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istory_27793
    작성자 : 역둔토
    추천 : 2
    조회수 : 590
    IP : 125.138.***.85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7/04/02 17:09:18
    http://todayhumor.com/?history_27793 모바일
    세르비아 간략사 4, 전간기 하나의 민족?
    <span style="font-size:12pt;"><br><br><br><br><br><br><br>1929년 이전 유고슬라비아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으로</span> <p><span style="font-size:12pt;">지칭하여야하나 너무 길고 번잡하니 그냥 유고슬라비아로 칭하겠습니다.</span> </p> <p><br></p> <p></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670103a33b6b589c42c884aefce00348dd32__w900__h600__f4356__Ym201704.png" alt="Flag_of_the_Kingdom_of_Yugoslavia.svg.png" style="border:medium none;" class="chimg_photo" filesize="4356" height="417" width="626"></div><br><p></p> <p><br></p> <p><br></p> <p><span style="font-size:12pt;font-family:'바탕', Batang, AppleMyungjo;"><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왕, 하나의 국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표어</span> </p> <p><br></p> <p><br></p> <p><img src="" alt="" class="_photoImage" height="378" width="465"> </p> <p><br></p> <p><span style="font-size:12pt;font-family:'바탕', Batang, AppleMyungjo;"></span> <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는 니쉬선언, 케르키라 선언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건국을 미리 선언하였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우드로 윌슨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이탈리아를 발칸에서 대부분 몰아내고 유고슬라비아가 탄생시켰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러나 '남 슬라브인의 통일국가'는 탄생할 때부터 분열될 조짐을 보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 style="clear:both;"></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688208cc97585353456b9db7ca58b558f21e__w550__h540__f59839__Ym201704.png" alt="Litorale_1.pn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59839" height="436" width="55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6896e2f7d78d1ed2473c9b6e1a0d5859582f__w550__h902__f163682__Ym201704.png" alt="800px-Zara-Zadar-1920-1947.pn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163682" height="708" width="550"></div>  <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탈리아는 약속받은 영토를 모두 받는 것에는 실패했지만,</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스트리아 반도, 슬로베니아의 일부, 크로아티아의 중요한 항구인 자라를 획득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남 슬라브인의 땅을 향한 이탈리아의 야욕을 완전히 저지하는 것에는 실패했지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의 건국으로 유고슬라비아의 구성민족들은이탈리아를 어느정도 억제하는 것에는 성공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외부의 위협이 어느정도 정리되자, 이제 유고슬라비아 내부에서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우선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를 새롭게 태어난 국가라고 보기 보다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왕국의 연장선으로 간주하였다. 세르비아인들은 다른 남슬라브 동포들이 그것을 인정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존중해준다면 통합의 주인공격인자신들이 형제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권리와 자유를 보장해 줄 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있다고 생각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러한 태도는 다른 형제 민족들에게</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상당한 불쾌감을 가지게 하였고 세르비아에 대한 경계심을 키웠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69580b25a75bef59403393b3f384f642e87a__w925__h542__f72832__Ym201704.png" alt="56789.png" style="border:medium none;" class="chimg_photo" filesize="72832" height="396" width="676"><br><br><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6962bf0f8da501c44e7a9c0de0cd3f192ea2__w220__h133__f7280__Ym201704.jpg" alt="스테판 라디치.jp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7280" height="202" width="335"><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스테판 라디치<br></span></div> <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에 이어 유고슬라비아의 2번째로 많은 민족이며 언어는 같지만 종교도 다르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문화적으로도 서유럽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크로아티아인들은 스테판 라디치가 이끄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을 중심으로 크로아티아 농민당, 크로아티아 민족 위원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입헌당 등 군소 정당, 민족주의 단체들이 결집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독립국건설을 목표로 했으나, 이탈리아의 위협, 협상국의 결정 등으로 독립국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건설이 좌절되자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에 기반한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서 분권주의, 연방화 등을 요구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3번 째로 많은 민족인 슬로베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인과 상당히 이질적이었다. 종교는 물론이거니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비슷한 계통이었지만 서유럽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문화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슬로베니아인들은 슬로베니아 민족당을 중심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단결하여 베오그라드(세르비아)와 자그레브(크로아티아)사이에서 그들의 이익을 추고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분권형 연방제 왕국안을 지지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보스니아에 사는 남슬라브인 무슬림들은 복잡한 입장이었다. 유고슬라비아 무슬림 위원회를 구성하여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보스니아 무슬림을 단결시키고자 했던 무슬림 상류층은 그들의 사회, 경제적 특권의 핵심인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토지 소유를 온건한 농지개혁으로, 지지해준 세르비아와 연대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들이 오스만 투르크, 오스트리아-헝가리와 하던 것처럼 자신들의 특권을 지지해주는 세력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손을 잡은 것과는 별개로 다수의 보스니아 무슬림 하층민은 크로아티아인들과 손을 잡거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보스니아 급진당을 결성하여 적극적인 토지개혁, 보스니아 무슬림 사회 개혁, 연방제등을 주장하였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마케도니아인, 혹은 서 불가리아인들도 복잡한 입장이었다. 유고슬라비아안을 지지하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남 슬라브인의 통일국가를 지지하는 세력도 있었지만 마케도니아-불가리아간 연대를 주장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급진적 민족주의자들은 1차세계대전 이후에도 여전히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의 주류를 이루었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들은 최소한 연방제, 분권국가 궁극적으로는 유고슬라비아에서 탈출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불가리아-마케도니아 연합을 목표로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들과 가장 유사한, 사실 그렇게 큰 차이를 찾아보기 어려운 몬테네그로인들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마냥 통합에 긍정적이지만은 않았다. 몬테네그로에서는 옛 왕가를 지지하는 반란이 이탈리아의 후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아래 일어났고 몬테네그로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안 지지자들은 세르비아에 지나치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종속된 몬테네그로를 하나의 독립된 지위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들은 몬테네그로인이라는 정체성을 만들어 내거나 크로아티아의  연방주의자들과 손을 잡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대(大)세르비아주의에 저항하기 시작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를 구성하는 민족 중, 가장 불만이 많은 코소보의 알바니아인과 터키인들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들의 전통적인 상류층이 만든 제미에트 당을 지지했다. 이들은 보스니아 무슬림 위원회처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온건한 토지개혁을 요구하며 그들의 사회, 경제적 특권을 지키려하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러한 움직임에 불만을 가진 알바니아, 터키 하층민들은 알바니아에 수립된 '코소보 위원회'의</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코소보 지하조직에 가담했다. 이들은 궁극적인 목표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벗어나 국경 밖 동포들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하나가 되는 것이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을 제외한 민족들은 대개, 연방제안을 지지하거나 최소한 분권형 국가를 원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 내부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에 호응하는 세력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공화당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공화주의자들의 모임으로 세르비아 왕실을 깊이 존경하는 세르비아인들에게 인기가 매우 없었지만</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들은 세르비아에서 거의 유일하게 유고슬라비아의 연방화, 민족별 자치권 등을 주장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건국은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민족들의 요구에 직면하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건국의 정당성을 밀어 붙이기 위해 세르비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주의를 창안하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보급하고자 노력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숫적으로 우세한 세르비아-크로아티아와 여기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곁다리로 슬로베니아를 하나로 뭍어 유고슬라비아인이라는 정체성을 만들어 내려는 시도는</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처참하게 실패했다. 극소수의 지식인들은 새로운 정체성 창조 운동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절대 다수의 남 슬라브인들은 따로 살아 온 기간이 너무 길어 서로에 대해 너무 이질적이라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생각했다.(특히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세르비아인 사이에서)<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주의의 처참한 실패는, 유고슬라비아가 앞으로 직면할 운명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것이었다. 이 국가는 지식인들이 순진하게 가졌던 이상, 통일된 남슬라브인의 국가가 아니었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앞으로 통합되지도 단결하지도 않을 것이며 민족적 이해에 따라 갈등하고 폭발할 시한폭탄일 뿐이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시한폭탄 국가는 어쨋든 전쟁에서 이긴 세르비아의 요구대로 구성되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는 1918~1920년 12월까지 합병한 각 지역에 수립한 임시위원회를 기반으로 하여 통치하였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1920년 12월 12일 유고슬라비아의 첫, 제헌의회가 소집되었다. 이 제헌의회는 그 시대 사람들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고 있었지만 유고슬라비아가 어떤 국가가 될 것이며,  진정한 남 슬라브인의 통일국가가 될 것인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시한폭탄이 될 것인지 결정하는 자리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제헌의회에서 유고슬라비아주의를 지지하고 지식인층의 지지를 받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민주당(세르비아계) 92석을 얻었고 세르비아 민족주의 적 성향이 강하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 이외지역의 세르비아인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던 세르비아 급진당이 91석,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 농민들의 지지를 받은 세르비아 농민연합이 39석을 차지했다. 세르비아인들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의제 1의 민족답게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였고 이를 이어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이 50석,</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슬로베니아 민족당이 27석, 무슬림 연합이 24석, 제미에트당이 12석을 차지했다. 이 국가가 어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국가가 될지, 제헌의회는 이미 보여주고 있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는 대(大)세르비아일 뿐이라는 것을.</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제헌의회 선거는 게리멘더링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 의원들이 3100~3400 표당 1명이 당성된 꼴인데 반해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 무슬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등 비 세르비아인 의원들은  4600~4700표당 1명 꼴이었기 때문이다. 세르비아를 제외한 소수 민족들은</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제헌의회 구성에 상당한 불만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이렇게 구성된 제헌의회는 당연히 비(非)세르비아인들의 열망과는 다른 중앙집권적인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헌법을 통과시켰다. 1920년 6월 28일, 세르비아의 성인 비도브단 축일에 통과되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비도브단 헌법이라고 불릴 유고슬라비아의 첫 헌법은 입헌주의, 의회주의를 기반으로 하는</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긍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유고슬라비아 어디에서도 지지를 받지 못하는 유고슬라비아주의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들만이 선호하는 중앙집권을 기조로  삼았기 때문에 많은 불만을 불러왔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을 제외한 민족들이 주장하는 연방안, 자치권 등은 모두 거부되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새로운 헌법에 가장 좌절하고 적극적으로 저항한 것은 크로아티아인들이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들이 가장 좌절한 것은 역사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은 중세 크로아티아왕국 이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왕계가 끊어진 이후에도 크로아티아 왕을 겸한 헝가리왕 밑에서 전통적인 자치권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보유해왔기 때문이다. 이들은 헝가리 왕, 나아가 오스트리아 황제 밑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명목상의 크로아티아 왕국을 유지했던 기억은 세르비아 중심의 중앙집권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하게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들은 헌법 제정 직후부터 크로아티아의 모든 정당들을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중심으로하는 크로아티아 연맹을 구성하였고 역사적으로 계속 존속해온 크로아티아 국가 설립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목표로 삼았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87484154eb24d92548199c83b9f1450ecad7__w800__h835__f194956__Ym201704.jpg" alt="800px-Yugoslavia_ethnic_map.jp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194956" height="835" width="800"></div><br><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81년 인구조사 자료라 1920년대와는 다른 부분이 있으나, 유고슬라비아일대의 민족구성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시쳇말로 개판오분전이었다. 20년대와 81년의 가장 큰 차이는 보스니아 일대에서 2차대전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들이 자행한 학살로 세르비아인의 비율이 감소한 것, 북 세르비아에(바냐트)에서 헝</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가리인의 비율이 감소한 것, 독일인이 2차대전 이후 추방당한 것, 크로아티아 해안가에서</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탈리아인이 추방당한 것 정도 이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들은 독립국 건설, 그것의 달성이 요원하다면 연방제하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국가를 원했다. 그것을 위해 크로아티아인들은 슬로베니아인, 알바니아인, 터키인,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헝가리인, 독일인 등과 연대하여 자치권 부여, 연방화를 요구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협력자를 구하고자 하였으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가 1차 대전 승전국이었던 점, 크로아티아와 역사적으로 연관성이 깊었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전후 완전히 이등국가로 전락한 점 때문에 외부의 협력자를 구하는데 실패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외부의 조력자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자 크로아티아인을 중심으로 하는 슬로베니아인, 무슬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바니아인을 위시한 소수민족 그룹은 상호간의 연대를 강화하여 세르비아를 압박하는 방법을 택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는 제헌의회가 해산하고 1923년 총선 이후, 크로아티아 민족정당을 중심으로 소수민족 정당들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연대하여 유고슬라비아 중앙정부에 중앙집권 대신 연방제를 주장하며 협상을 요구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23년 4월, 자그레브에서 개최된 협상에서 세르비아 중앙정부는 중앙집권을 포기하지 않을 것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천명했고, 크로아티아의 가장 중요한 정당인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은 이에 항의하고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소속 의원들이 의회에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응수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지금까지 세르비아인들은 종종 크로아티아인들에게 일방적으로 비난의 화살을 돌리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시기 세르비아인들이 헌법에 기초하여 협상하고자 했으나 크로아티아인들이 헌법을 완</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전히 거부함으로 협상이 실패하였다고 주장한다. 크로아티아인들은 크로아티아인이 원하지 않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헌법을 세르비아인들이 강요했고, 제헌의회 선거도 부당했기 때문에 세르비아의 패권 수립 야욕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파국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24년, 협상이 실패하고 크로아티아인들이 소수민족들과 연대하여 세르비아를 압박하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정부와 국왕은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을 반공법을 이유로 해산하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이 국제 공산주의 그룹, 소련과 연관되어 있다는 죄목과 불가리아에 있는</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마케도니아 민족혁명기구와 연대하여 반(反)유고슬라비아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죄목으로 기소되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정부는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의 정당등록을 1925년 1월 1일 취소하였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스테판 라디치를 비롯한 당 지도부 일시에 체포하여 연방제 안에 대한 유고슬라비아 정부의</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입장을 확실히 함과 동시에 제정한 헌법에 도전하는 것을 용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정부는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을 해산시킨 후, 1923년 총선으로 성립한 국회를 해산하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1925년 다시 총선을 실시했다. 지도부를 잃은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은 다른 크로아티아 민족 정당들과</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연대하여 총선에 나섰지만, 유고슬라비아 중앙정부의 게리멘더링으로 말미암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인구 비율로는 40% 정도에 불과한 세르비아계가 의회에서 162석을 차지하여 압도적인 다수를 점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다른 민족들은 모두 합해도 138석에 불과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25년 총선은 크로아티아인들을 비롯한 소수민족에게 깊은 좌절감을 안겼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의 헌법이 존재하는 한, 세르비아 주도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을 제외한 유고슬라비아인들에게 무력함을 안겨주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을 이끌며 연방안을 주장했고, 그러한 이유로 수감된 크로아티아의 대 정치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스테판 라디치도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태도에 변화가 없고 지지자들의 좌절이 심해지자 수감되었던</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스테판 라디치는 1925년, 5월 유고슬라비아 정부와 타협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20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을 준수하며 연방제를 주장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비 세르비아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특히 크로아티아인에게 새로 구성되는 내각에 비교적 공평하게 장관직을 양보해주는 조건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정부와 스테판 라디치의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간의 타협이 이루어졌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타협에 성실히 참여한다는 표시로 크로아티아 민주농민당은 당명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국왕의 심기를 매우 거스르는 '민주'를 삭제하고 크로아티아 농민당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당명을 변경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러한 흐름속에서 1925년, 7월 새로운 내각이 구성되었다. 내각에서 스테판 라디치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교육부 장관을 맡았으나 세르비아계가 내각의 중요한 자리(국방, 재정, 외무, 내무, 경찰 등)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차지하고 비 세르비아계는 비교적 덜 중요하거나 실권이 크지 않은 교육, 체신, 운송 등을 배정받았다. 세르비아인이 약속한 '비교적 균등한 장관직 배분'은 허구에 불과했고 비 세르비아인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특히 크로아티아인들은 매우 깊은 분노와 좌절감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들을 위시한 소수민족들은 1925년 내각 이후에도 1926년 4월 내각, 1926년 11월 내각 등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인의추가적인 양보를 기대하며 유고슬라비아 중앙정부에 협조했다. 그러나 세르비아인들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대(大)세르비아를 포기할 마음이 없었고 1927년 초, 1925년 합의는 파국에 이르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을 중심으로 하는 소수민족 그룹은 세르비아인들의 기만적 행동을 비난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다시 연방제를 주장하기 시작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27년, 소수민족 그룹이 내각에서 나가고 다시 총선이 열렸다. 1927년 9월, 유고슬라비아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마지막 자유선거에서도 여전히 선거구가 개편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인구의 과반에 미치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못하는 세르비아인이 의회의 과반을 훨씬 뛰어넘는 결과가 재현되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선거 후, 크로아티아인을 위시한 소수민족들과 연방제를 지지하는 세르비아인 의원</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왕실에 반대하는 공화주의자들)은 1927년 의회에서 연방제를 밀어붙이기 위해 연대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소수민족들은 자치권 획득과 연방제를 위해 세르비아 공화주의자들은 연방제를 통한 왕권의 약화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위해 서로 협력하기 시작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연대한 이 조직은 유고슬라비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조직이었다. 이들은 유고슬라비아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로 구성되는 연방왕국으로 만들자는 주장을 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주장은 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서 실현된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연방구성안은 의회에서 매우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격렬한 논쟁이 해를 넘기며 격화되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와중, 1928년 6월 20일, 세르비아인 의원이 연방제의 강력한 지지자인 크로아티아 농민당의</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당수 스테판 라디치와 그 측근들에게 총격을 가했다. 이 테러로 스테판 라디치와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주요인물들이 죽었다. 이 테러는 소수민족들이 세르비아인들의 불관용성을 확실하게 체험하게 한 것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동시에 1920년 부터 기껏해야 10년도 채 안지난 유고슬라비아 의회제도의 종말을 알리는 것이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9673572e81fab27d4872958ca4e05132dbfa__w289__h175__f12418__Ym201704.png" alt="index.pn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12418" height="274" width="453"></div><br><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불가리아-마케도니아 통합운동<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인을 위시한 여타의 소수민족들이 의회에서 혹은 정치지도자들과 정당을 통해 연방제 안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밀어 붙였던 것에 반해 유고슬라비아 남쪽의 마케도니아인들은 전혀 다른 방법으로 투쟁하고 있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마케도니아인들은 자신들과 가장 유사한 언어, 문화를 가진 불가리아인들의 도움을 받아 마케도니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일대에서 게릴라전을 벌이고 있었다. 그들은 무장투쟁을 통해 마케도니아를 유고슬라비아에서 떼어내</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불가리아와 통합하는 것을 원했다. 그러나 1925년 유고슬라비아군의 대대적인 토벌 이후,</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마케도니아 게릴라 조직은 유명무실화하였고 낙담한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 지역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설치된 정부기관, 공무원, 군인, 세르비아인 교사 등을 공격하거나 암살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들은 마케도니아인들의 후원 아래 지속적으로 저항하였는데, 이는 세르비아인들이 마케도니아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 우월주의에 입각한 행정을 펼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9711df3dddc3cb9a4354991fcca83e33640c__w220__h301__f19117__Ym201704.jpg" alt="Kralj_aleksandar1.jp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19117" height="333" width="268"><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유고슬라비아의 알렉산다르 1세</span><br><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div> <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스테판 라디치와 크로아티아인 정치가들이 의회 한복판에서 암살된 후 크로아티아 정치가들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국왕의 개입만이 혼란을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국왕이 연방제를 지지해 준다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의회에서 난리치며 기세등등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을 누르고 자치권, 연방제 국가를 얻을 수 있다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생각했다. 크로아티아 정치가들은 1929년 1월 4일 유고슬라비아의 국왕 알렉산다르 1세를 알현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연방제안을 수락해줄 것을 간청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렉산다르 1세는 연방제안, 특히 의회에 의해 통치되는 연방국가를 절대 수용할 생각이 없었지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렉산다르 1세는 알현 직후인 1월 6일, 국가의 혼란을 끝내고 연방제 안으로 나아가기 위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헌법을 정지하고 의회를 해산하고 전근대적인 전제왕권을 수립하였다. 그는 의회 정치를 중단하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입법권을 국왕에게 속하게 하여 모든 정당의 활동을 금지하였다. 알렉산다르는 이 구시대적인 정권을</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수립하며 국왕 전제권을 확립함과 동시에 모든 민주적 기구, 제도를 폐지하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동시에 소수민족들의 요구를 들어준다는 구실을 내세워, 모든 민족 구별을 페지한다고 선포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유고슬라비아인만이 존재하며 그들은 모두 국왕의 영도아래 있어야 한다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주장했다. 그는 연방제 분권 대신, 민족별 행정구역 분리를 통해 연방제를 실시했다고 주장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물론 실제로는 전근대적인 전제왕국으로 돌아갔을 뿐이었지만 말이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렉산다르 1세는 1931년 9월, 국가의 혼란을 끝내고 안정과 발전을 위한다는 명목을 내세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새 헌법을 제정했다. 새 헌법은 국왕에게 입법, 사법, 행정에서 막강한 권리를 부여했고 왕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상원의원의 절반을 지명하고 총리와 장관까지 지명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구시대적인 헌법에 대해 알렉산다르 1세는  "모든 국가기관들과 그것들의 기능을 규정하고 정비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최고의 헌법이었다" 자평했다. 물론 당연한 이야기지만 자평에 불과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31년 헌법과 강력한 국왕권은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가혹한 탄압의주체가 되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민족주의자, 공화주의자, 사회주의자들은 가혹한 탄압을 받았다. 여기에 국왕의 측근들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매우 부패해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비교적 유능하지만 부패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비효율적인 기구이자 내부에 수많은 적들을 가지게 되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물론 세르비아인들은 국왕의 행동을 국가를 지키기 위한 결단으로 보았으나 소수민족들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국왕의 행동을 폭거로 인식했다. 알렉산다르 1세가 연방제를 추진해 줄 것이라는 믿음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완전히 빗나갔고 이제 그들은 소수민족 민족주의자들의 제 1 목표가 되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소수민족들은 알렉산다르 1세가 대(大)세르비아의 추종자이며 그것을 이루기 위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자신들을 희생했다고 믿고 있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렉산다르 1세 암살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가장 극단적이고 투쟁적인 마케도니아인들에 의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벌어졌다. 마케도니아 혁명기구 소속의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유고슬라비아를 혼란에 빠트리려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무솔리의 지원을 받아 1934년 10월 9일 프랑스를 방문한 알렉산다르 1세를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암살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19830db457eb8f3734edfbe0eaddbbfd042e8__w694__h960__f88113__Ym201704.jpg" alt="Peter-RFoS.jp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88113" height="656" width="475"><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페타르 2세</span></div> <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알렉산다르 1세가 암살된 후, 12세의 나이로 페타르 2세가 즉위했다. 혼란한 정국과 어린 왕의 즉위로</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알렉산다르 1세가 찍어누르던 유고슬라비아는 다시 혼란스러워지기 시작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페타르 2세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그가 성인이 될 때까지, 국정을 보조할 섭정들이 지명되었는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가장 중요한 섭정은 알렉산다르 1세의 사촌이자 페타르 2세의 5촌 당숙인 파블레 공(公)이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img src="" alt="" class="_photoImage" height="473" width="291"> 섭정, 파블레 공<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파블레 공은 섭정으로 적합한 인물이었다. 부유한 왕가의 일원으로 태어나 사욕을 채울 염려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적었고 온화한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조금만 더 정계에서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의 갈등을 줄여줄 수 있는 인물이었다. 이는 그가 개인적으로 어릴때부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사망할때까지 영국을 아주 선망하는 인물이었고 영국 왕족, 귀족들과의 개인적인 친분 때문인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런 특성으로 말미암아 그는 영국식 입헌민주주의와 분권형 연방제 등에 아주 호의적이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더욱이 그는 국왕 전제권으로는 현대국가를 제대로 이끌어 갈 수 없다는 것도 인식하고 있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다만, 유고슬라비아와 카라조르제비치 왕가에게 비극인 점은 그가 정계에 너무 늦게 나왔다는 것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섭정임에도 정부를 완전히 장악하는 것에 실패했다는 것이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정국이 요동치기 시작하자, 유고슬라비아 야당들은 크게 두 가지 목표를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나뉘었다. 하나는 이전부터 계속되어온 크로아티아 농민당을 중심으로 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소수민족들의 연방제 요구, 다른 하나는 세르비아계 정당 중, 입헌주의를 지지하는 정당들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국왕 독재를 철폐하고 이전의 의회에 입각한 입헌군주제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어쨋든 두 집단 모두 알렉산다르 1세가 강요한 1931년 헌법의 폐지를 원하고 있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35년 5월, 1938년 12월 잇달아 총선이 실시되었으나, 소수민족 정당과 입헌주의자들은 과반 의석을</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넘는 것에 실패했다. 이는 이전부터 계속되어온 게리멘더링의 영향도 있었지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주의, 중앙집권, 대 세르비아주의, 왕가에 대한 존경심등으로 똘똘 뭉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왕국 정부의 조직적인 선거방해, 유권자 협박, 매수 등 부정선거 때문이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섭정, 파블레 공은 이런 것을 막으려 노력했으나, 정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르비아인 장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공무원들이 파블레 공과 협력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서 실패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35년, 1938년 패배는 긴밀히 협력하던 소수민족 정당들과  세르비아계 입헌주의 정당들 간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연합을 파괴했다. 크로아티아 농민당은 정부가 완강하게 거부하고 선거를 조작하는 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의회의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깨닳았다. 그들은 경제적으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의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한 크로아티아의 경제상황으로 말마암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가장 넉넉한 재정 분야부터 분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35년과 1938년 사이, 파블레 공은 크로아티아인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가톨릭 교회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국교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가톨릭을 믿는 유고슬라비아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부유한 민족인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인들을 유고슬라비아 협조하도록 만드려는</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조치는 교황청과의 협정을 맺는 것으로 현실화 될 뻔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가톨릭 교회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특수성과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에서의 우월성을 인정하는 대신 가톨릭 교회의 지지를 받고자 하였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러나 강고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 매우 비타협적이며 대 세르비아주의를 주장하는 때문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협정은 체결되지 못했다.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의 지도아래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곳곳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가톨릭교회의 지위 상승 반대, 바티칸과의 협정 반대를 외쳤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파블로 공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개인적으로 밀어붙이던 이 계획을 못 이기는 척하며 취소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리고 반대 시위때 체포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은 사면하는 등 그들이 어떤 입장인지 명확히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파블레 공의 바티칸과의 협정이 실패하면서, 크로아티아인들은 완전히 반 유고슬라비아로 돌아섰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나마 협조적이던 슬로베니아인들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의구심을 품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제 유고슬라비아 민족 간 화해는 저 멀리, 사라졌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은 강고한 자세에도 불구하고 국외상황은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매우 불리하게 돌아갔다.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발칸에서 영향력 확대를 위해, 유고슬라비아를</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약화시키기를 원했다. 그것의 첫번째 단추로서 유고슬라비아로부터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떼어 놓기를 원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에 비해 더 강력하고 위협적인 이웃인 나치 독일도 파시스트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탈리아의 입장을 지지하고 독일의 주요 동맹국, 헝가리의 이익을 위해 유고슬라비아가 약해지길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원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왕, 하나의 국가는 20여년 만에 파국에 이르렀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누더기 국가는 이런식으로는 절대로 하나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알려주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2029896db171dcafc4313a2815f1201e1ba90__w1024__h887__f70952__Ym201704.png" alt="Locator_map_Croatia_Banovina_in_Yugoslavia_1939-1941.svg.png" style="border:medium none;" class="chimg_photo" filesize="70952" height="500" width="578"></div><br><p></p> <p><br><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바노비나><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203155bf203dc5266455ab2c6f5ee7103789d__w1024__h894__f114900__Ym201704.png" alt="Scs_kingdom_provinces_1920_1922_en.png" style="border:medium none;" class="chimg_photo" filesize="114900" height="508" width="583"></div><br><p></p> <p><br></p> <p><span style="font-size:12pt;font-family:'바탕', Batang, AppleMyungjo;">크로아티아-달마티아 (파란색, 연분홍색)가 크로아티,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는 크로아티아 뿐 아니라 <br></span></p> <p><span style="font-size:12pt;font-family:'바탕', Batang, AppleMyungjo;">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크로아티아인 거주지역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자치지역이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는 대 크로아티아주의의 기원이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외부의 지원에 힘입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은 1939년 8월 26일 유고슬라비아 정부를 굴복시켰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자치정부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를 승인했고 그들에게 행정과 사법 분야에서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완전한 자치권을 부여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동안 강력하게 거부해온 연방제가 사실상 시작되자 세르비아인들은 매우 큰 충격을 받았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힘들게 엮은 통일국가가 다시 갈라질 수도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은 세르비아인들에게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매우 큰 위기감을 안겨주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다른 소수민족들은 유고슬라비아의 무력함을 알게되었다. 자신들에게 탄압의 총칼을 휘두르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 정부가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에게 저항 없이 굴복하는 것을 본 슬로베니아인,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코소보 알바니아인, 마케도니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에서 벗어나 그들이 목표로 하는 독립 혹은 국경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밖의 동포의 국가와 하나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품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39년 8월 26일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의 설립 이후,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영국과 프랑스가 9월 3일,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 함으로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39년에 아직, 유고슬라비아는 대전의 불길에 휩싸이지는 않았지만 국경 밖에서 위기가 고조되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있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2pt;font-family:'바탕', Batang, AppleMyungjo;"></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203821a0caae962ce41b39ec0167774dc3b98__w1024__h894__f122211__Ym201704.png" alt="보이보디나.png" style="border:medium none;" class="chimg_photo" filesize="122211" height="501" width="575"></div>유고슬라비아-헝가리 분쟁의 중심지, 보이보디나 <p></p> <p><span style="font-size:12pt;font-family:'바탕', Batang, AppleMyungjo;">보이보디나 북부에 헝가리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span><br><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의 발칸반도 주요 동맹국 중 하나였던 루마니아가 독일에 굴복하고 영토를 헝가리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넘겨주고 1940 9월 27일 추축국에 가담한 것 뿐 아니라, 영토분쟁, 역사적 원한 등으로</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적대국이었던 헝가리가 공식적으로 추축국에 가담함으로써 유고슬라비아의 적들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를 포위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20495c4613d5d9b7a4b0ca552e755d18922e1__w402__h288__f99165__Ym201704.gif" alt="Italo-Grecian_War_1940-1941_-_political_map_of_operations.gif"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99165" height="320" width="446"></div>이탈리아의 그리스침공, 보호국 알바니아에서 그리스를 침공했지만그리스의 반격으로 <br><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오히려 알바니아남부를 상실했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루마니아와 같이 유고슬라비아의 중요한 동맹국이었던 그리스는 1940년 10월 28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공격을 받았다.그리스를 손 쉽게 점령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무솔리니는 11월 8일, 그리스의 대반격 이후 히틀러에 도움을 청할 수 밖에 없는</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입장이 되었지만, 어쨋든 국경 밖에서 난리가 벌어지고 있었고 이는 유고슬라비아에도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매우 큰 걱정거리였다.<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영국과 프랑스는 유고슬라비아가 그리스와 손을 잡고 발칸반도에서 반 추축국 대열에 참여하기를</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원했지만 섭정 파블레 공은 불가리아까지 추축국에 참여하자 유고슬라비아가 완전히 포위되어</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추축국에 저항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독일은 유고슬라비아에게 즉시 추축국에 가담하라고 요구했고 파블레 공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에서 히틀러와 회담을 가졌다. 히틀러와 회담 이후, 파블레 공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베오그라드에서 내각과 왕가의 요인 등을 소집하여 회의를 열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그 회의에서 1941년 3월 6일, 독일이 유고슬라비아에게 전쟁에 참여하라고 강요하지 않으며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독일군이 유고슬라비아 통과, 주둔이 모두 금지된다면 추축국에 가담하겠다고 결정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나치 독일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후방의 안정을 위해 이 조건들을 수락했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는 3월 20일 추축국에 가담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정계가 독일의 압력에 굴복하여 추축국에 가입하였으나 군부와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반 추축국 정서가 팽배했다. 이는 1차 세계대전 독일, 오스트리아와 전쟁을 하면 남은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반 게르만 정서, 추축국에 가입한 헝가리와 불가리아에 대한 반감, 크로아티아 독립 운동과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마케도니아 독립 운동을 후원하며 유고슬라비아를 약화시키려 획책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파시스트 이탈리아에 대한 증오때문이었다. 복합적으로 추축국 전반에 대해 증오하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군부와 세르비아인들은 3월 20일, 협정이 체결되자마자 행동에 나섰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3월 26일 늦은 밤과 27일 새벽, 세르비아 군부가 영국의 지원 아래 쿠테타를 일으켰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군부의 쿠테타는 세르비아 사회 전반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파블레 공은 쿠테타가 발생하자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즉시 섭정에서 물러나 영국으로 망명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쿠테타세력은 신속하게 정부를 접수하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히틀러의 광기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에는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실패했다. 쿠테타 소식을 들은 히틀러는 3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침공을 명령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20512d9af14e5bb5843cea421b881de911ac4__w445__h321__f43419__Ym201704.jpg" alt="Invasion_of_Yugoslavia_lines_of_attack_Why_We_Fight_no._5.jpg" style="border:medium none;" filesize="43419" height="321" width="445"></div>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br><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독일군 24개 사단, 이탈리아군 22개 사단, 헝가리군 5개 사단, 불가리아 2개 사단이 동원된 침공이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1941년 4월 6일 시작되었다. 추축국의 압도적인 전력과 크로아티아 자치정부의 노골적인 배신은</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가 1941년 4월 17일 추축국에 무조건 항복하게 만들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 일대에 진주한 독일군은 세르비아로부터 그들을 해방한 해방군으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4/1491120614c4b6334a93574d62bda25a78fda3b35c__w1024__h874__f104586__Ym201704.png" alt="Axis_occupation_of_Yugoslavia_1941-43.png" style="border:medium none;" class="chimg_photo" height="573" width="672"></div>유고슬라비아 분할<br><p></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유고슬라비아를 굴복시킨 히틀러는 유고슬라비아를 분할했다. <br></span>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크로아티아는 나치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협력한 우스타샤 정권하에서 크로아티아 독립국을 구성했고</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 슬로베니아는 이탈리아와 독일이 분할했으며 마케도니아의 대부분은 불가리아가 차지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코소보와 서 마케도니아, 달마티아 해안가(이탈리아인이 사는)는 이탈리아가 차지했다.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이탈리아는 알바니아의 종주국으로 알바니아인들이 많이 사는 영토를 차지했고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헝가리는 헝가리인이 많이 사는 보이보디나 일부를 획득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분리되어 몬테네그로는 이탈리아의 괴뢰국으로 세르비아는 독일의 <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군정 치하로 들어갔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br></span></p> <p><span style="font-family:'바탕체', BatangChe;font-size:12pt;">남 슬라브 인의 통일은 일장춘몽이었다.</span></p> <p><br></p> <p><br></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4/03 21:46:43  49.170.***.240  혼블로워  116934
    [2] 2017/04/09 21:42:44  121.100.***.24  왁아조  11358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803
    우리가 지금쓰는 한국어는 언제부터 쓰이던건가요? [4] pero 17/04/04 00:45 1047 1
    27802
    조선시대 최악의 왕은? [1] 좋은연인 17/04/03 22:39 870 0
    27801
    구글지도 이상해요. [4] 엔젤문 17/04/03 22:24 637 1
    27800
    1954년 부산 송도 해수욕장 .jpg [8] 좋은연인 17/04/03 12:36 1730 11
    27799
    1950년 성지 국민학교 아침조례(전교생 5500명,78학급) [1] 좋은연인 17/04/03 12:31 1088 3
    27798
    아이신기오로 - 애신각라 는 신라를 사랑하고 떠올린다는 뜻이 아닙니다. [2] kelynn 17/04/03 11:08 1603 4
    27797
    지켜지지 않은 유언.. [6] 눈물한스푼 17/04/03 10:48 910 4
    27796
    허문도가 전두환한테 버마 순방가자고 꼬드긴게 맞나요? 그네블로 17/04/02 23:51 711 0
    27795
    의병의 서울 진공작전이 성공했다면 어케 되었을 거 같나요? [4] diogenes 17/04/02 18:14 863 1
    27794
    역사공부를 하면서 실로 놀라게 되는 점 [2] 죽창을주세요 17/04/02 17:53 870 2
    세르비아 간략사 4, 전간기 하나의 민족? 역둔토 17/04/02 17:09 591 2
    27792
    자국의 정치 지도자의 생일이 국경일인 경우와 관련해서 궁금한 점 [6] 建國時報 17/04/02 07:00 592 0
    27791
    아적전쟁... 무신 영화를 왜 이케 못 만들었나효? [3] diogenes 17/04/01 21:54 692 0
    27789
    김구와 이승만을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11] 본인삭제금지 夜해 17/04/01 19:44 757 1
    27788
    종이 아깝게 실록같은건 왜 썼는지 모르겠군요 [5] 오유댓글실록 17/04/01 10:00 961 1
    27787
    무료로 보는 4대 성인사이트 [9] 음메송아지 17/04/01 09:22 1907 12
    27786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핵 사용을 안 한 이유 [6] 펌글 VistaPro 17/04/01 07:14 1555 3
    27785
    뉴스타파 - 해방 70년 특별기획 '친일과 망각' [2] 제프버클리 17/03/31 18:59 293 1
    27784
    청나라가 오히려 명나라보다는 우리에게 잘해준 거였군요. [6] diogenes 17/03/31 16:17 1555 4
    27783
    독일이 제대로 된 국가가 된 이유가 뭔가요?? [5] 코코로니 17/03/31 15:13 798 0
    27780
    서울 진공작전이 가능했나요? [12] 사랑한당 17/03/31 01:45 933 0
    27779
    2012년에 몽골의 독립을 인정한 대만 대만산두부 17/03/30 23:04 1395 1
    27778
    목이 잘릴지언정 역사의 죄인은 될 수 없다 [1] 토츠카 17/03/30 19:34 969 3
    27777
    전세계의 유례없는 민주주의를 이룩한 국가 부탄 [2] 하리토 17/03/30 19:04 1303 10
    27776
    주요 이집트 피라미드 역사광황 17/03/30 18:27 1217 3
    27775
    스페인에 대하여 궁금한 점이있습니다 [2] notorious1 17/03/30 17:10 573 0
    27774
    샤를마뉴 대제는 192cm 거구였습니다. [1] 좋은연인 17/03/30 12:39 1088 1
    27773
    조선시대 왕 보다 장수한 `내시`의 삶 [1] 찐한흑맥주 17/03/30 01:51 1348 3
    27772
    대한민국 인구 외부펌금지 고려 17/03/30 01:34 984 3
    27771
    삼안총은 어떻게 사용했을까요? [1] diogenes 17/03/29 23:30 781 0
    [◀이전10개]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