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607150
    작성자 : light77
    추천 : 4
    조회수 : 390
    IP : 207.244.***.2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8/12 12:51:42
    http://todayhumor.com/?sisa_607150 모바일
    로이터, 박근혜 정권 경제정책 실패 꼬집어

    https://thenewspro.org/?p=13831


    로이터, 박근혜 정권 경제정책 실패 꼬집어
    – 수출의존경제, 재벌개혁 어느 것 하나 이루지 못해
    – 세월호, 메르스 부실대응 국가경제는 물론 정권에도 타격

    박근혜의 경제정책 실패가 국제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캐나다의 글로브 앤 메일 紙는 6일 영국 로이터 통신 기사를 받아 박근혜가 한국경제 체질개선과 재벌개혁을 뼈대로 하는 경제 민주화를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임기 중반 동안 그 공약을 이행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어 지난해 세월호 참사와 올해 중동호흡기증후군이라는 위기에 부실하게 대응한 탓에 한국 경제는 물론 박근혜의 정치적 자산마저 타격을 입었다고 꼬집었다. 로이터 통신 보도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근로인구 감소와 노령화, 청년실업에 대한 진단이다. 로이터는 이런 한국경제의 위기 요인들이 정권의 무능과 겹치는 상황을 비관적으로 조명한다. 

    정부가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자 일제히 몇조 경제효과를 들먹인 한국언론과 대비되는 논조다. 한국 경제는 물론 언론의 위기 상황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장면이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로이터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www.theglobeandmail.com/report-on-business/international-business/asian-pacific-business/south-korean-dreams-fade-as-economy-and-president-struggle/article25867949/

    South Korean dreams fade as economy and president struggle

    경제와 대통령이 허덕이는 가운데 한국의 꿈이 사라진다

    CHOONSIK YOO
    SEOUL — Reuters

    Published Thursday, Aug. 06, 2015 6:07PM EDT
    Last updated Thursday, Aug. 06, 2015 6:14PM EDT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discusses her economic reform plan in
    a televised broadcast from Seoul on Feb. 25, 2014. (YONHAP/REUTERS)
    한국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2월 25일 서울발 TV 방송에서 경제 개혁에 대해 논하고 있다.

    It took three years and acceptance of a sharp wage cut for machinery repair engineer Choi In-chan, 52, to find a job earlier this year.

    기계수리공인 최인찬 씨(52세)가 올해 초 직장을 구하게 되기까지 3년이 걸렸고 극심한 임금 삭감을 받아들여야 했다.

    Like many baby boomers who enjoyed South Korea’s heady growth years, Choi has been doubly squeezed by the country’s recent economic malaise: not only is he unprepared as retirement looms, but his adult son is unable to find a full-time job.

    한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 시기를 누렸던 많은 베이비붐 세대들과 마찬가지로 최 씨는 한국의 최근 경제 침체 때문에 이중으로 압박을 받아왔다: 즉 퇴직 시기가 다가오는데 그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성인이 된 그의 아들은 정규직 직업이 없다.

    Predicaments like Choi’s are what prompted President Park Geun-hye to acknowledge on Thursday that “major surgery” is needed to fix “chronic and structural problems” in Asia’s fourth-largest economy.

    최 씨가 처한 것과 같은 곤란한 상황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목요일 아시아의 4대 경제 대국이 가진 “만성적인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수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aving come to office in 2013 with promises to ease the economy’s reliance on exports and the grip of its huge conglomerates, Park is now near the mid-point of her five-year term and has thus far managed neither.

    수출 의존적 경제를 탈피하고 막강한 대기업들을 통제하겠다는 공약과 함께 2013년 취임한 후 박 대통령은 이제 5년 임기의 절반에 이르렀으나 여태까지 둘 중 어느 것도 이뤄내지 못했다.

    “It’s a pity. This country has missed chance after chance,” said Choi, who lives in a working class area of Seoul.

    “정말 안된 일이다. 우리나라는 계속 기회를 놓쳤다”고 서울의 서민 지역에 사는 최 씨가 말했다.

    “It has been the same, government after government. There was all talk at the start of a government and then everything was so quickly ignored and forgotten.”

    “이전 정부도 이번 정부도 똑같다. 정부 초기에는 이런저런 약속을 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모두 무시되고 잊혀진다.”

    Government responses to two crises it has faced –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last year and this summer’s outbreak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 were seen as slow and inadequate, and exacted a heavy toll on both the economy and Park’s political capital. While Park is not to blame for global economic headwinds, critics say her policy failings have exacerbated their impact: a lack of meaningful fiscal stimulus to reinforce interest rate cuts despite healthy public finances, little follow-up on reform promises, and overly optimistic economic assessments.

    정부가 직면했던 두 번의 위기- 지난해 세월호 여객선 침몰과 올여름의 중동호흡기증후군의 발생 -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느리고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졌고, 국가 경제와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자산, 둘 다에 큰 타격을 입혔다. 세계 경제 역풍에 대한 책임이 박 대통령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녀의 정책 실패, 즉 건전한 공공 재정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를 보강하기 위한 제대로 된 경기 부양책이 없다는 점, 개혁 약속에 대한 후속 조치가 없다는 점, 그리고 지나치게 낙관적인 경제적 평가 등이 그 영향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비판가들은 말한다.

    Growth is by some estimates on track to drop to 2.5 per cent this year, which would be the third-worst performance since the 1997/98 Asian financial crisis, from 3.3 per cent last year. The market’s consensus forecast is for 2.8 per cent growth. “People just feel at a loss for a sense of where the government wants to push the economy,” said Oh Suk-tae, economist at Societe Generale in Seoul.

    일부의 예측에 따르면 경제 성장은 지난해 3.3%에서 올해 2.5%로 떨어질 것이며, 이는 1997/98의 아시아 경제 위기 이후로 세 번째 최악의 실적일 것이다. 시장 여론 조사에 따르면 2.8% 성장이 예측된다. “정부가 어느 부분에서 경제를 추진하려 하는지 알지 못해 사람들이 당황하고 있다”고 서울 소시에테 제네랄 그룹의 경제학자 오석태 씨는 말했다.

    MISSED OPPORTUNITIES

    놓쳐버린 기회들

    South Korea’s single-term presidency and Park’s low popularity make it hard for her to drive reforms. She has called for a “creative economy” to spur innovation and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a drive to diversify the economy and wean it off its reliance on exports. But the country’s giant family-run conglomerates, or chaebol, are as dominant as ever.

    한국의 대통령직이 단임제라는 것과 박근혜의 지지도가 낮은 사실은 그녀가 경제 개혁을 추진하는 일을 어렵게 만든다. 그녀는 경제를 다양화시키고 경제의 수출 의존도에서 탈피하고자, 혁신을 고무시키고 중소기업의 성장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창조 경제”를 외쳐왔다. 그러나 한국의 거대한 가족 경영 대기업, 즉 재벌들은 어느 때보다도 더 막강하다.

    It took a year from Park’s inauguration for her government to unveil its economic goals, which included lifting employment and personal incomes, and containing heavy and growing household debt. On the first two goals, progress has lagged the targets, while household debt has grown. Park’s approval rating has fallen below 40 per cent, from as high as 61 per cent in mid-2013.

    박근혜 정부가 경제 목표를 밝히는 데에만 취임 후 1년이 걸렸으며, 이 계획에는 일자리와 개인 소득을 증가시키고, 점점 증가하는 무거운 가계 부채를 억제하는 것 등이 포함됐다. 첫 번째 두 목표는 이루고자 하던 바와는 거리가 멀고, 가계부채는 더 무거워졌다. 박근혜의 지지율은 2013년 중반에는 61%까지 올랐지만 이제 40% 아래로 떨어졌다.

    Critics say she failed to take advantage of a near-record current account surplus to do more to stimulate the economy as high household debt suppressed spending, which, along with sluggish exports, has in turn deterred corporate spending. “We don’t see the same boldness that South Korea used to deliver in the past. For example, the seven rate cuts – four in the last 12 months – have not been enough to lift the fog of gloom,” said Waiho Leong, economist at Barclays in Singapore.

    비평가들은 높은 가계 부채가 소비를 억제했고, 이는 부진한 수출 실적과 함께 기업 투자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박근혜 대통령이 사상 최고치에 가까운 경상 수지 흑자를 보았음에도 이를 이용해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한 더 많은 일을 하는 데에 실패했다고 말한다. “한국이 과거에 보여주던 그런 대담함을 이제 보지 못한다. 예를 들면, 일곱 번의 금리 인하 – 지난 12개월 동안에만 4번 -는 비관적인 전망을 없애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고 싱가포르 바클레이즈 금융의 경제학자인 와이오 레옹이 말했다.

    OLD AND POOR

    노령과 빈곤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s unfavorable demographics.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바람직하지 못한 인구 구조다.

    The working-age population will start shrinking from 2017 and industries that made South Korea an export powerhouse, from electronics and cars to shipbuilding and chemicals, are faced with weakened demand and challenges from China and Japan.

    한국의 근로 인구는 2017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할 것이며 한국을 수출 강국으로 만든 전자와 자동차 산업, 조선 및 화학 산업들은 수요가 줄 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과도 경쟁을 해야 할 것이다.

    Poverty among the elderly is already the highest in the 34-nation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those born in the decade following the 1950-53 Korean War are on a similar track. A survey by a public research agency last year found 70 per cent of those in their 50s were financially unprepared for retirement.

    노인층의 빈곤은 이미 OECD 34개국 중에 가장 높으며 1950년에서 53년까지의 한국전쟁 이후 10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도 이와 비슷한 길을 걷고 있다. 작년 한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에 의하면, 50대 인구의 70%가 재정적으로 은퇴를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At the same time, youth unemployment is near a record high despite Koreans investing heavily in university educations, with a rigid two-tiered labor system making it harder for graduates to secure a career position.

    동시에, 한국인들이 대학 교육에 많이 투자를 하고 있지만 청년 실업률은 거의 사상 최고 수준에 다다르고 있으며 유연성이 없는 이분열적 노동 시스템은 대학 졸업자들이 직장을 확보하는 것을 점점 힘겹게 만든다.

    Choi, the machinery repair engineer, now earns 20 million won ($17,000) per year, what the government considers the minimum living cost for a family of four and down from 35 million won he was paid three years ago.

    기계수리공인 최 씨는 현재 연간 2천만 원(미화 17,000달러)을 받는데, 이 금액은 정부가 4인 가족의 최저 생계비로 정한 액수이며 그가 3년 전에 받았던 3천5백만 원보다 낮은 금액이다.

    “In the past, we were all just too busy working to think about preparing for retirement,” he said.

    최 씨는 “과거에 우리는 모두 너무 바쁘게 일하느라 퇴직을 위해 준비한다는 것을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고 말했다.

    *****************************************************************************


    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https://twitter.com/thenewspro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8/12 13:16:46  121.170.***.152  Vitamin좋아  653729
    [2] 2015/08/12 15:33:49  14.100.***.195  두아이아빠9  147721
    [3] 2015/08/12 16:58:11  175.194.***.77  longofu  597572
    [4] 2015/08/13 17:13:26  182.250.***.198  링고아메3193  66990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3
    논평] 재벌·언론개혁 동시에 일깨운 NYT 보도 light77 15/09/26 22:40 114 5
    842
    미 NYT, “재벌 경영권 분쟁, 투자자 우려 키워” [1] light77 15/09/26 18:51 50 0
    841
    논평] 박근혜는 죽이고, 오바마는 살리고. light77 15/09/23 13:28 190 3
    840
    채널 뉴스아시아, 병역 의무 피하려 한국 국적 포기하는 남성들 증가 light77 15/09/23 00:22 50 0
    839
    논평] “미군 주둔, 미국 국익에 도움 되지 않아” [3] light77 15/09/19 21:16 79 1
    838
    영국 가디언지, 환경보호와 맞바꾼 평창 동계올림픽 보도 [2] light77 15/09/19 19:53 96 12
    837
    재팬 타임스 “남한의 대미 안보의존, 한-미 양국 모두에 이롭지 않아” [2] light77 15/09/19 18:26 70 0
    836
    동아시아포럼, 무직사회에 익숙해 가는 한국 청년들 [1] light77 15/09/18 10:25 156 2
    835
    성남시 ‘청년배당제’, 글로벌 화젯거리 등극 [4] light77 15/09/16 20:45 136 10
    834
    산케이, 한국 대법원 40년 전 재일교포 간첩단 사건 무죄 확정 light77 15/09/15 15:55 92 6
    833
    뉴욕타임스, 북송 희망하는 탈북자 김련희 집중 조명 light77 15/09/15 14:25 138 0
    832
    오바마 대통령, 노동자와 노조, 중산층의 가치 역설 [2] light77 15/09/11 21:38 42 5
    831
    가디언, 한국에서 또 치명적 해양 사고 발생 보도 light77 15/09/08 08:55 102 1
    830
    논평] 시리아 난민, 미국-서유럽 정책실패 산물 [4] light77 15/09/06 17:05 47 1
    829
    알자지라, 한국은 자살국가 light77 15/09/05 10:43 131 3
    828
    오백 일, 아니 천 일이 지나도 ‘잊지 않아요!’ light77 15/09/01 04:55 29 15
    827
    미 NYT, “김정은, 한국과 협상력 과시해” [1] light77 15/09/01 00:29 55 2
    826
    지디넷, 남북한 긴장관계가 인터넷 검열을 정당화시킬 수 있는가? [1] light77 15/08/30 03:16 58 7
    825
    논평] 우리 정부, 8.24 남북합의 이행 의지 있나? light77 15/08/29 09:00 57 1
    824
    가디언 논평, 최근 한반도 사태 집중 분석 [1] light77 15/08/27 14:08 191 4
    823
    한국견찰인지? 니뽄헌병인지? 당췌?? light77 15/08/25 11:14 146 2
    822
    야후 뉴스, 세월호 인양을 위한 수중 조사 착수 보도 light77 15/08/22 22:11 15 4
    821
    노엄 촘스키, 삼성 직업병 해결 위한 서명운동에 동참 light77 15/08/22 12:22 48 2
    820
    논평] 위기의 순간에 무엇을 할 것인가? light77 15/08/22 08:25 78 1
    819
    광복 70주년 맞은 영국 동포들의 세월호 참상 알리기 이어져 [3] light77 15/08/18 08:49 36 11
    818
    시티즌 랩, 한국 국정원의 해킹팀 RCS 사용 연구 조사보고서 공개 light77 15/08/17 15:03 104 5
    817
    군, 북 지뢰도발 신중하게 대응하라 light77 15/08/14 10:19 91 0
    816
    美 NBC, 반일 위안부 수요집회 참가자 분신자살 시도 보도 light77 15/08/13 21:22 50 0
    로이터, 박근혜 정권 경제정책 실패 꼬집어 light77 15/08/12 12:51 127 4
    814
    시카고 한인축제에서 세사모 회원들 세월호 진상규명 서명운동 [2] light77 15/08/11 10:50 21 14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