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istory_24244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0
    조회수 : 2646
    IP : 119.31.***.31
    댓글 : 38개
    등록시간 : 2015/11/20 15:45:53
    http://todayhumor.com/?history_24244 모바일
    ‘연나라 강역도’와 조선...동호=고조선?
    <div>실증사학으로 치면 중국입장에선 동호랑 고조선은 같은 존재일까요?</div> <div><br></div> <div>///////////////////</div> <div><br></div> <div><span style="color:#ff0000;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사기’ 흉노열전</span></div> <div><span style="color:#ff0000;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연나라 명장 진개(秦開)가 흉노에 인질로 가 있으면서 그들의 신뢰를 받은 후 돌아와 군대를 이끌고 동호(東胡)를 습격, 패주시켰다. 동호는 1000여리나 후퇴했다. 진개는 훗날 자객인 형가(荊軻)를 수행해서, 진왕(秦王·훗날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던 진무양(秦舞陽)의 할아버지이다. 연나라는 조양, 양평에 이르는 장성을 쌓고~.”</span></font><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div> <div><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font></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위략에 따르면 조선왕이 왕을 칭하는 등 점점 교만해지자 연나라가 장수 진개(秦開)를 파견하여 그 땅의 서방을 공격하여 땅 이천리를 취하였다.”(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조에서 진수가 인용한 ‘위략’ 에서 부분 발췌)</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span style="color:#ff0000;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춘추시대 연나라가 옌산을 넘어 다링허 유역은 물론 랴오둥 반도까지 영역을 넓혔다면 류리허 같은, 아니면 그에 버금가는 유적들이 나와야 한다. 하지만 누누이 강조하지만 옌산 이북부터는 발해연안식 청동단검(비파형 단검) 문화로 대표되는 고조선(기자조선)의 문화가 보일 뿐이다.</span></div> <div><span style="color:#ff0000;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span style="color:#ff0000;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br></div> <div><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5161745255&code=210000" target="_blank">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5161745255&code=210000</a></div> <div><br></div> <div><strong style="margin:0px;padding:0px;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color:#6b6b6b;">조선을 연나라 땅이라고 우기는 中역사서</strong><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연나라는 조양(造陽)에서 양평(襄平)에 이르는 장성을 쌓고 상곡, 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 등 5군을 두어 오랑캐를 방어하였다.”(사기 흉노열전·연소공세가)</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연나라는 전성기 때 일찍이 진번(眞番)과 조선을 공격하여 연나라에 귀속시켜 관리를 설치하고 요새에 성을 쌓았다.”(사기 조선열전)</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div class="article_photo_center"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text-align:center;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width:508px;"> <div class="article_photo_wrap" style="margin:0px;padding:0px;"> <div class="article_photo" style="margin:0px auto;padding:3px;overflow:hidden;clear:both;border:1px solid rgb(204,204,204);max-width:602px;background-color:#f5f5f5;"><img src="http://img.khan.co.kr/news/2008/05/16/20080517.01100123000001.01L.jpg" hspace="1" vspace="1"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none;vertical-align:top;" alt=""><p style="margin:0px;padding:5px 0px 0px 3px;text-align:left;color:#48647c;font-size:11px;line-height:15px;">중국 랴오닝성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국시대 연나라 강역도. 랴오둥은 물론 한반도 청천강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선양 | 김문석기자></p></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overflow:hidden;max-width:492px;text-align:left;"> <div style="margin:0px;padding:0px;height:55px;"><br></div></div></div></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b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연나라가 한반도까지?</b><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이런 자료를 토대로 역사를 요리하는 중국을 보면 부러움 반 자괴감 반의 복잡한 기분이 절로 든다. 랴오닝성 박물관에 붙어있는 전국시대 연나라의 강역도를 보자. 그 경계가 랴오둥(遼東)은 물론 한반도 서북부까지 이른다. 화가 치밀어올라도 어쩔 수 없다. 잘못 대들었다가는 일패도지(一敗塗地)할 수밖에…. 사료를 반박할 그럴듯한 근거를 대라 하면 뾰족한 수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그만한 사료도 갖추지 못했기에 어려울 수밖에 없다. </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고고학적 자료들은 기자(箕子)가 랴오허를 결코 넘지 못했다는 뜻이다. 대신 기자가 정착한 다링허(大凌河) 일대에서는 BC 9세기 무렵부터 기자 일행이 기존의 고조선 세력과 함께 만든 문화, 즉 발해연안식 청동단검(비파형 동검)을 중심으로 한 난산건(南山根) 문화가 성행했다. 또 춘추전국시대 중원의 북방, 즉 중산국과 고조선 등 동이의 나라들과 국경을 맞댄 연나라의 역사를 보면 몇가지 이상한 점을 느낄 수 있다. 주나라 무왕이 은(상)을 멸한 뒤(BC 1046년쯤) 소공(召公) 석(奭)을 연(燕)에 봉했다. </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div class="article_photo_right" style="margin:5px 0px 5px 20px;padding:0px;display:inline-block;float:right;text-align:center;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width:358px;"> <div class="article_photo" style="margin:0px auto;padding:3px;overflow:hidden;clear:both;border:1px solid rgb(204,204,204);max-width:602px;background-color:#f5f5f5;"><img src="http://img.khan.co.kr/news/2008/05/16/20080517.01100123000001.04M.jpg" hspace="1" vspace="1"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none;vertical-align:top;" alt=""><p style="margin:0px;padding:5px 0px 0px 3px;text-align:left;color:#48647c;font-size:11px;line-height:15px;">차오양 십이대영자에서 출토된 청동거울.</p></div></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그런데 소공이 연나라 땅에 분봉을 받았음에도 주나라의 도읍지 풍(豊·지금의 펑이:豊邑) 주변을 맴돌며, 결국은 섬(陝·지금의 허난성 산셴:陝縣)의 서쪽 지방을 관할하는 지위에 오른다는 것이 두고두고 이상한 일이다. 즉 “주나라 2대왕 성왕(成王·BC 1042~BC 1021년)이 소공에게 뤄이(洛邑·뤄양)를 건설하게 했고, 나중에는 섬(陝)의 서쪽 지방을 관장하게 하였다”(사기 주본기·사기 연소공세가)는 기록이 이를 입증한다. 더욱이 주나라 초에는 은(상) 유민들의 반발이 워낙 거셌다. 주 무왕의 동생들인 관숙과 채숙이 은나라 유민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킬 정도였다. 성왕이 즉위한 뒤에야 겨우 산둥성(山東省)에 살던 동이족들을 정벌했을 정도였다. 그만큼 동이족 계열인 은(상)의 반발이 거셌다는 얘기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이는 무왕이 소공을 연에 봉했을 때는 주나라의 세력이 아직은 크지 않았다는 뜻이지. 성왕 초기에도 동쪽인 산둥성에서 헤매고 있었거든…. 은(상)의 항거가 워낙 거셌던 탓에….” (이형구 교수)</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연나라의 유적·유물은 찾을 수 없다</b><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그렇다면 무왕이 소공에게 분봉했다는 연(燕)은 어디일까. </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처음엔 지금의 허난성 옌스(河南省 偃師)일 가능성이 많아요. 언(偃)은 연(燕)자와 같거든. 그리고 성왕 이후에 지금의 베이징 서남쪽인 팡산셴(房山縣) 부근으로 둥지를 옮겼을 겁니다. 역사서에는 연의 도읍지를 지셴(계縣·上都)과 이셴(易縣·下都)이라고 했거든. 어쨌던 류리허(琉璃河)에서 확인된 연나라 왕의 무덤이 그 단서가 될 것 같아요. 류리허에서 서주 초에 축조된 연나라 성터와 왕의 무덤이 발굴되었거든.”</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그런데 이것이 마지막이다. 이 류리허 유적의 북쪽, 즉 옌산(燕山) 이북에서는 전형적인 춘추시대 연나라 유적이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전형적’이라 하면 하나의 세트, 하나의 패턴을 갖춘 유적과 유물의 조합을 뜻한다.</span><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유적이나 유물들이 ‘하나의 문화’, 혹은 ‘하나의 영역’으로 규정되려면 유적·유물이 하나의 정연한 세트를 이뤄 일정한 패턴으로 확인돼야 합니다. 그냥 한 두 점씩 여기저기 흩어져 나온다면 유의미한 문화라 할 수 없어요.”(이 교수)</span></font><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font color="#ff0000">만약 춘추시대 연나라가 옌산을 넘어 다링허 유역은 물론 랴오둥 반도까지 영역을 넓혔다면 류리허 같은, 아니면 그에 버금가는 유적들이 나와야 한다. 하지만 누누이 강조하지만 옌산 이북부터는 발해연안식 청동단검(비파형 단검) 문화로 대표되는 고조선(기자조선)의 문화가 보일 뿐이다.</font></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font color="#ff0000"><b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천하의 유세가 소진(蘇秦)이 남긴 한마디</b><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또 하나 중요한 단서가 ‘전국책’ 연책(燕策)과 ‘사기’ 소진열전 등 사료에 숨어 있다.</span><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전국시대를 혀(舌) 하나로 누빈 합종(合從)의 유세가로 6국의 재상을 겸한 소진(蘇秦)의 유세를 보자. BC 334년 소진은 합종을 위해 연나라로 가서 “연·제·위·한·조·초 등 6국이 합종하지 않으면 강대한 진(秦)나라를 이길 수 없다”고 설파한다. 그러면서 앞세운 말.</span><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연나라는 동쪽으로 조선과 요동에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임호와 누번이 있습니다.(燕東有朝鮮遼東~)”</span><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혀로 천하를 호령한 소진 같은 유세가가 연나라를 중심으로 말을 꺼낸다면 있는 순서대로, 즉 조선→요동 순으로 차례차례 말했다고 보는 게 상식이 아닐까. 그러니까 조선은 요동(랴오둥)의 서쪽, 즉 랴오시(遼西)에 있었다는 말이 아닐까. 또 하나 소진의 말에서 또다른 해석을 할 수 있다면 이 시기, 즉 BC 334년에는 최소한 조선과 랴오둥은 연나라의 영역이 아니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span></font></div> <div><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font></div> <div><b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연나라의 전성기</b><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그렇다면 이 글의 첫머리에 인용한 중국 사료, 즉 연의 강역이 동으로 랴오둥을 넘어 한반도까지 이른다는 기록은 어찌된 것인가.</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여기에는 한가지 오해가 있다. 우선 춘추시대 연나라의 강역에 대한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지금 ‘사기’ 연소공세가와 조선열전, 흉노열전 등에 나오는 연나라의 강역은 전국시대 중기~말기, 즉 연나라 전성기의 기록이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연나라는 밖으로 만맥(蠻貊·북동쪽 동이족을 멸시한 명칭일 것) 등 여러 종족과 대항하고, 안으로는 제(齊)와 진(晉) 등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느라 국력이 가장 약했고, 망할 뻔 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하지만 800~900년간 사직을 보존했으며~.”</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사마천의 논평(연소공세가)은 전국 7웅이지만 국력이 가장 약한 연나라에 대한 연민을 표현한 것이다. 하기야 그랬을 것이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C 316년, 연왕 쾌(쾌)가 재상인 자지(子之)에게 왕권을 넘겨주자 연나라는 큰 혼란에 빠졌는데, 이 때를 틈타 제나라와 중산국이 손을 잡고 연나라를 쳤다.(경향신문 4월26일자 참조) 이때 중산국에 땅 500리와 성 10곳을 빼앗기는 수모를 겪고(314년), 나라는 거의 망국에 이른다. 이 때 등장한 이가 바로 연나라의 중흥군주 소왕(昭王·재위 BC 311~BC 279년)이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소왕은 인재를 널리 구하는 데 힘썼다. 군사전략가인 악의(樂毅·BC 406년 중산국을 멸한 위나라 악양의 후손)가 위(魏)에서, 음양오행에 해박한 추연(趨衍)이 제나라에서, 힘이 장사인 극신(劇辛)이 조나라에서 일제히 달려왔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소왕은 BC 283년 무렵 진(秦), 초, 한, 조, 위 등과 함께 제나라에 대한 복수를 감행했다. 다섯 나라 중 유일하게 연나라 군사만이 제나라 수도 임치(臨淄)까지 진입, 제나라의 궁묘와 종묘를 불살라 버렸다. 제나라 성 가운데는 즉묵(卽墨·산동성 핑두셴:平度縣) 등 3성만이 남았고 나머지는 모두 연나라에 속했다. 이번에는 반대로 제나라가 6년간 멸망 일보 직전까지 몰린 것이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 진개의 침략</b><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font color="#ff0000"><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그런데 이 글의 맨 처음에 인용한 ‘사기’ 흉노열전을 보면 재미있는 기록이 나온다.</span><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연나라 명장 진개(秦開)가 흉노에 인질로 가 있으면서 그들의 신뢰를 받은 후 돌아와 군대를 이끌고 동호(東胡)를 습격, 패주시켰다. 동호는 1000여리나 후퇴했다. 진개는 훗날 자객인 형가(荊軻)를 수행해서, 진왕(秦王·훗날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던 진무양(秦舞陽)의 할아버지이다. 연나라는 조양, 양평에 이르는 장성을 쌓고~.”</span></font><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이제 이 문제의 인물인 ‘진개’가 등장한다. 진개는 언제 적 사람인가. 기록에는 나오지 않지만 유명한 ‘형가의 진시황 암살미수 사건’에서 추론할 수 있다. 형가 사건이 일어난 것이 BC 227년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형가를 수행한 진무양의 할아버지인 진개는 연 소왕의 전성기, 즉 BC 283~BC 279년 사이에 활약했던 장수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자, 진개란 인물이 또 한 번 등장하는, 그 유명한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韓)조를 보자. </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조선후(朝鮮侯) 준(準)이 감히 왕(王)을 칭하였다. 연나라 망명인인 위만(衛滿)이 공격하여 (기자조선을) 빼앗았다.”</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그런데 이 단 한 줄에 불과한 이 기록에 덧붙여 ‘삼국지’의 저자 진수(陳壽·AD 233~297년)는 ‘위략(魏略)’이라는 역사서를 장황하게 인용한다. 전체적인 내용과 풀이는 다음 회로 넘기기로 하고 연나라의 강역 부분만 인용해보면…. </span><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위략에 따르면 조선왕이 왕을 칭하는 등 점점 교만해지자 연나라가 장수 진개(秦開)를 파견하여 그 땅의 서방을 공격하여 땅 이천리를 취하였다.”(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조에서 진수가 인용한 ‘위략’ 에서 부분 발췌)</span></div> <div><span style="color:#444444;font-family:Gulim, Dotum, Arial, Helvetica;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div> <div><font color="#444444" face="Gulim, Dotum, Arial, Helvetica"><span style="font-size:14px;line-height:25px;">...............</span></font></div> <div><font color="#444444" face="Gulim, Dotum, Arial, Helvetica"><span style="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font></div> <div><font color="#444444" face="Gulim, Dotum, Arial, Helvetica"><span style="font-size:14px;line-height:25px;"><br></span></font></div>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5161745255&code=210000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253
    역사교과서 국정화, 치명적인 문제점 [6] wiki 15/11/21 18:59 684 12
    24252
    제 1차 세계대전에서는 연합국이 더 멍청했나요?? [16] 자두먹고싶어 15/11/21 12:29 1240 0
    24251
    왜 고구려가 마한인가에 대하여 [15] 고려 15/11/21 06:51 3334 10
    24250
    고구려가 왜 삼한인가요? [10] 에바임 15/11/21 04:28 864 0
    24247
    한국 학생운동 위축과 소련의 몰락에 관한 생각 [12] Athalwolf 15/11/20 22:35 753 0
    24246
    예전에 한번 상상해봤던것. [23] 방향치 15/11/20 21:04 608 0
    24245
    "한일병합 양국 문서 동일 필체..불법 흔적"<학술회의> [5] 유체이탈각하 15/11/20 18:57 538 2
    ‘연나라 강역도’와 조선...동호=고조선? [38] 잠룡815 15/11/20 15:45 2647 0
    24243
    최태성 국사 선생님 [74] 펌글 동물의피 15/11/20 15:44 1522 19
    24241
    선진국 간의 싸움에서 슬기롭게 대처한 약소국의 사례가 있을까요?? [9] 본인삭제금지 2DO 15/11/20 14:43 563 0
    24240
    식민지에서의 근대화? [124] 친일파박살 15/11/20 12:51 1243 15/9
    24239
    전쟁은 끝날것인가 - Kurzgesagt [2] 아케이드 15/11/20 12:45 507 5
    24237
    [국정교과서] 국정교과서 반대 북펀딩에 참여해주세요 창작글본인삭제금지 ArD아드ArD 15/11/20 09:31 591 1
    24235
    밑에 새누리당 글 웃김 [18] 3dArtist 15/11/20 00:41 715 2
    24233
    본삭금))사극속 역사 검증 오류에 관한 ppt를 만들고 있어요! [5] 본인삭제금지 앗살라쿰 15/11/19 23:55 767 0
    24232
    박정희의_유지.jpg [4] Desert_Fox 15/11/19 20:04 1165 2
    24230
    앞으로 다카키 근혜라고 부릅시다 [9] 창작글 친일매국노척결 15/11/19 17:51 981 2
    24228
    설민석 조선왕조실록 공짜로 들을 수 있음 ㅋㅋ 아이유자차 15/11/19 17:03 5479 0
    24227
    [정보공유] 리*북스 역사책 무료 이벤트입니다 :) [2] 앙꼬맹이 15/11/19 16:50 474 1
    24226
    한국 IMF사태와 아시아 금융위기(1997년)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3] 역사광황 15/11/19 16:09 2423 10
    24224
    친일파 박살님의 글에대한 반박 [39] 호러씨 15/11/19 14:04 1333 4/5
    24223
    정도전이 그린 조선은 거의 완벽한 철인 시스템 국가 [23] 창작글본인삭제금지 Lynn 15/11/19 11:09 1407 14
    24222
    대한민국 유신 vs 스와질란드 왕정체제 [7] 잠룡815 15/11/19 10:35 909 5
    24221
    1922년, 투탕카멘 무덤 발견 당시의 컬러 사진 [21] 펌글 210240 15/11/19 06:57 2319 12
    24220
    와 이거 진짜 모르면 당하는거군요 [9] 말이씨 15/11/19 00:07 988 0
    24219
    김창용 아직 현충원에 있습니까? [2] 임경업 15/11/18 16:56 1651 3
    24218
    식근론은 쓰레기였다. [237] 친일파박살 15/11/18 14:12 3368 18
    24217
    이승만은 제헌국회의원 선거에서 서북청년단 도움으로 무투표 당선.jpg [3] Desert_Fox 15/11/18 11:53 767 4
    24216
    우리나라 근대화 시켜준건 미국이 아닐까요? [70] 통베리 15/11/18 10:50 985 2
    24214
    카의 역사해석 [2] 창작글 개똥삼개 15/11/18 04:25 670 0
    [◀이전10개]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