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어지러운세상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5-05-12
    방문 : 890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644140
    작성자 : 어지러운세상
    추천 : 2
    조회수 : 230
    IP : 211.47.***.204
    댓글 : 1개
    등록시간 : 2016/01/05 01:06:19
    http://todayhumor.com/?sisa_644140 모바일
    외교전문지 디플로마트, 한국 언론의 자유 철저하게 감시 받아
    옵션
    • 펌글
    <div><br></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s://thenewspro.org/wp-content/uploads/2016/01/photo_2016-01-05_00-49-47-768x1024.jpg" width="768" height="1024" alt="https://thenewspro.org/wp-content/uploads/2016/01/photo_2016-01-05_00-49-47-768x1024.jp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Even before she was elected president of South Korea, Park Geun-hye’s loudest critics saw in her shades of her dictator father, who brutally suppressed dissent during the 1960s and 70s. To her opponents, Park’s almost three years in power since have more than justified those fears.</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한국 대통령으로 당선되기 이전부터 박근혜의 신랄한 비판가들은 1960년대와 70년대에 반대 의견을 가혹하게 억압했던 아버지 독재자의 모습을 그녀에게서 보았다. 그 때 이후로 그녀의 반대자들에게 있어 박근혜가 집권한 지난 3년은 그런 두려움이 타당했음을 보여주고도 남았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From launching defamation lawsuits against critics to a plan to take over the publishing of history books used at schools, the Park administration’s efforts to control speech have fueled the perception of a leader wed to the same authoritarian ideology of her father Park Chung-hee, who ruled South Korea from 1961 until his assassination in 1979.</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비판가들을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역사교과서 출간을 정부가 주도하려는 계획에 이르기까지 박근혜 정부의 언론 통제 시도는 1961년에서 1979년 암살당할 때까지 한국을 지배했던 그녀의 아버지 박정희와 똑같은 독재적 사고를 가진 대통령이라는 인식을 더욱 부추겨 줬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There is no need to mince words: Freedom of expression is eroding every day under the current South Korean government,” Se-Woong Koo, editor of the liberal news website Korea Expose, told The Diplomat.</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표현의 자유는 현 한국 정부 하에서 하루하루 부식되어 사라지고 있다”고 진보 뉴스 사이트 코리아 익스포제의 편집장 구세웅 씨가 디플로마트에 말했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Recently, such concerns have found voice in opposition to Park’s initiative to entrust the state with authoring history textbooks used at schools from 2017. Along with planned labor reforms, the proposal was the main spark for two mass rallies held in Seoul in recent weeks that attracted an estimated 85,000 people.</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최근 그러한 우려가 2017년부터 학교에서 사용될 역사교과서의 집필을 정부에게 맡기려는 박근혜의 계획에 대한 반대로 나타났다. 노동 개혁안과 함께 교과서 국정화 계획은 몇 주전 서울에서 열린 두 번의 대규모 시위에 약 8만5천 명을 참여하게 한 주요 동기였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While Park has argued the textbook plan is necessary to remove pro-North Korea bias in some books, others see the move as a ploy to put a conservative spin on the nation’s turbulent modern history, especially the legacy of her father. The elder Park enjoys considerable respect among older Koreans for overseeing the country’s explosive economic rise, but remains controversial overall for his anti-democratic rule and persecution of opponents.</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박근혜가 일부 교과서에 나타난 친북적 편향을 없애기 위해 국정화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이들은 이를 한국의 험란한 근대사, 특히 박근혜 자신의 아버지의 과거사에 보수주의적 해석을 가미하려는 책략으로 본다. 박정희는 한국의 폭발적인 경제 성장을 주도한 점에 대해 나이 든 세대로부터 상당한 존경을 받지만 전반적으로는 반 민주적 지배 방식과 반대자들에 대한 가혹한 처우로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Apart from the textbook plan itself, the Park’s administration’s response to dissent on the issue has further exacerbated her reputation as a leader hostile to free expression. After the anti-government rallies, Park compared some masked protestors with ISIS, calling for a ban on face coverings at public demonstrations. When American journalist Tim Shorrock wrote in The Nation magazine several weeks later that Park wa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her dictator father,” the South Korean Consulate-General in New York contacted the magazine to complain, the writer claimed.</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국정교과서 발행 계획은 차치하더라도, 이에 대한 반대 의견에 대응하는 박근혜 정권의 태도는 표현의 자유에 적대적 태도를 가진 대통령이라는 그녀의 평판을 더욱 악화시켰다. 반 정부 집회들이 열린 이후, 박근혜는 마스크를 쓴 일부 시위자들을 IS에 비유하며 공공집회 중 복면 착용 금지를 촉구했다. 미국인 기자 팀 쇼락 씨에 따르면 <네이션>지에 박 대통령이 “독재자 아버지의 전철을 밟고 있다”는 글을 기고한 지 몇 주 뒤 뉴욕 총영사가 연락해 해당 기사에 대해 항의를 했다고 한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center;"></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I am afraid that there is a general tendency of press intimidation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at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past three years,” said Lim Og, a journalist at online media outlet NewsPro.</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온라인 언론사 뉴스프로의 언론인 임옥 씨는 “지난 3년 동안 한국 정부가 언론을 겁주려는 일반적 경향이 점차 높아져 왔다”고 우려했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Lim pointed out that South Korea ranked just 60th in this year’s press freedom index by Reporters Without Borders, a drastic fall from its best-ever ranking of 31st in 2006.</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임 씨는 올해 국경없는 기자회에서 실시한 국가별 언론자유지수 평가에서 한국이 60위를 기록해 2006년 사상 최고를 기록한 31위에서 급격히 하락했다고 지적했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The recent controversies follow a raft of other attempts by the government, or legal authorities under its influence, to manage speech unfavorable to the president. In one incident last month, police questioned a shopkeeper after he put up posters at his premises that called the president a “dictator’s daughter.” Then there is the ongoing trial of Kato Tatsuya, the former Seoul bureau chief of Sankei Shimbun, a Japanese daily. Kato faces up to seven years in prison if convicted of defaming the president by repeating rumors about her whereabouts on the day of last year’s Sewol ferry disaster.</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대통령에 비우호적인 표현을 통제하기 위한 정부 및 산하 법률 기관들의 다방면의 노력으로 말미암아 최근 논란이 있었다. 일례로, 한 가게 주인은 지난 달 본인의 가게에 박 대통령을 “독재자의 딸”이라 지칭한 포스터를 게재했다가 경찰의 질문 공세에 시달려야 했다. 그리고 일본 산케이신문 가토 다쓰야 전 서울지국장을 둘러싼 법정공방이 현재 진행 중이다. 만일 작년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행방에 대한 루머를 재언급한 것에 대해 대통령 명예훼손으로 유죄판결을 받는다면 가토 씨는 최고 7년형까지 선고받을 수 있다(역주: 가토 다쓰야는 12월 17일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The government and its ranking figures present the greatest worry, in that they have an outdated notion of what a democratic nation is,” said Koo. “They say they are determined to protect democratic South Korea from far-ranging threats such as North Korea and terrorism. But they clearly have no interest in safeguarding democratic principles including freedom of speech.”</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한국 정부와 정부의 고위직 인사들이 민주주의 국가가 무엇인가에 대해 시대착오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가장 우려스럽다”며 “그들은 북한, 그리고 테러리즘과 같은 광범위한 위협들로부터 민주주의 한국을 보호하겠다는 결의에 차있다. 그러나 그들은 표현의 자유를 포함한 민주주의적 원칙들을 지킬 생각은 확실히 없다”고 구 씨는 말했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While some see an especially profound threat to free expression in the current president, South Korea has always had severe constraints on expression during its short democratic history.</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어떤 이들은 현 대통령 하에서 표현의 자유가 특히 심각하게 위협 당하고 있다고 보지만 그 짧은 민주주의 역사 속에서 한국은 표현에 대해 항상 극심한 제한을 해왔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The country’s constitution does not contain any endorsement of free speech as unambiguous as the 1st Amendment in the United States, qualifying its protections with references to public morality, social ethics and the honour of individuals.</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한국의 헌법에는 공중도덕, 사회윤리 및 개인의 존엄과 관련하여 이의 수호를 의무화하는 미국의 1차 수정헌법처럼 표현의 자유를 명료하게 지지하는 조항이 없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One especially powerful brake on expression is the National Security Law, an anti-communist statute that potentially makes any praise of North Korea a crime. While seen as a necessarily bulwark against communist contamination from North Korea by many conservatives, the law has come in for repeated criticism from activist groups such as Amnesty International.</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특히 표현의 자유에 대한 한 가지 강력한 제재는 북한에 대한 어떤 칭찬도 범죄 행위로 규정지을 수 있는 반공법안 국가보안법이다. 많은 보수주의자들은 이를 북한으로부터의 공산주의 오염을 막기 위한 필요 불가결한 방어책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국가보안법은 국제앰네스티와 같은 활동가 단체들로부터 거듭 비판을 받아왔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As (the) NSL includes vaguely-worded clauses which allow overly broad application, to intimidate and imprison people simply exercising their human rights, Amnesty International has been calling (on)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to abolish or substantially amend the NSL in line with the country’s international human rights obligations and commitments,” said Hiroka Shoji, East Asia researcher at Amnesty International.</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국가보안법은 애매한 문구들을 지니고 있어서 자신의 인권을 행사하고 있을 뿐인 사람들을 위협하고 구금할 수 있도록 지나치게 폭넓은 법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제 엠네스티는 한국 정부에게 국가보안법을 폐기하거나 혹은 국제인권에 대한 의무와 약속을 나타내도록 대대적으로 수정할 것을 요구해왔다”고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담당 연구관 히로카 쇼지는 말했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The country’s defamation laws are also notably strict, and have routinely allowed democratically-elected administrations, including those from the liberal side of the aisle, to quash criticism. Unlike in much of the democratic world, defamation is treated as a criminal as well as civil matter, carrying the threat of heavy fines or years in jail.</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한국의 명예훼손법 또한 특히 엄격하며, 진보 진영을 포함해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들이 비판을 억누르는 수단으로 일상적으로 이를 사용해왔다. 대부분의 민주주의적 세계와는 달리 명예훼손은 민사문제일 뿐 아니라 형사 사건으로 취급되며 무거운 벌금이나 수년간의 징역형을 수반한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center;"></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Whether or not because of a status quo that has long been ambivalent about freedom of expression, it’s far from clear that the public en masse is disturbed by Park’s clampdown on speech.</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표현의 자유에 대해 오랫동안 양면적인 태도를 보여온 현 상황 때문이든 아니든 간에 일반 대중이 박근혜의 이러한 탄압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For months, the president’s approval rating has fluctuated in the mid-40s, a relatively strong showing for a mid-tenure president in South Korea, where the public is notorious for eventually turning against its leaders in overwhelming numbers. And while attitudes have since shifted somewhat against the textbook plan, an opinion poll carried out in October by Gallup Korea showed the public dead spilt on the issue.</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지난 수개월 동안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임기 말에 이르며 대통령에 대해 압도적인 수치로 대중이 등을 돌리는 것으로 악명 놓은 한국에서 재임기간 절반에 이른 대통령으로서는 비교적 높은 40% 중반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그리고 이후 역사교과서 계획에 반대하며 민심이 다소 바뀌긴 했지만, 10월에 갤럽코리아가 실시한 여론 조사는 역사교과서 문제에 대해 국민이 절반으로 갈라졌음을 보여줬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If the public remains relatively apathetic about moves to control speech, part of the explanation may lie in different cultural values. In a recent survey of 38 countries carried out by the Pew Research Center, South Koreans were found to be less supportive of freedom of expression than not just people in democratic Western countries, but also those of several far less developed nations including Kenya, the Philippines and Peru.</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일반인들이 언론 통제에 대해 비교적 무관심하다면 이에 대한 설명을 다른 문화적 가치에서 어느 정도 찾을 수도 있다. 퓨 리서치 센터가 38개국에 대해 실시한 최근 조사에서 한국인들은 서양 민주주의 국가 국민들뿐만 아니라 케냐, 필리핀, 페루를 포함한 훨씬 덜 개발된 국가의 국민들보다도 표현의 자유를 덜 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The biggest problem is many Koreans don’t think freedom of expression is important,” said Lee Ki-jun, a journalist with Newsweek Korea. “Most of them seem to be satisfied with current level of freedom of expression. They often put many things like public order, national interest and prestige above it.”</p> <p style="padding:0px 0px 1em;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family:NanumGothic;color:#222222;font-size:14px;line-height:21px;text-align:justify;">“가장 큰 문제는 많은 한국인들이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뉴스위크 코리아 언론인 이기준 씨는 말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현재 수준의 표현의자유에 만족해 하는 것 같다. 그들은 표현의 자유보다 공공질서, 국가이익, 체면 같은 것들을 종종 우선시한다”고 그는 덧붙였다.</p></div>
    출처 https://thenewspro.org/?p=16607
    어지러운세상의 꼬릿말입니다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9/1442713824V1z6ko5NmjlSWv5c.jpg" width="800" height="300" alt="수고했어요.jpg" style="border:none;">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01/05 01:22:51  58.239.***.13  좋은꿈을꾼다  436266
    [2] 2016/01/05 02:51:17  1.247.***.52  잘될놈  43854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
    중국만 쳐다보는 무대책 정부...‘총체적 외교실패’ 비판 쇄도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14 21:49 141 3
    103
    n] 동아일보 설립자 인촌 김성수 '친일행위', 항소심도 인정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14 21:15 83 12
    102
    북한이 미국에게 보낸 전단지 [1] 펌글베스트금지 어지러운세상 16/01/14 12:10 223 1
    101
    [직썰]2016년, 대부업체 이자 제한이 사라졌다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13 22:08 144 5
    100
    박근혜, "야당 대표 초치했다" 발언 논란 [7]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13 21:35 577 17
    99
    [팩트tv]다큐영화 [사명-항일은 끝나지 않았다] 1화 - 혈서지원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11 23:52 33 0
    98
    한미일 해상 책임자 경력 비교 jpg. [2]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10 00:28 165 10
    97
    [카드뉴스] 치욕스러운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 언론은?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8 00:47 39 4
    96
    N]朴대통령 "경제걸림돌 적폐척결해야"…부패예방책 곧 발표(종합2보) [4]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6 01:42 130 13
    95
    N]박 대통령 연봉, 700만 원 오른 2억 1,201만 원 [5]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6 01:12 131 12
    94
    이준식 "박정희 정권의 국정교과서, 긍정 평가 [4]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6 00:37 217 11
    93
    김제동이 말하는 종북좌파와 빨갱이들 ( feat. 배꼽주의)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5 01:43 127 2
    외교전문지 디플로마트, 한국 언론의 자유 철저하게 감시 받아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5 01:06 57 2
    91
    일본 외무상 기자회견, 소녀상 이전 요구 공식화..그리고 일본발 속보!!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4 23:51 320 12
    90
    천주교 "위안부 인권 짓밟은 한일 합의는 원인무효" [3]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4 23:15 134 16
    89
    반기문 유엔 총장이 2004년 국정감사에서 위안부에 대해 발언한 내용 [6]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4 22:29 190 3
    88
    유시민님 왈 그래도 새누리당 보다는 나아요.. 어지러운세상 16/01/04 21:17 217 2
    87
    [다큐]정부와 검찰은 밝히지 못하는 세월호의 진실 [2]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3 22:31 27 12
    86
    '구로공단 농지 강제수용' 농민들, 50년만에 재재심 최종 승소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3 22:15 81 2
    85
    혐한 시위 일본인 피켓 jpg. [2]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3 20:15 390 4
    84
    박정희 살리기 vs. 위안부 역사 지우기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1 19:03 117 2
    83
    새해 신년 천연기념물 제 202호 두루미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1 18:39 35 2
    82
    일본군 성노예는 참혹했다...이토 다카시 증언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1 17:39 195 6
    81
    유니버설 "수자원공사와 `한국판 유니버설' 협의 없어"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1 16:12 144 1
    80
    일본군 강제성노예 해결을 위한 세계 1억인 서명운동 [3] 펌글 어지러운세상 16/01/01 02:51 117 5
    79
    새누리 김용남, ‘위안부 굴욕협상’ 비판에 “日 극우매체와 같은 주장”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5/12/31 22:30 187 1
    78
    [팩트tv] 416가족 송구영신 행사 생중계 펌글 어지러운세상 15/12/31 22:22 12 5
    77
    일본대사관에서 대학생들 기습시위 [2] 펌글 어지러운세상 15/12/31 12:38 148 10
    76
    이순신 만화로 유명한 온리 콤펜과 소녀상 [1] 펌글 어지러운세상 15/12/31 00:03 127 3
    75
    [속보] 교토통신 - 일본정부 소녀상 철거없으면 10억엔 없다 [11] 펌글 어지러운세상 15/12/30 23:32 339 13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