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aiidyn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24
    방문 : 3748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cience_41184
    작성자 : aiidyn
    추천 : 13
    조회수 : 1640
    IP : 211.253.***.194
    댓글 : 17개
    등록시간 : 2014/09/18 14:14:12
    http://todayhumor.com/?science_41184 모바일
    착시와 자연언어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class="chimg_photo" alt="그림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4369E5aKIpkgSkqog53JNovtB5uSrxO.jpg" width="800" height="573"></div> <div>위의 대단히 유명한 착시 그림인 아델슨의 체크무늬 그림자 그림에서, A가 표시된 네모와 B가 표시된 네모의 휘도는 놀랍게도 같다. <br>이 그림을 처음보았을때 나는 책에서 오타가 난것 같다고 생각할 정도로 이 착시는 대단한 것이었다. </div> <div> </div> <div>사실 착시는 주변에서 대단히 흔하게 경험할수 있는 흥미로운 현상이다.<br>이런 착시는 우리가 보는 것이 실제와는 다를수 있다는, 우리 시각의 불확실성을 각성시키는 동시에,<br>우리에게 물체를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지각하게끔 하는, 우리 시각의 경이로움을 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div> <div> </div> <div>그럼 착시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br>'지각' 은 뇌가 외부의 대상에 대한 '자극정보'를 '감각'기관을 통한 '신호'로부터 '예측'하면서 발생하는 정신작용이라 할수 있다. <br>그리고 착각은 뇌의 '예측'이 실제의 외부 대상과 '불일치' 하는 상황이다.<br>만약 이런 예측실패상황을 인지한다면 뇌는 보통 '예측모델'을 '수정'하여 다음번에는 올바른 예측을 할수 있게끔 한다.<br>그래서 자라보고 놀랐다가 솓두껑보고 놀란 가슴이라도 그것을 계속 자라로 착각하지는 않게 되는 것이다. <br>(물론 세상에는 노답 무뇌아 꼴통들이 있기는 함)<br> <br>그러나 착시는 조금 다르다. <br>위의 아델슨 그림처럼, 착시를 일으킨 것이라면 착시인것을 알아도 계속 착시를 일으킨다. <br>착시는 자신이 잘못 예측하고 있음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측모델을 수정하지 못하고 계속 잘못된 예측을 내 놓는다.<br>아마도 뇌는 예측실패로 인한 착시현상에 대해서, 예측모델이 아니라 감각정보를 수정해 버리는듯 하다. <br>왜 그럴까?</div> <div> </div> <div>사실 착시에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수 있다. <br>첫번째 것은 대상 자체가 애매해서 착시가 일어나는 경우다.<br>즉, 자극 자체가 명확하지가 않아 이렇게도 해석될수도 있고 저렇게도 해석될 여지가 있는 것이다. <br>이렇게, 자극에서 정확한 답이 없는 경우, 뇌는 예측모델을 수정할수가 없기 때문에 똑같은 현상이 반복된다. <br>그래서 뇌는 한번은 이런식으로 해석해 보고 또 한번은 다른식으로 해석해 보면서 다른 결론을 내 놓는 것이다.<br>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래의 네커큐브다. <br>이 그림은 어떻게 보면 큐브가 윗천장을 보이는 것 처럼 보이고 또 어떻게 보면 아랫바닥을 보이는것 처럼도 보인다. <b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그림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4847ZZQWcYHRY2TuJVWdllIpGRWwtH.jpg" width="697" height="638"></div> <div>이런 종류의 착시 유도그림은 사실 수도 없이 많다. </div> <div>아래는 그런 또 다른 그 대표적인 예인 얼굴-잔 착시 그림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220px-Cup_or_faces_paradox_svg.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810bdZdOVKz1XPNBCyvDTq8rBTk.png" width="220" height="267"></div> <div> </div> <div>착시에 대한 두번째 것은 외부 대상에 대한 자극정보가 감각기관 단계에서 왜곡이 되는 경우다. <br>즉, 뇌가 아니라 눈에서 잘못된 신호를 뇌로 보내어 뇌가 잘못 판단할수 있다.<br>이런 종류의 착시는 시작 신호부터가 틀렸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며, </div> <div>항상 올바른 예측을 하고 있는 뇌가 예측모델을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똑같은 착시현상은 반복된다.   <br>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래의 마하밴드다.</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Mach_band_illusion.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5080Rj7VLgjc8vic.jpg" width="294" height="293"></div> <div><br>그림 왼쪽의 옅은회색과 오른쪽의 짙은회색사이에 중간 색깔 대역 사이로 2개의 띠 같은것이 보이는데 실제로는 단일 색깔이다.<br>이것은 시각신경절 세포단계에서의 측면억제 현상으로 설명이 된다. <br>특점 지점에 휘도는 그 특점지점 주위의 휘도분포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상인 측면억제 현상은 대뇌단계가 아니라 신경절세포단계에서 일어난다. <br>angry smile 착시나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5643"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5643</a> 색순응에 의한 종류의 착시역시 </div> <div>감각단계에서의 신호 오류(?)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할수 있으며, 그래서 우리는 이런 착시를 피할수가 없다.  </div> <div> </div> <div>마지막으로는 본격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인, 시각담당 뇌가 자신이 오랫동안 학습한 것과 다른패턴의 자극을 만났을때 발생하는 착시다.<br>즉, 뇌는 시각자극으로부터 실제에 대한 확률적으로 거의 참일 예측결과를 내어 놓았는데, 그것이 특수하게 조작된 환경에서 틀린 경우다.<br>예측을 결국은 누적된 경험과 맥락을 통해 확률적인 것으로 처리하는 뇌는, 이런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 일회성 착시때문에 뇌의 예측모델을 뒤엎지는 않는다. <br>만약에 이런 일회성 특수환경에 의한 착각때문에 예측모델을 맹큼 수정해버리면, 반대로 일상적인 환경에서의 예측에서 문제가 일어나게 될 것이다.<br>그래서 행여나 그런 특수환경에 의한 자극이 지금까지 살아가면서 학습해온 누적된 데이터베이스를 압도할 만큼 반복되지 않는이상, </div> <div>그것과 관련된 예측모델은 고수되며, 따라서 같은 착시현상은 반복되게 된다.</div> <div>   <br>아래 그림을 보면 중간에 글자가 B처럼도 보이고 13처럼도 보인다.</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abc123.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5506UAPFEXH52J7TkwhIOaBGMthvfyTDmF.gif" width="300" height="300"></div> <div>숫자언어와 알파벳언어를 학습하여 알고 있을때 발생하는 이 현상은 사실 착시가 아니라 착각으로 분류해야 할것이다. <br>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점은 만약, 이것을 보는 사람이 숫자, 또는 알파벳 둘중에 하나를 전혀 모른다면 이런 착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br>즉, 지금까지 학습한 숫자언어, 또는 알파벳 언어 때문에 발생한 추가해석의 여지로 인해 예측이 교란이 되어 헷갈리는 것이다.<br>그리고 이것이 본 내용의 핵심이다.<br>학습은 꼭 언어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그냥 보고, 듣고, 하는 것으로도 이뤄질수 있다. <br>그리고 우리는 단지 깨어나서 그냥 활동하는것을 통해서 사실 자연현상과 규칙에 대한 수많은 종류의 것을 학습하고 있다.<br>이러한 자연스러운 자연언어 학습과정에 의해, 우리는 자연스럽게 물체가 어떤식으로 떨어지는지를 예측할수 있고, <br>신음식은 상한것일수 있음을 예측할수 있으며, 천둥소리가 들리면 곧 번개가 칠 것이란 것도 알수 있다.<br>그리고 이렇게 학습된 상황에서 만약 환경을 자연환경에서는 거의 불가능하게끔 특수하게 조작하여 예컨데 녹음된 천둥소리만 들려준다면, <br>번개가 안치는것을 본 자연인은 이것을 아마도 참 기이하고 별란 예외적인 현상이라고 여길뿐 천둥소리가 조작된 것이라고 예측하지는 못할 것이며,<br>그런 조작 장난이 왠만큼 반복되더라도 여전히 자연인의 뇌는 천둥소리가 들리면 곧이어 번개가 치는 것을 대기할것이다.  </div> <div> </div> <div>시각도 마찬가지다. <br>우리는 태어나서 자연을 통해서 수많은 종류의 시각에 대한 자연언어 패턴을 경험한다. <br>가장 대표적이고 가장 불변적인 속성이 아마도 빛은 위에서 비친다는 것일 것이다. <br>아래 그림에서 볼록한 홈과 오목한 홈을 볼수 있을 것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그림2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083Krv6J4ueyKL91EI.jpg" width="309" height="215"></div> <div><br>왜 이럴까? 왜 똑같은 그림을 뒤집었을 뿐인데 하나는 볼록하게, 또다른 하나는 오목하게 느낄까? <br>그것은 아마도 뇌가 오랜 학습을 통해 빛은 위에서 비친다는 강력한 가정하에서 시각자극을 해석하기 때문일 것이다.<br>그렇게 빛이 위에서 비친다고 가정한다면, 그림자는 아래방향일것이고, 그런 것을 통해서 그림을 해석한다면</div> <div>왼쪽그림은 볼록해야 하고 오른쪽 그림은 오목해야 한다. <br>아래의 유명한 애리조나 분화구 착시도 마찬가지 이유다. <br>다만, 이 착시는 땅은 위가 아닌 바닥에 있는 것이라는 가정도 포함되어 있기는 하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class="chimg_photo" alt="그림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115ceKkfdTR2Rfy.jpg" width="800" height="244"></div> <div>보통 상황에서 (오른쪽 원본영상을 뒤집은)왼쪽 그림을 보면 그냥 볼록한 것으로 해석하지 뒤집은 조작사진으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br></div> <div>가장 먼저 보인 아델슨 체크무늬도 마찬가지다. <br>뇌는 오랜 학습을 통해 빛에 의한 그림자 속성을 미리 고려해서 시각현상을 해석하여 예측해 버린다. <br>그래서 A와 B는 휘도는 같지만 뇌에서는 그림자에 의한 영향을 미리 고려해서 예측하기 때문에<br>그림자가 있는 B의 네모영역을 더 밝은 것으로 지각한다.   <br>약간의 훈련을 통해 그림에서의 감각단계 정보에 집중을 하면 A와 B의 휘도는 같음을 알수있을 것이다. <br> </div> <div>시각과 관련된 또다른 강력한 자연언어는 원근감이다. <br>아래의 에임즈 룸이나 책상이나 뮬러 라이어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착시일 것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Ames_Room55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201d5Vb76CylK8BRQAwuFhRyPM4FYyn.jpg" width="550" height="440"></div> <div>우리는 한쪽눈만으로도 경험에 의한 자연언어 학습을 통해 대략적인 원근감을 파악할수 있는데</div> <div>그런 원근감과 관련된 자연언어를 인위적으로 조작으로 교란된 환경에서라면 위의 그림처럼 이상한 착시를 경험하게 된다. <br>사실은 세사람다 비슷한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원근감 조작을 통해(창문, 문, 의자의 모양과 크기등) 거인과 난쟁이를 지각하게 된다. <br>물론 저런 환경은 특수한 조작을 통하지 않고서의 자연환경에서는 거의 만날일이 없다. <br>책상도 마찬가지로 우리는 책상을 그 자체가 아니라 원근감까지 강력하게 묶여서 같이 계산된 형태로 보기 때문에<br>아무리 봐도 왼쪽은 긴 직사각형 책상이고 오른쪽은 정사각형 책상이며,<br>실제와는 다르게 두 책상은 절대로 같은 모양의 책상이 될수가 없는 것일 것이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그림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380ec3R6UkeRiqpoxG2MWG4QdTYzmI.jpg" width="496" height="261"></div> <div>아래의 뮬러 라이어 착각도 이런 뇌의 자동 원근처리 장치의 오지랖때문에 발생하는 것인듯 하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101358_22053_gif_M40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4159LMbESqcW.jpg" width="400" height="220"></div> <div>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숨은 삼각형이나 데이브 위더스의 흐릿한 움직임 원 역시 자연언어 학습의 작용때문인듯 하다. </div> <div>자연환경에서 우리는 수많은 종류의 패턴을 보고 그 패턴을 통해서 물체의 형태를 예측하는 자연스러운 훈련을 경험한다. <br>그리고 지금까지의 경험상 숨은 삼각형 정도의 규칙성 환경이라면, 조작이 없는 자연환경에서는 거의 삼각형이 나와야 하며, <br>그래서 우리는 있지도 않은 삼각형을 지각하게 되는듯 하다. <br>흐릿한 원의 경우, 지금까지 보통 움직이는 물체는 정확히 보이지 않고 방향성을 가진체 흐릿하게 보이는 것으로 경험하였으며, <br>그런 영향으로 인해 우리는 흐릿한 원을 중심에서 밖으로 움직이는 것 처럼 느끼는듯 하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class="chimg_photo" alt="그림1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5176vlzM5QT3LtT.jpg" width="800" height="437"></div> <div>정리하면, 세상에는 수많은 종류의 착시가 있을 것이지만 아마도 거의 모든 착시가 위의 세가지 범주에 들어갈것이다.<br>즉, 실제 대상에 대한 정보와 지각정보간의 불일치로 인해 착각이 일어나며, </div> <div>뇌는 스스로의 예측모델을 수정함으로써 이런 착각에서 벋어날수 있는데 착시의 경우,<br>1. 실제 대상 자체가 애매하여 예측에 대한 수정모델을 제시할수가 없거나,<br>2. 감각단계에서의 신호가 왜곡, 훼손이 되어 뇌가 예측모델을 수정하지 못해서거나,<br>3. 오랜동안 경험을 통해 습득한 자연언어 학습내용과 다른 일회성 특수한 조작환경으로 인한 착각의 경우에는 예측모델이 거의 수정되지 않아서,<br>결론적으로 그런것과 관련된 예측모델을 수정하지 못하고, 계속 잘못된 예측을 내놓는 현상이다.</div> <div> </div> <div>그러나 이런 착시는, 특히 세번째, 자연언어 학습에 의해서 발생하는 착시에서는 뇌의 불완전성이 아니라 뇌의 경이로움을 느껴야 하는지도 모른다. <br>만약 이런종류의 착시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매번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자연환경에 매번 주의 해서 신경을 써서 활동을 해야 하는데,<br>그런것을 우리의 놀라운 시각장치는 경험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다 알아서 처리된 결과를 자동적으로 뇌에 전달해 줌으로써 뇌에 부담을 줄일수가 있는것이다. </div> <div> </div> <div> </div> <div>----------------------------------------------------------------------<br>ps. 다만, 종종 알수없는 종류의 착시도 만나는데 대표적인 것이 움직임 착시이며, 기타오카 아키요시의 뱀같은것이 그것이다.<br>아래 그림을 보면 정신이 없이 움직이는 원들을 볼수가 있다. <br>왜 이것을 보면 움직이는 것을 느낄까?<br>왜 움직임 착시는 눈동자를 움직일때 많이 발생하는 것이며, 주변시에서만 발생하는 것인가? <br>그림 b는 그림 a와 어떻게 다르기에 움직임 착시가 훨씬 덜 일어나는 것일까?<br>어찌되었건 이런 문양이 어떤 방식으로든지 시각에서의 움직임 지각 경로를 자극하는 것일텐데 그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그림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652sWvFD9hko.jpg" width="690" height="690"></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그림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016926CrrH6KadZv.jpg" width="691" height="694"></div></div> <div style="text-align:left;">----------------------------------------------------<br>일상에서 만나는 시각생리 관련 글 목록</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17.인간 눈에서의 시야가 서로 교차하는 이유</div> <div style="text-align:left;"><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humorbest_945838"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humorbest_945838</a></div> <div style="text-align:left;">16. 인간은 왜 가시광선 밖에 볼수 없는가?<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humorbest_945072"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humorbest_945072</a></div> <div style="text-align:left;">15. 좌우눈에 각기 별개의 그림을 보여준다면 (양안경합)<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humorbest_859732"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humorbest_859732</a></div> <div style="text-align:left;">14. 녹색과 파랑색과 노랑색에 대한 이상한 이야기<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33427"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33427</a></div> <div style="text-align:left;">13. angry-smile 착시<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5643"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5643</a></div> <div style="text-align:left;">12. 우리 눈에는 2가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5528"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5528</a></div> <div style="text-align:left;">11. 우리 눈의 해상도는 몇 pixel 일까?<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5339"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5339</a></div> <div style="text-align:left;">10. 빛의 대립과정이론은 틀렸거나 수정되어야 한다.. <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5084"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5084</a></div> <div style="text-align:left;">9. magic eye (입체시에 대해서)<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5070"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5070</a></div> <div style="text-align:left;">8. retinex 이론 (색체 항등성)<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humorbest_758117"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humorbest_758117</a><br>7. 밝기, 명도, 조도, 휘도, 광속, 광도<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4713"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4713</a></div> <div style="text-align:left;">6. 눈동자 움직임과 주의집중<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4653"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4653</a></div> <div style="text-align:left;">5. 우리는 왜 색을 구분할까?<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4588"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4588</a></div> <div style="text-align:left;">4. 인간은 왜 흰자위가 보일까?<br>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bestofbest_127745"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bestofbest_127745</a></div> <div style="text-align:left;">3. 맹점과 채움현상 (filling in) <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humorbest_749708"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humorbest_749708</a></div> <div style="text-align:left;">2. 우리 눈의 구조적 결함(오징어의 눈은 인간의 눈보다 우월하다.) <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bestofbest_126893"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bestofbest_126893</a></div> <div style="text-align:left;">1. 인간시각기능 장치 모델링<br><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21796"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21796</a></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9/18 14:16:08  125.132.***.222  꽉찬인코밍  259439
    [2] 2014/09/18 14:30:03  223.62.***.49  네이셀  401747
    [3] 2014/09/18 14:45:59  147.46.***.138  잠자는양  89543
    [4] 2014/09/18 14:50:15  210.122.***.194  dagdha  555836
    [5] 2014/09/18 15:02:05  115.161.***.125  오르디  111147
    [6] 2014/09/18 15:35:13  121.162.***.41  뿌링  89703
    [7] 2014/09/18 15:48:23  130.225.***.217  잣수정과  401631
    [8] 2014/09/18 20:03:26  203.226.***.57  약빤댓글러  431522
    [9] 2014/09/18 21:27:12  211.36.***.99  별의목소리  44730
    [10] 2014/09/18 21:40:13  143.248.***.118  럭키쓰리  525931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0
    건전한 경제의 3가지 조건 aiidyn 14/11/10 17:49 77 2
    319
    수요와 공급곡선으로 생각해 본 최저임금제가 필요하게 된 이유 [2] aiidyn 14/11/07 17:14 51 0
    318
    목마른 놈이 우물파야 한다. [1] aiidyn 14/11/03 14:37 19 0
    317
    오늘 게시판에 많이 언급되고 있는 자 [1] aiidyn 14/11/03 09:04 104 3
    316
    부동산 상위 10명, 아파트 단지 한개씩 통째로 보유 (기사) aiidyn 14/10/31 13:40 103 5
    315
    sinc(0)=1 증명질문이요. [7] aiidyn 14/10/30 12:31 50 1
    314
    마음사전 [6] aiidyn 14/10/28 09:51 17 2
    313
    본질적 관념용어들에 대한 견해 aiidyn 14/10/28 09:50 20 0
    312
    오류: 반목적성, 오지향성 행동 [1] aiidyn 14/10/27 11:02 14 0
    311
    완전: 관념의 안정성 극대화 aiidyn 14/10/25 09:39 18 0
    310
    충만: 관념의 분량, 종류 극대화 aiidyn 14/10/25 09:38 11 0
    309
    인간: 상상할줄 아는 동물 aiidyn 14/10/24 11:18 16 0
    308
    상상: 내부 상태정보를 보는 능력 [2] aiidyn 14/10/23 13:22 15 1
    307
    동물: 지각할줄 아는 생명 [2] aiidyn 14/10/23 13:21 19 1
    306
    지각: 외부의 상태정보를 보는 능력 aiidyn 14/10/22 18:52 18 1
    305
    생명: 자체 지향성이 있는 물질 aiidyn 14/10/22 13:08 33 2
    304
    마음의 본질 - 내용 소개말 aiidyn 14/10/21 16:17 16 1
    303
    마음의 본질 - 차례 및 서문 [2] aiidyn 14/10/21 16:15 19 2
    302
    자각몽 꿀줄 아시는분들께 질문 [10] aiidyn 14/10/14 13:30 38 0/4
    301
    나의사랑 나의신부 감상평 -스포없음 aiidyn 14/10/11 23:37 48 3
    300
    대통령에게 피해 자체의 책임을 물을수 없다. [1] aiidyn 14/10/08 12:01 119 1
    299
    '질소과자' 항의 대학생, 과자뗏목 타고 한강 건넌다. [7] aiidyn 14/09/25 09:39 305 11
    298
    눈물과 렘수면, 나아가 눈꼽과 꿈의 상관성 [3] aiidyn 14/09/23 13:30 66 13
    297
    모양, 색깔, 움직임 정보의 병렬적인 전달경로 [1] aiidyn 14/09/20 11:32 50 4
    296
    사람은 왜 중독에 빠지나? [2] aiidyn 14/09/19 17:20 27 1
    295
    생각민감도 [3] aiidyn 14/09/19 16:34 21 1
    착시와 자연언어 [7] aiidyn 14/09/18 14:14 133 13
    293
    인간 눈에서의 시야가 서로 교차하는 이유 [1] aiidyn 14/09/13 10:46 108 13
    292
    인간은 왜 가시광선 밖에 볼수 없는가? [9] aiidyn 14/09/10 17:30 99 11
    291
    1주일 만에 세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2) [10] aiidyn 14/09/03 17:02 110 33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