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훌룰ㄹ루루루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7-04
    방문 : 65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730089
    작성자 : 훌룰ㄹ루루루
    추천 : 9
    조회수 : 1489
    IP : 183.98.***.101
    댓글 : 26개
    등록시간 : 2016/04/24 09:37:26
    http://todayhumor.com/?sisa_730089 모바일
    점점 명확해지는 북한-미국 평화협정의 징후
    <br><h2 class="malgun">점점 명확해지는 북-미 평화협정의 징후</h2> 16-02-27 17:56ㅣ 지창영 ([email protected]) <br><br><br><br><strong><br>두 달 안에 윤곽이 드러날 것인가?</strong><br><br>미국 국무부에서 공개한 자료를 보고 깜짝 놀랐다. 예상은 했던 일이지만 이렇게까지 드러내놓고 이야기할 때가 드디어 왔구나 하는 감격에서다.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문제의 내용은 <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미국의 국무장관 존 케리와 중국 외교부장 왕이의 연설과 질의응답으로서 게시 날짜는 2월 23일로 되어 있다. 미 국무부 누리집에 영문으로 게시되어 있으니 누구라도 볼 수 있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해당 사이트 : <u><span lang="en-us" style="color:#0000ff;"><a target="_blank" href="http://www.state.gov/secretary/remarks/2016/02/253164.htm">http://www.state.gov/secretary/remarks/2016/02/253164.htm</a></span></u></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다소 길더라도 원문을 그대로 옮기고 중요 부분만 해설을 붙인다. 원문을 그대로 옮기는 것은 맥락과 분위기를 가능하면 살리고 싶기 때문이다. 인용문을 무시하고 읽어도 내용을 파악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weight:bold;">대화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케리와 왕이의 연설문이 앞에 나와 있고, 기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뒤에 나와 있다. 발언 순서대로 먼저 존 케리의 연설 내용 중에서 관련 부분을 옮긴다. 번호와 밑줄은 필자가 편의를 위하여 붙인 것이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First, we discussed North Korea’s increasingly provocative actions. The nuclear test that the DPRK conducted last month and its subsequent ballistic missile launches are provocative; they are threatening; they are a violation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gree completely that this – these actions merit an appropriate response through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which was promised if they violated a resolution, and it was promised in the last resolutio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ere now have been several flagrant violations of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1)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ose violations threaten not only the peninsula, but they also are a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2)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We, therefore, need to respond accordingly. And we agreed today to continue our efforts to make certain that response is forthcoming rapidly.</span></u></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oday, Foreign Minister Wang and I also discussed ways that we, along with our partners in the UN and the Six-Party Talks framework, (3)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can deepen our cooperation not only to respond to the actions that DPRK took but equally importantly because those reactions have a purpose and that purpose is to bring the DPRK back to the 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ix-Party Talks and particularly discussions about denuclearization</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앞 부분은 으레 그러는 것처럼 북의 위협에 대한 심각성을 언급한 것이다. 그러나 그 귀결점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하는 점을 잘 보아야 한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그와 같은 위반은 한반도만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한다.</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2) 따라서 우리는 그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우리는 오늘 그러한 대응이 속히 이루어지도록 확실한 노력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북이 세계평화를 위협하니 혼내 주겠다는 기조가 아니다. 대신 자신들이 뭔가를 빨리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배어 있다. 무엇을 한다는 것인지는 이어서 언급되고 있다.</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3) (왕이와 나는) 북한이 취한 행동에 대응하면서, (중략) 북한을 6자회담에 끌어들이고 특히 비핵화 논의에 참여시키기 위해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결국 대화가 그 귀결점이다. 북이 어떤 행동을 해도 대화 외에는 다른 제재 방법이 없다는 점을 미국과 중국이 공통적으로 고백한 것이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weight:bold;">중요한 진전은 무엇일까</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이어서 왕이의 연설 중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한다. 역시 앞 부분은 북의 행위를 비난하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이는 각 나라의 보수파를 의식한 수사로서 충격을 완화하려는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모르는 언론들은 마치 미국과 중국이 북을 혼내 주기 위해 단단히 벼르고 있는 것처럼 보도한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And of course, we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 did on previous occasions. In order to uphold the internation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both sides do not accept the DPRK’s nuclear missile program, and we do not recognize the DPRK as a nuclear weapon state. The UN Security Council is in consultation about a new resolution. (4)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I would like to tell you that import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consultations, and we are looking at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greement on the draft resolution and passing it in the near future.</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Once we pass that agreement, we can effectively limit further progress of the DPRK’s nuclear missile program. At the same time, China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can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Korean nuclear issue. (5)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o really do that, we need to return to the track of dialogue and negotiation.</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And the Secretary and I discussed this many times, and we agree on this. </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at is, the goal is to get back to the negotiatio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China, as the chair of the Six-Party Talks, will continue to act in an objective and impartial way, and we will play our due role in exploring ways to resume the Six-Party Talks. In light of the evolving situation, we have put forward a basic proposal. That is, (6)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we want to pursue in parallel tracks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placement of the Korean armistice with a peace agreement.</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7)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We know certain parties have different views on this proposal.</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It has not come as a surprise to us, and China is open to new ideas or better ideas so that the relevant parties can have a proper discussio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China sees the parallel track approach as a reasonable one. It highlights the overriding goal of denuclearizing the peninsula at the same time it seeks to address the major concerns of the various parties. We would like to have further discussions about this with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specific steps that may lead to a resumption of dialogue.</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e Secretary and I also discussed the evolving situation on the peninsula. (8)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Both sides feel that we need to monitor the situation on the peninsula very closely in the coming two months.</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9)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Various factors of instability might intertwine and have an impact, so under that situation it’s very important that the various parties have more dialogue so as to prevent the heightening of tension or escalation of the situation.</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10)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In particular, we must prevent the situation on the peninsula from spinning out of control.</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That is a scenario that neither China nor the other parties wish to see, so China hopes that the relevant parties will not take any action that might heighten tension on the peninsula.</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매우 길게 발언한 것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내용으로 이어진다.</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4) (유엔 안보리) 협의에서 중요한 진전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조만간 결의안 초안에 합의하고 이를 통과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중요한 진전(important progress)이란 무엇일까? 케리가 말한 대화의 방향을 고려할 때 그 진전이 제재를 말하는 것이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에서 진전이 있다는 얘기다. 왕이 부장의 언급에서 더욱 명확해진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5) 대화와 타협의 트랙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결국 대화다. 중요한 진전이란 대화를 향한 진전이라는 결론이다. 그렇다면 대화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6) 우리(중국)는 한반도의 비핵화와 더불어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교체하는 두 개의 트랙을 병행하여 추구하고자 한다.</spa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결국 평화협정을 말하는 것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span> 그러나 그것이 과연 순조로울까? 어려움이 있음을 내비치고 있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7) 이 제안에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들도 있다는 것을 안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이들은 누구일까? 예를 들면 한국의 현 정부와 미국의 일부 보수주의자들이 여기에 포함될 것이다. 이들 때문에 평화협정이 어렵다는 점을 내비치고 있는 것이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weight:bold;">두 달 간의 여유</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그런데 여기에는 기한이 주어져 있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8) 양측(미-중)은 향후 두 달 동안의 한반도 상황을 매우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느낀다.</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향후 두 달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왜 하필 두 달일까? 이는 북측의 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달이 지나면 5월이다. 5월에 북측에게 중요한 일이 있다면 36년 만에 열리는 노동당 대회가 있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평화협정을 요구하며 미국을 압박하고 있는 북은 기한을 5월로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케리와 왕이의 발언에서 무언가 서두르는 인상이 묻어나는 데는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5월이 되기 전의 두 달은 어떤 상황이 될 것인가?</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9) 여러 가지 불안정한 요소들이 꼬이고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러한 상황에서는 여러 당사자들이 더 많은 대화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긴장이 격화되거나 상황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두 달 동안 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얘기다. 그 이유가 중요하다. 긴장이 격화되거나 상황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는 곧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 또는 전쟁을 염두에 둔 말임을 직감할 수 있다. 북의 핵시험과 위성 발사를 계기로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이 높아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나온 말이다. 이어지는 왕이의 말에서 중-미가 무엇을 두려워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0) 특히, 우리는 한반도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빠져드는 것을 기필코 막아야 한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통제할 수 없는 상황, 그것은 곧 전쟁이다. 두 달 간 평화협정을 위한 구체적인 진전이 없다면 전쟁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북은 두 달의 기한을 미국에 통보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weight:bold;">거스를 수 없는 북-미 평화협정</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케리와 왕이 두 사람의 연설이 끝난 후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어졌다. 곧 나오게 된다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예전과 어떤 점에서 다르냐는 질문에 케리는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span> 역시 첫 단락은 보수층을 의식해서 으레 하는 말이므로 지나치고 중요한 말에 밑줄을 긋는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at was specifically called for in the last resolution in 2013. We passed a resolution then that said if China – if China – if DPRK – if DPRK violated the resolution and they either tested or engaged in a missile launch, there would be, quote, “significant impacts,” or steps taken as a consequence of that. I believe that what we are considering is significant, but as I say, it is in the appropriate evaluative stages and we both hope that this can move forward very soo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I also would emphasize what the foreign minister has said, and I think I said this in my opening comments, (11)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e goal of this is not to be in a series of cycling, repetitive punishments. That doesn’t lead anywhere.</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12)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e goal is to try to get Kim Jong-un and the DPRK to recognize that all of the countries of the world are united, as we were with respect to Iran,</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in saying that the world will not be safer with additional nuclear weapons. That’s a fundamental decision. (13)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And what we need is for the DPRK to understand that it can rejoin the community of nations</span></u><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14)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it can actually ultimately have a peac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at resolves the unresolved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if it will come to the table and negotiate the denuclearizatio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So that’s the road ahead. That is precisely what this is about. We want a negotiated outcome. And it’s up to the DPRK to make a sensible decision and not deprive their people, as they are today, of the normal commerce of nations and the normal standard of living which their people could have, were they to reach a reasonable agreement.</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유엔 안보리가 새로이 결의할 내용은 예전과 다르다고 한다.</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1)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반복되는 제재가 목적이 아니다. 그것은 아무런 결과도 못 낸다. </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예전에 제재했던 것은 아무런 효과도 못 거두고 그저 시늉만 냈다는 것을 고백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어떻게 하겠다는 것일까?</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2) 우리와 이란이 그런 것처럼 세계의 모든 나라들이 연합되어 있다는 것을 김정은과 북한이 깨닫도록 노력하는 것이 그 목표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여기에는 깊은 의미가 깃들어 있다. 이란을 언급했는데, 이란은 미국이 악의 축으로 지목했던 나라로서 최근에 관계를 정상화했다. 북에 대해서도 이란처럼 관계를 회복하겠다는 메시지가 들어 있는 것이다. 이는 실로 엄청난 변화다. 케리는 이 말 뒤에 토를 달았는데 그것은 무시해도 된다. 역시 보수파를 의식해서 마치 예전과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처럼 꾸미는 말장난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말이 또 언급된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3) 북한이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 주었으면 좋겠다.</span></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웃음이 나오는 발언이다. 북은 늘 국제사회에 나오고 싶어했다. 그것을 막은 것은 미국이다. 이제 미국이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어쩔 수 없이 북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두 달의 시한을 못 박고 몰아붙인 결과 미국은 이렇게 나오는 것이다. 급기야 미국은 자기 입으로 평화협정을 언급하기에 이른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4) 궁극적으로는 미국과 평화협정을 맺음으로써 그동안 풀지 못했던 한반도의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다.</span></span></p><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 </span> <p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ff;"> </span></p><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 </span> <p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미국은 북과 평화협정을 맺기로 결정했고 이를 공표하는 것이다. 그토록 무너뜨리고자 했던 ‘악의 축’ 북과의 대결에서 미국은 사실상 무릎을 꿇고 만 것이다. 이제 정식 발표만 남아 있다. 두 달 안에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weight:bold;">미군의 감축을 언급한 케리</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기자의 다른 질문에 대하여 왕이의 답변이 이어졌는데 역시 대화를 강조하는 내용이다. 특별한 내용이 없으니 그냥 지나친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The Chinese side, as the host party of the Six-Party Talks, of course wants to have an early resumption of the Six-Party Talks. And I remember last time I said that in today’s world any hotspot issue will require a solution based on negotiations, and the Korean Peninsula nuclear issue is no exception. But resumption of the peaceful talks require the concerted efforts of all parties and requires all parties to meet each other halfway. And we hope that in the near future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emerging for the resumption of the peace talks, of the Six-Party Talks. And the Chinese side for this purpose is ready to take up our responsibility as the host party and to continue to play our constructive role and express our objective and just position.</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케리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여기에 또 하나의 놀라운 내용이 등장한다.</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5) </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Now, we have said very clearly many times that the way to not only prevent THAAD from being deployed but also to see America be in a position to have less troops on the peninsula – maybe, one day – is by resolving the issue of the nuclear program in the DPRK and ultimately making peace on the peninsula.</span></u><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 We are still living under the same armistice which ended the war back in the 1950s. So what our hope is is that we could move down those tracks one way or the other over a period of time. And we have said that if we can get to denuclearization, there’s no need to deploy THAAD. I don’t think anything could be a better articulation of our desire. We’ve stated publicly, openly, and clearly what the conditions are for not having to consider its deployment, and that would be the denuclearization. That’s all – not even if North Korea fundamentally changed, but if it denuclearized, then this particular threat goes away.</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So we’re very clear about it. We hope very much that over the course of the next weeks and months the DPRK will come to some wisdom with regard to its program, recognizing that we are joined together with other nations at the United Nations in our readiness to put in place some additional tough measures to make clear that we are serious.</span></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Now, with respect to – it’s a very, very good question about the two tracks. Let me make this as clear as I can. There is only one foreign policy in the United States, and I have expressed that policy with respect to our desire to resolve the problem of North Korea, to pursue a negotiated resolution of the challenges of the South China Sea. And PACOM and DOD and State Department and CIA and all of our national security team are on the same page with respect to our policy with respect to the region.</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케리는 놀랍게도 미군의 감축을 얘기하고 있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style="margin-right:20pt;margin-left:20pt;" class="바탕글"><span style="background-color:#ffff00;"><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15) 이전에도 여러 번 명확히 밝혔지만 북한의 핵 프로그램 문제가 해결되고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가 이루어지면 </span><u><span style="font-size:9pt;">싸드를 배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국은 한반도에서 군사력을 감축할 수밖에 없을 것</span></u><span style="font-size:9pt;">이다.</span></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앞에 너절하게 붙은 조건은 무시하고 핵심(밑줄 그은 부분)을 보아야 한다. ‘이전에도 여러 번 밝혔지만’ 이 말을 왜 붙였겠는가? 너무 엄청난 내용이기 때문에 보수층의 동요가 우려된 것이다. 그래서 마치 기존의 입장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처럼 살짝 포장한 것이다. 이를 눈치채지 못하는 보수 언론은 미국이 무릎을 꿇었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 한다. 말이 미군의 감축이지 사실상 철수로 봐야 한다. 어차피 승패는 명확히 갈렸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미국이 중국의 역할에 일정 부분 의존하고 6자회담을 끌어들이는 것은 대국의 자존심 때문이다. 북과 일대일로 붙어서 평화협정을 체결해 버리면 누가 봐도 미국이 북에 끌려다니다가 굴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꼼수를 부리는 것이 6자회담이다. 여러 나라가 붙어서 논의한 끝에 평화로 방향을 잡고 미국이 못 이기는 척하고 받아들이는 모양새를 갖추려는 것이다.</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교란을 위한 수사를 빼고 핵심만 정리하면 미국의 결론은 이렇다. ‘싸드 배치 안 할게. 평화협정 체결하자. 미군도 철수할게. 두 달 안에 결론 낼 거야.’</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북한-미국 평화협정이란 6.25전쟁이 종전됨을 뜻함. 현재는 휴전중.</p> <p class="바탕글">오바마 임기내에 평화협정이 맺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br></p> <p class="바탕글">외신 저널리스트들도 똑같은 의견들임.</p> <p class="바탕글">한국언론사는 심도있는 분석기사가 없음.<br></p> <p class="바탕글">곧 북한과는 자유왕래정도는 시작하게 될것임.<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04/24 09:43:53  59.11.***.188  짭짤이토마토  709501
    [2] 2016/04/24 09:59:46  112.161.***.30  어대문  567021
    [3] 2016/04/24 10:11:28  222.113.***.164  다보인다  536178
    [4] 2016/04/24 10:49:46  24.215.***.113  snoopydoll  695494
    [5] 2016/04/24 11:37:58  221.143.***.27  고놈참  647167
    [6] 2016/04/24 11:52:22  218.209.***.120  고줌마  694349
    [7] 2016/04/24 12:06:15  122.34.***.215  nabitte  708260
    [8] 2016/04/24 14:25:54  223.62.***.90  따뜻한게좋앙  692740
    [9] 2016/04/24 19:29:42  115.139.***.155  연작  4312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
    MB의 마스타플랜 [6] 훌룰ㄹ루루루 16/06/07 11:37 365 11
    46
    ‘배신자’ ‘양아치’ ‘이명박의 앞잡이’ [7] 훌룰ㄹ루루루 16/05/26 10:06 310 2
    45
    정계 개편 이미지 한장 정리 [10] 훌룰ㄹ루루루 16/05/26 08:32 736 21
    44
    사실 동교동계가 안철수를 버리면 안철수는 끝 아닌가. [5] 훌룰ㄹ루루루 16/05/24 15:28 457 4/3
    43
    앞으로의 정계구도 개편 경우의 수 [2] 훌룰ㄹ루루루 16/05/24 00:28 210 0
    42
    김종인 "경영인·소유주가 부실경영 재정 책임까지 져야" [7] 훌룰ㄹ루루루 16/05/23 17:31 456 23/5
    41
    ‘친박+반기문 연합’ 맞서… PK 비박+안철수 ‘동서연대론’ [6] 훌룰ㄹ루루루 16/05/19 23:14 155 1
    40
    근데 안철수는 왜 친이계를 놓치 못하는걸까요? [4] 훌룰ㄹ루루루 16/05/18 22:37 315 0
    39
    지금 화두는 결선투표제입니다. [4] 훌룰ㄹ루루루 16/05/18 21:34 236 0
    38
    진짜 더민주 vs 친박 vs 친이+동교동계 구도군요.. [7] 훌룰ㄹ루루루 16/05/17 23:16 329 2
    37
    朴 대통령 "매연 가스 뿜지 않는 차 구입해야" [12] 훌룰ㄹ루루루 16/05/10 23:03 335 12
    36
    MBC 간부 “2580 안철수편 폐기” [12] 훌룰ㄹ루루루 16/05/10 19:52 1028 31
    35
    안철수의 집안 내력은 심각한 수준. 전형적인 친일파 집안. [11] 훌룰ㄹ루루루 16/05/10 13:05 1162 53
    34
    안철수, 포스코 ‘박정희기념관’ 지원 찬성..'정체성' 논란 [5] 훌룰ㄹ루루루 16/05/10 12:31 733 42
    33
    안철수 "아파트 매도 때 실거래가격과 다른 금액으로 신고" [16] 훌룰ㄹ루루루 16/05/10 11:58 624 24
    32
    안철수는 청문회 조사 대상자입니다. [13] 훌룰ㄹ루루루 16/05/10 09:52 680 44
    31
    MB청문회 시작되면 연루되는 사람들이 누구인가요? [9] 훌룰ㄹ루루루 16/05/09 16:41 326 3
    30
    안철수의 대통령병과 이명박의 범죄은닉본능의 절묘한 하모니 [3] 훌룰ㄹ루루루 16/05/09 00:48 184 21
    29
    개족보의 중심엔 이명박이 있습니다. [3] 훌룰ㄹ루루루 16/05/08 15:23 332 20
    28
    Rihanna - work 이런 류의 노래를 찾습니다. 훌룰ㄹ루루루 16/05/05 15:44 25 2
    27
    전세계 경제위기는 곧 옵니다. 그래서 경제전문가가 필요한겁니다. [24] 훌룰ㄹ루루루 16/05/03 11:47 392 8/11
    26
    김종인정도의 경제감각 가지고 있는 사람 없을겁니다. [21] 훌룰ㄹ루루루 16/05/03 00:43 228 8/12
    25
    새누리+국민당 연정이 정권교체입니까? [7] 훌룰ㄹ루루루 16/05/02 09:12 297 1
    24
    비밀 환담하는 김무성 박지원 [1] 훌룰ㄹ루루루 16/04/28 23:46 421 5
    23
    한국판 양적완화라고 다른게 아닙니다. [5] 훌룰ㄹ루루루 16/04/28 13:47 180 1
    22
    국민당 기회주의 본능 나오기 시작했네요. [20] 훌룰ㄹ루루루 16/04/25 10:09 854 21
    21
    정계는 재편중. 계파별 대선주자카드 [5] 훌룰ㄹ루루루 16/04/24 11:07 634 3
    20
    동교동계와 안철수의 잔머리 대결 최후 승자는? [8] 훌룰ㄹ루루루 16/04/24 10:23 725 1
    점점 명확해지는 북한-미국 평화협정의 징후 [27] 훌룰ㄹ루루루 16/04/24 09:37 469 9
    18
    북한문제 간단히 정리해드릴께요. 한국은 할일이 거의 없습니다. [33] 훌룰ㄹ루루루 16/04/23 15:01 422 18/2
    [1] [2]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