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istory_29302
    작성자 : 세실마리아
    추천 : 10
    조회수 : 2515
    IP : 123.141.***.210
    댓글 : 16개
    등록시간 : 2018/01/29 21:49:05
    http://todayhumor.com/?history_29302 모바일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고찰 (1) - 김병기 교수의 비문변조설의 문제점
    <div><br></div> <div>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font-family:'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0pt;">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font-size:10pt;">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div style="color:rgb(17,17,17);line-height:1.5;font-size:10pt;"> <div><span style="color:rgb(0,0,0);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왠만하면 하는일도 많고 바빠서 글을 안쓰려고 했는데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다시 김병기 교수가 또다시 비문변조설을 들고나와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0,0,0);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본 글을 다음과 같이<span lang="en-us"> 3 ~ 4 </span>편에 걸쳐 작성하고자 합니다<span lang="en-us">.</span></font><span lang="en-us" style="font-family:Tahoma, sans-serif;"></span></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span lang="en-us">1. </span>김병기 교수의 비문변조설<span lang="en-us"> (</span>차이나는 클라스<span lang="en-us"> 43</span>화 (1/3 방송)주장<span lang="en-us">)</span>의 문제점<span lang="en-us"> (</span>본 게시물<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span lang="en-us">2. </span>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과 사코본의 문제점<span lang="en-us"> (2/5 </span>작성 예정<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span lang="en-us">3. </span>지금까지의 여러 학설들과 반론들 그리고 최종결론<span lang="en-us"> (2/12 </span>작성 예정<span lang="en-us">)</span></font><span lang="en-us" style="font-family:Tahoma, sans-serif;"></span></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본론으로 들어가서<span lang="en-us">, </span>차이나는 클라스<span lang="en-us"> 43</span>화 이후 또다시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조작설이 대두되고 있는걸 보고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김병기 교수가 </font><font face="맑은 고딕">도해파<span lang="en-us">(</span>渡海破<span lang="en-us">)는 </span></font></font><font face="맑은 고딕" style="color:rgb(17,17,17);font-size:9pt;">입공우</font><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Tahoma, sans-serif;font-size:9pt;"></span><font face="맑은 고딕" style="color:rgb(17,17,17);font-size:9pt;"><span lang="en-us">(</span>入貢于<span lang="en-us">)의</span></font><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변조라는 주장을 한지 벌써</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10</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년이 넘었고 이에 대한 많은 반론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에 대한 주장을 하시는 걸 보고 한편으로는 답답하기도 하고 하고 또 한편으로는 슬프기도 하였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김병기 교수의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span lang="en-us"> 3 </span>가지 근거에 따라 변조를 확신한다고 하였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1. </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비문을 보면 처음에는</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속민</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屬民</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이라고 표기하였다가</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다음에는</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신민</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臣民</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으로 삼았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라고 표기하였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속민이 예속정도가 더 적은 신민으로 다시 삼을 수는 없으니 이는 왜를 지칭하는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따라서 왜가 입조하는 내용이 들어와야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2.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비문의 다른 글자들은 모두</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1)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수평</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수직으로 획이 그여져 있고</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2)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정방형에 맞춰 작성되어있으나</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渡海破</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부분은 획이 수평이 맞지 않고 오른쪽이 들려있는 명조체의 흔적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명조체는 명나라 때의 서체를 참조하여 일제시대 때 만든 서체이므로 조작한 것이 분명하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3.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다른 비문들은 모두 오와 열이 딱 들어맞는 반면</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渡자는 오른쪽에 몰려있고</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海자는 왼쪽에 몰려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이는 入자와 貢자를 조작한 증거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하지만 상기 주장은 여러번 반론이 제기되어 사실상 논파완료된 주장입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br></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먼저 처음엔 속민이였다가 나중에는 신민으로 삼았다고 하는 것을 보니 신민은 왜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였지만<span lang="en-us">, </span>이 내용은 사실 <span lang="en-us">(</span>실제 해석이 저게 맞느냐는 별론으로 하고<span lang="en-us">) </span>기존 번역으로도 자연스럽습니다<span lang="en-us">. </span>김병기 교수의 속민<span lang="en-us">, </span>신민의 뜻풀이를 그대로 인용한다고 하더라도 왜가 백제<span lang="en-us">, </span>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고 풀이해도 번역에 문제는 없습니다<span lang="en-us">. </span>따라서<span lang="en-us"> 1</span>번 근거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즉<span lang="en-us">, </span>신민으로 삼은 목적어가 왜로 볼 수도 있고<span lang="en-us">, </span>백제신라로도 볼 수도 있다는 수준이지 백제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는 주장을 반박할 근거로 쓸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span lang="en-us">. </span>굳이 의의를 두자면 <span lang="en-us">(</span>변조한 것이 맞다면<span lang="en-us">) </span>다르게 번역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정도겠죠<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br></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두 번째 근거는 서예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서체가 다르다는 주장입니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이 역시 탁본상의 글자체를 가지고 논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span lang="en-us">. </span>중국학자 왕건군의 연구에서도 밝혔듯이 초씨 부자가 탁본 시<span lang="en-us">, </span>석회를 발라 탁본하기 편하게 만들었다고 하였습니다<span lang="en-us">. </span>그렇기 때문에 원석탁본과는 달리 글자체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span lang="en-us">. 2</span>편에서 더 자세히 말씀 드리겠지만<span lang="en-us">, </span>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이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각 탁본들을 비교해 보면 동일 글자의 글자 모양이 미묘하게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span lang="en-us">. </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font></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img width="400" height="570" style="border:;" alt="1.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2796bba583db586418abd998f19f14eff95__mn738988__w400__h570__f34580__Ym201801.png" filesize="34580"></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img width="400" height="570" style="border:;" alt="2.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2879c5fb00f5287410bb9ff7f763dbd17d8__mn738988__w400__h570__f37909__Ym201801.png" filesize="37909"></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img width="400" height="570" style="border:;" alt="3.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302ff8eb5b5aaca4c8999f6827f9ca81930__mn738988__w400__h570__f42066__Ym201801.png" filesize="42066"></font></div> <div></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출처: </font>사라진 비문을 찾아서 (</font><span style="color:rgb(17,17,17);font-size:9pt;">김병기 교수 著</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style="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김병기 교수는 상기 3 개 탁본을 비롯한 여러가지 탁본을 비교관찰한 결과라고 주장하였지만, 역설적으로 김병기 교수의 책의 상기 그림만 비교해 봐도 동일 글자에 대한 형태가 탁본마다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br></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김병기 교수의 주장은 渡자는 위조된 부분의 오른쪽이 올라가 있는데<span lang="en-us">, </span>다른 글자는 수평이다라고 하였으나 탁본에 따라 그 정도가 굉장히 주관적이라 논하기 어렵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海자 역시 기울여 쓴 것이 위조의 흔적이다라고 하였으나<span lang="en-us">, </span>渡자와 동일하게 주관이 다분하고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마지막으로 破자는 石과 皮의 단차가 없는데<span lang="en-us">, </span>수정된 부분만 단차가 있다고 하였으나<span lang="en-us">, 3</span>면 <span lang="en-us">7</span>행 6자, <span lang="en-us">32</span>자 역시 단차가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br></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따라서 이런 주관적인 점을 바탕으로 주장을 펴기에는 너무 한계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세번째 근거 역시 논거가 될 수 없는 것이 사코본 자체가 본래 여러 종이를 이어붙인 물건이기 때문에 조금씩 비뚤비뚤합니다<span lang="en-us">. </span></font></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font></font></div> <div><br></div><img width="283" height="207" style="border:;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alt="제목 없음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35349a919a70b2248eaa7f2f68a2d2fbe6c__mn738988__w283__h207__f24478__Ym201801.jpg" filesize="24478"><br><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br></font></font> <div></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출처: 사코본 (쌍구가묵본)</font></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br></font></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그림을 보시면 당장 문제가 되는 渡海破자 오른쪽의 駕平道<span lang="en-us"> (</span>최근 연구에 따르면 양평도<span lang="en-us"> (</span>襄平道<span lang="en-us">))</span>를 보면 駕자 아래 平자는 왼쪽으로 </font><span lang="en-us" style="font-family:Tahoma, sans-serif;"></span><font face="맑은 고딕">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span lang="en-us">. </span>다른 곳은 다</font></font><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깔끔한데 유독 渡海破 부분만 비뚤다면 또 다르겠지만 이래서는 변조의 증거로 내세울 수는 없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그리고 가장 큰 근거로 문제가 되는 사코본 이전의 원석탁본에서도 渡자와 破자는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img width="600" height="663" style="border:;color:rgb(17,17,17);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 alt="4.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333501dc57cab664a1696f986d79176448f__mn738988__w600__h663__f121975__Ym201801.png" filesize="121975"></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출처</fon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ont><a target="_blank" href="http://blog.naver.com/kalsanja/221092987778" target="_blank"><font color="#0563c1">http://blog.naver.com/kalsanja/221092987778</font></a></span></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주운태 본은 <span lang="en-us">1981</span>년에 탁본을 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span lang="en-us">, 1983</span>년에 탁본한 사코본 <span lang="en-us">(</span>쌍구가묵본<span lang="en-us">) </span>보다 이른 원석 탁본 중 하나입니다<span lang="en-us">. </span>당연히 사코본 보다 훨씬 신뢰도가 높으며 많은 연구를 받고 있는 탁본 중 하나이지만<span lang="en-us">, </span>역시 여기서도 海자는 每등 다르게 읽을 여지가 있다고 치더라도 渡자와 破자는 확실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span lang="en-us">. </span>따라서 사코를 비롯한 일본군부가 변조를 진행하였다고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하지만<span lang="en-us">! </span>그래도<span lang="en-us">! </span>믿지 못하겠다고 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많이 양보해서 변조 가능성이 있다고 치고 변조되었다면 변조 전의 상태가 어떻게 될지를 살펴봅시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김병기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변조과정을 거쳤다고 하였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img width="400" height="310" style="border:;color:rgb(17,17,17);font-size:9pt;" alt="5.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34150b092b1f32848a5ba6e715717ea84c8__mn738988__w400__h310__f28205__Ym201801.png" filesize="28205"></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그렇다면 변조 전은 이렇게 되었을 것입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img width="601" height="207" style="border:;" alt="6.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7229351fe5e43d4556346369117dd01a737df37__mn738988__w601__h207__f48625__Ym201801.png" filesize="48625"></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text-indent:80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span lang="en-us"><</span>사코본 원본<span lang="en-us">>                                           <</span>김병기 교수 주장 원본<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상기 </font></span><span style="color:rgb(17,17,17);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rgb(17,17,17);text-indent:106.66px;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김병기 교수 주장 원본</span><span lang="en-us" style="color:rgb(17,17,17);text-indent:106.66px;font-family:'맑은 고딕';font-size:9pt;">>은 제가 그림판으로 대충 그려본 것입니다.</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김병기 교수 스스로<span lang="en-us"> '</span>수평<span lang="en-us">, </span>수직으로 획이 그여져 있고<span lang="en-us">, </span>정방형에 맞춰 작성<span lang="en-us">'</span>된 비문이라고 하던 부분이 완전히 깨어지게 됩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font color="#000000">비석문을 쪼던 석공이<span lang="en-us">, </span>또는 그 전에 글을 돌에 쓴 사람이 훗날 변조될 것을 고려하여 일부러 이부분만 한쪽에 몰아 비석을 만들었다고 주장하는게 아닌 이상<span lang="en-us">, </span>이는 의미 없는 주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span lang="en-us"><font color="#000000" face="맑은 고딕"> </font></span></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color="#000000"><font face="맑은 고딕">그럼 이제 이 부분을 실제로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font><span lang="en-us" style="font-family:Tahoma, sans-serif;"></span><font face="맑은 고딕">따져봐야 하겠습니다만<span lang="en-us">, </span>이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위에서도 말했듯이 탁본들의 비교와 특히 사코본의 문제점을 분명히 논하고 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span lang="en-us">. </span>논의의 근거가 되는 탁본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되어야 그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테니까요<span lang="en-us">.</span></font></font></div> <div><font color="#000000" face="굴림" size="3"></font></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br></div> <div style="margin:0cm 0cm 8pt;"><font face="맑은 고딕">그럼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font></div></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8/01/30 01:08:30  125.141.***.189  오늘의유령  42806
    [2] 2018/01/30 04:53:59  219.255.***.70  섬집아이  757958
    [3] 2018/01/30 15:57:38  39.7.***.81  주네브  525008
    [4] 2018/01/30 23:59:01  222.234.***.44  cinat  466995
    [5] 2018/01/31 00:43:58  124.56.***.120  brianjung  694018
    [6] 2018/01/31 20:29:08  14.46.***.190  리볼버오셀롯  109457
    [7] 2018/02/01 08:11:08  211.223.***.243  흐름위에  597022
    [8] 2018/02/01 13:24:59  175.211.***.168  harussari  701632
    [9] 2018/02/01 22:48:43  1.253.***.44  cogito  187638
    [10] 2018/02/02 08:05:41  121.170.***.155  피터버크  64539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354
    성향에 상관없이 그냥 정부와 사회에 저항하면 진보다?? [7] 자두먹고싶어 18/02/26 09:38 1199 1
    29351
    선릉역에 있는 선정릉에 갔다왔는데 조금 씁쓸하네요 [9] 창작글 에스크리토 18/02/22 13:06 2043 4
    29350
    갑자기 생각난 드립) 입자물리학도 역사 전공자들이네요 [4] 그네블로 18/02/21 21:59 946 3
    29342
    산천은 의구한데 라는 말의 원전을 아시는 분? [2] 본인삭제금지 SiruTTuck! 18/02/20 17:27 1851 1
    29341
    다시 보는 독립신문 창간사 잉여고3 18/02/19 17:04 1273 1
    29340
    일반인들의 인식보다 훨씬 더 넓은 영토거느렸던 발해.jpg [12] Desert_Fox 18/02/18 20:07 3633 2
    29338
    한국사 오천년 생존의 길이라는 다큐를 보다보니... diogenes 18/02/18 11:38 1185 0
    29337
    이승만의 만행에 대해 잘모르시는 분들에게 큰도움이 될것같습니다 R.O.K.M.C. 18/02/17 07:50 1908 3
    29336
    백범 김구 선생님의 말씀중에 시원한태양 18/02/17 01:16 860 3
    29335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고찰 (3) - 신묘년조에 대한 해석 비교 [2] 세실마리아 18/02/16 23:05 2138 3
    29334
    '청명계획'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4] 잉여고3 18/02/15 21:47 2275 6
    29333
    신라가 당을 끌어들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한 것이 약소국의 생존비결??? [10] diogenes 18/02/15 08:38 1998 7
    29332
    [한국현대사] 제헌헌법의 조항 가운데 놀라운 내용.txt [3] Desert_Fox 18/02/13 18:09 1650 12
    29331
    [한국현대사] 1945년 12월, 여론조사.txt Desert_Fox 18/02/13 16:56 1187 2
    29330
    "부정·불의 합리화시킨 장관들 심판하겠다" [1] 잉여고3 18/02/12 19:50 866 1
    29329
    이제 독도의용수비대 대원 중 두 분만 생존해 계시네요. diogenes 18/02/12 18:32 795 7
    29328
    우리가 몰랐던 너무 멋진 디자인의 조선의 검 [2] 코볼 18/02/10 15:10 4224 10
    29325
    역게 원래 이러나요??? [2] 외부펌금지 니콜키크드먼 18/02/10 00:07 1213 0/5
    29324
    요즘 대하사극 무인시대를 보던 중에 느낀 점 몇가지.. [9] 본인삭제금지외부펌금지 니콜키크드먼 18/02/09 13:20 1822 2
    29323
    전통은 전통적이지 않다. 전통은 발명된다. #1 [1] 프데 18/02/09 00:03 1401 10
    29321
    고려시대에는 자;지라는 말이 비하하는 뜻이 아니었나요? [3] 먙흼뻡댤먇튜긔 18/02/08 03:27 1356 0
    29320
    오늘 앵커브리핑에 나온, 1940년 1월 5일자 매일신보 기사들 [2] 잉여고3 18/02/07 22:19 1018 4
    29318
    한자(漢字)라는 문자(文字) 이름의 유래에 대하여 [10] doen 18/02/07 07:49 1746 4
    29317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고찰 (2) - 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 검토 [6] 세실마리아 18/02/05 23:04 1728 6
    29313
    수자기 10년 장기임대가 작년에 기간이 끝난걸로 아는데 gatsby0927 18/02/05 15:45 673 2
    29312
    독립기념관에서 임시정부 찾기 동막골촌장친구 18/02/05 14:04 579 1
    29311
    대륙백제사는 중국사 아니면 한국사 [4] Jin111114 18/02/05 09:15 1606 0
    29306
    근데 베오베 바뀌고나니까 그런건 있네요. 피터버크 18/02/02 18:47 803 5
    29305
    소실된 줄 알았던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 환수 깃털 18/01/31 16:38 1143 8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고찰 (1) - 김병기 교수의 비문변조설의 문제점 [16] 세실마리아 18/01/29 21:49 2516 10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