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Mydreia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5-03-13
    방문 : 114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cience_49078
    작성자 : Mydreia
    추천 : 12
    조회수 : 1055
    IP : 110.35.***.219
    댓글 : 33개
    등록시간 : 2015/04/23 17:41:43
    http://todayhumor.com/?science_49078 모바일
    사람이 매개가 된 질병들
    <font size="4"><b><u>돼지 인플루엔자 (SI)</u></b></font> <div><b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font size="2">멕시코 39세 女설문조사원<br>발병직전 300명 넘게 접촉</font></b>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font size="2">돼지인플루엔자로 목숨을 잃은 첫 사망자는 현대판 ‘장티푸스 메리’?</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font size="2">멕시코 남부 오악사카 주(州)에 살던 마리아 아델라 구티에레스 씨(39·여)는 돼지인플루엔자로 이달 13일 가장 먼저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죽음을 애도할 틈도 없이 이 여성에게는 바이러스를 옮긴 주범이라는 시선이 쏠리고 있다. 그녀의 직업이 집집마다 직접 찾아다니며 세금 관련 설문조사를 하는 통계조사원이었기 때문. 발병하기 직전인 3월 말∼4월 초에 최소 300명 이상을 접촉한 것으로 추정됐다.</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font size="2">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29일 멕시코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첫 희생자가 ‘장티푸스 메리’ 역할을 한 셈”이라고 전했다. ‘장티푸스 메리’는 1900년대 초 미국 대륙에 최초로 장티푸스를 옮긴 메리 맬런 씨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아일랜드 출신의 요리사였던 그녀가 일한 가정마다 환자가 속출해 53명이 장티푸스에 감염됐고 이 중 3명이 사망했다. 이후 ‘장티푸스 메리’는 대규모로 바이러스를 옮기는 사람을 일컫는 표현이 됐다.</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font size="2">멕시코 보건당국은 4월 8일 구티에레스 씨가 병원에 실려 왔을 때만 해도 폐렴 진단을 내렸으나 16명이 비슷한 증세를 호소하자 이후 이들을 격리했다. 구티에레스 씨는 심한 호흡 곤란과 설사 증세를 호소하다 5일 뒤 숨졌다. 보건당국은 구티에레스 씨가 발병 전 접촉했던 사람들 전부를 상대로 뒤늦게 조사에 착수했다. 현지 관계자들은 “현재까지 조사에 응한 당시 접촉자 중 33∼61명이 비슷한 증세를 호소했다”고 전했다.</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 size="2"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line-height:25.6000003814697px;">(출처 - </font><font color="#333333" face="굴림, Gulim" size="2"><span style="line-height:25.6000003814697px;"><a target="_blank" href="http://news.donga.com/3/all/20090430/8726488/1">http://news.donga.com/3/all/20090430/8726488/1</a>)</span></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 color="#333333" face="굴림, Gulim" size="2"><span style="line-height:25.6000003814697px;"><br></span></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 color="#333333" face="굴림, Gulim" size="4"><span style="line-height:25.6000003814697px;"><b>장 티푸스 (Thypoid)</b></span></font></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 color="#333333" face="굴림, Gulim" size="2"><span style="line-height:25.6000003814697px;"></span></font></p>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color="#333333" face="굴림, Gulim" size="2"><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777728Q4lXDSHI5YzQpo7l.jpg" width="224" height="335" alt="33.jpg" style="border:none;"></font></div> <p></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line-height:20px;font-family:gulim, '굴림';color:#333333;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8e8e8e;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line-height:20px;font-family:gulim, '굴림';color:#333333;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8e8e8e;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실제 Mary Mallon 여사)</span></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line-height:20px;font-family:gulim, '굴림';color:#333333;text-align:center;"><br></p> <p style="margin:0px;padding:0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메어리 말론(1869~1938)은 Typhoid Mary라고도 불리웠다. 메어리는 공식적으로 53례의 티푸스 감염의 주범이었고 그 중 3인을 사망시켰다. 물론 비공식적인 피해자 수는 훨씬 많았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뉴욕의 오이스터 만은 자주 전염병이 번졌다. 10인 가족 중 6명은 티푸스에 걸려 있었다. 당시 의사였던 조지 A. 소퍼는 1906년 여름 원인을 밝히기 위해 오이스터 만에 도착했다. 치밀한 조사 끝에 그는 한 여자 요리사를 의심하게 되었다. 그녀의 인상착의는 이랬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흰 머리가 섞인 뚱뚱한 독신녀로, 짙은 눈썹에 둥그런 철테 안경을 썼으며, 심술궂은 말투지만 부끄럼을 잘 타고, 비밀이 많아 자기의 과거에 대해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음. 어쨌든 요리사로서는 우수함.”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그녀는 티푸스 발생 3주일 전부터 일하기 시작하여, 발생 후 3주일 동안 계속 일한 후에 행방을 감추었다. 메어리에 대한 추적이 시작되었다. 1901년 메어리는 뉴욕의 한 가정에서 일했는데, 그 해 크리스마스에 그 집의 세탁부가 티푸스에 걸렸다. 1902년에는 롱아일랜드의 가정에서 요리사로 9개월 간 일했고, 그 집의 세탁부 역시 1주일만에 티푸스에 걸렸고, 잇따른 2주일 사이에 다시 세 명의 고용인이 전염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뉴욕시 보건국은 경계 태세에 들어갔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그러나 소퍼가 메어리를 찾는 데에는 6개월의 세월이 걸렸다. 당시 메어리는 뉴욕시의 파크 애버뉴 아파트에서 요리사로 일하고 있었다. 이미 그 곳의 두 고용인은 티푸스에 걸렸고, 그 집의 딸도 티푸스로 사망한 상태였다. 소퍼는 메어리에게 차근차근 설명했지만 그녀는 억지라며 덤벼들 태세였다. 그녀는 몇몇 의사들이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녀 자신은 건강했기 때문이었다. 메어리가 칼을 휘두르자 소퍼는 도망칠 수 밖에 없었다. 결심을 굳힌 보건국은 경찰과 함께 그녀를 방문했다. 굶주린 쥐처럼 물고 늘어지고, 발로 차고, 쇳소리를 내는 그녀를 경찰이 힘겹게 체포하여 구급차에 실었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메어리 덕분에 티푸스가 면역력을 갖춘 보균자로 전파된다는 것이 뚜렷하게 입증되었다. 그러나 언론이 떠들어대면서 그녀의 협조를 얻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었다. 신문에는 핫도그 크기의 티푸스 균을 조리용 난로 위에서 굽고 있는 메어리의 모습을 마녀로 희화하고 있었다. 보건국은 메어리를 한 섬의 전염격리병원에 3년 간 입원시켰다. 결국 그녀로 인해 물건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가 티푸스를 전염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환자는 거리에 나와서 티푸스균을 배설하고, 음식과 물을 오염시키고, 파리가 균을 나르는 데 한몫을 하였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소퍼는 메어리를 위하는 마음으로 티푸스균의 저장소인 담낭을 떼어내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비협조적이었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요리를 그만두라구요? 당치도 않아요. 요리는 나의 생명이고 자랑이고 기쁨입니다. 사는 보람은 요리 밖에 없어요!”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1910년 결국 메어리는 항복하였다. 그녀는 절대로 요리하거나 타인의 음식에 손을 대거나 하지 않고, 3개월마다 보건국에 보고하기로 맹세하였다. 보건국은 메어리를 석방했다. 그러나 그녀는 곧 자취를 감추었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보건국이 그녀를 다시 찾아내는 데에는 5년이 걸렸다. 그녀는 메어리 브라운 부인이라는 이름으로 뉴욕시의 슬론 부인 병원에서 요리사로 일하고 있었다. 발견 당시 그 병원에서는 이미 25명의 간호사들이 티푸스에 걸려 두 사람이 사망했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메어리는 다시 자취를 감추었으나 롱아일랜드에서 일하고 있는 것이 다시 발견되었다. 이번에는 조용히 경찰의 동행에 응했고 리버사이드 병원으로 되돌아갔다. 그녀는 이후에도 티푸스균을 배설하면서 23년 간 입원하였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그녀는 1932년 크리스마스에 뇌졸중으로 보행이 어려워졌다. 그녀는 죽기 전에는 독실한 종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끝까지 보균자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세균학적으로는 결코 회개하지 않는 죄인이었던 셈이다. 그녀의 장례식에는 단지 9명만이 참석하였다. </span><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 style="color:#333333;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line-height:20px;font-family:gulim, '굴림';color:#333333;text-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전문가들은 1,400례의 피해자를 낸 1903년의 뉴욕주 대유행 역시 분명 그녀가 원인이었다고 믿고 있다.</span></p> <p style="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line-height:20px;font-family:gulim, '굴림';color:#333333;text-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line-height:20px;font-family:gulim, '굴림';color:#333333;"><span style="font-family:'굴림', gulim, tahoma, sans-serif;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 size="4"><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b>인플루엔자 H1N1 (스페인독감)</b></span></font></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font></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span></font></p> <div style="text-align:left;"><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778133FQC9NqQxSeLpKE.png" width="300" height="229" alt="300px-Spanish_flu_death_chart.png" style="border:none;"></font></div><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당시 미국과 유럽의 사망자 그래프)</font> <p></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font></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span style="color:#000000;font-family:sans-serif;font-size:12px;line-height:18px;">1918년에서 1920년까지 맹위를 떨쳤던 독감. 2000년대 초반에서 유행한 조류독감의 바이러스인 H1N1 바이러스에 의해 유행한 독감이고, 사망자의 숫자는 2500만~5000만 명 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5만여명 이상 사망했다. 발생원은 1918년 3월 미국 시카고 부근이며, 고병원성으로 발전한 것은 1918년 8월 15일, 아프리카 서해안의 영국 보호령 시에라리온의 수도 프리타운 부근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차대전때 프랑스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병영에서 발생했으나 보도검열로 인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그러나 중립국인 스페인에서 이 문제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에 스페인 독감으로 불렀다. 곧이어 제1차세계대전에 참전했던 미군들이 귀환하면서 9월에는 미국에까지 확산되었다. 9월 12일 미국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지 한 달 만에 2만 4000명의 미군이 독감으로 죽고, 총 50만 명의 미국인이 죽었다. 1919년 봄에는 영국에서만 15만 명이 죽고, 2년 동안 전 세계에서 2500만~5000만 명이 죽었다.</span></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font></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font></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br></span></font></p> <p style="text-align:left;margin:0px;padding:0px;font-size:13px;color:#333333;"><font face="굴림, gulim, tahoma, sans-serif"><span style="line-height:15.1999998092651px;">이외 역사적 대유행(Pandemic) 사례</span></font></p> <ul style="padding-left:2em;font-family:sans-serif;"><li>아테네 역병(Plague of Athens)(영어위키에서 Pandemic 항목에 이 병도 포함한다)<span class="line-anchor"></span><br>펠로폰네소스 전쟁중이던 BC 430년에 사람이 과다하게 모여있던 아테네를 쑥밭으로 만들어버렸다. 2006년에 아테네 대학에서 그 당시의 집단무덤을 발굴한 결과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9E%A5%ED%8B%B0%ED%91%B8%EC%8A%A4" title="장티푸스"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장티푸스</a>인 것 같다고 연구결과가 나왔다.<span class="line-anchor"></span><br></li> <li>안토니누스 역병(Antonine Plague)<span class="line-anchor"></span><br>서기 165~180.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B2%9C%EC%97%B0%EB%91%90" title="천연두"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천연두</a> 혹은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D%99%8D%EC%97%AD" title="홍역"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홍역</a>으로 추정되는 병이며, 중동에 원정 갔다가 복귀한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B%B3%91%EC%82%AC" title="병사"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병사</a>들을 통해 이탈리아 반도에 퍼졌다. 4~500만명 정도가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51~266년에 2차로 창궐한 키프로스 역병(the Plague of Cyprian) 때문에 <a class="nonexistent 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B%A1%9C%EB%A7%88" title="로마"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808080;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로마</a> 시에서 하루에 5,00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span class="line-anchor"></span><br></li> <li>유스티니아누스 역병(Plague of Justinian)<span class="line-anchor"></span><br>서기 541~750.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9D%B4%EC%A7%91%ED%8A%B8" title="이집트"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이집트</a>에서 시작해서, 봄에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BD%98%EC%8A%A4%ED%83%84%ED%8B%B0%EB%85%B8%ED%94%8C" title="콘스탄티노플"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콘스탄티노플</a>까지 전염되었다. 최악일 때는 콘스탄티노플에서 1일에 5,000명씩 사망해서 도시 인구가 40%까지 떨어졌다. 그 근방의 사람들의 절반이 이 병 때문에 죽었다고 한다. 이 병으로 인해 동로마제국이 확장하려고 하던 것이 정지되어 버렸다. 사실 이 역병만 없었다면 동로마제국이 다시 이탈리아 반도를 장악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span class="line-anchor"></span><br>덤으로 브리튼 섬의 로마화된 브리톤인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혀 브리톤인들이 남부 브리튼 섬에서 앵글로색슨 족에 의해 궤멸되고 웨일즈 지역으로 밀려나는 데 영향을 미쳤다.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D%8E%98%EC%8A%A4%ED%8A%B8" title="페스트"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페스트</a> 계열로 추정된다.</li> <li>3차 대역병 (Third Pandemic)<span class="line-anchor"></span><br><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D%9D%91%EC%82%AC%EB%B3%91" title="흑사병"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흑사병</a> 계열이나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BD%9C%EB%A0%88%EB%9D%BC" title="콜레라"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콜레라</a> 계열로써 1850년대에 중국 원난성에서 처음 시작하여서 아시아와 남미를 주로 쓸고 지나갔다.(<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B%AF%B8%EA%B5%AD" title="미국"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미국</a>의 샌프란시스코와 러시아에서도 퍼진 적이 있음) 가장 치명타를 입힌 곳은 그 당시 <a class="nonexistent 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98%81%EA%B5%AD" title="영국"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808080;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영국</a>의 식민지이던 <a class="nonexistent 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9D%B8%EB%8F%84" title="인도"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808080;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인도</a>로, 이곳에서만 1000만명이 희생당했다. <a class="nonexistent 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A1%B0%EC%84%A0" title="조선"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808080;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조선</a>과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9D%BC%EB%B3%B8" title="일본"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일본</a>에도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span class="line-anchor"></span><br></li> <li><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2014%20%EC%84%9C%EC%95%84%ED%94%84%EB%A6%AC%EC%B9%B4%20%EC%97%90%EB%B3%BC%EB%9D%BC%20%EC%9C%A0%ED%96%89" title="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a><span class="line-anchor"></span><br><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2014%EB%85%84" title="2014년"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2014년</a> 2월 서아프리카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A%B8%B0%EB%8B%88" title="기니"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기니</a>에서 첫 환자가 발생, 지역 내부에서만 감염자가 발생한 후 사그라들던 이전 에볼라 유행과는 달리 국경을 넘어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전역을 휩쓸고, 선교사와 여행자를 통해 <a class="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B%AF%B8%EA%B5%AD" title="미국"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551a8b;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미국</a>과 <a class="nonexistent wiki" href="https://mirror.enha.kr/wiki/%EC%8A%A4%ED%8E%98%EC%9D%B8" title="스페인" style="border:0px;margin:0px;padding:0px;color:#808080;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스페인</a>에도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전 세계로 번져나가는 추세이다. 2014년 10월 초 현재 8399명 감염, 4033명 사망이며, 미국과 스페인에서의 전염도 퍼져나갈 추세로 보여 스페인 독감 수준의 판데믹이 예고된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현 추세대로라면 12월에는 매주 1만명의 신규 감염자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li></ul><div><font face="sans-serif"><br></font></div></div> <div><br></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4/23 17:44:02  121.133.***.114  S.Guri  5374
    [2] 2015/04/23 17:49:33  27.35.***.88  29만1천원  243672
    [3] 2015/04/23 17:53:44  210.106.***.203  Young.K  25347
    [4] 2015/04/23 17:54:09  183.103.***.209  아리까리a  286732
    [5] 2015/04/23 17:59:19  165.132.***.34  통닭실종사건  501972
    [6] 2015/04/23 18:14:54  14.53.***.81  모모군주  542850
    [7] 2015/04/23 19:02:44  163.152.***.242  바람처럼...  86002
    [8] 2015/04/23 19:33:57  211.247.***.248  배찌귀여워요  549289
    [9] 2015/04/23 20:13:18  119.202.***.21  이즈리얼  139961
    [10] 2015/04/23 20:16:38  27.35.***.209  훼르쭈  222495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
    굉장하다 [2] Mydreia 16/01/27 05:23 36 1
    30
    차단했기에 여기서 사과문을 받으시는건 무리아닐까요 [3] Mydreia 16/01/27 05:02 77 1
    29
    대(對)안톤 결전병기 - 마신 [4] Mydreia 16/01/09 09:49 185 0
    28
    오유 일톤기준에서 마신은 어떻게해야할까요 [4] Mydreia 15/12/28 21:08 165 0
    27
    소울같은 똥캐릭에게 [1] Mydreia 15/12/15 17:40 133 0
    26
    던파 10주년 ost 보컬컬렉션 펌글 Mydreia 15/12/15 17:21 75 1
    25
    세상에 .. 표절에 이렇게 관대하다니 [14] Mydreia 15/11/27 07:08 162 13
    24
    저격) 던게유저는 노예근성, 열정페이론자입니다 by 으아늬 [10] 본인삭제금지 Mydreia 15/11/20 04:07 198 11
    23
    혹시 오늘 시나리오 길드 단체 회식이라도 있었나여 [4] Mydreia 15/11/20 03:44 156 1
    22
    그렇습니다 디버퍼의 도움을 받으면 노예일뿐이죠 [6] Mydreia 15/11/20 02:10 137 0
    21
    3주간 청룡뺑뺑이 결산 [8] 창작글외부펌금지 Mydreia 15/10/28 07:51 293 2
    20
    과학에는 명.백.한 한계가 존재하거든요? [7] Mydreia 15/10/26 20:18 72 1
    19
    베스트간 "장례식장 중고거래" 관련 사이다 진행상황입니다. [1] 창작글외부펌금지 Mydreia 15/10/06 18:52 285 13
    18
    2번째 안톤 항아리 깝니다 [21] Mydreia 15/10/04 23:44 214 1
    17
    마리오 점프 소리에 놀라는 고양이.Youtube 펌글 Mydreia 15/10/04 15:01 48 5
    16
    '돌고래호' 안 타고도 "잘 가고 있다" 거짓말…구조 혼란 키워 펌글 Mydreia 15/09/07 14:42 197 1
    15
    북한은 원래 사과안합니다. 유감 표명만 하지. [31] Mydreia 15/08/25 02:13 496 4/2
    14
    MIT에서 10년 내 상용화 목표인 소형핵융합로를 설계했다는데.. [51] 펌글 Mydreia 15/08/22 17:57 69 13
    13
    심해주의 ) 블루홀 다이버사고 동영상 [13] Mydreia 15/08/02 13:57 392 7
    12
    모아이 석상의 신비한 배경과 그 제작방법 펌글 Mydreia 15/08/01 16:22 147 3
    11
    군대 있을때 32inside 했었는데.. [4] Mydreia 15/07/27 10:12 57 0
    10
    동물애호가 [4] 펌글 Mydreia 15/07/23 05:57 248 10
    9
    진화론의 미비한 점을 채워주는게 지적설계라고요? [20] Mydreia 15/07/22 11:40 69 10
    8
    안토니의 영☆웅 항아리를 까보겠습니다 [12] 창작글 Mydreia 15/07/10 17:03 276 0
    7
    여시에게서 오유가 사과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요? Mydreia 15/05/15 01:49 67 0
    6
    펌) 인천 모 중학교에서 결핵환자 대량발생 [2] Mydreia 15/05/08 18:25 83 1
    5
    닉언죄) 흔한우엉님 나눔 감사합니다 [2] Mydreia 15/04/26 00:00 45 3
    사람이 매개가 된 질병들 [4] Mydreia 15/04/23 17:41 142 12
    3
    백신을 맞는 것은 개인의자유? 에 대한 비판을 반박합니다. [40] Mydreia 15/04/23 12:48 105 19
    2
    백신을 맞는 것은 개인의 자유? 과잉(?)백신 접종은 나쁘다? [1] Mydreia 15/04/23 04:33 141 14
    [1] [2] [3]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