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610747
    작성자 : light77
    추천 : 3
    조회수 : 423
    IP : 207.244.***.3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9/05 10:43:16
    http://todayhumor.com/?sisa_610747 모바일
    알자지라, 한국은 자살국가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4px;color:#333333;"><b><a target="_blank" href="https://thenewspro.org/?p=14092"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https://thenewspro.org/?p=14092</span></a></b><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4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ff0000;font-size:12pt;">알자지라, 한국은 자살국가 </span></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 아동과 청소년층, 심한 입시 스트레스로 자살</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 노인층, 빈곤과 전통적 가족 단위의 붕괴로 고립, 단절</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 사회의 양극화와 빈부의 격차 해결해야</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 한국, 복지시스템, 교육제도 및 고용문제 혁신과 개혁 필요</span></b><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8월 27일 알자지라는 피플 앤 파워의 조사를 인용하며 한국에서 노인층의 자살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text-decoration:underli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00000;"><a target="_blank" href="https://www.youtube.com/watch?v=MFD61MzDiHI" target="_bla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000000;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기록 영상</a></span></span>과 함께 보도했다. 이 조사는 한국인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네 번째로 높은 이유를 분석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기사는 첫째, 남성 자살률이 여성 자살률의 두 배 가량이라는 것, 둘째, 아동과 청소년층은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심한 시험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 대학 입학에 대한 압박감, 셋째, 중년의 한국인은 주로 개인 경제 문제로 인해 자살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노년층은 전통적 가족단위의 붕괴에서 비롯되는 고립 때문에 자살하거나 자살을 고려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text-decoration:underli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00000;"><a target="_blank" href="https://www.youtube.com/watch?v=MFD61MzDiHI" target="_bla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000000;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베로니크 마우두이의 기록 영상</a></span></span>은 한국 사회의 자살이 높은 이유, 그리고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지적해준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기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국 사회 시스템의 경고등이 이미 위험 수준을 넘었다. 일부 부유층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현실적 삶이 비관적이다. 경제규모는 선진국 수준이지만, 빈부의 격차는 점점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비정규직 노동자는 650만 명을 넘어섰고 영세 중소자영업자들 600만 명 정도 또한 열악한 소득 수준으로 힘겨워하고 있다. 한국의 복지시스템 혁신과 교육 및 고용문제를 전면적으로 개혁하지 않고서는 자살이란 이 사회 문제는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알자지라의 기사 전문이다.</span><br></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번역 감수:  Terry</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기사 바로가기 ☞ <a target="_blank" href="http://www.aljazeera.com/programmes/peopleandpower/2015/08/south-korea-suicide-nation-150827070904874.html"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http://www.aljazeera.com/programmes/peopleandpower/2015/08/south-korea-suicide-nation-150827070904874.html</span></a></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strong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outh Korea: Suicide Nation</span></strong></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b><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한국: 자살 국가</span></b></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People & Power investigates South Korea’s disturbing rise in suicides, particularly among the elderly.</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피플 앤 파워, 한국인 자살, 특히 노인 자살의 충격적인 증가 조사하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27 Aug 2015 08:47 GMT | Health, Asia, South Korea, Mental health, Business & Economy</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EA46E14B6647002B" class="txc-image" width="840"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EA46E34B5E280030" class="txc-image" width="789"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Loneliness, poverty, chronic illness, losing one’s job, the death of a loved one or the breakdown of a marriage – there are many reasons why people fall prey to heartbreak and despair, but most of us, thankfully, will find a route out of that unhappiness or at least develop ways of dealing with i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외로움, 빈곤, 만성 질환, 실직, 사랑하는 이의 죽음 혹은 결혼 파탄 – 사람들이 비탄과 절망의 희생물이 되는 데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우리 대부분은 다행스럽게도 그런 불행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거나 최소한 그 불행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개발해낸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Even for those who can not, whose sadness turns into the ‘black dog’ of overwhelming clinical depression, the right help can still make a crucial difference to being able to cope – be it medical care, the understanding of therapists or the love and support of family and friends. Eventually some sort of recovery takes place, some balance and perspective is restored.</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심지어 어찌할 수 없어 슬픔이 임상 우울증을 압도하는 ‘낙담’으로 변하는 사람들에게도, 적절한 도움은 극복할 수 있는 능력에 중대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 의료적 치료라든지, 치료사의 이해심이나 가족과 친구들의 사랑과 지지와 같은. 결국, 일종의 회복이 일어나고, 일부 균형과 관점이 복원된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Yet for some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can be so profound that none of this works, that all remedies and assistance seem valueless and there appears to be only one way out – to end it all and takes one’s own life. Such a step is, of course, a mark of absolute and final desperation, a tragic, wasteful act that can often be cruelly devastating for the people left behind. But people still do it, many thousands around the world every year; lost souls whose mental health has been damaged and stretched beyond breaking poin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하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우울증의 경험이 너무나 뿌리 깊어서 이 어떤 것도 효과가 없고, 모든 치료와 도움은 무의미하며, 출구는 한 가지 방법밖에 없어 보인다 – 모든 것을 끝내고 자살하는 것. 물론 그러한 단계는 절대적이고 최종적인 절망의 표시이며 종종 뒤에 남겨진 사람들에게 무자비하게 엄청난 충격이 될 수 있는 비극적이고 소모적인 행위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자살한다, 전 세계에서 매년 수천 명이; 정신 건강이 계속 손상을 입고 한계점을 넘어버린 잃어버린 영혼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Curiously though, some societies and cultures seem more prone to suicide than others. Take South Korea, for example, where suicide has become the fourth most common cause of death, with up to 40 of its citzens taking their own lives every day. For the last eight years it has had the highest suicide rates in the industrialised world (and the second highest in the whole world behind Guyana) and it is now, astonishingly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for its citizens between the ages of 10 and 30.</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신기하게도, 어떤 사회와 문화는 자살하기 더 쉬운 경향을 가지고 있다. 매일 40명에 가까운 시민들이 자살하고, 자살이 네 번째로 흔한 죽음의 원인이 된 한국을 예로 살펴보자. 한국은, 최근 8년간, 산업화된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는 두 번째로 구야나 다음으로 높다), 이제 놀랍게도 한국에서 자살은 10세에서 30세 사이 시민들에게 제1의 죽음의 원인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Delve a little deeper into these statistics (gathered as the nation has become more concerned about the phenomenon) and you will find that men commit suicide twice as often as women; that children and young adults will cite the stress of living in a hyper-competitive society or pressure over exam results and college entrance as the main reason for contemplating suicide; that middle-aged South Koreans most often turn to it through concern over personal economic problems; and that the elderly will kill themselves (or consider doing so) because of isolation as a result of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family uni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한국에서 자살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집계된 통계자료를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남성 자살률이 여성 자살률의 두 배가량이라는 것, 아동과 청소년은 경쟁이 심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나 시험 결과와 대학 입학에 대한 압박감을 자살 기도의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는 것, 중년의 한국인은 주로 개인 경제 문제에 대한 고민으로 인해 자살한다는 것, 노년층은 전통적 가족단위의 붕괴에서 비롯되는 고립 때문에 자살하거나 자살을 고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Each of these facts and figures, so easy to write out, conceals a sad personal story, a life that has somehow lost its purpose and meaning or an unbearable anguish that has been crying out for relief. And they still do not explain why South Koreans are more susceptible to suicide than, let’s say, the people of Namibia or Iceland.</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나열하기 쉬운 이러한 사실과 통계치 뒤에는 개개인의 슬픈 이야기, 왠지 목적이나 의미를 잃어버린 삶, 또는 위안을 절실히 필요로 했던 견딜 수 없는 고통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이 사실과 숫자는 왜 한국인들이, 이를테면, 나미비아나 아이슬란드 사람들보다 자살에 취약한지 여전히 설명해주지 않는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This film from Veronique Mauduy sets out to investigate that question and to find out what South Korea is doing to bring its most vulnerable people back from the edg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베로니크 마우두이의 기록 영상은 그 질문을 파고들고, 한국이 사회의 가장 연약한 사람들을 삶의 가장자리에서 데려오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찾기 시작한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justify;"><span style="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4px;">************************************************************************</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4px;margin:0px auto;padding:0px;">*****</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3px;line-height:23.4px;color:#333333;"><font color="#0900ff" face="NanumGothic"><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size:13.6364px;line-height:21px;"><a target="_blank" href="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www.facebook.com/TheNewsPro</b></span></a></span></font><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3px;line-height:23.4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4px;color:#222222;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3.6364px;line-height:21px;color:#0900ff;"><b><a target="_blank" href="https://twitter.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font-size:13.6364px;"><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https://twitter.com/thenewspro</span></a></b></span></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9/05 11:36:15  118.39.***.19  잠이오냥?  531338
    [2] 2015/09/05 12:24:51  61.76.***.171  칼리문  616379
    [3] 2015/09/05 18:59:47  112.72.***.99  방치플레이중  18769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3
    논평] 재벌·언론개혁 동시에 일깨운 NYT 보도 light77 15/09/26 22:40 114 5
    842
    미 NYT, “재벌 경영권 분쟁, 투자자 우려 키워” [1] light77 15/09/26 18:51 50 0
    841
    논평] 박근혜는 죽이고, 오바마는 살리고. light77 15/09/23 13:28 190 3
    840
    채널 뉴스아시아, 병역 의무 피하려 한국 국적 포기하는 남성들 증가 light77 15/09/23 00:22 50 0
    839
    논평] “미군 주둔, 미국 국익에 도움 되지 않아” [3] light77 15/09/19 21:16 79 1
    838
    영국 가디언지, 환경보호와 맞바꾼 평창 동계올림픽 보도 [2] light77 15/09/19 19:53 96 12
    837
    재팬 타임스 “남한의 대미 안보의존, 한-미 양국 모두에 이롭지 않아” [2] light77 15/09/19 18:26 70 0
    836
    동아시아포럼, 무직사회에 익숙해 가는 한국 청년들 [1] light77 15/09/18 10:25 156 2
    835
    성남시 ‘청년배당제’, 글로벌 화젯거리 등극 [4] light77 15/09/16 20:45 136 10
    834
    산케이, 한국 대법원 40년 전 재일교포 간첩단 사건 무죄 확정 light77 15/09/15 15:55 92 6
    833
    뉴욕타임스, 북송 희망하는 탈북자 김련희 집중 조명 light77 15/09/15 14:25 138 0
    832
    오바마 대통령, 노동자와 노조, 중산층의 가치 역설 [2] light77 15/09/11 21:38 42 5
    831
    가디언, 한국에서 또 치명적 해양 사고 발생 보도 light77 15/09/08 08:55 102 1
    830
    논평] 시리아 난민, 미국-서유럽 정책실패 산물 [4] light77 15/09/06 17:05 47 1
    알자지라, 한국은 자살국가 light77 15/09/05 10:43 131 3
    828
    오백 일, 아니 천 일이 지나도 ‘잊지 않아요!’ light77 15/09/01 04:55 29 15
    827
    미 NYT, “김정은, 한국과 협상력 과시해” [1] light77 15/09/01 00:29 55 2
    826
    지디넷, 남북한 긴장관계가 인터넷 검열을 정당화시킬 수 있는가? [1] light77 15/08/30 03:16 58 7
    825
    논평] 우리 정부, 8.24 남북합의 이행 의지 있나? light77 15/08/29 09:00 57 1
    824
    가디언 논평, 최근 한반도 사태 집중 분석 [1] light77 15/08/27 14:08 191 4
    823
    한국견찰인지? 니뽄헌병인지? 당췌?? light77 15/08/25 11:14 146 2
    822
    야후 뉴스, 세월호 인양을 위한 수중 조사 착수 보도 light77 15/08/22 22:11 15 4
    821
    노엄 촘스키, 삼성 직업병 해결 위한 서명운동에 동참 light77 15/08/22 12:22 48 2
    820
    논평] 위기의 순간에 무엇을 할 것인가? light77 15/08/22 08:25 78 1
    819
    광복 70주년 맞은 영국 동포들의 세월호 참상 알리기 이어져 [3] light77 15/08/18 08:49 36 11
    818
    시티즌 랩, 한국 국정원의 해킹팀 RCS 사용 연구 조사보고서 공개 light77 15/08/17 15:03 104 5
    817
    군, 북 지뢰도발 신중하게 대응하라 light77 15/08/14 10:19 91 0
    816
    美 NBC, 반일 위안부 수요집회 참가자 분신자살 시도 보도 light77 15/08/13 21:22 50 0
    815
    로이터, 박근혜 정권 경제정책 실패 꼬집어 light77 15/08/12 12:51 127 4
    814
    시카고 한인축제에서 세사모 회원들 세월호 진상규명 서명운동 [2] light77 15/08/11 10:50 21 14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