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웃기면오백원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6-04-13
    방문 : 63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1008713
    작성자 : 웃기면오백원
    추천 : 95
    조회수 : 4305
    IP : 118.220.***.60
    댓글 : 7개
    등록시간 : 2018/01/01 00:53:52
    http://todayhumor.com/?sisa_1008713 모바일
    미륵사지 석탑 17년만에 공개된다는 뉴스 보다가....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859bbeac8831304bb38227af266bb9e746__mn716787__w953__h692__f96794__Ym201801.jpg" width="800" height="581" alt="20171231_232452.jpg" class="chimg_photo" style="font-size:9pt;border:none;" filesize="96794"></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55502788bc117d6a45b6a6f7990356382f07__mn716787__w500__h750__f90844__Ym201801.jpg" alt="20171231074505728uzgp.jpg" style="border:none;width:480px;height:720px;" filesize="90844"></div><br></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v.media.daum.net/v/20171231074506530">http://v.media.daum.net/v/20171231074506530</a></div> <div style="text-align:left;">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일제강점기인 1915년 시멘트를 마구잡이로 부어 보수해 흉물스럽게 변했고, 문화재위원회는 1999년 해체·보수를 결정했다. 이어 2000년 정밀조사와 가설 덧집 설치를 거쳐 2001년 10월 고유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돌입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31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미륵사지 석탑은 지난 11월 석재를 6층까지 올리는 조립 공사가 마무리됐고, 노출된 석재 면의 강화 처리와 색맞춤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p></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우리나라 문화재 색감에 놀라서 </div> <div style="text-align:left;">흥미로운 뉴스 몇가지만 퍼왔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82d544b2ae8f21406092d6c8ec85e5c589__mn716787__w944__h766__f107158__Ym201801.jpg" width="800" height="649" alt="20171231_23232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107158"></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v.media.daum.net/v/20171201030244570">http://v.media.daum.net/v/20171201030244570</a></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b><u>‘왕의 곤충’으로 불리는 비단벌레</u></b>는 온몸에서 무지개 빛을 뿜어내는 희귀 곤충으로 신라와 고구려, 왜에서 최고급 공예장식으로 사용됐다. 특히 신라에서는 금동판 투조(透彫·재료를 도려내 무늬를 낸 것) 밑에 비단벌레 장식을 깔아 화려함을 더했다.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비단벌레 개체 수가 매우 적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실제로 박물관은 비단벌레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문화재청 사전허가를 받은 뒤 곤충학자와 사흘간 답사한 끝에 전남 완도군 당인리에서 사체 한 마리를 가까스로 얻을 수 있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8293784915ca284cbf93aacd6dba4b4e9a__mn716787__w948__h167__f26243__Ym201801.jpg" width="800" height="141" alt="20171231_23241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6243"></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204926dd95279c4e879165ec7f5f4d1a88__mn716787__w450__h770__f112332__Ym201801.jpg" width="450" height="770" alt="20171204030218562yhyr.jpg" style="font-size:9pt;border:none;" filesize="112332"></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v.media.daum.net/v/20171204030219571">http://v.media.daum.net/v/20171204030219571</a></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100여 년 만의 귀향.’</div>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타향에 머물던 보물급 문화재 1점이 최소 한 세기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조선 후기 대표적 고승인 묵암 대사(1717∼1790)의 초상화 ‘묵암당 진영(默菴堂 眞影)’이 본가인 전남 순천시 송광사로 전격 환수됐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송광사 성보박물관(관장 고경 스님)은 3일 “일본 개인 소장자가 갖고 있던 묵암당 진영을 오랜 협의 끝에 송광사로 모셔오기로 결정했다”며 “묵암 스님이 입적하기 직전에 남긴 것으로 알려진 이 그림은 송광사는 물론이고 한국 불교 전체의 소중한 보물”이라고 밝혔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묵암 최눌(默菴 最訥)은 한국의 삼보(三寶) 사찰인 송광사에서도 손꼽히는 학승으로 화엄학의 대가로 이름을 떨쳤다. 임진왜란 때 서산 대사(1520∼1604)와 함께 송광사를 지켰던 부휴 대사(1543∼1615)의 적통으로 불교 해설서 ‘제경회요(諸經會要·동국대도서관 소장)’, 시문집 ‘묵암집(默庵集·규장각 소장)’ 등 다수의 문헌을 남겼다. 묵암을 기리는 비와 부도는 지금도 송광사에 남아 있다.</p></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색감 진짜 쥑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일본이 우리나라 탱화를 약탈 많이 했던데</div> <div style="text-align:left;">하나같이 색감이 세련되고 멋지더라고요.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러한 훌륭한 문화재 불화가 미술학적으로 더 연구되길 바라 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840d930bbd021648a29c69ae968d50889f__mn716787__w967__h655__f97575__Ym201801.jpg" width="800" height="542" alt="20171231_23243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97575"></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215e3b024e95ff405f9ecfd097f964bd2c__mn716787__w540__h353__f68946__Ym201801.jpg" width="540" height="353" alt="20171226224700838widf.jpg" style="font-size:9pt;border:none;" filesize="68946"></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v.media.daum.net/v/20171226193200537">http://v.media.daum.net/v/20171226193200537</a></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조선시대 산수화는 영조 때 선비화가 겸재 정선(1676∼1759)에 와서야 비로소 우리나라 산천의 모습, 조선 복식의 사람이 화폭에 담겼다. 이전까지는 중국에서 건너온 화보 속의 산과 강, 인물을 그대로 그리는 관념 산수가 지배했다. 양대 전란 후 명·청 교체에 따라 ‘소중화(小中華)’ 사상이 싹트며 우리 땅을 다시 보게 된 것이다. 정선은 금강산과 한양 등을 직접 돌아보고 관찰하며 중국 남종화를 토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기법으로 이를 그려 진경산수를 창안한 것이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정선이 여러 화첩으로 남긴 진경산수가 무더기로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정선이 그려서 화첩으로 묶은 ‘해악전신첩’(보물 제1949호) 등 5건이 보물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p></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8733c3bdb23a154cd581acf65de2ee8e73__mn716787__w923__h608__f83705__Ym201801.jpg" width="800" height="527" alt="20171231_232909.jpg" class="chimg_photo" style="font-size:9pt;border:none;" filesize="83705"></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17a5300aea6d70455d8a8debc3cd50300e__mn716787__w500__h333__f54828__Ym201801.jpg" width="500" height="333" alt="20170804094112375tave.jpg" style="font-size:9pt;border:none;" filesize="54828"></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v.media.daum.net/v/20170804094113315">http://v.media.daum.net/v/20170804094113315</a></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농다리는 1984년부터 2007년까지 모두 19차례나 장마 때마다 유실돼 거의 매년 복구공사가 이뤄졌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2009년 7월에도 피해를 본 바 있다. 문제는 피해를 줄일 방법이 현재로썬 마땅치 않다는 데 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p></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학예연구사는 "축조 기록 등이 있다면 원형복원에 나설 수 있겠지만, 농다리는 자연 하천에 자연석을 쌓아 만든 것이어서 그렇게 할 수 없다"며 "그렇다고 농다리를 보호하기 위해 인공적인 조처를 한다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 <p style="margin:0px 0px 19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AppleSDGothicNeo-Regular', 'Malgun Gothic', '맑은 고딕', dotum, '돋움',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그러면서 "현재로써는 자연석을 쌓은 형태로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p></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801/151473378668543b897a57421587bd4912908eb810__mn716787__w933__h618__f66084__Ym201801.jpg" width="800" height="530" alt="20171231_23252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66084"></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v.media.daum.net/v/20171021102956378">http://v.media.daum.net/v/20171021102956378</a></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실제로 본 문화재중에서 </div> <div style="text-align:left;">저를 가장 압도했던 것이 바로 석굴암이었습니다.</div></div> <div style="text-align:left;">석굴암 보존에 대한 암울한 소식만 들려와서 안타깝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박정희 나쁜 놈</div><br><div><br></div> <div><br></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8/01/01 00:57:50  122.47.***.11  좋은꿈을꾼다  436266
    [2] 2018/01/01 01:00:18  206.130.***.91  firehohoho  712848
    [3] 2018/01/01 01:01:36  27.35.***.184  깨소금  18041
    [4] 2018/01/01 01:03:41  112.170.***.124  즐겁자장면  739902
    [5] 2018/01/01 01:05:46  39.7.***.80  벌꿀오소이니  262085
    [6] 2018/01/01 01:08:17  122.32.***.52  커피가필요해  737417
    [7] 2018/01/01 01:09:02  121.183.***.234  전래동화  712230
    [8] 2018/01/01 01:09:26  122.42.***.250  프리폴  717609
    [9] 2018/01/01 01:09:33  115.136.***.13  춥다오늘  529502
    [10] 2018/01/01 01:11:04  175.115.***.70  주6  74066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6
    가상화폐 ≠ 거래소 [11] 웃기면오백원 18/01/11 17:30 878 19
    715
    비트코인 ‘각국 규제’에 하락…“가상화폐 규제 강화 [4] 웃기면오백원 18/01/11 15:24 1424 43
    714
    법무장관 "가상화폐는 도박..거래 금지 특별법 추진" [7] 웃기면오백원 18/01/11 14:16 996 44
    713
    IOC 참가신청 마감 연장, 북한 '피겨 스케이팅 페어' 출전하나? [2] 웃기면오백원 18/01/09 08:12 475 19
    712
    ㅃ] 다스뵈이다 6회 나왔습니다.(냉무) [2] 웃기면오백원 18/01/06 03:27 1307 21
    711
    '광물자원공사 채용비리' 3명 법정 구속.. 점수 조작·채용 인원 늘려 [4] 웃기면오백원 18/01/05 07:45 1387 80
    710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북측 선수단의 비용을 부담하기로 [16] 웃기면오백원 18/01/05 02:48 3143 172
    709
    박지원_한미 정상 합의 환영하면서 유승민-안철수 싸잡아 질타 [5] 웃기면오백원 18/01/05 01:12 1658 35
    708
    한미정상, 평창올림픽 기간에 합동군사훈련 않기로 합의(종합) [1] 웃기면오백원 18/01/05 00:11 472 26
    707
    남싱글1장, 여싱글 2장, 아댄1장-자력 ...페어 1장- 개최국자동출전 웃기면오백원 18/01/04 22:30 551 17
    706
    공시생들이 야당에게 항의해야...신규 7천명 줄인 건 야당이 한 짓 [5] 웃기면오백원 18/01/03 06:41 2460 91
    미륵사지 석탑 17년만에 공개된다는 뉴스 보다가.... [9] 웃기면오백원 18/01/01 00:53 2014 95
    704
    안녕하세요 처음 글 써봅니다. [21] 웃기면오백원 18/01/01 00:00 489 104
    703
    대선 때 유세현장 방송에서 이거보고 진짜 펑펑 울었죠. [13] 웃기면오백원 17/12/31 03:54 3876 197
    702
    정책은 완성형이 아니다......비판적지지라는 말은 허상 [7] 웃기면오백원 17/12/31 03:11 470 35
    701
    야당이 민생법안을 거부하고 있는데....언론의 vs.놀이 [4] 웃기면오백원 17/12/29 08:00 1280 59
    700
    2014년 최경환 인사청문회_ "UAE 원전 핵폐기물, 들어올 일 없다" [4] 웃기면오백원 17/12/29 07:30 1988 67
    699
    믿고 기다리면 언젠가는 납득가능한 대답을 해주니까.... [10] 웃기면오백원 17/12/29 01:07 980 132
    698
    제가 기억하는 한일위안부협상 직후 [7] 웃기면오백원 17/12/28 20:11 694 49
    697
    이쪽이든 저쪽이든 흑화해서 탄생한 캐릭터는 조심하세요. [28] 웃기면오백원 17/12/28 05:50 1379 23/7
    696
    야잇 이 사람들아 잠깐 시게 안 봤다고 9페이지를 복습해야하다니 [17] 웃기면오백원 17/12/27 22:51 1113 73
    695
    평교사도 교장 지원 가능.. 교장공모제 확대 [2] 웃기면오백원 17/12/26 22:12 421 32
    694
    알고 먹으면 더 감칠나는 토마토의 맛 [17] 웃기면오백원 17/12/26 21:20 858 22/5
    693
    ㅃ 정치신세계- 윤갑희 환상속의 그대 ㅋㅋㅋㅋㅋㅋ [2] 웃기면오백원 17/12/26 06:10 1694 31
    692
    "주요 상가 임대료 누구나 쉽게 확인하세요" [7] 웃기면오백원 17/12/26 00:02 606 40
    691
    후방주의 ] [15] 웃기면오백원 17/12/25 22:06 1918 56
    690
    과연 탄저균백신은 전쟁용으로만 사용이 되는건가???미국탄저균백신마켓 [2] 웃기면오백원 17/12/25 21:31 190 5
    689
    노인 웰빙 위해 'AI 로봇 고양이' 만든다 [7] 웃기면오백원 17/12/25 08:08 917 27
    688
    가상화폐공개(ICO) 너 뭐니? [8] 웃기면오백원 17/12/25 07:37 1080 4
    687
    주말동안 화재_ 정부와 소방관을 탓하는 내용은 전혀 없었다. [6] 웃기면오백원 17/12/25 06:41 1794 65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