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개똥哲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8-18
    방문 : 12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cience_50893
    작성자 : 괴물두뇌
    추천 : 10
    조회수 : 4317
    IP : 121.130.***.13
    댓글 : 14개
    등록시간 : 2015/06/06 15:30:02
    http://todayhumor.com/?science_50893 모바일
    의뢰(?)를 받고 제작한 푸리에 급수전개 사각파 그래프 (4항까지 전개)
    옵션
    • 창작글
    • 펌글
    <div style="text-align:left;">제가 직전에 작성했던 게시물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50877"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50877</a>)에</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푸리에 시리즈 애니메이션도 가능한가요? 가령 이런 것 </strong>(<a target="_blank" href="https://www.youtube.com/embed/LznjC4Lo7lE" target="_blank"><font color="#0000ff">https://www.youtube.com/embed/LznjC4Lo7lE</font></a>)<strong>"</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라는 댓글이 달리고, 도전 과제(?)로 인식하여 새벽에 고민하며 작도해 본 결과 다행히도 성공하였기에 그 결과물을 업로드하려다</div> <div style="text-align:left;">어찌저찌하여 새로 게시물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수학 비전공자이기에 '아는 것'이 없어서 채워 넣을 내용이 참으로 부족한 점</div> <div style="text-align:left;">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푸리에 급수에 대하여 찾아본 자료 중 두 곳을 출처란에 링크시켰고요. 그림 몇 개 따왔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우선은 제가 만든 작품? (<a target="_blank" href="https://youtu.be/R5SLHTSz1Uc" target="_blank">https://youtu.be/R5SLHTSz1Uc</a>) 들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800" height="246" class="chimg_photo" alt="[★] Fourier Series Animation using Circles 0 (축소).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759UEUdhsj9nLC9TyNDd4f2k.gif"></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8" height="300" alt="[★] Fourier Series Animation using Circles 1 (축소).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762G5k3hvuLX9zeDQbYGiTfFv5ZIMxTY.gif"></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만드느라 고생 좀 했네요;; 만들어내기 전에는 정말 어려웠는데, 성공하고나니 쉬운 작업이었군요;; 단지 컴퓨터가 구닥다리인데다가 꽤나 높은</div> <div style="text-align:left;">해상도에 미칠듯한 frame rate 및 제법 긴 재생시간이 맞물려서 그런지 '움짤' 제작 중 메모리 부족으로 컴퓨터가 몇 번이나 먹통이 되고</div> <div style="text-align:left;">(욕심만 앞섰나 봅니다;;) 어찌저찌 해서 간신히 만들어내게 되었네요. (그런데 기껏 만들고나니 5MB 이상은 안올라가서 축소시켰다는…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많은 분들 보시라고 올릴거라 색깔 예쁘게 넣느라…, 원들이 돌아가는 속도는 어느정도가 좋을까…, 뚝뚝 안끊겨보이고 매끄럽게 움직이게 하려면</div> <div style="text-align:left;">frame rate 를 얼마나 줘야할까… 등등으로 이리 바꿨다 저리바꿨다 하고 제작 중에 컴퓨터가 몇 번 먹통되고보니 금방 날이 새더군요. ㅋㅋ</div> <div style="text-align:left;">조만간 비디오 카드 업그레이드하고 램 증설해야 할 듯 싶네요. 뭐~ 그냥 개인적인 푸념 한 번 써봤습니다.</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이하의 내용은 퍼온 그림 및 기초 지식이 없다시피 한 저의 얄팍한 소견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전공자 분들의 댓글을 통한 내용 보강을 기대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다양한 주기 및 진폭의 삼각함수들만 가지고 합성하여 만들어지는 <strong>삼각파</strong>(?)의 그래프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50항 정도를 합성하니 거의 톱니모양과 다를 바 없는 형상을 갖추게 되네요.</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491" height="126" alt="112.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8008gU1ATZloFR8q4x7FfLD6aHEqThwUs5.gif"></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500" height="250" alt="111.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8008uOKZHN3H5xR.gif"></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래의 푸리에 급수 전개로 표현된 함수식이 본 게시물의 두 번째 줄에 언급했던 도전과제인 <strong>사각파</strong>(?) 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800" height="451" class="chimg_photo" alt="[★] Fourier Series Animation using Circles.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71871nI1pxoFdQfaqVeQoFreTMAO.pn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도전 과제에 등장한 급수전개는 m = 1,2,3,4 까지 적용된 근사식이고요. 제가 움짤로 만들어낸 네 원의 움직임은 4항까지 전개한</div> <div style="text-align:left;">사각파의 파형이 그려지는 모습을 기하학적으로 분해하여 드러낸 것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279" height="51" alt="1.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141qpKiQqkGA2PMvF.png">         (m에 1,2,3,4를 대입하면 도전 과제의 함수가 나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제가 학교다닐적 '푸리에 급수전개를 배우긴 배웠나? 왜이리 기억이 안나는거지?' 할 정도로 기반 지식이 희미해졌는데요. 만약 그 당시에</div> <div style="text-align:left;">저러한 <strong>네 원의 조화로운 움직임</strong>을 <strong>접할 기회가 있었더라면</strong>, 아마도 강렬한 지적 충격(?)을 받아 뇌리에 각인이 되어 지금껏 잊지않고</div> <div style="text-align:left;">잘 기억하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저만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솔직히 바로 위의 시그마로 시작하는 (게다가 무한합;;) 저 딱딱한 식만 보고 곧바로 호기심이 동할 사람이 얼마나</div> <div style="text-align:left;">있을까요? 저는 오늘 새벽에 <strong>네 원의 현란한 춤</strong>을 보고 <strong>'헐~ ㅅㅂ 저게 이런 거였어? 여태껏 모르고 있었네!'</strong> 라고 생각했으니까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무튼 아래의 그림들은 m 값을 늘려가며 sin함수를 첨가함에따라 스무스한 곡선이 점점 직각만으로 연결되는 선분들의 모습으로</div> <div style="text-align:left;">변해가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있네요. 이런 것을 생각해내다니 수학자란 사람들은 참으로 대단한 존재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img width="466" height="176" alt="1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149mHG6TXLrLM6xFD6dHta1KvZYzB5VJ.jpg"></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img width="473" height="172" alt="1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1492MJ6GtSiPjkTmA5KpP11lBF4qYblBcFb.jpg"></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img width="499" height="184" alt="1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149uRLedVjg65qclp.jpg"></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img width="632" height="188" alt="1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567149kbtcFYwSdWUZ.jpg"></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그리기도 힘든 '삼각함수'를 '무한 번' 그린 후 '합치기(합성)'까지 해서 '자 대고 찍 그으면 끝'인 '그리기 엄청 쉬운 직선(선분)'을 만들어내려고</div> <div style="text-align:left;">하다니… 대체 왜 이런 얼빠진(?) 짓을 하는 것일까요? 마치 빌딩을 짓는데 옥상부터 짓기 시작해서 1층 혹은 지하주차장을 만들며 끝내는 느낌?</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런데 더 어이없는 것은 이게 써먹을 곳이 알게모르게 많다는 점입니다. (<strong>사실 제가 잘 몰라서요;; 전공자 분들이 나서실 때가…</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위 그림을 보게된 곳에 소개된 설명은 다음과 같았습니다.</div></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strong>는 일정 부분이 반복되는 주기함수를 삼각함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무한 급수이다. 푸리에 급수는 상미분방정식과 편미분방정식을 푸는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푸리에 급수는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보다도 활용범위가 넓다. 그 이유는 푸리에 급수는 불연속적인 주기함수를 표현할 수 있지만, 테일러급수는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읽어봐도 잘 모르겠는데요. 아무튼 그렇다고 합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제가 아는 것 쬐금만 쓰고 마무리하자면요.</div> <div style="text-align:left;">전기공학 및 전자공학에서 이 푸리에 급수가 아주 유용한 도구가 된다고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현재 우리가 쓰고있는 전기의 송전방식은</div> <div style="text-align:left;">에디슨이 제안한 직류가 아니라 테슬라의 제안을 따른 교류입니다. 송전 중의 전력 손실 및 도선 근처의 자기장 발생 문제 등에서</div> <div style="text-align:left;">교류 쪽이 여러모로 유리하기에 그런 선택을 했나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런데 직류는 전기의 흐름이 말 그대로 직류라 일정하게 꾸준히 쭈욱~ 흐르니까 전기모터 등 컨트롤하기가 편할 겁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런데 교류는 송전선을 통해 전기를 쭉 밀어보내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밀었다 뒤로 땡겼다 왔다갔다하는 일종의 진동(?)을 이용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벽의 콘센트에 220V 라고 써있는데요. 이게 +220V 였다가 -220V 였다가 하면서 교대로 오락가락 하는 것이지요. (초당 60번 반복)</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러니 전기 혹은 전자제품 입장에서는 전압이 올라갔다가 내려갔다가 널뛰기를 하는 셈이고 출력이 오르락 내리락 하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형광등이 껌뻑껌뻑거려보이는 이유가 이런 것이지요. (인간의 눈으로 감지하기 힘든 영역이라는데요. 캠코더같은 것으로 형광등을 촬영하면</div> <div style="text-align:left;">frame rate 가 정확히 동기화되지 않는 이상 껌뻑임이 찍히게 될 것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게다가 220V라는 것은 '실효전압'이라고해서 전압이 sin 곡선을 그리니까 '0V에서 최대치 311V까지 올랐다가 다시 0V'까지 떨어지는 동안의</div> <div style="text-align:left;">평균전압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만약 감전된다면 순간적으로는 311V까지 두들겨(?)맞는 셈이 되는 것이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무튼 이처럼 전압이 오르락내리락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는데요. 이런 sin파 모양을 띄는 전류의 흐름을 푸리에 급수 전개에 따른</div> <div style="text-align:left;">식을 토대로 열심히(?) 섞어주기만하면 노력하면 노력한만큼(얼마나 많은 항을 사용하여 근사했는냐에 따라…) 직류에 가까운 전류의 흐름을</div> <div style="text-align:left;">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이를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알게 모르게 잘 사용하고있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 싶네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div> <div> </div> <div>※ 이제 게시물의 마무리를 지을 차례인 듯 합니다. 아는 것도 없는데 그나마 아는 듯 모르는 듯 한 내용을 쓰느라 고생아닌 고생을 했지만</div> <div>    분명 <strong>제대로 모르고 지껄인(?) 헛소리가 있을 가능성</strong>이 충분히 높다고 봅니다. 그러니 본 게시물을 읽어주신 분들 중 <strong>부족하여 보충</strong></div> <div><strong>   해야할</strong><strong> 내용</strong>이 있거나 <strong>잘못 되어 수정 혹은 삭제해야할 내용</strong>이 있다면 지체없이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div> <div>    또한, 저 역시 <strong>한 수 배울 수 있게끔</strong><strong> 첨가하고 싶은 내용</strong>이 있어 댓글에 달아주신다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눈요기'꺼리일 뿐 내용도</div> <div>    없는 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div>
    출처 푸리에 급수에 관해 참고한 내용 및 제가 제작한 것이 아닌 움짤의 출처

    http://ghebook.blogspot.kr/2012/07/fourier-series.html
    http://joonyoungsun.tistory.com/entry/%ED%91%B8%EB%A6%AC%EC%97%90-%EA%B8%89%EC%88%98-Fourier-Series
    괴물두뇌의 꼬릿말입니다
    Mon coeur est en céramique,
    Dur, affûté et résistant à la rouille,
    Il se brise dés qu’il tombe à terre.

    Il n’y a rien que je ne puisse acquérir
    Honneurs, gloire, richesse
    Mais il est une chose qui ne peut être mienne
    Et je la désire de tout mon coeur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6/06 15:39:12  210.106.***.203  Young.K  25347
    [2] 2015/06/06 15:46:57  165.132.***.29  육갑잔치  532520
    [3] 2015/06/06 17:00:35  222.99.***.69  바다의원빈찡  448873
    [4] 2015/06/06 17:09:38  220.245.***.194  목욕통  362460
    [5] 2015/06/06 19:19:24  116.123.***.93  화공배터리  395662
    [6] 2015/06/06 21:04:36  110.70.***.213  엠줴이리  631036
    [7] 2015/06/07 01:20:26  183.97.***.50  밥스  150503
    [8] 2015/06/07 19:33:35  223.194.***.95  신호처리  592795
    [9] 2015/06/08 01:35:10  68.255.***.87  BYOB  605825
    [10] 2015/06/08 07:54:39  223.62.***.41  cuing  14530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
    구의 체적을 반지름으로 미분하면 구의 표면적이 나오는군요… [51] 창작글 개똥哲學 17/07/18 22:38 101 2
    31
    질문 : 닉네임 갱신한 것 언제쯤 적용되나요? [2] 괴물두뇌 17/07/14 01:39 43 1
    30
    내접원과 관계된 직각삼각형의 면적 공식… S=a×b [26] 창작글 괴물두뇌 17/07/06 01:46 118 1
    29
    피타구라스의 정리… [22] 창작글 괴물두뇌 17/07/04 16:17 186 1
    28
    묘한생각 묘한풀이 - 문항 44번 : 정사각형 만들기 [24]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7/07/01 22:50 102 3
    27
    영재발굴단 '오유찬' 어린이에 관한 2건의 게시물을 보고… [9] 창작글 괴물두뇌 17/07/01 02:43 544 11
    26
    [Euclidea] α단계 문제 1.6의 해법 중 5L 5E 논리 전개… [12] 창작글 괴물두뇌 16/09/25 02:34 50 10
    25
    [Euclidea] α단계 문제 1.7의 해법 중 7L 7E 달성 방법… [2] 창작글 괴물두뇌 16/09/21 19:51 27 3
    24
    [Euclidea] α단계 문제 1.6의 해법 중 5L 5E 달성 조건… [15]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9/21 05:58 50 3
    23
    일본어 잘하시는 분들 계시면 가사가 잘못된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7]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9/01 17:56 38 4
    22
    City Hunter'91 의 Image Song 가사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8/30 14:56 26 0
    21
    Super Robot 大戰 EX 마사키의 장 '나그차트 격파' 영상 창작글 괴물두뇌 16/03/09 01:19 58 1
    20
    어처구니없는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아랫집 아저씨의 명복을 빕니다. [5] 괴물두뇌 16/01/29 17:54 230 11
    19
    IQ 테스트 문제 몇 개 질문드립니다;; [10]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11/09 15:44 59 0
    18
    새로운 문제를 찾으시던 몇 몇 분들을 위한 여섯 문제 [5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5 00:37 63 0
    17
    How to solve it 관련하여 삭제했던 게시물의 부분 복원 [1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3 03:46 56 0
    16
    ????! 님께…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0 21:16 38 0
    15
    우째 이런일이~ 훌륭한 문제 출제자 고1님 읽어주세요. [1]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07 18:54 48 2
    14
    옛날 게임 Pipe Dream 에 넣을 수 있는 십자 파이프를 최대값?? [11] 창작글 괴물두뇌 15/07/03 22:36 51 0
    13
    옛날 게임 Pipe Dream 에 십자 파이프를 최대한 많이 넣기에 도전 [17] 창작글 괴물두뇌 15/07/02 04:11 107 3
    12
    진짜로 쌍곡면 중독증상에 걸림;; (선분 중점의 자취가 예술입니다~) [8] 창작글 괴물두뇌 15/07/01 05:25 98 15
    11
    푸리에 급수 움짤 (꼬릿말) [13] 베스트금지베오베금지 괴물두뇌 15/06/11 21:34 16 0
    10
    [BGM] 아폴로니우스의 원뿔 곡선 (타원/포물선/쌍곡선의 진정한 정의) [1] 창작글 괴물두뇌 15/06/07 23:15 46 11
    의뢰(?)를 받고 제작한 푸리에 급수전개 사각파 그래프 (4항까지 전개) [3] 창작글펌글 괴물두뇌 15/06/06 15:30 61 10
    8
    이차곡선의 정의대로 작도한 포물선, 타원, 쌍곡선 구경하세요. [37] 창작글 괴물두뇌 15/06/06 00:14 55 13
    7
    궤도 엘리베이터 실사용시 예상되는 각운동량 보존에 관한 문제점 [47] 창작글 괴물두뇌 15/06/03 14:47 45 17
    6
    파생상품 증거금률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괴물두뇌 15/05/28 20:29 16 0
    5
    축퇴성 혹은 밀집성이라 불리우는 천체에 관한 궁금증입니다. [15] 괴물두뇌 15/05/19 23:38 34 1
    4
    해양포유류들 역시 물을 마시는지 궁금합니다. [7] 괴물두뇌 14/05/21 15:06 65 5
    3
    우주엘리베이터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에 관하여 여러모로 궁금합니다. [19] 괴물두뇌 14/04/08 23:08 43 0
    [1] [2]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