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istory_11195
    작성자 : Nardien
    추천 : 16
    조회수 : 9956
    IP : 218.153.***.60
    댓글 : 26개
    등록시간 : 2013/08/18 08:39:52
    http://todayhumor.com/?history_11195 모바일
    암체어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장군 100인
    1.png
    2.png


    이글은 미국의 군사잡지 암체어에서 2008년에 선정한 가장 위대한 장군 100인을 기반으로 20위까지
    평소 알았거나 인터넷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입니다.


    주말 심심해서 100위까지 설명 붙이려다가 귀찮아서 한 10위 이후론 대충대충 쓰고 넘어가고
    20위 이후론 도저히 안되겠어서 그냥 넘어갔으니 양해를;;


    참고로 이순신 장군님은 54위로, 수군 장군들 중에서 영란전쟁을 승리로 이끈 네덜란드의 전설적인 영웅
    드 로이테르(39위)와 그리스의 영웅 테미스토클레스(47위)를 제외하고 수군 제독중 가장 순위가 높습니다.






    1.Ghenghis Khan
    칭기즈칸 - 몽골
    칭기즈 칸.png
        
     "모두가 내 발 밑에 쓰러지긴 전에는 승리했다고 말하지 마라."

    일명 신이 내린 징벌(이건 훈족의 왕 아탈라의 별명이기도 하다.)
    몽골제국의 시조. 역사상 단일왕으로서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남자. 금, 호라즘 등 아시아 전역을 휩쓸었고 
    그의 후손들은 그의 유산을 받아 거의 세계를 정복할 뻔 했었다. 이때 벌인 학살극으로 거의 전세계의 공적으로 여겨졌었다. 
    몽골을 통일한 이후에 호라즘의 잘랄 웃 딘에게 부하장수가 패한것을 제외하곤 단 한번도 패한 적이 없다. 
    물론 자신이 직접 지휘한 경우엔 패배한 적이 아예 없었고.

    2.Alexander the Great
    알렉산더 - 마케도니아
    알랙산더 대왕.png

     "두려움을 정복하는 자가 세계를 정복한다."

    일명 신의 아들.(이라고 부르라고 자기가 명령을 내렸다;;)
    마케도니아의 왕. 망치와 모루 전술을 정립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스를 정복하고 고대시대에 최강대국이었던 페르시아를 무너뜨리고 
    인도까지 이르렀다. 유명한 전투로는 4만명으로 11만의 페르시아군을 깨뜨린 이소스전투나 약 5만명으로 10만이 넘는(이는 확실하지 않다.) 
    페르시아군을 깨뜨린 가우가멜라 전투가 있다. 평생 단 한번의 패배도 겪지 않았다.

    3.Timur
    티무르 - 티무르 
    티무르.png

    "힘은 공평에서 나온다."

    일명 절름발이 티무르. (진짜로 절름발이였다.)
     티무르 제국의 건국자. 스스로 칭기즈칸의 후예라고 칭했으며 실제로 그의 전술은 칭기즈칸의 그것과 비슷했다고 한다. 
    오스만 제국을 꺾고 이슬람 국가들을 정복했으며 인도까지 손을 뻗었다. 
    가장 유명한 일로는 당시 뇌제라고 불렸던 바예지드 1세를 패배시킨 일이 있다. 
    말년에는 20만 병력을 이끌고 명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다가 병사. 만약 티무르가 더 오래 살아있었다면 동아시아의 역사가 
    통째로 뒤집혔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당시 명나라 황제는 영락제잖아...?)티무르 역시 자신의 세력을 갖춘 뒤 한번의 패배도 겪지 않았다.

    4.Khalid Ibn Al Walid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 - 아랍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png

    "그는 무슬림들을 위해서 신께서 선택하신 방패였네. 그의 가슴은 모든 증오와 분노로부터 순수했었지."
    -우마르, 이슬람의 칼리프-

     일명 알라께서 뽑아드신 검(the Drawn Sword of God).
    이슬람의 명장. 아라비아 반도를 통일했고 사산조 페르시아를 멸망시켰고 비잔티움 제국을 패배시켜 시리아에서 몰아내게 된다. 
    이슬람이 세계적인 종교로 발돋음하게 만든 장본인. 거의 대부분의 전투를 열세로 치뤘다. 
    유명한 전투로는 4만명으로 14만의 비잔티움 제국군을 무찌른 아르무크 전투가 유명. 이 인간도 단 한번도 패배한 적이 없다(;;)
    훗날 군사직에서 물러나게 되는데, 그 이유가 너무 잘 싸워서(;;) 민중들이 그를 우상화하기 시작했고 그의 신격화를 두려워 한 우마르가 해임했다. 
    덕분에 제대로 된 초상화 하나 없다고.
    아 참고로, 이때 할리드에게 발리던 비잔티움의 황제가 그 유명한 헤라클리우스. 누구냐고? 바로 이 항목 34위에 랭크되어 있는 양반.

    5.Napoleon Bonaparte
    나폴레옹 - 혁명 프랑스
    나폴레옹.png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최고의 전략가는 나폴레옹!"
    -아서 웰즐리

    일명 꼬마 부사관.
    프랑스의 장군이자 황제. 프랑스 대혁명 이후 위기에 처한 프랑스에 홀연히 나타나 전유럽을 발라버리고 황제가 된 사나이. 
    '작전술'이라는 개념을 정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 군사학에 쓰이는 사단이니 여단이니 하는 용어들은 바로 나폴레옹에게서 나온 것. 
    포병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따를 사람이 없었다고. 이 한사람을 깨뜨리기 위해 전유럽이 7번이나 동맹을 맺어야 했다. 
    다만, 위의 양반들과는 다르게 나폴레옹은 패배한 적이 있었으며(대표적으로 워털루 전투.) 끝내 몰락하고 말았다;; 
    하긴 당시엔 사관학교 등 근대적 교육의 영향으로 고대에 비해 전체적인 지휘관의 수준이 높았으니까. 
    두명의 황제(오스트리아, 러시아)를 격파한 아우슈털리츠 전투와 13만 5천으로 21만 4천의 연합군을 갈아엎은 드레스덴 전투가 유명.

    6.Subotai
    수부타이 - 몽골
    수부타이.png


    일명 용맹한 수부타이.
     칭기즈칸이 가장 신임했다는 사준사구중 한명. 금나라 정벌 때 빼고는 패배한 적도 별로 없었고, 생애 20번의 원정 동안 65번의 싸움에서 승리했고 
    갈아버린 나라만 32개(…). 또 싸워본 문화권만 해도 몽골계(칭기즈 칸의 몽골 통일 시절), 중국계, 중동계, 유럽계로 
    그 당시 존재하던 거의 모든 문화권의 군대를 쓰러뜨렸다. 유럽 정벌중 칸이 죽는 바람에 완수하지 못하고 귀환.
    여담이지만 What if? 라고 역사학자들이 모여서 대체역사를 쓴 책이 있는데, 만약 수부타이가 유럽정벌을 계속했다면  
    로마, 뮌헨, 빈, 파리, 브뤼셀은 개발살나고, 종교 개혁은 없었을 것이며, 
    몽골인들은 로마 교황을 잡아다가 그네들의 방식으로 처형했을 것이고, 유럽 대륙은 몽골군의 목초지가 되었을 거라고 가정하고 있다.
    다만, 평지가 많던 아시아 지역과 달리 숲이 우거진 서유럽에선 고전했을거라는 전망도 있다. 
    실제로 몽골군도 동유럽에서 중갑기사단을 상대로는 상당히 고전했었고.

    7.Chandragupta Maurya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 마우리아
    찬드리굽타 마우리아.png

     마우리아 제국의 창시자. 마케도니아의 알랙산더 대왕이 인도에 남겨두었던 군대를 격파하고 인도 대부분을 통일하였다. 
    솔직히 이사람은 잘 모르겠다. (;;) 인도역사에 정통하신 분이 있다면 추가바람.

    8.Cyrus the Great
    키루스 대제 - 페르시아
    키루스.png

    "아무리 제왕이라도 죽을 때는 빈손으로 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나 또한 여기서 그냥 빈 손으로 가고 이렇게 작은 쉼터에서 쉬고 싶을 뿐. 이름모를 제왕이여, 그대는 나의 잠을 깨우지 말길. 빈손으로 가는데 화려한 보물이 뭐하러 필요하겠는가? 
    어차피 그대도 빈손으로 가기 마련이다."
    -키루스 무덤의 글귀. 여담이지만 이 글을 읽은 이는 알랙산더 대왕.

     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왕. 메디아를 정복하고 리디아를 무너뜨렸으며 신 바빌로니아를 멸망시켰다. 페르시아를 세계적인 제국으로 발전시켰던 왕. 
    그러나 너무 전쟁을 좋아하다가 결국 매복에 걸려서 전사.

    9.Gustav II Adolf
    구스타브 2세 - 스웨덴
    구스타브 2세.png

    "나는 내 생명을 내걸고 그대들과 함께 피를 흘릴 준비가 되어 있다."

     일명 북방의 사자왕.
    스웨덴의 왕. 약소국이던 스웨덴을 북유럽의 최강국으로 만들었던 사나이. 30년 전쟁에서 제3차인 스웨덴 전쟁을 일으켜 티리 백작을 전사시키고 
    연전연승. 끝내 신성로마제국은 내쫓았었던 명장 발렌슈타인을 다시 불러들여 군사를 맡길 수밖에 없었다. 
    치열한 싸움 끝에 구스타브는 뤼첸에서 발렌슈타인을 패배시켰으나, 결국 전사하고 말았다.

    10.Hannibal Barca
    한니발 - 카르타고
    한니발 바르카.png

    "우리는 길을 찾아내거나, 아니면 만들어낼 것이다."

     일명 전략의 아버지(father of strategy).
    카르타고의 장군. 어렸을때 아버지를 따라 신전에 가서 로마를 멸망시키겠다고 맹세했다고 한다. 
    그 험난하다는 알프스를 넘어서 로마를 기습침공, 제2차 포에니전쟁에서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단 한번의 전투를 제외하고 진적이 없었다. 
    근데 왜 패했냐고? 그 10년동안 한니발을 제외한 카르타고 장군들은 단 한번을 제외하고(;;) 모두 졌으니까.  
    유명한 전투로는 5만명으로 8만 6천의 로마군을 패배시킨, 역사상 가장 완벽한 전투였다는 칸나이 전투가 있다.

    11.Babur
    바부르 - 무굴
    바부르.png

    “나에게 다른 것보다는 드높은 이름을 주시고 흡족한 마음으로 죽게 하소서. 
    그리고 그 명예가 나의 것이 된다면 죽음이 육신을 거두게 하소서“

     무굴제국의 창시자. 티무르와 칭기즈칸의 후예라고 주장했다. 로디왕조를 무찌르고 라지푸트인들을 관광보내며 
    무굴제국을 세우고 황제로 즉위했다. 유명한 전투로는 2만 5천으로 10만의 라지푸트군을 패배시킨 칸와전투가 있다.

    12.Modu Shanyu
    묵돌 선우 - 흉노
    묵돌 선우.png

     "천지가 낳으시고 일월이 세우신 흉노의 대선우가 삼가 한나라 황제에게 묻는다. 무사한가?"

    일명 바토르(영웅).
    흉노의 2대선우. 만주의 유목민 동호를 몰락시키고 서쪽의 월지를 격파하고 남쪽의 누번, 백양까지 접수하여 
    과거 진나라의 몽염에게 빼앗긴 땅의 대부분을 회수하기에 이른다. 북쪽으로는 혼유, 굴석, 정령, 격곤, 신려 5개국을 복속시켰다. 
    이때쯤 중국을 통일한 한고조와 싸우게 되는데 묵돌은 유방을 약 40만의 군대로 포위, 패배시킨다.

    13.Juliu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 - 로마
    율리우스 카이사르.png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일명 운명의 총아.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 갈리아의 영웅, 베르킨게토릭스를 꺾고 갈리아 전역을 7년만에 제패하였다. 
    이후 내전을 일으켜 히스파니아 전쟁, 아프리카 전쟁에서 승리하고 최종적으로 폼페이우스를 꺾고 로마의 종신 독재관 자리에 오르게 된다. 
    유명한 전투로는 5만명의 병력으로 성을 포위, 8만의 농성군과 26만의 포위군에게 역포위당한 상태에서 승리한 알레시아 전투가 있다.

    14.Han Xin
    한신 - 한
    한신.png
    "상(上)께서는 천하를 취하고 싶지 않으신가? 그렇다면 이 장사를 참하라!"
    -이 말을 듣고 한고조는 사형수였던 한신을 등용하게 된다-

    한나라의 장군. 단 3만의 병력을 이끌고 시작하여 여섯개의 나라를 무너뜨렸으며, 두 명의 왕을 사로잡았고, 한명의 왕을 참살했다. 
    그 기간은 불과 몇년에 불과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기동전, 배수진, 우회공격, 전면전 등 온갖 방식의 전투 방법을 총동원 했다.
     그리고 끝내 항우를 꺾고 한고조를 천하의 주인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후 진희의 반란에 연루되어 참수당했다. 이때 나온 말이 토사구팽. 대표적인 전투로는 해하전투가 있다.
     
    15.Belisarius
    벨리사리우스 - 비잔틴
    벨리사리우스.png

    일명 최후의 로마인(근데 이 칭호 받은 사람이 수십명이 넘는데;;)
     비잔틴 제국의 장군. 아프리카의 반달족을 깨뜨리고 이탈리아의 동고트왕국과 전쟁을 벌여 로마를 수복했으며 남부 스페인을 정복했다. 
    다른 장군들과 구별되는 특징으로는 황제가 그를 신임하지 않았기에 매우 적은 병력만으로 사지에 보냈다는 점이다. 
    아프리카에서는 고작 만오천명으로 십만의 반달족과 싸웠고 이후 약 2만명의 병력으로 15만이 있던 동고트왕국과 전쟁을 벌여야 했다. 
    그리고 모두 이기고 돌아왔다.(;;) 
    이런 사실때문에 선조의 신임을 얻지 못한채 싸웠던 이순신과 비교하는 사람도 많다고. 대표적인 전투로는 다라전투가 있다.

    16.Mahmud of Ghazni
    마흐무드 - 가즈니
    가즈니의 마호무드.png

    가즈니의 술탄. 인도를 상대로 17번 정복전쟁을 벌였다. 굳이 멸망시키지 않고 계속 전쟁을 벌인 이유는 전쟁 목적이 금이었기 때문이라고. 
    매년 수확기가 되자마자 군대를 이끌고 약탈하고 다음해 다시 오고를 계속 반복했다고 한다. 이 사람도 자세한 것은 모르겠다.

    17.Selim I
    셀림 1세 - 오스만 투르크
    셀림 1세.png

    일명 냉혈한(Yavuz) 

     오스만 제국의 술탄. 페르시아군을 무찌르고 마멜루크 왕조를 패배시켜 중아시아와 서아시아를 지배했다. 
    이후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를 공격해 멸망시키고 이슬람 세계의 칼리파 자리를 얻게 된다. 
    8년이란 짧은 재위기간이었지만 그동안 영토를 두배이상 확장하였다.

    18.Helmuth Karl Bernhard von Moltke
    헬무트 폰 몰트케 - 독일
    몰트케.png

    “단호하지 않은 명령은 불확실에 대한 복종을 낳는다.”

     프로이센의 장군이자 독일 제국의 장군. 근대적 참모 제도의 창시자로도 유명하다. 
    강대국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보불전쟁에서 나폴레옹 3세를 포로로 잡는다. 
    비스마르크는 이 두번의 승리로 분열되어있던 독일 연방을 통일하고 독일 제국을 선포하게 된다. 
    이로서 변방의 프로이센은 순식간에 유럽의 중심으로 올라올수 있었다. 오스트리아군 24만명을 패배시킨 쾨니히그레츠 전투와 
    메츠요새에서 병력 13만을 포위, 이걸 미끼로 해서 나폴레옹 3세가 이끌던 12만 병력을 스당 요새에서 역포위시켜 항복을 받아낸 일이 유명.

    19.Scipio Africanus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 로마
    스키피오.png

    "나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를 고발하는 자의 기소 이유에 귀를 기울이는 것은 
    로마 시민에게 어울리는 행위라고 생각되지 않소. 이 스키피오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지금 스키피오를 고발하는 자들도 
    고발할 자유는커녕 육신조차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오."

     일명 아프리카누스(아프리카를 정복한 자.)
    로마의 장군. 제2차 포에니 전쟁 중에 스키피오는 그의 아버지에게 모든 생애를 카르타고와의 전쟁에 바치겠다고 맹세하였다고 한다.
    스키피오는 스페인을 정복하고 북아프리카로 건너가 카르타고를 멸망직전까지 몰아붙였으며, 
    이후 귀환한 한니발을 패배시켜 제2차 포에니전쟁을 끝냈다. 
    유명한 전투로는 4만8천의 병력으로 7만4천의 카르타고군을 패배시킨 일리아 전투와 
    한니발에게 유일한 패배를 안겨준 자마전투가 있다. (하지만 이때 한니발의 처지가 원체 안습했던 지라;;)

    20.Henri de La Tour d'Auvergne de Turenne         
    튀렌 - 프랑스
    튀렌.png

    프랑스의 장군. 프롱드의 난 때 반왕당파에 가담했으나 왕당파로 돌아와 궁정군 총사령관으로 반란군을 궤멸시켰다. 
    에스파냐를 공략해 됭케르크의승리를 도왔고 플랑드르전쟁, 네덜란드전쟁의 총사령관으로 참전했다. 완벽했던 군인으로 유명했으며 
    프랑스 역사상 단 6명뿐이었던 대원수의 자리에 올랐다. 이 사람도 자세한 것은 모르겠다(;;)
     
    21.Thutmose III        
    투트모스 3세 - 이집트       
     
    22.Nadir Shah         
    나디르 샤 - 아프샤르
     
    23.John Churchill (Duke of Marlborough)     
    말버러 - 영국       
     
    24.Garuchinring       
    가르친링 - 토번        
     
    25.Agolta         
    아골타 - 금       
     
    26.Gonzalo de Cordoba      
    곤살로 데 코르도바 - 스페인        
     
    27.Aleksandr Suvorov         
    수보로프 - 러시아    
     
    28.Jan Karol Chodkiewicz     
    얀 코드키에비츠 - 폴란드         
     
    29.Suppiluliuma I       
    수필룰리우마스 1세 - 히타이트       
     
    30.Albrecht Wallenstein        
    발렌슈타인 - 신성로마      
     
    31.Maurice of Nassau         
    마우리츠 나사우 - 네덜란드        
     
    32.Sir Arthur Wellesley (Duke of Wellington)       
    웰링턴 - 영국         
     
    33.Ismail I      
    이스마일 1세 - 사파비         
     
    34.Heraclius       
    헤라클리우스 - 비잔티움      
     
    35.Tiglath-Pileser III
    디그랄 빌레셋 3세 - 앗시리아         
     
    36.Louis II de Bourbon, Prince de Conde     
    콩데 - 프랑스         
     
    37.Jebe         
    제베 - 몽골       
     
    38.Erich von Manstein        
    에릭 본 만슈타인 - 독일      
     
    39.Ruyter, Michiel Adriaanszoon de       
    로이테르 - 네덜란드       
     
    40.Mentuhotep II        
    멘투호테프 2세 - 이집트     
     
    41.Samory Toure       
    사모리 토우레 - 수단    
     
    42.Canute the Great    
    크누트 대제 - 덴마크         
     
    43.Nurhaci       
    누르하치 - 청
     
    44.Huo Qubing        
    곽거병 - 한       
     
    45.Oda Nobunaga        
    오다 노부나가 - 일본       
     
    46.Emperor Guangwu of Han         
    광무제 - 한      
     
    47.Themistocles 
    테미스토클레스 - 그리스     
     
    48.Jan Žižka        
    얀 지스카 - 체코        
     
    49.Shivaji Bhosle         
    사바지 보슬레 - 마라타        
     
    50.Bumin Khan       
    부민 - 돌궐    
     
    51.Yuan Conghuan     
    원숭환 - 명     
     
    52.Baibars
    바이바르스 - 맘루크    
     
    53.Amr ibn al-As       
    아므르 이븐 알 아스 - 아랍       
     
    54.Yi Sun Sin        
    이순신 - 조선    
     
    55.Wanyan Chenglin       
    완안진화상 - 금     
     
    56.Drake         
    드레이크 - 영국      
     
    57.Qi-Jiguang         
    척계광 - 명     
     
    58.Tran Hung Dao      
    진흥도 - 베트남    
     
    59.Lucius Cornelius Sulla      
    술라 - 로마        
     
    60.Stefan cel Mare         
    슈테판 대제 - 루마니아         
     
    61.Frederick II of Prussia        
    프리드리히 2세 - 프로이센       
     
    62.Wu Qi        
    오기 - 춘추전국      
     
    63.Ahmose I         
    아모세 1세 - 이집트        
     
    64.Asoka the Great         
    아소카 대제 - 마우리아   
     
    65.Kangxi of Qing        
    강희제 - 청         
     
    66.Akbar the Great      
    악바르 대제 - 무굴        
     
    67.Alp Arslan         
    알프 아르슬란 - 셀쥬크 투르크         
     
    68.Lucius Do-mitius Aurelianus     
    아우렐리아누스 - 로마    
     
    69.Bayazit I    
    바야지트 1세 - 오스만 투르크    
     
    70.Bai Ki       
    백기 - 진       
     
    71.Jan III Sobieski     
    얀 3세 소비에스키 - 폴란드       
     
    72.Mansa Kankan Musa    
    만사 칸칸 무사 - 말리      
     
    73.Simon Bolivar     
    시몬 볼리바르 - 볼리비아         
     
    74.Guo Ziyi     
    곽자의 - 당        
     
    75.Pachacuti        
    파차쿠티 - 잉카         
     
    76.Taizong of Tang        
    당태종 - 당     
     
    77.Flavius Stilicho         
    스틸리코 - 로마        
     
    78.Yue Fei        
    악비 - 송     
     
    79.Georgy Zhukov       
    게오르기 주코프 - 소련         
     
    80.Ahmad Shāh Durrāni        
    아마드 샤 두라니 - 아프가니스탄       
     
    81.Shēr Shāh         
    셰르샤 - 델리 술탄        
     
    82.Cao Cao         
    조조 - 위      
     
    83.Guillaume-Henri Dufour         
    기욤 앙리 뒤프르 - 스위스        
     
    84.Shaka Zulu         
    샤카 줄루 - 줄루      
     
    85.Robert E. Lee        
    로버트 리 - 미국      
     
    86.Erwin Rommel       
    롬멜 - 독일         
     
    87.George Kastrioti        
    기오기 카스르리오티 - 알바니아      
     
    88.Heinz Wilhelm Guderian       
    하인츠 구데리안 - 독일       
     
    89.Yelu Abaoji     
    야율 아보기 - 요        
     
    90.Giuseppe Garibaldi        
    가리발디 - 이탈리아         
     
    91.Janos Hunyadi       
    야노스 후냐디- 헝가리
     
    92.Husain Nizam Shah       
    후사인 니잠 샤 - 인도      
     
    93.Charlemagne         
    샤를마뉴 - 프랑크      
     
    94.Sonni Ali        
    손니 알리 - 송가이         
     
    95.Duke of Parma (Alessandro Farnese)        
    파르네제 공작 - 스페인        
     
    96.Vo Nguyen Giap
    보구엔 지압 - 베트남        
     
    97.Sun Tzu         
    손자 - 춘추전국      
     
    98.Flavius Aetius     
    아이티우스 - 로마         
     
    99.Minamoto Yoshitsune         
    미나모토 요시쯔네 - 일본       
     
    100.Eugene of Savoy        
    외젠 - 오스트리아

    Nardien의 꼬릿말입니다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체 게바라-

    애국심이란 무뢰한들의 최후의 피난처이다. -새뮤얼 존슨-

    인민을 위해 민주주의가 만들어진 것이지, 민주주의를 위해 인민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학자연하는 이들이 인민의 자격을 인정하든 말든 상관 없이, 그것은 평범한 사람들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고안된 정치체제다. - E. E. 샤츠슈나이더-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 -베게티우스-

    농사는 하늘이 지어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지혜와 노력으로서 짓는 것이다. -박정희-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8/18 09:00:59  39.7.***.118  Orca  232650
    [2] 2013/08/18 10:15:19  113.131.***.211  ILoveCarrier  7159
    [3] 2013/08/18 10:28:47  222.232.***.152  시민k  328893
    [4] 2013/08/18 11:13:51  183.99.***.206  ºωº  186231
    [5] 2013/08/18 11:38:06  121.149.***.18  SowHat  270883
    [6] 2013/08/18 19:20:34  119.194.***.50  외솔  68095
    [7] 2013/08/18 21:47:30  121.190.***.35  사리면  320440
    [8] 2013/08/18 23:55:12  182.214.***.142  Naburange  12717
    [9] 2013/08/19 10:05:07  155.230.***.236  에버샤이닝  135870
    [10] 2013/08/19 12:12:42  118.43.***.92  바람따라  10134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538
    고대 한반도 정부건물에서의 사투리가 궁금합니다 [3] Oh_My!_Girl 24/06/04 10:26 665 2
    30537
    한국어) 지도로 배우는 삼국통일전쟁 창작글 곽용호 24/05/27 13:06 837 3
    30536
    만두가 생기게된 썰 우린어디로 24/05/24 23:30 860 0
    30535
    짬뽕이 생기게 된 썰 (설) [4] 우린어디로 24/05/22 23:34 822 0
    30534
    지도로 보는 삼국통일전쟁 창작글 곽용호 24/05/21 12:40 1028 2
    30533
    민방위 교육에 독도 일본땅 표기 쌍파리 24/05/11 05:07 1156 4
    30532
    라인 탈취 선봉장이 이토 히로부미 고손자 라네요 [3] 쌍파리 24/05/10 06:50 1092 6
    30531
    English)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창작글 곽용호 24/04/27 11:16 1274 1
    30530
    2025년 중학교 역사 교과서 [5] 쌍파리 24/04/23 14:51 1320 5
    30529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ver2 창작글 곽용호 24/04/18 10:05 1190 1
    30528
    이승만 장례식 불참한 박정희 [1] 옆집미남 24/03/31 07:59 1557 3
    30523
    고거전 종방 기념) 애니메이션 지도로 보는 고려거란전쟁 창작글 곽용호 24/03/10 22:46 1477 0
    30522
    [English]광개토대왕의 정복 전쟁 창작글 곽용호 24/03/08 07:54 1478 0
    30518
    중국에 존재하는 26개 신라마을. 전부 보기 옆집미남 24/02/25 00:53 1957 0
    30516
    광개토대왕의 정복 전쟁 애니메이션 맵 창작글 곽용호 24/02/16 12:49 1795 1
    30515
    영원한 쾌락을 위해 가는 겁니다 [2] 등대지기™ 24/02/11 14:10 2159 7
    30513
    고구려 수도의 변동 우익승리 24/02/04 14:46 2135 1
    30512
    유사학술지 역사비평사에 이의신청서 제출 우익승리 24/02/03 07:40 1715 1
    30511
    역사비평사 사기꾼들의 답변 공개 우익승리 24/02/02 19:49 1831 0
    30510
    4세기 전반기에 고구려가 중국의 영토를 뺏었다는 낙랑군 교치설은 사기 우익승리 24/01/28 20:21 1833 2
    30509
    민비? 명성왕후? 장에는gg 24/01/27 15:30 1910 3
    30508
    아리랑으로 사기는 이제 그만 (쇼츠) 우익승리 24/01/18 22:01 1867 0
    30507
    수서는 대만이 백제 영토였다고 한다 (쇼츠) 우익승리 24/01/18 17:58 1900 0
    30506
    낙랑군 교치(이동)는 개솔 (쇼츠) - 시간이 거꾸로 가는 낙랑군 이동 우익승리 24/01/18 11:06 1725 0
    30505
    준왕이 도망 간 한(韓)의 땅 (쇼츠) 우익승리 24/01/14 15:21 1931 0
    30504
    삼국지와 후한서에 단군조선 즉 삼한조선이 기록되어 있어(쇼츠) 우익승리 24/01/13 21:51 1868 1
    30502
    요동반도 백제와 대동강 원산만 선의 허구성 우익승리 24/01/12 10:57 1857 0
    30501
    영화 암살에 나왔던 하와이 피스톨 [15] 등대지기™ 24/01/10 20:01 2117 11
    30500
    고구려와 백제의 전선은 4개였다. (쇼츠) 우익승리 24/01/10 09:31 2057 0
    30499
    고려거란 장성, 명나라 만리장성으로 둔갑 옆집미남 23/12/30 19:29 2090 2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