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개똥哲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8-18
    방문 : 12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data_1714471
    작성자 : 괴물두뇌
    추천 : 11
    조회수 : 3005
    IP : 121.130.***.127
    댓글 : 73개
    등록시간 : 2017/07/01 02:43:20
    http://todayhumor.com/?humordata_1714471 모바일
    영재발굴단 '오유찬' 어린이에 관한 2건의 게시물을 보고…
    옵션
    • 창작글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래의 Moving Gif 그림파일이 본 게시물의 게시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어찌어찌 글을 작성하다보니 헛소리(?)와 함께 스크롤만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과도하게 길어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감이 없지 않습니다. 이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Moving Gif 파일을 왜 만들어서 올렸을까 궁금하지 않으신 분은 뒤로 가기를 누르셔서 시간 낭비를 회피하시기 권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966ec5c82fb4e2e4276aba437cb0b3e62d9__mn460467__w730__h410__f120741__Ym201707__ANIGIF.gif"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풀이.gif" style="border:none;" filesize="120741"></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이하 작성될 글의 내용이 '유머게시판'에 맞는 성향의 글이 아님을 알고 있습니다만, 글 작성의 동기 부여가 된 2건의 게시물 모두 유머게시판 발 베오베 게시물이기에 이곳에 글을 작성하여 올리게 되었습니다. 게시판의 성향에 영 맞지않다고 생각하는 분이 많으시다면 삭제 후 '과학게시판'으로 옮겨 게시하겠으니 그에 관한 견해를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iv><br></div> <div>동기 부여 게시물 1 : <b>저한테 이 정도의 머리가 있어야 했었어요.</b> (<span style="color:#333333;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21.6px;font-size:9pt;"><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bestofbest_346348"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bestofbest_346348</a>)</span></div> <div>동기 부여 게시물 2 : <b>오늘부터 이 형한테 과외받아야지</b>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bestofbest_346776"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bestofbest_346776</a>)</div> <div><br></div> <div>첫 번째 게시물에서의 여러 댓글 중 상당 수의 댓글에 나는 '직관'으로 문제를 잘만 풀었는데 쓸데없이(?) '풀이 과정의 절차'를 밝히라는 요구가</div> <div>납득되지 않았고 그 때문에 어느새인가 수학이 싫어졌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상당히 안타까운 내용의 댓글들이라고 생각합니다.</div> <div><br></div> <div>어째서 이런 현상이 줄곧 발생해왔고, 발생 중이며, 앞으로도 꾸준히 발생하게 될 것이 뻔해보이는 것일까요?</div> <div><br></div> <div>우수한 '학생'과 일반적인 '교사'의 조합에서 종종 일어날 법한 현상이라고 판단되는 이러한 상황을 해소시킬 방법은 없는 것일까요?</div> <div>개인으로서의 견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명확히 정리되지도 않았고 그것을 제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div> <div>이 부분에 대해서는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냥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제가 '현직'이 아닌 '전직' 학원 수학강사인 이유 중 하나로군요. 참으로 슬프고도 안타깝네요. ㅎㅎ</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넋두리 한 번 해봤으니 그러려니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과연 '직관'이란 무엇이고,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대체 '수학'과 '산수'의 차이가 무엇이기에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직관'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물음은 수긍이 되는데, 뜬금 없이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수학'과 '산수'의 차이를 왜 짚어보냐? 고 생각하실 분들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수학'과 '산수'의 차이란 과연 무엇일까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제가 학원 '수학'선생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안타깝게도 '수학' 혹은 '수학교육'전공이 아닌 것 역시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실이므로</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섣불리 답을 하지는 못하겠군요. 이후에 달리게 될 댓글에 전공자 분들의 답을 기대해보는 것이 좋아보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다만 말을 꺼낸 장본인이 두 번 씩이나 견해의 피력을 회피할 정도로 뻔뻔하지는 못하기에 '부족'하거나 '잘못 되어' 있을지도 모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저의 생각을 '예시'를 통해 밝혀볼까 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산수 : 길동이가 끌고온 소 와 둘리가 잡아온 닭의 머리 수의 합은 10이고 다리 수의 합은 28이면 소와 닭은 각각 몇 마리일까?</span></div> <div>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 style="background-color:#ffffff;"><font color="#ffffff">:</font></span></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직접 소와 말을 끌고와서 셈 해보며 노가다를 뛰든 머리를 굴려서 재주껏 풀어내든 특정 상황의 답을 구하는 과정)</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수학 : 위와 같이 연립방정식이라 불리우는 상황 중 구체적 한 가지 사례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경우에 맞대응할 수 있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color:#ffffff;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 color="#ffffff">:</fon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해결책을 끌어내어 얻어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2원 1차 연립방정식의 해법 정립 (가감법, 대입법, 등치법 등) 및 특수한 상황 (계수 및 상수의 비가</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color:#ffffff;">:</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 color="#ffffff">:</fon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모두 일치하는 무수히 많은 해답이 존재하는 부정 및 계수의 비만 일치하여 정답이 전혀 없는 불능) 의 존재 가능성과 그러한</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color:#ffffff;">:</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 color="#ffffff">:</fon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유의 분석</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연립방정식의 그래프가 일치 / 평행)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까지 포함한 연립방정식 체계의 완성</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color:#ffffff;">:</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 color="#ffffff">:</fon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그 이후의 확장 (미지수가 2개이고 독립 변수가 모두 1차라 2원 1차 연립방정식이니까 미지수가 3개, 4개인 경우라면? 등등)</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저의 졸렬한 예시가 마음에 조금 와닿으셨을까요? 중2 정도의 학생들도 조금은 납득할 수 있을 정도로 내려가려고 연립방정식을</div> <div>예시로 들었습니다만…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쉽게 말해서 수학 교과서의 어떤 단원이든 '이론'에 관한 부분은 '수학'이고 실전인 '문제 풀이'는 '산수'라 생각하면</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되리라고 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저 그 '산수'라는 것이 1+2=3 정도의 사칙연산 급의 '상식적인 산수'인지 아니면</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함수 @§※를 △에서 □까지 정적분 하시오. 급의 '고도의 산수'인지의 차이겠지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요약하자면, '대상(수 혹은 도형)을 다루는 이론의 체계 확립'이 아닌 수치가 구체으로 주어진 사례의 해결이라면 저는 결국 산수라고 생각합니다.</span></div> <div>뭐 제 멋대로의 생각을 밝힌 것이니 저와 생각이 다른 분들은 댓글로 의견을 써 주시면 좋겠습니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무튼 이러한 저의 생각을 토대로 이후의 내용을 진행해 간다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옵니다. (당연히 저 혼자만의 생각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직관'으로 무언가를 푼 사람들의 대부분은 십중팔구 '산수'문제를 해결한 것이지 '수학'을 푼 것이 아닐 것이다.</b></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저는 '수학' 그 자체에 대해서는 '푼'다라는 표현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상정할 수 있는 모든 상황과 집행한 논리전개의 전 과정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근거를 대가며 샅샅이 '밝혀내는' 것이라고 해야할까요? 이 중에서 특히 '밝혀내는' 이라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쉽게 말해 '증명'이 되겠네요. 타인을 납득시킬 수 있는…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따라서 '직관'이 아무리 강해도 그것 만으로는 '수학'의 발전에 전혀 기여할 수 없다. 저로서는 이렇게 결론이 나올 수밖에 없네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제게있어 '직관'과 '증명'은 어떤 의미에서는 '상극'인 관계로 보이니까요;; (잘못 된 생각일까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첫 번째 게시물의 댓글 중 하나에서 따온 그림입니다. 다들 이미 보셨을 겁니다.</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34911066656938d6746feaa7600bd58e94fc4__mn460467__w625__h203__f33996__Ym201707.jpg" width="625" height="203" alt="직관과 지혜.jpg" style="border:none;" filesize="33996"></div> <div style="text-align:left;">지식 / 직관(<font color="#ff0000">사실 <b>Insight</b> 는 <b>통찰</b>을 의미하지만</font>) / 지혜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무엇이 무엇이고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지 정말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지혜'의 그림을 보시면 '연결 경로'를 명확히 밝혀준 것이 보이시지요? 저 노랑 연결선이 처음부터 끝까지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음을</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보증하는 것이 '증명'입니다. 이 부분이 없으면 얻어진 결과(답이되었든 무엇이 되었든)의 가치는 반감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얻어낸 사람만 혼자 알고 설명을 못하는 직관이라… 답 그 자체는 훌륭히 사용될 수 있겠지요. 그 부분에 대한 기본 가치는 건재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우리네 속담이 있군요. 본디 사용되던 의미와는 조금 다른가요?</span></div></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무튼 어찌저찌해서 서울에 왔습니다. 어 그런데? 서울에 어떻게 왔는지를 설명할 수가 없네요. 나는 와서 좋은데 가족이 됐든 누가 됐든</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다른 사람을 서울로 이끌어줄 수 없다? 주변에 도움이 안되는군요. 타인 혹은 후대에의 전승이 불가능하다? 이 부분의 가치는 증발하였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결국 '직관'을 통한 해결은 전체 가치가 반감되었다고 볼 수 있겠군요. (설명할 수 있다면 별개지만 그러면 본 게시물의 작성 원인이 사라지죠.)</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게다가 '서울'에 갔다 온 후 나는 '서울'에 갔다왔다고 이야기하며 서울을 찍은 '사진'을 주변 사람들에게 보여줄 경우를 상상해 본다면… </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마도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싶네요.</span></div> <div><br></div> <div> "합성 사진 아니냐?"</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가 봤다는 놈이 지가 갔던 길도 제대로 설명을 못하는데 잘도 믿겠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럼 서울 옆에 있다는 인천도 갔다와 보시지?"</span></div> <div><br></div> <div>네 당연히 '사진'은 직관으로 느닷없이 튀어나온 '답 (현재 정답인지 모름)'이고, 기억나지 않는'서울가는 길'은 답을 얻기 위한 해결과정이 되겠지요.</div> <div><br></div> <div><br></div> <div>게다가 어찌저찌하여 저 '서울 사진'이 진짜임이 밝혀졌다고 칩시다. 그리고 문제의 그 친구는 정말 손쉽게 '인천'도 갔다 오고 '평양'도 갔다 오고</div> <div>바다 건너 '제주도'까지 갔다 오며 각 곳의 특산물(매우 유용한 끝내주는 해답들)까지 챙겨와 그 모든 것이 다 사실임을 보여주고 있는데</div> <div>어떻게 그렇게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는지 설명만 못한다? 그러면 다음 반응은 아마 이렇게 되겠지요? (저도 동감하기에 멋대로 따왔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364448de2392a750a49e5b737ac3e18388426__mn460467__w827__h123__f14909__Ym201707.png" width="800" height="119" alt="1.PN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14909"></div><br></div>괴물처럼로 보이는게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범주에서 벗어나보이면 그리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겠지요.</div> <div><br></div> <div>아~ 상당히 곤란해졌군요. 타인에게도 '서울'가는 법을 알려줘서 많은 이들을 기쁘고 행복하게하여 세상에 공헌을 할 수 있다면</div> <div>세상을 진일보시켜준 '천재'라 칭송받으며 온갖 명예를 누릴 수 있을 것인데…, 내 한몸 만큼은 '서울이든 어디든' 마음껏 들락날락</div> <div>거릴 수 있는데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대체 무엇을 어떻게 한 것인지 '납득(증명)'시키기는 커녕 '대략적인 설명(아이디어 제시)'조차 못한다?</span></div> <div><br></div> <div>상대방으로서는 정답을 저렇게 잘 내는데 설명만 못해? '못하는 건지 안하는 건지?' 일부러 저러나 싶어할 수도 있겠고, 당사자로서는</div> <div>'나는 잽싸게 답냈으니 장땡이네, 저 기타등등(우리네 노멀한 사람들)들은 죽어라고 뺑이치며 아직도 문제 풀고있네?'</div> <div>'그나마도 대부분은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틀리고 앉았고… ㅋㅋ' 라며 혹시라도 우월감을 피력하거나 한다면? 뭐~ 바로 '괴물' 당첨이죠.</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것도 '혐오스러운 괴물'로…</span></div> <div><br></div> <div>타인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빠른 시간안에 최고 효율로 정답을 뽑아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까짓(?) 중간 과정 좀 제대로 안 밝혔다고</div> <div>오답처리를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받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억울함을 느끼신 분은 약과이고,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심지어 귀싸대기까지 맞으신 분도 계시던데</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안타까운 일입니다.</span></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러면 수학이라는 </span><b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과목'</b><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을 좋아하게 될 리가 없죠. </span><b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수학'에게는 죄가 없는데…</b></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아~ 쓰다보니 딴소리만 실컷 쓴 것인가? 싶은 느낌이네요.</div> <div><br></div> <div>요점은 '직관'만으로는 죽도 밥도 안된다. 이건 '개인'에게는 큰 장점이자 '축복(그래봤자 시간제한 걸린 시험에서나 좋을 뿐…)'일 지언정</div> <div>스케일을 너무 크게 잡은 감이 있는지는 몰라도 '인류'라는 '집단'에게 있어서는 큰 의미가 없다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div> <div>타인에게로의 '전파' 혹은 후대로의'전승'이 불가능하니까요.</div> <div><br></div> <div>아! 빗대어 설명하기에 좋은 예시가 있군요. <b>"라마르크의 용불용설"      </b>(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div> <div><br></div> <div>딴 소리를 쓴 것 같은 김에 조금만 더 써보도록 할께요. 작년부터 대중의 큰 관심을 끌게 된 과학기술 중 하나가 A.I.이지요?</div> <div>자아를 가진 강인공지능이라는 녀석이 완성되면 얼마 안있어 자체 개량을 통해 초<strike>인공</strike>지능으로 업그레이드 될 가능성이 100%이다.</div> <div>라는 이야기를 다들 접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div> <div><br></div> <div>이 이야기를 접한 수많은 사람들이 인간의 수준을 아득히 넘어서는 초지능체가 탄생될 경우 인류 멸망은 필연이다.</div> <div>그런 괴물을 만들어내서는 안된다. 라고들 하지요? 초지능체로서는 이러저러해서 할만하니까 해결했고 이런 결과를 얻어냈다. 고</div> <div>하겠지만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인간들의 능력으로는 전혀 이해할 수가 없어 곧장 답만 톡 튀어나와보이는 상황…</span></div> <div><br></div> <div>네~ <b>앞서 보았던 그림의 직관(<font color="#ff0000">Insight</font>) 그 자체네요. </b>(사실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 color="#ff0000"><b>Insight</b></fon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는 <b>통찰</b>이며 <b>직관과 다름</b>을 다시금 밝힙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나보다 압도적으로 우수하고, 그렇기에 무엇이 어찌 돌아가는지를 헤아릴 수 없어 통제가 불가능한 '괴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직관력이 강한 사람을 바라보는 주변인들의 시선 속에는, 예시로 든 초지능체에 대한 두려움 혹은 혐오감에 비할 정도는 아니겠지만</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분명 저런 느낌이 조금이나마 녹아들어있지 않을까 싶네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저러한 난처한 상황에 처하고 싶지 않다면, 그러한 감정을 해소시킬 의무는 '당사자'에게 있겠지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니 결과에 도달한 과정을 최선을 다해 밝히려는 마음의 자세를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최소한… 나의 직관력이 너무 강해서 제대로 납득을 못시키더라도 나로서는 최선을 다해 '설명하려고 노력한 것만큼은 전해지도록!' 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런 느낌이라도 받게해야 하게 해야하지 않을까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니, 가지고 태어난 강력한 '직관력'은 마음껏 쓰시되 덕분에 압도적으로 절약하게 된 노력과 시간의 절반만이라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과연 이것을</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어떻게 설명해야 좋을까?'에 투입하시길 바라고 '없는 직관력을 부여하지는 못하겠으나 잠들어있을지 모를 상대의 직관력을 깨워줄</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방법은 없을까?' 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고민하시길 바랍니다.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br></div> <div>위에서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b> 라고 해놓고는 뭔가 또 다시 딴소리만 쓴 것이 아닌가 싶어 면목이 없네요.</span></div> <div><br></div> <div><br></div> <div>최종 요약을 하자면…</div> <div><br></div> <div>'직관'가지고 해결할만한 것들은 그것이 초급이든 고급이든 결국 문제 풀이 급 '산수'일 뿐이며</div> <div>'수학'에 있어서는 '직관'은 도약의 계기(~~~의 추측 등)를 마련할 뿐, 진일보는 처절할 정도의 '논증(풀이과정의 제시)'에서 나온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직관'을 가진 자에게는 그렇지 못한 자에게 최소한 '설명의 노력'이라도 보여야하는 '의무'가 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정도 되겠네요.</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재미도 없을 것이 뻔한 저의 글을 여기까지 읽어주신 분들은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제 제가 준비한 내용의 하이라이트를 맛보실 때가 되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본래 이 아래의 내용이 주 목적이었는데 이 소리 저 소리 쓰다가 스크롤 압박만 심해져버렸네요. 죄송하게 생각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제가 본 게시물을 작성하게된 최종 트리거는 이 분의 댓글이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0643a3a9b07f492745d996f90f5d1608d63c__mn460467__w828__h115__f19875__Ym201707.png" width="800" height="111" alt="2.PN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19875"></div>제가 보기에는 엉뚱한 댓글에만 추천이 잔뜩 달려있고, 되레 이 분처럼 직접 문제까지 풀어보며 프로그램 내용의 신빙성까지 체크한 값진 댓글에는</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무반응이더군요. 의혹을 제기한 문제를 정공법으로 풀려면 고2 수준은 되어야하니 많은 분들이 풀어보고 검증하기는 쉽지 않겠으나</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정답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닌데 정답인 양 방송한 것이 사실이냐고 반응하는 사람도 없고… 아무튼 84 라는 분의 말씀대로 정답은 <b>9층 탑 188개 소요 12개 남음</b> 이</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맞기에 제게 있어서는 프로그램 내용의 신빙성이 꽤나 삭감된 상태입니다. (방송 전체를 보지 못하여 구체적인 파악은 못 했습니다만</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7번째 사진 왼쪽의 문제라는 것을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1191efca8341d8a4a24955a5eeeecb1b0b6__mn460467__w900__h506__f73650__Ym201707.jpg" width="800" height="450" alt="성냥개비 문제.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73650"></div>유찬이 어린이가 비록 틀렸으나… 맞았다고 가정하고, 풀이 과정을 적지 않고 눈으로 바라보기만 한 채 소위 '직관'이라는 그것으로 풀었다면</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과연 어떻게 해결하였을 것인가? 그리고 그러한 '직관'이 작동하게된 일련의 과정을 정말 설명할 수는 없는 것일까?</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저 나름대로 재현을 해보았습니다. 사실 까놓고 말해서 제가 푼 것이지만, 기존 게시물에 달려있던… 풀이 과정 없이 눈으로만 풀어서</div> <div>답을 얻어낸 경험이 있는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많은 분들이 언급했던 '직관' 이라는 것을… 추상적일 수밖에 없는 사전적 의미가 아닌 제가 보여드리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구체적 예시를 통해 조금이나마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맛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555f1f6227033f8424f92ddeadd937de5c4__mn460467__w730__h410__f23925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01.png" style="border:none;" filesize="23925"></div> <div style="text-align:left;">아예 실제 상황을 그냥 그려버렸습니다. 본디 이 문제는 계차수열과 Σ취급법을 숙달하는 과정에서 등장할 문제입니다만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방송에 등장하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초등학교 3학년 학생이 '직관'으로 즉석에서 풀어낸다면 과연 어떤 식으로 접근할까? 를 제딴에 시뮬레이션(?)한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실 오유찬 어린이나 저 역시 실제 문제 풀이에서는 사진 속의 4층탑 그림으로 바로 문제풀이에 착수하겠지만 188개라는 정답의 직접 확인을</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위해 다이렉트로 9층 탑을 그린 것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말 그대로 '직관'이 흘러가는 과정을 일일이 쪼개서 늘어놓은 것이니 딱히 설명은 필요 없을 것이라 생각하며 그림 파일들만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연속적으로</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직관'이니 말 그대로 그냥 직접 보시기 바랍니다. </span><b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척~ 보면 압니다."</b><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이게 직관이니까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55885c7dd5f67544854a06b05d7e83e6fcd__mn460467__w730__h410__f51204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02.png" style="border:none;" filesize="51204"></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586df0d326ff3db43dcafd4b8f898c42e45__mn460467__w730__h410__f51449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08.png" style="border:none;" filesize="5144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597346c7b871c4646b6b1a4f26468a06aa2__mn460467__w730__h410__f55794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14.png" style="border:none;" filesize="55794"></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653aa56d4b332da41c9b6ca4153fc54f349__mn460467__w730__h410__f56031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15.png"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order:none;" filesize="56031"></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653b299e724f6474ef6827dae9950cf9a9c__mn460467__w730__h410__f56609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16.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60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6544c3314b40a2c4af9a60d78155c7f7cab__mn460467__w730__h410__f56852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17.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852"></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654478716c97c5d4b609477ae5741897808__mn460467__w730__h410__f56456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18.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456"></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654b8c67f9ff0704069b278a0476e90a286__mn460467__w730__h410__f56930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19.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930"></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65257d3670a814d4f5196af30b64a8654c5__mn460467__w730__h410__f56597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0.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597"></div></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6cffe4510d1b54ad3b32a28a5194cc25d__mn460467__w730__h410__f57076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1.png" style="border:none;" filesize="57076"></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707502757debe42baa6cc7e40995f3c0f__mn460467__w730__h410__f56963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2.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963"></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79feac4cf032b41c08a68de89b9fd30e0__mn460467__w730__h410__f57529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3.png" style="border:none;" filesize="5752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7ab849a2d6bd14ab09b384f0387dff585__mn460467__w730__h410__f56482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4.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482"></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831b65c6544ec42fca031eb37827de4cb__mn460467__w730__h410__f57312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5.png" style="border:none;" filesize="57312"></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86ba70684885b4df4a1a46f32eefe25a8__mn460467__w730__h410__f57040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6.png" style="border:none;" filesize="57040"></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9199f631541b040218e873b7d7fa036de__mn460467__w730__h410__f57658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7.png" style="border:none;" filesize="57658"></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9a0386bfda86d4d259edc6f8607bdd3cc__mn460467__w730__h410__f56841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8.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841"></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9dabfe80827fd4b00b09caf2b472eb910__mn460467__w730__h410__f57718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29.png" style="border:none;" filesize="57718"></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746f0535698ca534bcba6fe6c9e245f3383__mn460467__w730__h410__f56786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0.png" style="border:none;" filesize="56786"></div></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114e68be9f1ad443db852ea05457b2661__mn460467__w730__h410__f67460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1.png" style="border:none;" filesize="67460"></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1531acb21a59942498470c128e56d9254__mn460467__w730__h410__f70192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2.png" style="border:none;" filesize="70192"></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17252e98082ea4aa2b194fb568622a0bf__mn460467__w730__h410__f70939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3.png" style="border:none;" filesize="7093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24190405266c042f18d23d29c5f3aa5ed__mn460467__w730__h410__f71578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4.png" style="border:none;" filesize="71578"></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2d27011fdaba14eff9accd8dcaff6e5a7__mn460467__w730__h410__f71804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5.png" style="border:none;" filesize="71804"></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3b448ffb8a19d4099b9567673ac1f2cce__mn460467__w730__h410__f70939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6.png" style="border:none;" filesize="7093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388b32ac072fc4a69bd089c4ed4aa8072__mn460467__w730__h410__f70822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7.png" style="border:none;" filesize="70822"></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461e751bcbc2a4fed8a56508e4dfa1105__mn460467__w730__h410__f70376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8.png" style="border:none;" filesize="70376"></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4f4cf2c25819e422989a961a9819ed846__mn460467__w730__h410__f68956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39.png" style="border:none;" filesize="68956"></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5c106dcdeffba48f2bd6e08c2834ffb6c__mn460467__w730__h410__f68167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40.png" style="border:none;" filesize="68167"></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631329c2ba42945b9afe574c687197596__mn460467__w730__h410__f55141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41.png" style="border:none;" filesize="55141"></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820cd5432bda3704ea3b8b083dd3e1fa138__mn460467__w730__h410__f41793__Ym201707.png"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42.png" style="border:none;" filesize="41793"></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다 살펴보셨겠군요. 그림 파일을 일일이 쪼개놓았더니 꽤 많아보이지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게시물 맨 처음에 올렸던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Moving Gif 파일에</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모조리 묶어 담았습니다. 1 프레임에 0.3초 간격 재생으로 만들었는데요. 다시 한 번 감상하시지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 (9×10)+(<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0</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9</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9</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 의 의미를 파악해야 '직관' 풀이가 완성된 것입니다. (직접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이처럼 도형의 분할 및 이동을 통해 변형시킬지라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9×10)+(</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0</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9</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9</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 의 의미를 잡아내지 못하면 결론을 내지 못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  왜냐하면 이게 되어야 다른 층수 탑의 성냥개비 소요량을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span style="line-height:1.5;"> </span>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1918e419b7f3148b463087e39c3baa3ed0ea__mn460467__w730__h410__f120741__Ym201707__ANIGIF.gif" width="730" height="410" alt="성냥개비 - 풀이.gif" style="border:none;" filesize="120741"></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직관이란 것이 말로 설명하기에는 곤란하기도 하고, 그렇기에 직접이든 간접이든 몸소 느껴보는 것이 최고이긴 한데…</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이런 특정 사례 하나만으로 전달되기는 힘들겠지요? 그냥 맛보기 정도로 생각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어쨌든… 실제로 '직관'이 작동하고 있는 머리 속에서는 아래의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Moving Gif 가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초 내로 재생 완료 된다고 보시면 좋을 듯 싶네요.</span></div></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전 게시물의 어떤 분의 댓글에 나온 대로 '읭?' 하는 순간 바로 결론이 뜨는게 '직관'이니까요.</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그러면 1초 내에 문제를 푼 것이냐? 고 묻는다면 아니오. 라고 대답하겠습니다. 문제를 읽는 동안 '직관'이 발동할 준비가 은연 중에</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되고 있고, 문제를 다 읽는 순간(사실은 문제에 제시되는 정보를 모두 접수하는 순간) 문제를 읽으며 수집해 둔 모든 정보들이</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한 큐에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읭?'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과 함께 <b>'답'</b>으로 혹은 <b>'답을 끌어내는 핵심 논리'</b>로 맞물리며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라 생각하므로</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b><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 '문제 읽는 시간 + 수 초'</b></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라고 답해야 겠네요. 위에 언급한 ' + 수 초' 부분이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b>'직관'</b>에서 <b>'통찰'</b>로 넘어간다고 생각합니다만</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직관과 통찰의 차이에 대한 저의 견해까지 언급하는 것은 무리라 생각하므로 패스 하겠습니다.</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아래의 문제도 '직관'으로 한 방에 해결 가능한 문제입니다.</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3588d88072d8c71f41b2a6e507f853fd2fdd__mn460467__w947__h533__f34428__Ym201707.jpg" width="800" height="450" alt="정수론 문제 - 문제.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34428"></div> <div style="text-align:left;">4천 승이 됐든 4억 승이 됐든 그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9를 거듭제곱 했다는 사실과 3817자리 수임을 밝혀준 것 처럼 몇 자리 수인지만</div> <div style="text-align:left;">밝혀준다면 결론은 아래에 보이는 '오유찬 어린이'의 풀이 및 정답처럼 순식간에 정답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7/1498843595303f5bdeaa1e4a82af8f86b7d9eb88e7__mn460467__w947__h533__f32394__Ym201707.jpg" width="800" height="450" alt="정수론 문제 - 정답.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32394"></div><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 <div>대체 무엇을 어떻게 캐치했길래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저 어려워보이는 문제를 순삭 시켰냐고요? 요점은 이것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문제가 묻고있는 답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징들…       <b>"왼쪽 첫 자리 수가 9인 것들"</b>         </span></div> <div><br></div> <div>8이나 7 등으로 시작하는 것들이 아닌 9로 시작하는 놈들에게 무슨 비밀이라도 있나?      ← 이것이 강력한 힌트 입니다.</div> <div><br></div></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아~ 그런데 글이 너무 길어지고 작성에도 한 세월 쏟아부어서 지금 상당히 피곤하고 힘드네요;;</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따라서, 여기서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혹시 지금</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font color="#ff0000" size="5">'읭?'</font></b></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하셨나요?</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그렇다면 제가 글 쓰다가 도망(?)간 것을 <span style="line-height:1.5;font-size:9pt;">'직관'적으로</span><span style="line-height:1.5;font-size:9pt;"> 파악하신 겁니다. ㅎㅎ</span></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이로써 '유머게시판'에 어울리는 글이 되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해보며</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쓰잘데기 없이 길기만 한 본 게시물을 마무리 짓겠습니다.</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br></div> <div style="font-size:9pt;text-align:left;">※ 9의 4000승 문제는 댓글에 풀이를 달든가 하겠습니다. (진짜 피곤해서 갑니다. ㅋㅋ)</div></div></div>
    출처 본인 직접 작성
    괴물두뇌의 꼬릿말입니다
    만화 '賭博魔' 8권 '80화 기묘한 소문' 의 서두에서…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38678352aBhYEsU2XaxgiOL6.gif" alt="1438678352aBhYEsU2XaxgiOL6.gif">
    원제 : 嘘喰い (우소구이 : 거짓말을 먹는 자)
    작가 : 迫 稔雄 (사코 토시오)


    [KOSPI200지수 옵션] 2015년 7월 9일 (만기) 201507 Call 245.0 (5분 봉차트)

    <img_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38678622LlC6Sekyu2Qg3hoSl.gif" alt="1438678622LlC6Sekyu2Qg3hoSl.gif">
    저가 : 0.04 Point (원화 20,000원) 10시 43분부터 10시 52분까지
    종가 : 1.05 Point (원화 525,000원) 14시 50분 거래정지
    결제 : 1.77 Point (원화 885,000원) 15시 정각 동시호가 마감시 (최저가 대비 최고가=결제가 : 44.25배)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7/01 02:51:04  122.36.***.5  악트  738561
    [2] 2017/07/01 02:51:53  121.172.***.165  대장균영재  404404
    [3] 2017/07/01 02:55:33  49.166.***.152  구구리야  651735
    [4] 2017/07/01 07:15:58  1.225.***.205  fishCutlet  218203
    [5] 2017/07/01 08:39:13  180.173.***.187  그랜드피아노  35787
    [6] 2017/07/01 08:39:37  124.53.***.156  눈팅만10년째  54343
    [7] 2017/07/01 08:43:44  110.70.***.175  MorseCode  709048
    [8] 2017/07/01 10:21:10  112.153.***.25  하이진  558088
    [9] 2017/07/01 10:28:56  211.195.***.51  옥돔98%녹  451587
    [10] 2017/07/01 10:41:59  18.111.***.84  얏삐-☆  75416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
    구의 체적을 반지름으로 미분하면 구의 표면적이 나오는군요… [51] 창작글 개똥哲學 17/07/18 22:38 101 2
    31
    질문 : 닉네임 갱신한 것 언제쯤 적용되나요? [2] 괴물두뇌 17/07/14 01:39 43 1
    30
    내접원과 관계된 직각삼각형의 면적 공식… S=a×b [26] 창작글 괴물두뇌 17/07/06 01:46 118 1
    29
    피타구라스의 정리… [22] 창작글 괴물두뇌 17/07/04 16:17 186 1
    28
    묘한생각 묘한풀이 - 문항 44번 : 정사각형 만들기 [24]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7/07/01 22:50 102 3
    영재발굴단 '오유찬' 어린이에 관한 2건의 게시물을 보고… [9] 창작글 괴물두뇌 17/07/01 02:43 544 11
    26
    [Euclidea] α단계 문제 1.6의 해법 중 5L 5E 논리 전개… [12] 창작글 괴물두뇌 16/09/25 02:34 50 10
    25
    [Euclidea] α단계 문제 1.7의 해법 중 7L 7E 달성 방법… [2] 창작글 괴물두뇌 16/09/21 19:51 27 3
    24
    [Euclidea] α단계 문제 1.6의 해법 중 5L 5E 달성 조건… [15]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9/21 05:58 50 3
    23
    일본어 잘하시는 분들 계시면 가사가 잘못된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7]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9/01 17:56 38 4
    22
    City Hunter'91 의 Image Song 가사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8/30 14:56 26 0
    21
    Super Robot 大戰 EX 마사키의 장 '나그차트 격파' 영상 창작글 괴물두뇌 16/03/09 01:19 58 1
    20
    어처구니없는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아랫집 아저씨의 명복을 빕니다. [5] 괴물두뇌 16/01/29 17:54 230 11
    19
    IQ 테스트 문제 몇 개 질문드립니다;; [10]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11/09 15:44 59 0
    18
    새로운 문제를 찾으시던 몇 몇 분들을 위한 여섯 문제 [5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5 00:37 63 0
    17
    How to solve it 관련하여 삭제했던 게시물의 부분 복원 [1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3 03:46 56 0
    16
    ????! 님께…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0 21:16 38 0
    15
    우째 이런일이~ 훌륭한 문제 출제자 고1님 읽어주세요. [1]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07 18:54 48 2
    14
    옛날 게임 Pipe Dream 에 넣을 수 있는 십자 파이프를 최대값?? [11] 창작글 괴물두뇌 15/07/03 22:36 51 0
    13
    옛날 게임 Pipe Dream 에 십자 파이프를 최대한 많이 넣기에 도전 [17] 창작글 괴물두뇌 15/07/02 04:11 107 3
    12
    진짜로 쌍곡면 중독증상에 걸림;; (선분 중점의 자취가 예술입니다~) [8] 창작글 괴물두뇌 15/07/01 05:25 98 15
    11
    푸리에 급수 움짤 (꼬릿말) [13] 베스트금지베오베금지 괴물두뇌 15/06/11 21:34 16 0
    10
    [BGM] 아폴로니우스의 원뿔 곡선 (타원/포물선/쌍곡선의 진정한 정의) [1] 창작글 괴물두뇌 15/06/07 23:15 46 11
    9
    의뢰(?)를 받고 제작한 푸리에 급수전개 사각파 그래프 (4항까지 전개) [3] 창작글펌글 괴물두뇌 15/06/06 15:30 61 10
    8
    이차곡선의 정의대로 작도한 포물선, 타원, 쌍곡선 구경하세요. [37] 창작글 괴물두뇌 15/06/06 00:14 55 13
    7
    궤도 엘리베이터 실사용시 예상되는 각운동량 보존에 관한 문제점 [47] 창작글 괴물두뇌 15/06/03 14:47 45 17
    6
    파생상품 증거금률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괴물두뇌 15/05/28 20:29 16 0
    5
    축퇴성 혹은 밀집성이라 불리우는 천체에 관한 궁금증입니다. [15] 괴물두뇌 15/05/19 23:38 34 1
    4
    해양포유류들 역시 물을 마시는지 궁금합니다. [7] 괴물두뇌 14/05/21 15:06 65 5
    3
    우주엘리베이터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에 관하여 여러모로 궁금합니다. [19] 괴물두뇌 14/04/08 23:08 43 0
    [1] [2]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