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빡빡머리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0-05-06
    방문 : 353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483265
    작성자 : 빡빡머리
    추천 : 2
    조회수 : 675
    IP : 1.225.***.39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4/01/22 00:44:43
    http://todayhumor.com/?sisa_483265 모바일
    시인 조동탁의 "지조론"
    <div> <span style='text-align: center; color: rgb(0, 0, 0); line-height: 34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21px; font-weight: bold'>지조론</span><span style='text-align: center;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변절자를 위하여> </span></div> <div>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지조(志操)라는 것은 순일(純一)한 정신을 지키기 위한 불타는 신념이요, 눈물겨운 정성이며, 냉정한 확집(確執)이요, 고귀한 투쟁이기까지 하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지조가 교양인의 위의(威儀)를 위하여 얼마나 값지고, 그것이 국민의 교화에 미치는 힘이 얼마나 크며, 따라서 지조를 지키기 위한 괴로움이 얼마나 가혹한가를 헤아리는 사람들은 한 나라의 지도자를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먼저 그의 지조의 강도를 살피려 한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font color="rgb(192,0,0)"><strong>지조가 없는 지도자는 믿을 수가 없고, 믿을 수 없는 지도자는 따를 수 없기 때문이다.</strong></font> 자기의 명리만을 위하여 그 동지와 지지자와 추종자를 일조(一朝)에 함정에 빠뜨리고 달아나는 지조 없는 지도자의 무절제와 배신 앞에 우리는 얼마나 많이 실망하였는가. 지조를 지킨다는 것이 참으로 어려운 것임을 아는 까닭에 우리는 지조 있는 지도자를 존경하고 그 곤고(困苦)를 이해할 뿐아니라 안심하고 그를 믿을 수 있는 것이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이와 같이 생각하기 때문에 지조 없는 지도자, 배신하는 변절자를 개탄하고 연민하며 그와 같은 변절의 위기의 직전에 있는 인사들에게 경성의(警醒)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지조는 선비의 것이요, 교양인의 것이다. 장사꾼에게 지조를 바라거나 창녀에게 지조를 바란다는 것은 옛날에도 없었던 일이지만,</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선비와 교양인과 지도자에게 지조가 없다면 장사꾼과 창녀와 가릴 바가 무엇이 있겠는가. 식견은 기술자와 술꾼에게도 있을 수 있지 않은가 말이다. 물론 지사와 정치가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독립 운동할 때의 혁명가와 정치인은 모두 다 지사였고 또 지사라야만 했지만, 정당운동의 단계에 들어간 오늘날의 정치가들에 선비의 삼엄한 지조를 요구하는 것은 지나친 일인 줄은 안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그러나 오늘의 정치-정당 운동을 통한 정치도 국리민복(國利民福)을 위한 정책을 통해서의 정상(政商)인 이상 백성을 버리고 백성이 지지하는 공동 전선을 무너뜨리고 개인의 구복(口腹)과 명리(名利)를 위한 부동(符同)은 무지조(無志操)로 규탄 받아야 마땅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더구나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현실과 이 난국을 수습한 지도자의 자격으로 대망하는 정치가는 권모술수에 능한 정치가보다 지사적 품격의 지도자를 더 대망하는 것이 국민 전체의 충정인 것이 속일 수 없는 사실이기에 더욱 그러하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염결공정(廉潔公正) 청백강의(淸白剛毅)한 지사 정치만이 이 국운을 만회할 수 있다고 믿는 이상 모든 정치 지도자에게 대하여 지조의 깊이를 요청하고 변절의 악풍을 타매(唾罵)하는 것은 백성의 눈물겨운 호소이기도 하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지조와 정조는 다 같이 절개에 속한다. 지조는 정신적이고, 정조는 육체적이라고 하지만, 알고 보면 지조의 변절도 육체 생활의 이욕에 매수된 것이요, 정조의 부정도 정신의 쾌락에 대한 방종에서 비롯된다.</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오늘의 정치인의 무절제와 장사꾼적인 이욕의 계교와 음부적(淫婦的) 환락이 합쳐서 놀아난 것이라면 과연 극언이 될 것인가.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하기는 지조와 정조를 논한다는 것부터가 오늘에 와선 이미 시대착오의 잠꼬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사람이 있을지는 모른다. 하긴 그렇다. 왜냐하면, 지조와 정조를 지킨다는 것은 부자연한 일이요, 시세를 거역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과부나 홀아비가 개가하고 재취하는 것은 생리적으로나 가정생활로나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아무도 그것을 막을 수 없고, 또 그것을 막아서는 안 된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그러나 우리는 그 개가(改嫁)와 재취(再娶)를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승인하면서도 어떤 과부나 환부(鰥夫)가 사랑하는 옛 짝을 위해서 개가나 속현(續絃)의 길을 버리고 일생을 마치는 그 절제에 대해여 찬탄하는 것을 또한 잊지 않는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보통 사람이 능히 하기 어려운 일을 했대서가 아니라 자연으로서의 인간의 본능고(本能苦)를 이상과 의지로서 초극한 그 정신의 높이를 보기 때문이다. 정조의 고귀성이 여기에 있다. 지조도 마찬가지다. 자기의 사상과 신념과 양심과 주제는 일찌감치 집어 던지고 시세에 따라 아무 권력이나 바꾸어 붙어서 구복(口腹)의 걱정이나 덜고 명리의 세도에 참여하여 끄떡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지, 못나게 쪼를 부린다고 굶주리고 얻어맞고 짓밟히는 것처럼 부자연한 일이 어디 있겠냐고 하면 얼핏 들어 우선 말은 되는 것 같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여름에 아이스케이크 장사를 하다가 가을바람만 불면 단팥죽 장사로 간판을 남 먼저 바꾸는 것을 누가 욕하겠는가. 장사꾼, 기술자, 사무원의 생활태도는 이 길이 오히려 정도이기도 하다. 오늘의 변절자도 자기를 이 같은 사람이라 생각하고 또 그렇게 자처한다면 별 문제다. 그러나 더러운 변절의 정당화를 위한 엄청난 공언을 늘어놓는 것은 분반(噴飯)할 일이다. 백성들이 그렇게 사람 보는 눈이 먼 줄 알아서는 안 된다. 백주 대낮에 돌아않아 볼기짝을 까고 대변을 보는 격이라면 점잖지 못한 표현이라 할 것인가.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지조를 지키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자기의 신념에 어긋날 때면 목숨을 걸고 항거하여 타협하지 않고 부정과 불의한 권력 앞에는 최저의 생활, 최악의 곤욕을 무릅쓸 각오가 없으면 섣불리 지조를 입에 담아서는 안 된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자신의 신념에 어긋날 때면 목숨을 걸고 항거하여 타협하지 않고 부정과 不義한 권력 앞에는 최저의 생활, 최악의 곤욕을 무릅쓸 각오가 없으면 섣불리 지조를 입에 담아서는 안 된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정신의 자존자시(自尊自恃)를 위해서는 자학(自虐)과도 같은 생활을 견디는 힘이 없이는 지조는 지켜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조의 매운 향기를 지닌 분들은 심한 고집과 기벽까지도 지녔던 것이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신단재(申丹齋)선생은 망명 중 추운 겨울에 세수를 하는데 꼿꼿이 않아서 두 손으로 물을 움켜 얼굴을 씻기 때문에 찬물이 모두 소매 속으로 흘러 들어갔다고 한다. 어떤 제자가 그 까닭을 물으매, 내 동서남북 어느 곳에도 머리 숙일 곳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무서운 지조를 지닌 분의 한 분인 한용운 선생의 지조 때문에 낳은 많은 기벽의 일화도 마찬가지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오늘 우리가 지도자와 정치가들에게 바라는 지조는 이토록 삼엄한 것은 아니다. 다만 당신 뒤에는 당신을 주시하는 국민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고 자신의 위의와 정치적 생명을 위하여 좀더 어려운 것을 참고 견디라는 충고 정도다. 한때의 적막(寂寞)을 받을지언정 만고(萬古)에 처량(凄凉)한 인물이 되지 말라는 <채근담(菜根談)>의 한 구절을 보내고 싶은 심정이라는 것이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끝가지 참고 견딜힘도 없으면서 뜻있는 백성을 속여 야당의 투사를 가장함으로서 권력의 미끼를 기다리다가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후딱 넘어가 버리는 교지(狡智)를 버리라는 것이다. 욕인(辱人)으로 출세의 바탕을 삼고 항거로서 최대의 아첨을 일삼는 본색을 탄로시키지 말라는 것이다.</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이러한 충언의 근원을 캐면 그 바닥에는 변절하지 말라, 지조의 힘을 기르란 뜻이 깃들어 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변절이란 무엇인가. 절개를 바꾸는 것, 곧 자기의 신심으로 이미 신념하고 표방했던 자리에서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철이 들어서 주체의 자세를 뒤집는 것은 모두 모두 넓은 의미에서 변절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욕하는 변절은 개과천선(改過遷善)의 변절이 아니고 좋고 바른 데서 나쁜 방향으로 바꾸는 변절을 변절이라 한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일제 때의 경찰에 관계하다 독립 운동으로 바꾼 이가 있거니와 그런 분을 변절이라 욕하진 않았다. 그러나 독립 운동을 하다가 친일파로 전향한 아는 변절자로 욕하였다.</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권력에 붙어 벼슬하다가 야당이 된 이도 있다. 지조에 있어 완전히 깨끗하다고는 못하겠지만 이들에게도 변절자의 비난은 돌아가지 않는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나머지 한 협의(狹義)의 변절자, 비난 불신이 되는 변절자는 야당 전선에서 이탈하여 권력에 몸을 파는 변절자다. 우리는 이런 사람의 이름을 역력히 기억할 수 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자기 신념으로 일관한 사람은 변절자가 아니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의 치욕에 김상헌이 찢은 항서(降書)를 도로 주워 모은 주화파 최명길은 당시 만족 정기의 맹렬한 공격을 받았으나 심양의 감옥에 김상헌과 같이 갇히어 오해를 풀었다는 일화는 널리 알려진 얘기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최명길은 변절의 사(士)가 아니요 남다른 신념이 한층 강했던 이였음을 알 수 있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또 누가 朴重陽, 文明奇 등 허다한 친일파를 변절자라고 욕했는가, 그 사람들은 변절의 비난을 받기 이하의 더러운 친일파로 타기(唾棄)되기는 하였지만 변절자는 아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민족 전체의 일을 위하여 몸소 치욕을 무릅쓴 흔적이 있을 때는 변절자로 욕하지 않는다. 앞에 든 최명길도 그런 범주에 들거니와, 일제 말기 말살되는 국어 명맥을 붙들고 살렸을 뿐 아니라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국내에서 민족 해방의 날을 위한 유일한 준비가 되었던 <맞춤법 통일안>,<표준말 모음>,<큰 사전>을 편찬한 ꡐ조선어학회ꡑ가 국민총력연맹 조선어학회지부의 간판을 붙인 것을 욕하는 사람은 없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아무런 하는 일이 없었다면 그 간판은 족히 비난을 받고도 남음이 있었을 것이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이런 의미에서 좌옹(佐翁), 고우(古愚), 육당(六堂), 춘원(春園) 등 잊을 수 없는 업적을 지닌 이들의 일제 말의 대일 협력의 이름은 그 변신을 통한 아무런 성과도 없었기 때문에 애석하나마 변절의 누명을 씻을 수 없었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그분들의 이름이 너무나 컸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실망이 컸던 것은 우리의 기억이 잘 알고 있다. 그 때문에 이분들은 반민특위에 불리었고, 거기서 그들의 허물을 벗겨 주지 않았던가. 아무 것도 못하고 누명만 쓸 바에야 무위한 채로 민족정기의 사표가 됨만 같지 못한 것이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변절자에게는 저마다 그럴 듯한 구실이 있다. 첫째, 좀 크다는 사람들은 말하기를, 백이나 숙제는 나도 될 수 있다. 나만 깨끗이 굶어 죽으면 민족은 어쩌느냐는 것이다.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을 잡는다는 투의 이론이요, 그 다음에는 바깥에선 아무 일도 안 되니 들어가 싸운다는 것이요, 가장 하치가, 에라 권력에 붙어 이권이나 얻고 가족이나 고생시키지 말아야겠다는 것이다. 굶어 죽기가 쉽다거나 들어가 싸운다거나 바람이 났거나 간에 그 구실을 뒷받침할 만한 일을 획책도 한번 못해 봤다면 그것은 변절의 낙인밖에 없는 것이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우리는 일찍이 어떤 선비도 변절하여 권력에 영합해서 들어갔다가 더러운 물을 뒤집어쓰지 않고 깨끗이 물러 나온 예를 역사상에서 보지 못했다. 연산주의 황음(荒淫)에 어떤 고관의 부인이 궁중에 불려갈 때 온몸을 명주로 동여매고 들어가면서, 만일 욕을 보면 살아서 돌아오지 않겠다고 해놓고 밀실에 들어가서는 그 황홀한 장치와 향기에 취하여 제 손으로 명주를 풀고 눕더라는 야담이 있다. 어떤 강간도 나중에는 화간(和姦)이 된다는 이치와 같지 않은가.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만근(輓近) 30년에 우리나라는 변절자가 많은 나라였다. 일제 말의 친일 전향, 해방 후의 남로당 탈당, 또 최근의 민주당의 탈당, 이 것은 20년이 넘는, 사상적으로 철이 난 사람들의 주책없는 변절임에 있어서 완전히 동궤(同軌)이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감당도 못할 일을, 제 자신도 율(律)하지 못하는 주제에 무슨 민족이니 사회니 하고 나섰더라는 말인가.</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지성인의 변절은 그것이 개과천선(改過遷善)이든 무엇이든 인간적으로는 모욕을 자취(自取)하는 것임을 알 것이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우리가 지조를 생각하는 사람에게 주고 싶은 말은 다음의 한 구절이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ꡒ기녀(妓女)라도 늙으막에 남편을 쫓으면 한평생 분 냄새가 거리낌이 없을 것이요. 정부(貞婦)라도 머리털이 센 다음에 정조를 잃고 보면 반생의 깨끗한 고절(苦節)이 아랑곳없으리라.ꡓ 속담에 말하기를 ꡒ사람을 보려면 오직 그 후반을 보라ꡓ 하였으니 참으로 명언이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차돌에 바람이 들면 백 리를 날아간다는 우리 속담이 있거니와, 늦바람이란 참으로 무서운 것이다. 아직 지조를 깨트린 적이 없는 이는 만년을 더욱 힘쓸 것이니 사람이란 늙으면 더러워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아직 철이 안든 탓으로 바람이 났던 이들은 스스로의 후반을 위하여 번연(飜然)히 깨우치라.</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한일 합병 때 자결한 지사 시인 황매천(黃梅泉)은 정탈(定奪)이 매운 분으로ꡐ매천필하무완인(梅泉筆下無完人)이란 정평을 듣거니와 그 <梅泉野錄>에 보면, 민충정공과 이용익 두 분의 초년 행적을 헐뜯은 곳이 있다. 오늘에 누가 민충정공과 이용익 선생을 욕하는 이가 있겠는가. 우리들은 그분들의 초년을 모른다. 역사에 남은 것은 그분의 후반이요, 따라서 그분들의 생명은 마지막에 길이 남게 된 것이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도도히 밀려오는 망국(亡國)의 탁류(濁流), 이 금력과 권력의 사악 앞에 목숨으로서 방파제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은 지조와 함성을 높이 외치라. 그 지성 앞에는 사나운 물결도 물러서지 않고는 못 메길 것이다. 천하의 대세가 바른 것을 향하여 다가오는 때에 변절이란 무슨 어처구니없는 말인가. 이완용(李完용)은 나라를 팔아먹어도 자기를 위한 36년의 선견지명은 가졌었다. 무너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권력에 뒤늦게 팔리는 행색은 딱하기 짝이 없다. 배고프고 욕된 것을 조금만 더 참으라. 그보다 더한 욕이 변절 뒤에 기다리고 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ꡒ소인기(少忍飢) 하라.ꡓ 이 말에는 뼈아픈 고사가 있다. 광해군의 난정(亂政) 때 깨끗한 선비들은 나가서 벼슬하지 않았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어떤 선비들이 모여 바둑과 청담으로 소일하는데, 그 집 주인은 적빈(赤貧)이 여세(如洗)라, 그 부인이 남편의 친구를 위하여 점심에는 수제비 국이라도 끓여 드리려 하니 땔나무가 없었다. 궤짝을 뜯어 도마 위에 놓고 식칼로 쪼개다가 잘못하여 젖을 찍고 말았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바둑 두던 선비들은 갑자기 안에서 나는 비명을 들었다. 주인이 들어갔다가 나와서 사실 얘기를 하고 초연히 하는 말이 가난이 죄라고 탄식하였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그 탄식을 듣고 선비 하나가 일어서며, 가난이 원순 줄 이제 처음 알았느냐고 야유하고 간 뒤로 그 선비는 다시는 그 집에 오지 않았다. 몇 해 뒤 그 주인은 첫 뜻을 바꾸어 나아가 벼슬하다가 반정 때 몰리어 죽게 되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수레에 실려서 형장으로 가는데, 길가 숲에서 어떤 사람이 나와 수레를 잠시 멈추게 한 다음 가지고 온 닭 한 마리와 술 한 병을 내놓고 같이 나누며 영결하였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그 때 그 친구의 말이, 자네가 새삼스레 가난을 탓할 때 나는 자네가 마음이 변할 줄 이미 알고 발을 끊었다고 했다. 고기밥맛에 끌리어 절개를 팔고 이 꼴이 되었으니 죽으면 고기 맛을 못 잊어서 어쩌겠느냐는 야유가 숨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찾는 것은 우정이었다.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죄인은 수레에 다시 타고 형장에 끌려가면서 탄식하였다. ꡒ소인기 소인기 소인기 (少忍飢, 少忍飢, 少忍飢 )하라ꡓ고…….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변절자에도 양심은 있다. 야당에서 권력으로 팔린 뒤 거드럭거리다 이내 실세(失勢)한 사람도 있고, 갓 들어가서 애교를 떠는 축도 있다. 그들은 대개 성명서를 낸다. 표면으로 성명서는 버젓하나 뜻있는 사람을 대하는 그 얼굴에는 수치의 감정이 역력하다. 그것이 바로 양심이라는 것이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구복(口腹)과 명리를 위한 변절은 말없이 사라지는 것이 좋다. 자기변명은 도리어 자기를 깎는 것이기 때문이다. 처녀가 아이를 낳아도 핑계는 있다는 법이다. 그러나 나는 왜 아이를 배게 됐느냐고 하는 그 이야기 자체가 창피하지 않은가. </span></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양가의 부녀가 놀아나고, 학자 문인까지 지조를 헌신짝같이 아는 사람이 생기게 되었으니 변절하는 정치가들도 우리쯤이야 괜찮다고 자위할지 모른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그러나 역시 지조는 어느 때나 선비의, 교양인의. 지도자의 생명이다. </span><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이러한 사람들이 지조를 잃고 변절한다는 것은 스스로 그 자임(自任)하는 바를 포기하는 것이다.</span>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시인 조동탁의 대표 시(詩)...</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font size="5"><strong>승무(僧 舞)</strong></font></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br /><br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br /><br /><br /><br />파르라니 깎은 머리 <br /><br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br /><br /><br /><br />두 볼에 흐르는 빛이 <br /><br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br /><br /><br /><br />빈 대(臺)에 황촉(黃燭) 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br /><br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br /><br /><br /><br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br /><br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보선이여! <br /><br /><br /><br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br /><br />먼 하늘 한 개 별빛에 모두오고, <br /><br /><br /><br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br /><br />세사(世事)에 시달려도 번뇌(煩惱)는 별빛이라. <br /><br /><br /><br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br /><br />깊은 마음속 거룩한 합장(합장)인 양하고, <br /><br /><br /><br />이 밤사 귀또리도 지새우는 삼경(三更)인데, <br /><br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br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div><span style='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조동탁....시인 조지훈의 본명...</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 </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지조론은 한번쯤 읽어 보아도 좋은 글입니다.</div> <div style='margin: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0, 0, 0); line-height: 26px; text-indent: 0px; font-family: "바탕체"; font-size: 16px'>조동탁선생의 부친 또한 아주 유명한 인물입니다...조헌영선생.<br /></div></span>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1/22 01:08:52  116.121.***.101  vfsavafsv  461353
    [2] 2014/01/22 05:23:12  182.227.***.45  kitar  35046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
    겨울 가뭄이 심하네요...제가 해결하께요... [4] 빡빡머리 14/01/23 17:23 127 0
    시인 조동탁의 "지조론" 빡빡머리 14/01/22 00:44 29 1
    75
    불시착한 UFO 근접촬영사진... 빡빡머리 14/01/16 11:29 156 0
    74
    "노인들이 저 모양이란 걸 잘 봐두어라" 빡빡머리 14/01/04 16:55 93 1
    73
    부모님과 싸우지 마세요... 빡빡머리 13/12/28 00:24 103 2
    72
    그냥...상상이지만...변호인 빡빡머리 13/12/26 22:41 102 1
    71
    We are the world......아이티지진 돕기 버젼.. 빡빡머리 13/12/24 19:09 12 0
    70
    일요일 오전에 변호인 보고 왔습니다... 빡빡머리 13/12/23 14:45 41 1
    69
    [변호인] 영화 '변호인' 실제 인물과 노무현 빡빡머리 13/12/23 11:25 116 1
    68
    낼 오전 첫 영화로 변호인 보러갑니다... [1] 빡빡머리 13/12/22 00:55 16 0
    67
    민주당...판 깨라... [1] 빡빡머리 13/12/16 00:56 64 0
    66
    The help [1] 빡빡머리 13/12/12 22:50 16 0
    65
    변호인...질문 [1] 빡빡머리 13/11/20 16:06 29 0
    64
    부산 삼락생태공원에서 사진한장 [1] 빡빡머리 13/11/18 10:30 52 1
    63
    사람을 찾습니다. 빡빡머리 13/11/14 18:45 65 0
    62
    현대 광고를 보면 요즘 부쩍 감성팔이 한다고 뭐라고 하시는데요. [1] 빡빡머리 13/11/11 15:24 106 2
    61
    노무현을 죽여라...얼마든지... [2] 빡빡머리 13/11/08 01:12 94 3
    60
    온천시장 칼국수 사장님께 올리는 글... 빡빡머리 13/10/30 00:23 74 1
    59
    신통방통한 재주... 빡빡머리 13/10/29 00:03 40 1
    58
    그래비티... [1] 빡빡머리 13/10/28 13:33 54 0
    57
    윤정훈 목사 “문재인·안철수 후보에 죄송, 박 캠프 배척… 피해 [1] 빡빡머리 13/10/28 08:36 212 3
    56
    부산 해운대나 남구쪽에 믿을 만한 정비소 소개좀...해주세요.. 빡빡머리 13/10/23 23:11 17 0
    55
    머니볼... 빡빡머리 13/10/23 17:06 37 2
    54
    컨저링...보고 난 뒤... [1] 빡빡머리 13/10/14 23:59 38 0
    53
    tv조선의 패턴 [1] 빡빡머리 13/10/07 19:32 101 2
    52
    중국에 여행 갔던 이야기하나... 빡빡머리 13/10/01 20:28 16 0
    51
    뜯고 씹고 맛보고 즐기는 국정조사... [1] 빡빡머리 13/08/16 16:09 179 0
    50
    대선에 종북세력이 들어왔다? 빡빡머리 13/08/16 15:11 67 6
    49
    오늘 국정조사방송 볼 수 있는 곳 주소 부탁드립니다... [1] 빡빡머리 13/08/05 22:36 27 0
    48
    오징어들 화나면 무섭다.... [1] 빡빡머리 13/07/31 15:15 248 0
    [◀이전10개] [11] [12] [13] [14]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