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databoxold_1111169200
    작성자 : 깜지
    추천 : 0
    조회수 : 104
    IP : 121.64.***.67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3/06/01 15:51:05
    http://todayhumor.com/?databoxold_1111169200 모바일
    zxvx
    <p> <div class="post"> </p> <p><center></p> <p> <h1 class="post_title"><a href="/1100" title="문명 속 위대한 지도자들">문명 속 위대한 지도자들</a></h1><br></center></p> <p>        <div class="post_content"> </p> <p>  </p> <p><br></p> <p><div class="article"></p> <p><center></p> <p><br></p> <p><br><br></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문명에 대한 진정한 평가는 총 인구나 도시의 크기, 곡물 산출량이 아니라 그 문명이 배출한 위인으로 이루어진다."-by 랄프 왈도 메이슨</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인류의 역사속엔 조국의 흥망을 이끈 인물들도 있고 나아가 세계의 운명을 쥐고 뒤흔든 인물들도 있어. 오늘은 이런 지도자들 중<b><span style="font-size: 24px; ">&nbsp;'<span style="color: rgb(255, 0, 0); "><span style="color: rgb(0, 0, 0); ">문명5</span></span>'</span></b>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써볼까해. 각 인물마다 다른 관점에서보면 오점도 보일테고 이견도 있을테지만 그런걸 일일히 다 다루려면 글이 너무 길어지니깐 개요적인 이야기만 쓰도록할게</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아! 내가 가나다 순으로 쓴다!</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0fc814415ef3b24a302e639bd8dfbc6d.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0fc814415ef3b24a302e639bd8dfbc6d.jpg" alt="terrible.jpg" height="355" width="474" rel="xe_gallery"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위대한 영혼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1869~1948) - 인도</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우리 후손들은 역사 속 이런 인물이 실존했다는 사실을 믿지 못할 것이다." -by 알베르트 아인슈타인<br /></p> <p></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한국에 문명5 열풍을 불게한 장본인이야. 비록 게임속 모습은 Be폭력의 선두주자지만 그야 어찌됫건 간디는 아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명일거야. 영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를 '비폭력 불복종'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독립으로 이끈 간디의 정신은 인도 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어. 또한 간디는 종교적으로도 매우 관대했는데 인도가 독립하고 깨끗하게 물러나고 싶지 않았던 영국은 마치 관물대에 똥싸놓긔 마냥 인도를 종교적으로 파키스탄과 인도로 분리시켜버렸지. 인도는 힌두교인들이 파키스탄은 이슬람교인들이 득세하면서 종교대학살이 일어났고 이를 보다못한 간디는 유혈사태가 종료될때까지 단식하겠다고 선언해. 인도든 파키스탄이든 조국의 영웅이 죽는걸 원치 않았던 양국 국민들은 간디에게 편지를 보내 학살을 멈출테니 단식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하지. 편지를 받은 간디는 그제서야 단식을 중단하고 식사를 시작했어. 하지만 보름이 채안되서 간디는 그의 이런 위대한 행보가 이슬람을 편애한다고 생각한 극꼴통 힌두교인에게 암살당하고 말아.</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비록 그가 인도의 '불가촉 천민'들의 해방에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선 아직도 끊임없는 논쟁과 비판이 있지만 그렇다하더라도 간디는 인류 역사상 '관용과 사랑'을 몸소 실천한 위대한 성인 중 한명이라는 데는 이견의 여지가 없을거야.&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f6b601bae357c452f467b639c266780.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f6b601bae357c452f467b639c266780.JPG" alt="구스타프 아돌프.JPG" height="401" width="406" rel="xe_gallery"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a><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2.설원의 사자 구스타브 아돌프(1594~1632) - 스웨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싸움에서 이기는 자는 싸우기 전에 이겨놓고 싸움을 시작한다. 하지만 싸움에서 패배하는 자는 일단 싸움을 벌려놓고 이기려 든다."-by 손자</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우리의 깨어있는 지식인님들께서 찬양해 후장이 헕어버린 스웨덴의 왕 구스타프 아돌프야. 그는 17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지만 뛰어난 정치적 지도력으로 의회와 왕정의 오랜 반목과 불신을 해소하였고 이를 통해 스웨덴을 일치된 국가로 만들었어. 하지만 구스타브의 진정한 업적은 정치적인 면이 아니야. 그는 아주 혁신적인 책략가였는데 역사가들은 그를 두고 '현대전의 아버지'라고 부를 정도로 수많은 전략전술이 그의 손에서 탄생했어. 그가 만든 전술들은 시간이 흘러 발전되고 응용되어 현대의 군대들도 사용되고 있을 정도지. 나는 밀덕은 아니라서 이런 전략 전술에 관한 지식은 전무해서 제대로 설명해줄 순 없어 미안ㅋ 그가 개발한 것들 중 몇가지만 소개해보자면 '신은 우리와 함께 하신다' 라는 돌격 구호는 그의 군대가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도록 해주었고 이 돌격 구호는 후에 프로이센이나 독일 제3국등 많은 나라가 사용했지. 또한 적의 포병부대를 무너뜨리기 위해 재빠르고 용맹한 그의 하카펠리타 기병대를 포화속으로 돌격시켰고 포화를 뚫은 기병대는 적의 포병들을 압살해버리고 포대를 뺏어서 적에게 고스란히 돌려주었다고해.<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안타깝게도 그는 독일과의 전쟁 중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지만 그의 통치기간 중 얻은 영토와 부강해진 국가는 스웨덴을 유럽 강국으로 만드는데 성공했지. 200년 후&nbsp;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그를 두고 '역사상 가장 뛰어난 지휘관'이라고 칭송했다고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faf49e0226e0f8298724cec0a28ea25.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faf49e0226e0f8298724cec0a28ea25.jpg" alt="Napoleon-Bonaparte.jpg" height="386" width="528" rel="xe_gallery"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a><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3.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769~1821) - 프랑스<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영웅교향곡은 위대한 사람의 추억을 축복하고자 쓰여졌습니다."-by 루트비히 반 베토벤</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프랑스 역사상 가장 뛰어난 지휘관이자 인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이 인물은 너무나 유명해서 뭐라고 써야할지 모르겠어. 코르시카 섬에서 태어난 나폴레옹은 그의 군사적 재능을 살려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혁명 정부에서 프랑스의 적들을 상대로 연전연승을 거뒀어. 그의 뛰어난 정치적 수완과 군사적능력은 국민들과 군부의 지지를 받았고 까딱 잘못하면 목없는 귀신이 될 수 도 있는 프랑스 혁명기에 혁명정부를 엎어버리고 프랑스 제1통령에서 황제자리까지 차지하지. 그는 이후&nbsp; 러시아와 영국을 제외한 전 유럽을 재패했지만 영국을 치기 위해 벌인 트라팔가 해전에서 넬슨경에게 보기좋게 깨지고 러시아 원정에서 쿠투조프 대공에게 참패를 당하면서 운지의 길을 걷기 시작했지. 마침내 황제에서 물러난 그는 엘바섬에 유배되었고 재기를 노리고 탈출, 다시 한번 프랑스를 이끌지만 워털루전투에서 대프랑스 연합에게 패배하면서 완전히 몰락하고 말아.</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뭐 여기까진 다들 잘아는 내용이니 나폴레옹의 키 얘기나 해볼까해. 나폴레옹은 일베게이들같은 루저들의 대명사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아. 그의 키는 167cm 정도되는 그 당시로 치자면 평균보다 더 큰 키였는데 그의 패션 그러니깐 그의 제복과 뭉툭한 모자가 그를 작아보이게 만들었고 특히 그를 호위하는 근위대는 원채 떡때가 좋은놈들만 뽑기 때문에 나폴레옹은 키가 작아보일 수 밖에 없었지. 여기에 마격으로 나폴레옹 사후 나폴레옹을 부검하는 사람이 기록 단위를 착각해서 그의 키를 무려 10cm나 줄인 157cm로 만들어버렸으니 나폴레옹은 억울할 수 밖에...<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2317a4d19728ac7fc3df218a3c2c1150.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2317a4d19728ac7fc3df218a3c2c1150.JPG" alt="네부카드네자르.JPG" height="317" width="580" rel="xe_gallery"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4.건설군주 네부카드네자르 2세(BC630~BC562) - 바빌론</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겸손한 사람에게 오만하지 말고, 오만한 사람에게 겸손하지 말라" -by 제퍼슨 데이비스</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43년간 바빌론을 통치한 왕으로 정복과 건설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어. 유다 왕국 같은 소국들을 정복하고 이집트를 격파해 시리아에 대한 바빌론의 지배를 공고히 했지. 전쟁이 없을때는 국내 안정에 힘을 쏟았는데 사원과 도로 그리고 운하건설등을 통해 바빌론을 발전시켰고 특히 저 유명한 바빌론의 문과 공중정원은 모두 그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기독경에선 '느부갓네살'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해 야훼 앞에서 '내가 제일 잘나가'드립쳤다가 태자의 자리를 잃고 쫓겨나 7년간 야인생활을 하다가 왕궁으로 돌아와 겸손한 왕이 되었다고 하는데... 왜 우리 갓카는 투애니원을 내쫓지 않는거지? 갓카는 참으로 관대하신분인거 같아.&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7f918c30655a32ae70eea5bca089777.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7f918c30655a32ae70eea5bca089777.JPG" alt="Darius.JPG" height="481" width="351" rel="xe_gallery"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나는 관대하다"-by 크레스크세스 1세 영화 '300' 中<br /></p> <p></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LOL에 나오는 다리우스가 아니다! 다리우스는 거대한 페르시아 제국을 정립한 인물이야. 도로망을 정비하고 화폐를 정하는등 페르시아의 내정에 힘쓴 그는 정리가 되있지 않던 페르시아를 여러 총독령으로 분할하고 이 총독(샤트라프)들에게 세금을 뜯어냈지. 다리우스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 인물 중 가장 건설적인 인물이었고 그의 재위 기간동안 수많은 건물과 기념비가 페르시아에 들어서. 하지만 그리스가 페르시아에 겐세이를 놓자 이를 벌하기 위해 무리한 원정을 감행했고 오늘날 우리가 올림픽에서 마라톤 경기를 볼 수 있게 해주었지.(그덕분에 이란은 아직까지도 마라톤경기에 출전하지 않는데ㅋㅋ) 그의 아들이자 우리가 잘아는 '관대한' 크세르크세스 1세도 그리스를 공략하기 위해 원정을 떠났지만 그에게 그리스 공략은 벅찬 일이었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페르시아와 300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불멸자 부대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해. '불멸자 부대'는 페르시아 왕의 직속 정예 근위대였는데 300에선 마치 어둠 속 고뇌에 찬 괴물닌자 같은 이미지로 등장하는데 이건 심각한 넌센스야. 그들이 불멸자라고 불리는 이유는 불멸자 부대가 항상 1만명을 유지해서였어. 그러니깐 불멸자 부대원 중 한명이 죽으면 곧바로 다른 인원이 그를 대체해서 1만명을 유지하는거야. 고대 세계에선 상비군을 많은 숫자를 유지하기 힘들뿐더러 특히 이런 왕실 정예병들에게 지급되는 보급품은 필경 A급이었을텐데 이런 부대를 항상 유지했다는것 자체가 페르시아의 국력이 얼마나 막강했는 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어.&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8b2720047b741c713de9b7ff9c8f2e14.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8b2720047b741c713de9b7ff9c8f2e14.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8b2720047b741c713de9b7ff9c8f2e14.JPG" alt="dido.JPG" height="390" width="645"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6.카르타고의 여왕 디도(?~?) - 카르타고</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불타는 트로이성을 뒤로한 채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의 유민들과 함께 이다 산으로 향했으니..."-by 베르길레우스의 아이네이아스의 노래 中&nbsp;</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그리스로마 신화를 아주 주의깊게 읽은 사람이라면 그녀의 이름을 한번'만' 들어봤을거야. 디도는 카르타고의 여왕으로서 그리스 신화속 트로이 전쟁에 참가한 아이네이아스를 사랑한 여인이었다고해. 이 이상은 그냥 신화적이고 전설적인 얘기인데다가 길어서 찍.<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사실 카르타고라는 강국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미스테리야. 왜 카르타고의 지도자가 한니발이 아니라 이런 듣보잡이냐고? 그야 당연히 한니발은 장군이고 '지도자'는 아니니깐-_-;; 한니발의 발자취는 카르타고의 종족특성으로 반영되있어. 첫번째 위대한 장군을 생산하면 산을 넘을 수 있게되는 특성말이지.&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0af77468f6d6fc8d7228a3030e4dc63d.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0af77468f6d6fc8d7228a3030e4dc63d.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0af77468f6d6fc8d7228a3030e4dc63d.jpg" alt="Ramesses-II.jpg" height="302" width="410"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7.살아있는 이집트의 화신 람세스 2세(BC1314~BC1224) - 이집트</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저세상에 가면 신이 두가지 질문을 할거라 믿었지. 하나는 인생에서 기쁨을 찾았는가, 다른 하나는 남에게 기쁨을 주었는가"-by 영화 버킷리스트 中</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람세스 2세는 이집트의 파라오들 중 가장 강력하고 위대한 파라오였어. 무려 3천년전 사람이 90살까지, 어마어마하게 장수했는데 지금으로 따지자면 약 120살까지 산거야. 그는 주변의 약소국들을 정복해 이집트의 영토를 넓혔고 고대의 강국 히타이트와도 전쟁을 벌였지. 하지만 20년가량 계속된 전쟁에서 양측모두 이 전쟁으론 결론이 안난다는걸 깨닫고 평화조약을 체결했는데 이 조약은 역사상 최초로 '기록에 남은' 평화조약이라고해. 근데 웃긴게 이집트측 기록에 따르면 히타이트가 먼저 평화조약을 제안해 우리가 '관대하게' 받아줬다고 하고 히타이트측 기록에는 이집트가 먼저 평화조약을 제안해 우리가 '관대하게'받아줬다고 하고 있어. 어느쪽이 먼저 제안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으나 역사가들은 이집트쪽이 먼저 제안했다고 추측하고 있어. 일종의 람세스식 언플이었던거지.</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이런 정복업적 외에도 람세스는 건설군주로도 유명했어.사원과 그를 기리는 기념비 건설이 보통 주된 건설목적이었지만 관청,상수도등 생활에 필요한 건물도 빼놓지 않았지. 람세스 2세가 은근히 또 졸렬한 면이 있는게 이집트 전역에 자기 모습을 새긴 석상을 세웠는데 그러면서 이전 파라오들의 석상에 자기 얼굴과 이름을 다시 새겨넣는 짓까지 했어. 자기도 찔렸는지 자기 후대 파라오들이 자신과 똑같은 짓을 못하도록 석공들에게 깊게 새기라고 주문했을 정도라고해.&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몇몇 역사가들은 기독경의 출애굽기에 등장해 모세를 압박하는 파라오가 람세스 2세라고도 주장해. 근데 학자들마다 주장이 제각각인데다가 으레 기독경을 기반으로 역사와 과학을 해석하려는 사람들이 그러하듯 신빙성도 많이 부족해ㅋ<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21a60c0ef670b7604c9ea53ff2efb99.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21a60c0ef670b7604c9ea53ff2efb99.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21a60c0ef670b7604c9ea53ff2efb99.JPG" alt="Ramkamheng.JPG" height="394" width="572"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8.백성의 아버지 람캄행(1239~1317) - 시암</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나는 적에 맞서 백성을 편안케 한다는 말은 들어봤어도 백성을 움직여 적을 피한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소."-by 유장</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람캄행은 수코타이의 세종대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태국에서 존경받는 왕이야. 약소한 수코타이 왕국을 최초로 통일한 왕이고 이후 외교와 전쟁을 통해 부강한 제국으로 만들었고 그의 통치 아래 단 20년만에 수코타이를 동남아시아의 맹주로 만들었지. 시암의 주변 소국들은 람캄행의 선정과 외교에 스스로 시암의 일부가 되길 원했을 정도로 당시 시암은 위대한 국가였어. 람캄행은 또한 문화와 예술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불교를 장려하고 예술을 후원해 람캄행의 재위기간 중엔 태국의 예술이 크게 발전했지. 하지만 그가 죽은후 시암은 빠르게 해체됫고 결국 100년이 지나지 않아 수코타이 왕국은 멸망하게 되.</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15726c77c2c0b1dd4a1b376b9ebebde.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15726c77c2c0b1dd4a1b376b9ebebde.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15726c77c2c0b1dd4a1b376b9ebebde.JPG" alt="Maria Teresea.JPG" height="279" width="367"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9.대공녀 마리아 테레지아(1717~1780) - 오스트리아</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사치품의 교역은 여성들의 욕망에 따라 생기며 그로 인해 유지된다."-by 니콜라비치</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합스부르크 왕가의 유일무이한 여성 지도자이자 합스부르크 왕가가 배출한 지도자 중 가장 성공했다는 평가를 듣는 인물이야. 그녀가 나라를 물려받았을땐 아지 어리고 정치적인 경험도 전혀 없었지만 이후 40년간 왕국을 안전하게 순항시켰고 신중하고 보수적인 정책결정으로 합스부르크의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복지를 향상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위에서 쓴 문구는 그냥 여왕하면 생각나는 걸로 쓴거야. 실제로 마리아 테레지아는 그시대 여왕들에 비하면 굉장히 검소한 편이었다고해.&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아 그리고 이 나라엔 캥거루나 코알라가 없어. 오스트리아는 음악과 커피로 유명한 나라지 오세아니아 대륙의 오스트레일리아랑은 아무관련 없는 나라야. 일게이들이 좋아하는 비엔나 소시지도 이 나라에서 나온 음식이야. 사실 우리가 아는 비엔나 소시지처러 짧고 뭉툭한 모양도 아니고 맛도 판이하게 다르지만 말이지ㅋ 내가 왜 이런 헛소리를 하고 있냐고? 내가 이 인물에 대해 아는바가 거의 없어서....=_ =;;;ㅈㅅㅈㅅ;;</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d00bbd9a32ceb2dfa7ad0005cbd6621.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d00bbd9a32ceb2dfa7ad0005cbd6621.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d00bbd9a32ceb2dfa7ad0005cbd6621.jpg" alt="Montezuma.jpg" height="383" width="495"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0.왕 답게 얼굴을 찌푸리는 자 몬테수마 1세(1398~1469) - 아즈텍</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정치는 수많은 목숨을 앗아갔지만, 종교는 그보다 열배는 더 많은 목숨을 앗아갔다."-by 숀 오케이시</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참고로 이 몬테수마는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의 침략에 무력하게 손놓고 구경만 하던 몬테수마 2세와는 다른 사람이야. 몬테수마 2세는 그의 손자지. 몬테수마는 다른 왕들(동서양의)과는 다르게 조촐한 그의 궁전에서 아내 '몇명만' 데리고 검소하게 살았다고해. 그는 아즈텍 도시들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했어. 송수로를 만들고 농경지를 넓혔고 수로를 팠지. 또한 주변의 약소부족의 땅을 침략해 영토를 넓히기도 했지. 정ㅋ벅ㅋ당한 약소부족은 희생 제의에서... 아 그러고보니 아즈텍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신공양에 대해 빼먹었네. 사실 아즈텍의 인신공양은 몬테수마 1세부터 시작됫다고 할 수 있어. 그가 재위에 올랐을땐 여러 자연재해가 아즈텍을 덮쳤고 아즈텍을 안정시키기 위해 나온 대안이 희생 제의였지. 인신공양을 시작하고 때마침 절묘하게 자연재해가 접어드니 희생제의의 위엄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고 예전에 어떤 일게이가 소개한 산제물을 얻기 위한 '꽃전쟁'을 벌이기 시작했어.&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아마도 몬테수마는 그런 의례화된 인신공양을 줄일 능력은 있었을거야. 하지만 몬테수마 본인이든 그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은 그런 생각은 해본적 조차 없었을거야. 같은 시대에 더 '발전'하고 더 '문명화'된 서양에서조차 자기내 종교 안믿는 이단이라고 산채로 불에 태우는데 뭐ㅋ 그렇다고해서 그들의 인신공양이 정당화되는건 절대 아니지만말야ㅇㅇ</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caf14f7673ea5c3de30668c85c6a812c.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caf14f7673ea5c3de30668c85c6a812c.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caf14f7673ea5c3de30668c85c6a812c.JPG" alt="boudica.JPG" height="403" width="603"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1.켈트족의 여왕 부디카(?~61) - 켈트</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운명은 우리에게 부귀를 빼앗을 순 있어도, 용기는 빼앗을 수 없다."-by 세네카</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부디카는 켈트족의 한갈래인 이케니족의 여왕이야. 이케니족은 잉글랜드에 살던 켈트족인데 그의 남편인 프라이스타구스 왕은 로마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로마의 불길을 피할 수 있었어. 하지만 프라이스타구스가 죽고 그의 아내와 두 딸에게 왕위를 물려주자 로마는 기다렸다는 듯이 이케니족의 땅을 침략했고 부디카와 두딸을 사로잡혀 부디카는 공개태형을, 그녀의 두딸은 로마군인들에게 던져져 강간당하는등 잔혹한 모욕을 당해. 이 참을 수 없는 모욕에 부디카는 주변 켈트족을 연합해 무려 10만의 군세를 이끌고 지금의 런던이라 할 수 있는 론데니움을 기습했고 놀랍게도 로마군을 격파하고 론데니움을 불태워버려. 깜짝놀란 네로는 잉글랜드에서 로마군을 철수시키려고했지만 부디카는 한번의 대승에 기고만장해졌고 로마군을 얕보기 시작했어. 하지만 아무리 부디카라도 잘 훈련되고 치밀한 전술을 갖고 있는 로마군을 상대로 오랜시간 싸울 순 없었지. 결국 청야전술에 휘말린 켈트반란군은 처참히 깨지고 부디카는 고향으로 돌아와 음독자살했다고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근데 여기까지 전설 속 이야기라서 확실하게 알 순 업ㅋ엉ㅋ<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c6dde5a6bc0813cdca72e0d02f25d15.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c6dde5a6bc0813cdca72e0d02f25d15.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c6dde5a6bc0813cdca72e0d02f25d15.jpg" alt="Bismarck.jpg" height="356" width="297"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2.철혈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1815~1898) - 독일<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현하의 대문제는 언론이나 다수결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로지&nbsp;<strong style="font-size: 1em; ">철과 피(血)</strong>, 곧 병기(兵器)와 병력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by 오토 폰 비스마르크</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유명한 독일의 지도자를 뽑으라면 보통 히틀러를 뽑겠지만 히틀러는 '위대하진' 않잖아? 그러니깐 그 다음가는 비스마르크에 대해 얘기해줄게. 철혈 재상으로 유명한 비스마르크는 보잘 것 없는 연합체 국가였던 강력한 통일국가로 만드는데 성공한 사람이야. 거기다가 독일을 통일한것으로 모자라 독일의 앙숙이었던 프랑스를 굴복시켰지. 이것은 독일인과 프랑스인들뿐 아니라 전세계를 경악시킨 그야말로 센세이션한 일이었어. 하지만 이 일은 미래에 독일에겐 크나큰 재앙으로 돌아오게 되. 바로 1차세계대전말야. 비스마르크는 프랑스를 상당히 약화시켰지만 이건 결국 프랑스를 영원한 적으로 만들어버렸어. 그 결과... 는 우리 밀덕게이들이 잘 설명해주겠지 뭐ㅋ</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비스마르크가 실패한 지도자라는건 아니야. 사실 비스마르크보다는 후대의 독일의 정치인들이 일촉즉발의 유럽 정치판에서 제대로 처신하지 못했던게 더 컸지.&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f27bf8bf03a8cb217d41b7910113c119.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f27bf8bf03a8cb217d41b7910113c119.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f27bf8bf03a8cb217d41b7910113c119.jpg" alt="a0007296_4e407e9134fd2.jpg" height="279" width="513"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3.깨우친 임금 세종대왕(1397~1450) - 조선</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조선의↗궁궐에↘당도한 것을→환영하오↘낯↘선↗이여↘. 나는↘나의↗ 훌↗륭한↘백성들을↗ 굽↗어↘살피는↘ 깨우↗친↘ 임금↗, 세↘종↗이오↘"-by 세종 The Great<br /></p> <p></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간디의 패왕색을 뛰어넘는 마깡한 과학의 힘의 소유자, 세종 The Great이야. 한글의 창제자이자 27명의 조선왕 중 단연코 가장 위대하다 할 수 있는 세종 대왕은... 나보다 일게이들이 훨씬 더 잘 알거라 생각하며 특별한 설명은 안할게ㅋ 이렇게 한글로 글을 싸지르는것도 모두 세종대왕의 덕이지ㅇㅇ</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f85cf7e599385ac9ddf36b71e25f7521.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f85cf7e599385ac9ddf36b71e25f7521.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f85cf7e599385ac9ddf36b71e25f7521.JPG" alt="쉴레이만.JPG" height="385" width="384"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4.쉴레이만 대제(1494~1566) - 오스만</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절대로 죽지 않을 것처럼 이 세상을 살고 내일 죽을 것처럼 저 세상을 위해 살아라."-by 터키 격언</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아마 '대제'라는 단어는 전적으로 이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단어 같아. 쉴레이만 1세는 평소 알렉산더 대왕을 흠모해서 수많은 정복사업을 펼쳤는데 오스만을 동유럽,중동,아프리카에 이르는 대제국에 이르도록 한것이 모두 그의 공이야. 비록 빈에서의 패배는 그의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던 무한 팽창에 찬물을 끼얹었지만 이후 쉴레이만은 넓어진 제국을 다스리기 위해 제국 전역에 모스크,다리,도로,성채를 세웠어. 하지만 쉴레이만이 제국을 다스리기 위해 했던 정책 중 가장 효과적이었던건 점령지의 종교를 인정해주는것이었어. 으레 정복자들은 페르디난도와 이사벨라가 그랬듯 점령지의 종교와 문화를 무참히 짓밟는 경향이 있었는데 쉴레이만은 소수 종교를 인정해주는걸 넘어서 보호하는 차원까지 갔지. 그는 이슬람의 술탄이었지만 농노나 다름없던 기독교인들을 구제하려는데 애썼고 무엇보다 유럽에서 바퀴벌레 취급받던 유태인들까지도 적극적으로 보호해주었어. 이런 그의 정책에 많은 유태인들이 오스만으로 이주해 올 정도였지. 서로의 종교와 문화를 인정해주는 것 부터 국가의 화합이 시작된다는것을 잘 보여준거야.</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c7bab8352604a3ae3f269cebeab5b9cf.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c7bab8352604a3ae3f269cebeab5b9cf.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c7bab8352604a3ae3f269cebeab5b9cf.JPG" alt="Askia.JPG" height="350" width="576"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5.찬탈자 아스키아(?~1538) - 송가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총 싸움에 절대 칼은 가져가지마라. 총을 가져가라. 될 수 있으면 총 두자루를 가져가라."</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큰 송가이 제국을 건설한 아스키아는 35년간 송가이를 통치했어. 그의 통치기간동안 송가이는 크게 성장했고 안정적인 국가가 되었지. 하지만 아스키아가 죽고 100년이 채 안되서 송가이는 모로코에게 멸망당하고 말아. 머스킷을 든 적을 상대로 창으로 개겼으니 당연한 결과겠지. 지도자 모델링과 뒷배경이 좀 험악해서 그렇지 아스키아 그 인물자체는 평화주의자였다고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5076a0be9ddc5ce27767231ca65aff6d.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5076a0be9ddc5ce27767231ca65aff6d.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5076a0be9ddc5ce27767231ca65aff6d.jpg" alt="caesar1.jpg" height="282" width="350"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6.위대한 자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BC63~AD14) - 로마</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by서구 속담</b></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아들이야. 우린 흔히 옥타비아누스로 알고 있지. 카이사르가 브루투스와 공화정 지지자들에게 암살당하자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을 따르던 무리를 이끌고 로마로 돌아와. 암살자 패거리는 로마를 빠져나가 도망쳤지만 옥타비아누스는 그들을 추격해 모두 제거했지. 이후 정적이었던 안토니우스와의 싸움에서 승리한 옥타비아누스는 오랜시간 지속되던 로마의 내전을 마침내 종식시켰고 원로원은 그에게 '아우구스투스' 즉 위대한 자라는 뜻을 가진 칭호와 로마의 가장 큰 3대 벼슬을 모두 받지. 그러니깐 결국 초대 황제가 된거야. 옥타비아누스 본인은 모든 권력을 갖고 있었지만 '황제'라고 불리는건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아마도 공화정 지지자들의 반감을 피하기 위해서였을거라 생각해.</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어찌됫건 아우구스투스 이후 로마는 다시는 공화정으로 돌아가지 못했지만 약 200년 가량의 긴 황금기에 접어들었고 로마는 지중해의 패권자가 되었어. 그리고 중세가 시작되기전까지 고전 시대를 아우르며 서구문명에 큰 영향을 주었지. 지금도 강대국들은 스스로를 로마의 후예임을 자청하는것 보면 로마가 전세계에 끼친 영향은 얼마나 큰지 아주 잘 알 수 있을거야.<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43433ead7457a5868cd35e2b5ed8927.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43433ead7457a5868cd35e2b5ed8927.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b43433ead7457a5868cd35e2b5ed8927.JPG" alt="Attila.JPG" height="331" width="448"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7.로마의 재앙 아틸라(406~453) - 훈</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trong style="font-size: 1em; ">당신은 전쟁에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전쟁은 당신에 관심이 있다."-by 레온 트로츠키<br /></p> <p></strong></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훈족의 마지막 왕이자 훈족의 가장 강력한 왕이었고 훈족을 두려움의 대상으로 만든 인물이야. 로마인들은 그를 '신의 재앙'이라고 부를 정도로 두려워헀어. 로마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아틸라는 전쟁의 신 마르스(아레스)의 칼을 들고다니며 눈에서 뿜어내는 위압감은 그 어떠한 용맹한 적도 바지에 오줌을 지리게 할정도로 압도적이었다고해. 물론 과장이 좀 섞이긴 했겠지만 그만큼 아틸라는 유럽인들 특히 로마인들에겐 공포의 대상이었지. 로마는 아틸라에게 막대한 양의 공물을 바치기도하고 때때론 아틸라와 훈족을 고용해 로마의 적을 치기도 했어. 아틸라가 언젠가 한번 마음먹고 로마를 공격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당시 이탈리아 북부지역은 완전히 초토화되고 로마를 비롯한 남부도시는 그야말로 풍전등화 상태가 되었지. 로마 황제는 아틸라에게 교황까지 사절단으로 보냄으로써 자비를 구걸했고 아틸라도 왠지 모르게 피곤해서 로마정복을 중단하고 돌아갔다고해.&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이런 아틸라의 죽음은 그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어이없었는데 게르만 공주와 7번째 결혼식 후 코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죽었다고해. 어느학자들은 공주나 암살자가 그를 암살했다고하고 또 어떤 학자는 식도출혈로 죽은거다라고 하는데 아직까지도 결론은 안낫어ㅋ</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97c2b52c738dd30a9ca78091cdb2f20d.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97c2b52c738dd30a9ca78091cdb2f20d.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97c2b52c738dd30a9ca78091cdb2f20d.JPG" alt="알렉산더.JPG" height="340" width="457"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8.정복대왕 알렉산더 1세(BC356~BC323) - 그리스<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이 끈을 푸는 자는 세계의 왕이 될지니..."-by 고르디아스</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우선 알렉산더 대왕은 마케도니아 출신이지만 그리스 문명의 지도자로 등장하니 그리스로 표기할게.(이부분은 우리가 주변국과 영토분쟁하듯이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에겐 굉장히 민감한 문제야.) 알렉산더 대왕은 마치 삼국지에 등장하는 오나라의 군주 '손책'을 연상키는 성격의 인물로 젊은 나이에 정복 사업을 시작해 17년간 지중해부터 중동 심지어 인도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영토를 정복했던 인물이야. 그의 정복업적중 단연코 으뜸은 고대세계에서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던 페르시아를 전복시켰다는거야. 페르시아의 군대는 알렉산더가 이끄는 군대에 숫적으로 10배나 많았지만 알렉산더의 치밀한 전략과 용맹한 그리스 병사들은 그런 어마어마한 수적열세를 극복하고 페르시아를 정복해.&nbsp;<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하지만 알렉산더 왕의 가장 큰 업적은 어디어디를 정복했다가 아니라 정복사업을 통해 점령지에 헬레니즘 문화를 퍼트렸다는거야. 그의 점령지엔 동서양의 문화가 결합된 퓨전문화가 꽃피었고 인류 역사상 한 인물이 세계문화에 이만큼의 영향을 준 건 종교지도자외엔 알렉산더뿐일거야.</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b3d88f4f4e2b09c8e7a1a8e4b30091e.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b3d88f4f4e2b09c8e7a1a8e4b30091e.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7b3d88f4f4e2b09c8e7a1a8e4b30091e.jpg" alt="elizabeth.jpg" height="217" width="400"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19.엘리자베스 1세(1533~1603) - 영국</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by 알프레드 마한</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엘리자베스 1세는 영국이 대영제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준 인물이야. 스페인보다 뒤늦게 식민지 개척에 뛰어든 영국은 당연히 스페인보다 뒤질 수 밖에 없었고 후달리는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사략선을 지원하기 시작해. 영국이 지원한 사략선들은 스페인의 해안식민지와 상선들을 습격했고 펠리페 왕은 끊임없는 영국 사략선의 공격에 이마의 핏줄이 끊어질 지경이었지. 결국 스페인은 영국의 겐세이를 뿌리뽑고자 아르마다, 이른바 무적함대라 불리는 대함대를 꾸려 영국을 공격하려했지만 영국의 뛰어난 조선기술과 화포기술의 차이 그리고 무엇보다 아르마다를 덮친 강한 태풍으로 무적함대는 제대로 된 싸움도 못해보고 함대의 절반이 물고기밥 신세가 되버려. 이로써 르네상스 시기 스페인의 리즈시절은 끝이났고 이후 스페인은 다시는 역사의 주인공으로 올라서지 못했어. 한편 스페인을 격파한 영국은 명실상부 바다의 지배자가 되었고 이는 영국이 대영제국이 될거라는 신호탄이 되었지.</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사실 엘리자베스는 지휘관으로서는 그렇게 훌륭한 사람은 아니야. 그녀는 운좋게 스페인 함대를 이긴것을 빼면 프랑스,스코틀랜드등에게 모두 패배했어. 하지만 엘리자베스 1세가 영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왕으로 칭송받는건 그녀의 결단력과 카리스마 그리고 강인함을 갖춘 보기드문 여성지도자이기 때문이야.</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 class="highslide" rel="highslide" href="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4a1d1eac048522bf41e9bc268a859640.JPG" style="color: rgb(136, 136, 136); text-decoration: none; outline: none; "><img class="lazy" src="http://www.ilbe.com/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4a1d1eac048522bf41e9bc268a859640.JPG" data-original="files/attach/images/377678/162/271/146/4a1d1eac048522bf41e9bc268a859640.JPG" alt="예카테리나.JPG" height="493" width="565" style="border: none; cursor: url(http://www.ilbe.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display: inline; "></a>&nbsp;</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20.러시아의 마지막 여제 예카테리나 2세(1729~1796) - 러시아</p></p>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b>"세상에는 사랑스런 여자가 많이 있지만, 완전한 여성은 없다."-by 빅토르 위고</b><br /></p> <p></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 Arial, Gulim; line-height: 19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러시아의 첫번째 여제이자 마지막 여제인 예카테리나는 사실 표토르 3세의 와이프였어. 하지만 표토르 3세는 자타공인 성격이 지랄맞아서 귀족이건 군부건 국민이건 모두들 싫어했지. 심지어 표토르 3세는 러시아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러시아 사람보다 프로이센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11169239
    ㄷㄹ 愛子 13/06/02 02:02 62 0
    1111169236
    ㄴㄴ 포화란* 13/06/02 01:40 131 0
    1111169235
    ㄴㅇ Agong 13/06/02 01:05 129 0
    1111169234
    ㅁㄴ옴 8비트 13/06/02 00:57 87 0
    1111169233
    ㅂㅇㄴㅂ 정직원김모씨 13/06/02 00:57 271 0
    1111169231
    ykㅏㅛㅏㅛㅏ [1] 치요세 13/06/01 23:34 124 0
    1111169230
    123123 edge 13/06/01 23:17 98 0
    1111169229
    ds 비무장개미 13/06/01 23:12 84 0
    1111169227
    184939 edge 13/06/01 22:49 114 0
    1111169226
    ㅅㄷㅅ 몰컴의달인 13/06/01 22:09 161 0
    1111169225
    123123 통찰과포용 13/06/01 22:05 87 0
    1111169224
    1 자로. 13/06/01 22:03 90 0
    1111169223
    ffff 티타임란돌 13/06/01 21:58 102 0
    1111169222
    ... WhySoSerious 13/06/01 21:52 81 0
    1111169220
    test 그럴싸해 13/06/01 21:51 115 0
    1111169214
    ㅈㅂㄷㅂㅈㄷ KaRu 13/06/01 21:24 119 0
    1111169213
    ㅁㄴㅇㄹ1 몰컴의달인 13/06/01 21:07 70 0
    1111169212
    ㅁㄴㅇㄹ 몰컴의달인 13/06/01 21:04 83 0
    1111169210
    111 는좋지않아 13/06/01 20:39 220 0
    1111169206
    [1] JinSSSun 13/06/01 18:20 134 0
    1111169204
    121 남자인간 13/06/01 17:13 74 0
    1111169203
    ㄴㅇㄴㅁ 남자인간 13/06/01 17:12 95 0
    1111169202
    프5 TheJam 13/06/01 16:53 79 0
    zxvx 깜지 13/06/01 15:51 105 0
    1111169199
    asdsdf 깜지 13/06/01 15:49 95 0
    1111169198
    ads 깜지 13/06/01 15:46 83 0
    1111169197
    vsd 깜지 13/06/01 15:45 1306 0
    1111169196
    dfg 깜지 13/06/01 15:42 1444 0
    1111169193
    네모 13/06/01 14:41 79 0
    1111169192
    ㅇㄹㅇㄹ 츄와붕가 13/06/01 14:19 126 0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