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606379
    작성자 : light77
    추천 : 3
    조회수 : 246
    IP : 199.115.***.229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8/05 21:40:32
    http://todayhumor.com/?sisa_606379 모바일
    재팬 타임스, 뉴욕 한인 학생의 위안부 여성 주제 뮤지컬 공연 소개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a target="_blank" href="https://thenewspro.org/?p=13754"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https://thenewspro.org/?p=13754</span></a><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span></b><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ff0000;font-size:12pt;">재팬 타임스, 뉴욕 한인 학생의 위안부 여성 주제 뮤지컬 공연 소개</span></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900ff;font-size:12pt;">– 성노예 피해 여성들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려 제작</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900ff;font-size:12pt;">– 위안부 여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홍보 필요</span></b></span><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재팬 타임스는 1일 뉴욕 맨해튼의 세인트 클레멘트 가에 있는 오프 브로드웨이 극장에서 8월 9일까지 공연하는 위안부 여성을 주제로 한 뮤지컬, “위안부 여성: 새로운 뮤지컬”에 관한 교도통신 기사를 실었다. </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이 뮤지컬의 감독으로 뉴욕시립대에 재학 중인 24세의 한국인 학생 디모 현준 김은 전시에 일본군 매춘소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은 여성들에 대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3년 전부터 생존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이 뮤지컬을 기획했다고 말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김 씨는 처음에는 연극을 기획했으나, 음악을 통해 전달 효과가 더 클 것으로 판단하고 뮤지컬을 선택했다고 기사는 전했다. 김 씨는 또한 처음 기획할 당시에 주변 뉴욕 학생들에게 ‘위안부 여성’이 무슨 의미인지 질문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그냥 “마음 편한 여성”을 의미한다고 답변하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당시의 심정을 전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김 씨는 자신이 이 뮤지컬을 기획한 것은 한-일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려는 것이 아니라 잊혀져 가는 위안부 여성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키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시 성노예 여성들에 대한 존재를 알리고자 한 것이라고 말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아울러 기사는 김 씨의 뮤지컬이 시사회에서 좋은 평을 받았음도 전했다. 연극 전공의 한 여학생은 “전에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는 이야기이고 이들의 이야기는 더 많이 알려져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재팬 타임스의 기사 전문이다.</span></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번역 감수:  임옥</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기사 바로가기 ☞ <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japantimes.co.jp/news/2015/08/01/national/south-korean-student-new-york-pens-musical-educate-comfort-women-issue/"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http://www.japantimes.co.jp/news/2015/08/01/national/south-korean-student-new-york-pens-musical-educate-comfort-women-issue/</span></a><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trong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outh Korean student in New York pens musical to educate on ‘comfort women’ issue</span></strong></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뉴욕의 한국 학생, “위안부 여성”에 대해 알리려 뮤지컬 제작</b></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KYODO, AUG 1, 2015</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C203333459C30004" class="txc-image" width="810"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C203353431050014" class="txc-image" width="618"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size:10pt;">Cast members of South Korean student and playwright Dimo Hyun Jun Kim’s<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mfort Woman : A New Musical’ rehearse Tuesday in New York. | KYODO<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지난 화요일 뉴욕에서 한국 학생이며 극작가인 디모 현준 김씨의<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위안부 여성: 새로운 뮤지컬”을 연습 중인 배우들.</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NEW YORK – A musical penned by a drama student from Seoul living in New York and focusing on “comfort women” opened off Broadway on Friday, with the playwright aiming to educate audiences about females who were forced to work in Japanese wartime military brothel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뉴욕 – 뉴욕에 거주하는 서울 출신 연극 전공 학생이 “위안부 여성”에 초점을 맞춰 만든 뮤지컬이 지난 금요일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개막됐으며, 이 극은 전시 군매춘소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은 여성들에 대해 관객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Dimo Hyun Jun Kim, the 24-year-old author and director of “Comfort Women: A New Musical,” said he learned how few of his New York classmates knew about the subject when he first started an assignment for a playwriting class three years ago.</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위안부 여성: 새로운 뮤지컬”의 감독인 24세의 김현준(미국명 디모)씨는 3년 전 극작 강좌의 과제를 처음 시작했을 당시 자신의 동료 뉴욕 학생들이 이 주제에 대해 거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Kim said that he had asked them what they thought the term meant, and that most answered that it was women who are “comfortabl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김 씨는 이 (위안부 여성이라는) 말이 어떤 의미라고 생각하는지 동료들에게 물었고 대부분 “마음 편한” 여성을 의미한다고 대답했다고 말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y really, really didn’t know about them,” the Seoul native explained to Kyodo News in a recent interview. “I was a bit shocked because I grew up in (South) Korea. . . . I thought everyone knows about this story.”</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동료들은 이 여성들에 대해 정말 알지 못했다”고 서울 태생의 김 씨는 교도 뉴스와의 최근 인터뷰에서 말했다. “한국에서 자랐기 때문에 나는 정말 깜짝 놀랐다… 나는 모두가 이 이야기를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Initially, Kim toyed with writing a play, but opted for a musical because he thought the material would have a greater impact through music.</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애초 김 씨는 연극을 쓸까도 생각해 봤는데, 이 소재가 음악을 통해 더 큰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생각해서 뮤지컬을 선택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My goal is that they go home humming a song . . . then they research,” the City College of New York senior said. “I really don’t want to make a show that Japan is bad and Korea is a victim. My goal is not to show everything, it is to get their interes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내 목표는 관객들이 노래를 흥얼거리며 집에 가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들은 자료를 찾아볼 것이다”고 뉴욕 시립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김 씨가 말했다. “일본이 나쁘고 한국은 희생자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이 정말 아니다. 내 목표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story centers on Goeun, a young woman who along with several other teens thinks she is bound for work in a Japanese factory, but winds up in Indonesia at a so-called comfort statio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이야기는 고은이라는 한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몇몇 다른 십대 소녀들과 함께 일본의 공장으로 일하러 가는 줄로만 알던 그녀는 인도네시아에 이른바 위안소라는 곳으로 오게 된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re she meets a Korean soldier conscripted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who decides to help the teens escape. At that time of the story, Korea had been annexed as a colony by Ja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곳에서 그녀는 일본 군대에 징집당한 한 한국 군인을 만나며 그는 소녀들이 탈출하도록 돕기로 결심한다. 그 당시는 한국이 식민지로서 일본과 합병됐던 시기였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characters are not based on actual people, but are drawn from his research of survivors’ testimonies found in books and onlin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등장인물들은 실재 인물을 바탕으로 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책과 온라인에서 찾아낸 생존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He also recently met Kim Bok-dong — a “fiery” 90-year-old former comfort woman — while she was in Washington. She was taken to Indonesia as a teenager and later rescued in her 20s in Singapor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는 최근에 “울분에 찬” 90세의 전 위안부인 김복동 할머니를 그녀가 워싱턴에 머무는 동안에 만나기도 했다. 그녀는 십대 소녀로서 인도네시아에 끌려갔고 이후 20대에 싱가포르에서 구출됐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For audience members such as Alexandra Kranes, who attended a preview, the musical proved to be eye-opening on many front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뮤지컬은 알렉산드라 크레인스와 같이 시사회에 참석한 관객들에게 많은 점에서 새로운 경험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It has not been told before and their story should be told more,” the 20-year-old theater student said, noting that, like her, many Americans were hearing about what happened in Asia for the first time on stage. “It opens a lot of doors for a lot of thing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전에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는 이야기이고 이들의 이야기는 더 많이 알려져야 한다”고 연극을 전공하는 20살의 알렉산드라는 많은 미국인들이 자신처럼 아시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지에 대해 뮤지컬을 통해 처음 듣고 있다고 덧붙이며 말했다. “이번 뮤지컬은 많은 것에 대해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musical runs through Aug. 9 at the Theatre at St. Clement’s in Manhatt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뮤지컬은 맨해튼의 세인트 클레멘트 가에 있는 극장에서 8월 9일까지 공연된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222222;list-style:none;border:0px none;text-align:justify;">************************************************************************<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line-height:23.3999996185303px;">*****</span><br></p> <p style="margin:0px auto 6px;padding:0px;font-family:Helvetica, Arial, 'lucida grande', tahoma, verdana, arial,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17.5636348724365px;color:#141823;"><a target="_blank" href="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font-family:NanumGothic;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www.facebook.com/TheNewsPro</b></span></a></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222222;list-style:none;border:0px none;"><a target="_blank" href="https://twitter.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twitter.com/thenewspro</b></span></a></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8/05 23:22:18  220.75.***.105  Vitamin좋아  653729
    [2] 2015/08/06 00:48:56  116.32.***.138  pema  519731
    [3] 2015/08/06 09:30:32  1.217.***.194  도도한병신미  64462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3
    CNBC, 한국 보수정권 역사교과서 단일화로 다양한 시각 통제하려 해 light77 15/08/11 08:24 89 1
    812
    야후뉴스, 문형표 장관 경질 소식 타전 light77 15/08/10 02:51 88 0
    811
    프랑스 인권단체, 인권운동가 박래군 석방 촉구 서명 운동 시작 [4] light77 15/08/06 12:24 88 10
    810
    뉴욕타임스, 이희호 여사 평양 친선 방문 타전 light77 15/08/06 11:03 62 3
    재팬 타임스, 뉴욕 한인 학생의 위안부 여성 주제 뮤지컬 공연 소개 light77 15/08/05 21:40 21 3
    808
    디플로마트, 국정원은 자국민을 사찰하고 있나? [1] light77 15/08/03 21:44 70 3
    807
    미 경제 전문지 포브스, 롯데 그룹 “형제의 난” 충격적 light77 15/08/03 00:56 80 4
    806
    해킹시 미끼로 사용한 파일 공개, 맑은 고딕 선호하는 국정원? [4] light77 15/08/02 09:15 193 10
    805
    미 UPI, 한국 산업화 그늘 재조명 light77 15/08/02 01:14 57 1
    804
    국정원이 해킹시 미끼로 사용한 파일 공개, 대테러와 연관성 없어 보여 light77 15/08/01 08:56 112 2
    803
    일 석간 후지, 국정원 해킹 “박근혜, 부메랑 맞아” [1] light77 15/07/30 21:02 133 11
    802
    빌 마크잭, 국정원의 실제 타겟 아이피 주소와 감염 시간 폭로 light77 15/07/30 10:45 164 5
    801
    뉴스프로, 해킹팀 추적해 온 ‘시티즌 랩’ 연구원 빌 마크잭과 인터뷰 [7] light77 15/07/29 13:27 222 10
    800
    이란 프레스 TV, 국정원 해킹...한국인들 스마트 폰 습관 바꿔 [1] light77 15/07/27 12:11 225 5
    799
    야후 뉴스, 살인죄 공소시효 폐지, 미제 사건 풀릴 길 열려 [1] light77 15/07/26 13:48 54 0
    798
    STOP! 국정원! [1] light77 15/07/26 08:54 201 4
    797
    블룸버그 칼럼, 삼성 합병은 주주와 한국 국민에 대한 능욕 [1] light77 15/07/25 10:09 112 6
    796
    레드삭스, 해킹팀 역추적 자료 심층 분석, 국정원이 “가장 적극적인 고객 [4] light77 15/07/24 08:07 300 15
    795
    CNN, 국정원 직원, 유서 남기고 자살 light77 15/07/21 21:50 143 0
    794
    뉴욕타임스, 국가정보원 직원 자살 유서 보도 light77 15/07/21 08:25 179 0
    793
    야후 뉴스, 국정원 직원 ‘현안’과 관련한 유서 남기고 자살 light77 15/07/20 06:46 111 1
    792
    UPI, 대한변협 국정원 수사 촉구 보도 light77 15/07/19 10:55 137 3
    791
    UPI, 세월호 운동가 박래군 구속 보도 [1] light77 15/07/19 07:41 32 10
    790
    일 교도 통신, “국정원 감청 파문 정치적 논란 일으켜” [1] light77 15/07/18 23:04 59 1
    789
    워싱턴 타임스, 방산비리 관련 63명 기소 [1] light77 15/07/18 09:19 84 0
    788
    한국 정부, 세월호 진상조사 위한 예산 지급 계속 연기 [1] light77 15/07/17 10:44 17 11
    787
    미 군사지, 탄저균 반입 조사를 위한 한미 합동 실무단 꾸려져 light77 15/07/16 21:49 30 1
    786
    정보기관의 존재 의미는 국민의 안위 light77 15/07/16 13:52 64 0
    785
    국정원 추정 스카이프 아이디 밝혀지다. light77 15/07/15 22:26 151 1
    784
    뉴욕타임스, 한국 국정원 카카오톡 해킹기술 강구 [2] light77 15/07/15 13:41 158 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