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sisaarch_135
    작성자 : Solidarite
    추천 : 4
    조회수 : 572
    IP : 183.109.***.188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3/12/15 23:52:57
    http://todayhumor.com/?sisaarch_135 모바일
    [미디어]“한국, 다른 나라 민영화 단계 그대로 진행… 박 대통령, 프랑
    <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target="_blank">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a> <div><br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26px; letter-spacing: -2px; line-height: 35px; background-color: #f5f5f5">“한국, 다른 나라 민영화 단계 그대로 진행… 박 대통령, 프랑스 방문해 시장 개방 약속”</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26px; letter-spacing: -2px; line-height: 35px; background-color: #f5f5f5"><br /></span></div> <div><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color: #6b6b6b">ㆍ외스타인 아슬락센 국제운수노련 철도분과 의장</strong><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color: #6b6b6b">ㆍ“이윤 추구 철도 민영화는 세계적으로 실패한 <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cursor: default">모델</a>”</strong><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외스타인 아슬락센 국제운수노련 철도분과 의장(62·사진)은 “한국 정부는 말 따로, 행동 따로”라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철도 민영화를 위한 필수적인 전 단계가 사업 분리이며 한국 정부도 민영화는 아니라면서 이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이다. 아슬락센 의장은 철도노조와 정부 간의 대화를 촉구하기 위해 방한했다. 그는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노르웨이</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출신으로 40년간 철도 기관사로 근무했다.</span><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 <div class="article_photo_right" style="margin: 5px 0px 5px 20px; padding: 0px; display: inline-block;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width: 208px"><div class="article_photo" style="margin: 0px; padding: 3px; overflow: hidden; clear: both; border: 1px solid rgb(204, 204, 204); background-color: #f5f5f5"><img src="http://img.khan.co.kr/news/2013/12/15/l_2013121601002342000183181.jpg" width="200" hspace="1" vspace="1"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none; outline: none; vertical-align: top" alt="" /></div> <div id="divBox" style="margin: 0px; padding: 0px"><iframe src="http://p.lumieyes.com/frm2_dv.asp?domain=news.khan.co.kr&q=&refer=http%3A//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3Fartid%3D201312152130205%26code%3D920100&cate=null&pidx=7&aeidx=30" width="200" frameborder="0" scrolling="no" height="50px" style="margin: 0px; padding: 0px"></iframe></div></div><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아슬락센 의장은 15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세계 각국의 철도 민영화 순서를 보면 첫 번째가 시설과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운영</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분리이며, 두 번째로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공기업</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을 여러 회사로 나누는 것”이라면서 “한국에서는 첫 단계가 이미 진행됐고 이제 두 번째 단계로 진입하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span><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아슬락센 의장은 “한국 정부가 대외적으로 철도시장 개방 의사를 밝힌 것도 그 연장선”이라고 주목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초국적 운수 기업들이 있는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프랑스</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를 방문해 철도시장 개방을 약속하지 않았느냐”며 “다른 나라에서 진행된 민영화 단계를 그대로 밟으면서 개방 의지까지 보이기 때문에 정부가 ‘민영화 안 한다’는 얘기를 믿을 수 없다. 믿지 말라”고 말했다.</span><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철도 민영화는 세계적으로 실패한 모델이며 유럽 일부 국가에서 추진 중인 민영화는 이윤 추구를 위한 정치적 성격이 강하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아슬락센 의장은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철도 민영화는 실패했고,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뉴질랜드</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는 재국유화하며 민간 매각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대금</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의 2배에 달하는 엄청난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면서 “유럽에서 합리적 요금으로 철도가 가장 잘 운영되는 나라는 스위스이며 국영이다. 민간 회사나 이윤을 추구하는 연기금들은 투자는 제대로 하지 않고 이윤 챙기기에 급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연합(EU)의 전문가 그룹이 내놓은 정책보고서에서도 ‘철도 민영화는 합리적 근거가 없으며 정치적 성격이 강하다’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전했다.</span><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br />그는 대형 철도사고를 겪고 재국유화에 나선 영국 사례를 반추하며 민영화의 치명적인 폐해는 안전 문제라고 했다. 아슬락센 의장은 “특히 한국은 위험하다”고 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철도사고가 발생했을 때 철저히 근본 원인을 밝혀내기보다는 노동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분할되면 그런 경향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span><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한국 정부가 철도 파업에 대해 형사처벌과 직위해제 등 </span><a target="_blank" h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2152130205&code=920100" class="dklink"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00309c; font-size: 14px;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line-height: 25px; cursor: default">강경</a><span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대응을 하는 데 대해서는 “놀랐다”고 했다. 아슬락센 의장은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에 비춰보면 철도는 필수 공익사업장이 아닌데도 철도노조는 필수 업무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준법 파업을 벌이는 노동자들을 직위해제하고 형사처벌하려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 어울리지 않는다. 중동의 독재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을 한국에서 보리라고는 생각지 못했다”고 말했다.</span><br style="color: #444444; font-family: Gulim, Dotum, Arial, Helvetica; font-size: 14px; line-height: 25px" /></div>
    Solidarite의 꼬릿말입니다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389670QkfZKS7WZH8yLX39Q82Zz8d6UNJsN.png" width="800">BerrkeSY 꼬릿말 생성기 TAILMAKER</IMG>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2/16 01:19:47  123.213.***.97  느므즈흐  300865
    [2] 2013/12/19 16:02:04  223.33.***.93  쿨맥  181122
    [3] 2013/12/21 01:36:33  118.223.***.43  윗동네청년  191845
    [4] 2013/12/23 01:08:23  203.226.***.33  Teemo  253694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3
    [기타]노무현 정부 관련 기사 모음 [2] Iamtalker 14/01/29 13:26 1323 5
    219
    [기타]통합진보당 조직적인 여론조작에 대한 자료 (추가) 바람따라 14/01/27 00:53 989 10
    218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나는 일 요약문 [1] 덴바림 14/01/24 13:56 1584 11
    217
    [미디어]인도의 밀양, 인도의 강정마을 - 오디샤 (포스코의 해외진출) yoo72 14/01/19 02:27 1254 5
    216
    [미디어]6월 민주항쟁 - 다시 오라, 민주의 봄이여!! yoo72 14/01/17 18:55 827 1
    215
    2009년 쌍용차사태 당시 민노당 dbdbdbdb 14/01/17 18:19 1003 0
    211
    [기사] 김무성 여기자 성추행 [2] 쥐바기 14/01/13 20:20 2215 11
    205
    [미디어]노무현이 꿈꾼 나라, 우리가 꿈꾸는 나라 [3] yoo72 14/01/04 06:26 1632 12
    203
    버러지랑 대화를 하고싶지 않은 이유 게리리 14/01/03 14:33 1109 1
    197
    [기사] 만델라도 여기선 ‘종북’ 혹은 ‘빨갱이’였겠죠? [2] chamsaebang 13/12/30 20:10 906 2
    194
    [기사]철도민영화 관련 증거 링크 모음 -내용 추가 계속 진행중 [3] Greenwich 13/12/29 23:24 904 4
    193
    [기사] 법 주무르며 누린 ‘기춘대원군’의 40년 권력 [1] chamsaebang 13/12/29 18:46 1240 0
    184
    [미디어]반면교사 [反面敎師] yoo72 13/12/28 12:23 883 1
    181
    [미디어]수서발 KTX - 겉 다르고 속 다른 국토부 yoo72 13/12/28 09:22 866 1
    179
    Correlation Analysis : Korea 양봉업자 13/12/27 20:54 761 0
    178
    [기타]2 개인자료 -코레일 복리후생 - 졸라화나네 13/12/27 18:58 1437 0
    177
    [기타]1-개인자료 -코레일 - 파업 대체인력 공개모집( 일용직 ) [1] 졸라화나네 13/12/27 18:34 776 0
    172
    [통계]역대정부동안 민영화된 기업수(부제: 참여정부 민영화갯수).jpg [3] 군대민영화 13/12/25 22:37 1172 14
    166
    노무현 전대통령 출마연설 오유야안녕¿ 13/12/24 10:23 1143 2
    165
    [기사] 혈서 관련 육군성 징모과 스크랩 모음 디스퀘어드2 13/12/24 08:35 1072 5
    159
    [통계]인당 공공복지지출 2003-2010, 참여정부 2배 상승 [1] 늑대와호랑이 13/12/21 19:57 621 1
    158
    [기사] 노무현과 신자유주의, 그리고 세계경제흐름 쇠소깍 13/12/21 11:47 1035 4
    157
    [노무현재단] 2007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관련 소책자 늑대와호랑이 13/12/20 16:41 597 1
    153
    [기타]일베의 만행. [10] 쉘든쿠퍼 13/12/19 06:58 4474 40
    151
    [미디어]지식채널e - 동아일보 해직 기자 (한겨레의 탄생) [2] 시망새 13/12/18 01:51 860 3
    140
    탈선·화재 빈발하는 일본 철도…"범인은 민영화" 상낙아정 13/12/16 01:45 856 4
    139
    영국, 철도 민영화 후 안전사고 급증… 요금도 15년 새 2배 상낙아정 13/12/16 01:44 703 4
    138
    [미디어]정부의 의료민영화정책, 정확히 어떤 내용인가? 상낙아정 13/12/16 01:33 946 6
    137
    코레일 사장 최연혜의 철도민영화 말바꾸기 할라이 13/12/16 01:01 813 2
    136
    철도 민영화와 관련한 일베측의 거짓선동에 대한 반박문.TXT [38] 상낙아정 13/12/16 00:57 2001 39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