 상공에 나타난 의문의 구멍? [32] ㅴㅵㅫㅩ 14/05/15 20:24 8728 18
    4337
    지구 실시간으로 보기 [8] 살려줴요 14/05/15 08:25 4864 12
    우주의종말 (브금주의) [2] adfdfd1 14/05/15 05:16 9180 3
    4335
    시간여행은 불가능하다! [18] Auto차 14/05/15 00:16 4759 7/12
    [◀이전10개]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