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7-07-17
    방문 : 49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readers_31170
    작성자 : 섬집아이
    추천 : 0
    조회수 : 545
    IP : 219.255.***.70
    댓글 : 2개
    등록시간 : 2018/02/16 04:31:57
    http://todayhumor.com/?readers_31170 모바일
    (FunPun한자) 송구영신
    <b>오늘의 문제:</b> 『송구영신』<br><br>送舊迎新은 「옛것을 보내고 새것을 맞는다」는 뜻입니다. 오늘은 설날입니다. 새해에 자주 쓰는 말이 바로 이 송구영신이죠. 이 말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이 말이 송고영신送故迎新에서 왔다는 이야기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이 말이 송구년送舊年영신세迎新歲에서 왔다는 이야기고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이란 뜻으로 보면 송구년送舊年영신세迎新歲가 맞는 것 같습니다. 오등회원이라는 일종의 불교 역사책 중 <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C%9E%84%EC%A0%9C%EC%A2%85" target="_blank">임제종</a>에 대한 부분에서 석상종감선사石霜宗鑑禪師의 말로 나옵니다. 송고영신은 <a target="_blank" h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84%9C" target="_blank">한서</a>라는 역사책 중 왕가王嘉라는 사람의 전기에 나오는 말입니다. 「옛 관리를 보내고 새로운 관리를 맞이함」이란 뜻으로 썼다고 합니다. 이것이 변해서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이 되었다 하고요.<br><br>왕가의 상소문은 지금 이야기하려는 뜻과 별 상관이 없고, 오등회원에 나온 말은 『送舊年 迎新歲 動用不離光影內 澄輝湛湛夜堂寒 借問諸人會不會 若也會 增瑕纇 若不會 依前昧 與君指箇截流機 白雲更在青山外』이 다 입니다. 모여서 허물을 더하느니 깨달음을 얻느니만 못하다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만(추가: 회會가 법회를 뜻하는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앞의 이야기와 만났는가, 즉 알아들었는가일 가능성이 크군요. 정말 어렵네요.), 차라리 시를 번역하는 것이 쉽겠습니다. 송구영신送舊迎新이란 말이 들어간 (아마 가장 오래된?) 시를 준비했습니다. <a target="_blank" href="http://krdic.naver.com/seo.nhn?id=25821500" target="_blank">양만리</a>라는 사람이 지은 숙宿성외城外장씨장張氏莊조기早起입성入城(성 밖 장씨네 집에서 자고 일찍 일어나 성에 들어가다)란 시(같은 제목의 시 세 편 중 세 번째)입니다. 이 시에서는 송구영신이 「옛것을 보내고 새것을 맞는다」는 원래 뜻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 양만리는 벼슬을 버리고 산속으로 숨은 사람입니다. 벼슬을 살다 환경이 바뀌니 힘들었겠죠.<br><br>면운기석십여년眠雲跂石十餘年 구름에 자고 돌을 발돋움한 지 십여 년<br>회수포관일순간回首抛官一瞬間 머리를 돌려 벼슬 내던진 것이 한순간<br>송구영신야신고送舊迎新也辛苦 옛것을 보내 새것 맞음도 맵고 쓰더군<br>일번신고양년한一番辛苦兩年閑 첫 번째 괴로움은 두 해나 일이 없던 것<br><br>송고영신送故迎新이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으로 쓰인 것은 서현徐鉉이란 사람의 제야除夜라는 시 부터입니다. 제야는 섣달 그믐날 밤, 그러니까 일년의 마지막날 밤입니다. 요즘은 밤 12시를 지나면 날이 바뀐다 하지만 옛날에는 해가 떠야 날이 바뀐다 했습니다. 오늘은 설날이지만 이 글을 쓰는 지금, 아직 해가 뜨지 않았으니 바로 이 제야除夜입니다. 한문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제가 없습니다. 작가는 찬 바람에 촛불이 흔들리는 것을 보면서 시를 짓기 시작합니다. 이제 얼마 후면 날이 밝을 것입니다. 날이 밝기 전에 이 시를 마쳐서 다른 이에게 보여주지 않으면 작년의 시(거년시去年詩)가 될 수도 있습니다. 초조하겠죠. (지금 제 마음입니다.) 이렇게 풀은 <a target="_blank" href="http://www.chinatea.re.kr/?c=teastory/39&uid=236" target="_blank">다른 번역</a>도 있습니다. (한번 읽어보세요.) 저는 어짜피 날이 밝아 받아볼텐데 굳이 작년의 시라 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해를 보내는 시(거년시去年詩)로 풀었습니다. (어쩌면 작가는 이 두가지를 모두 표현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br><br>한등경경루지지寒燈耿耿漏遲遲 추운 촛불 깜빡깜빡 흘리느니 질질<br>송고영신료불기送故迎新了不欺 옛것 보내 새것 맞음 깨달으니 사실<br>왕사병수잔력일往事倂隨殘曆日 지난 일은 남은 날을 따라 하나 된다지만<br>춘풍령식구용의春風寧識舊容儀 봄바람은 옛 모습을 어이 알아보려나<br>예참세주난선음預慚歲酒難先飲 새해 위해 준비한 술 부끄러움 미리 보여 먼저 먹기 어렵고<br>경대향나선소아更對鄉儺羨小兒 귀신 쫓는 푸닥거리 마주함이 다시 되니 어린 애가 부러워라<br>음태명조증지기吟罷明朝贈知己 내일 아침 읊던 것 멈춰 보내리라, 내 마음 알아줄 이에게<br>편수제작거년시便須題作去年詩 쉽게 제목 지어야 하리라, 해를 보내는 시<br><br>오늘은 설날을 맞아 송구영신送舊迎新을 풀어봤습니다.<br><br><b>이전문제:</b>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readers_31163" target="_blank">주마가편</a>』<br><b>자매문제:</b>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readers_31169" target="_blank">(문장 연습 오늘의 단어) 미지, 화학, 가상, 하루, 주사</a><br><br><b>***</b><br><br><b>맛보기 문제:</b> 『가화만사성』<br><br><b>규칙1. 제출한 표현은 읽는 법과 의미를 설명한다.</b><br>예) 가화만사성 - 家和萬事成(집안이 화목하고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br><br><b>규칙2. 제시된 소리가 모두 들어간 표현을 만든다.</b><br>예) 가화만사성 - 加禍謾詐盛(재앙을 더해 속임수가 왕성하다)<br><br><b>규칙3.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로 그 표현은 제출할 수 없다.</b><br>예) 家和萬事成(X) 加禍謾詐盛(O)<br><br><b>규칙4. 제시된 소리의 순서는 바꿀 수 있다.</b><br>예) 성사만화가 - 成事滿華家(화려함을 채우는 일에 성공한 집 또는 成事滿華于家로부터 집에 화려함을 채우는 일에 성공하였다)<br>예) 성사만화가 - 性事漫畫家... 다들 아실 것이라 믿고 설명은 생략합니다.<br><br><b>규칙5. 한자로 쓸 수 있어야 한다.</b><br>예) 性事漫畫家(O) 性事畫家만(X)<br><br><b>규칙6. 고유명사는 다른 곳에서 인용할 수 있는 것을 쓴다.</b> 단,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도 허용한다.<br>예) 사성만가화 - 師誠謾可化(사성이 가화를 속였다)에서<br>師誠은 조선 말기 승려(1836년생1910년몰)의 법명이고 可化는 1870년에 진사가 된 원숙교(1828년생)의 다른 이름이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7
    (FunPun한자) 천인공노 [3] 섬집아이 18/03/09 13:15 36 1
    116
    (FunPun한자) 인면수심 [3] 섬집아이 18/03/08 10:54 40 1
    115
    (FunPun한자) 패가망신 [3] 섬집아이 18/03/06 11:37 44 2
    114
    (FunPun한자) 영웅호색 [4] 섬집아이 18/03/05 14:58 52 2
    113
    동천년로桐千年老항장곡恒臧曲매일생한梅一生寒불매향不賣香 섬집아이 18/03/04 08:51 64 2
    112
    (FunPun한자) 옥석구분 [3] 섬집아이 18/03/04 03:16 51 1
    111
    (FunPun한자) 막역지우 [3] 섬집아이 18/03/03 09:47 54 1
    110
    단원인장구但願人長久 / 독상서루獨上西樓 - 소식 / 이욱 / 등려군 섬집아이 18/03/02 21:46 34 2
    109
    (FunPun한자) 문경지교 [3] 섬집아이 18/03/02 09:42 48 0
    108
    (FunPun한자) 담수지교 [3] 섬집아이 18/03/01 06:09 61 1
    107
    (FunPun한자) 관포지교 [5] 섬집아이 18/02/28 09:58 46 2
    106
    지란지교를 꿈꾸며 - 유안진 [3] 섬집아이 18/02/27 06:32 62 2
    105
    (FunPun한자) 지란지교 [4] 섬집아이 18/02/27 05:56 76 2
    104
    (FunPun한자) 양약고구 [3] 섬집아이 18/02/26 05:46 80 1
    103
    (FunPun한자) 괄목상대 [4] 섬집아이 18/02/25 04:21 76 1
    102
    (FunPun한자) 목불인견 [10] 섬집아이 18/02/24 06:28 69 2
    101
    (FunPun한자) 목불견첩 [6] 섬집아이 18/02/23 02:24 82 3
    100
    개구리 - 한하운 [4] 섬집아이 18/02/22 14:23 39 4
    99
    (FunPun한자) 정저지와 [3] 섬집아이 18/02/22 12:19 37 1
    98
    (FunPun한자) 유월비상 [3] 섬집아이 18/02/21 04:21 83 2
    97
    가장 큰 기적 섬집아이 18/02/20 08:06 48 3
    96
    (FunPun한자) 여실일비 [3] 섬집아이 18/02/20 02:40 88 4
    95
    어린애는 그럴 수 있지만 당신이 그러면 안 되지 섬집아이 18/02/19 22:53 47 2
    94
    내 자식이 아니다 섬집아이 18/02/19 19:29 47 2
    93
    (FunPun한자) 절치부심 [2] 섬집아이 18/02/17 12:16 49 0
    (FunPun한자) 송구영신 [2] 섬집아이 18/02/16 04:31 97 0
    91
    (FunPun한자) 주마가편 [3] 섬집아이 18/02/15 08:47 49 0
    90
    좋은 어부는 가지지 않는다 [5] 섬집아이 18/02/14 20:08 53 2
    89
    (FunPun한자) 양상군자 [5] 섬집아이 18/02/14 11:13 46 1
    88
    (FunPun한자) 백중지세 [3] 섬집아이 18/02/13 09:06 45 1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