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601201
    작성자 : light77
    추천 : 3
    조회수 : 553
    IP : 207.244.***.4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7/05 07:33:54
    http://todayhumor.com/?sisa_601201 모바일
    죈 아프리크, 박근혜의 무능에 국민 전체가 만장일치로 반대표 던지다

    https://thenewspro.org/?p=13316


    죈 아프리크, 박근혜의 무능에 국민 전체가 만장일치로 반대표 던지다
    – 정부의 메르스 초기 대응 느리고 투명성 부족
    – 측근 연루된 비리 및 비자금 추문 등 사건 사고로 사태 꼬여

    – 조선일보 “메르스 위기의 리더십은 어디에 있나?”, 박 정부의 무능력 질타


    프랑스의 아프리카 전문 주간지 죈 아프리크는 3일 “한국을 덮친 엉망진창 바이러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의 메르스 사태를 보도하며 세월호 참사 대처, 비리 사건, 전염병 확산 저지에 대한 무능 등,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 전체의 만장일치로 반대표를 이끌어 냈다며, 온 국민의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을 전했다.

    기사는 사람들이 “정부가 위기 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없다”고 말하는 등, 걱정을 넘어 분노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시민은 “세월호 때 그랬던 것처럼 정부가 우리에게 거짓말을 했다. 정부는 법 위에 있는 사람들인 것 같다. 나는 선거에서 박근혜를 찍었는데, 실망했다”며 분노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메르스 전염병과 관련, 나라를 흔들어놓은 대규모 전염은 분명 한국의 의료시스템에 그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정부가 바이러스 발생 초기에 정보를 밝히지 않는 것을 목격한 사람들은 세월호 참사 당시 구조팀의 혼란과 대통령의 먹먹한 침묵을 떠올렸고, 또다시 반복된 정부의 늑장 대처와 투명성의 부족을 질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는 사태를 더욱 꼬이게 하는 요인들이 더 있다고 말한다. 박 대통령 주변에서 최근 일어난 잇따른 비리와 비자금 수수 추문, 박 대통령 자신의 동생이 연루된 메모 게이트 사건, 성완종 비리 사건, 그리고 조현아의 분노의 땅콩 사건을 차례로 언급했다.

    기사는 극보수 성향인 조선일보마저 “메르스 위기의 리더십은 어디에 있나?”라고 물으며 박 정부의 무능을 질타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이러한 난관을 벗어날 수 있는지 자문하며 “아니, 너무 늦었다. 2년 조금 더 남은 그의 임기가 끝난 뒤 사람들은 세월호 침몰과 메르스 전염병 사건에서 보여준 재앙 수준의 대처만을 기억할 것이다. 그는 완전히 망했다”는 한겨레 논설위원의 말로 답을 대신했다.

    죈 아프리크 (Jeune Afrique)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뉴스·해설 및 사설을 게재하는 시사 잡지로, 1960년에 창간되어 파리에서 발행되고 있으며 프랑스어로 발간되는 아프리카에 관한 매체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죈 아프리크 기사 전문이다.

    번역 및 감수 : Sang-Phil Jeong

    기사 바로가기 ☞ http://www.jeuneafrique.com/mag/240214/societe/coree-du-sud-le-virus-de-la-gabegie/

    Corée du Sud : le virus de la gabegie

    한국을 덮친 엉망진창 바이러스

    Publié le 03 juillet 2015 à 16h19

    2015년 7월 3일 보도

    Par Juliette Morillot

    쥘리에트 모리요 씀

    Désinfection d’un café internet, à Séoul, le 16 juin. © KIM HONG-JI/REUTERS
    지난 6월 16일 서울의 한 피시방에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Gestion calamiteuse du naufrage d’un ferry, l’an dernier ; affaires de corruption ; incapacité à enrayer la progression d’une nouvelle épidémie… Park Geun-hye fait l’unanimité. Contre elle.

    지난해 여객선 침몰 사건에 대한 재앙 수준의 대처, 비리 사건들, 새 전염병의 확산 저지에 대한 무능 … 박근혜는 국민 전체의 만장일치를 이끌어냈다. 단, 반대표다.

    «Je n’ose plus traverser la gare ni prendre le bus pour aller à la fac, explique Hyonmi, en rajustant le masque chirurgical qui lui couvre la moitié du visage. On ne sait d’où vient ce virus ni pourquoi il se développe si vite. De toute façon, le gouvernement est bien incapable de faire face à la situation ! » Même angoisse teintée de colère chez Dae-chol, chauffeur de bus à Séoul : « On n’a pas de chameaux ici, c’est incompréhensible. Il paraît que les gènes des Asiatiques sont plus sensibles au virus, mais les Philippins qui travaillent au Moyen-Orient, pourquoi ne sont-ils pas touchés ? »

    얼굴 절반을 가린 마스크를 쓴 대학생 현미씨는 “학교에 가기 위해 기차도, 버스도 타지 못했다. 이 바이러스가 어디서 왔는지 왜 이렇게 빠르게 퍼지는지도 알지 못한다. 어쨌든 정부는 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버스 운전을 하는 대철씨는 같은 걱정에 분노가 더해졌다. “여긴 낙타도 없는데 이해할 수 없어요. 아시아 사람들은 바이러스에 더 민감한가 봐요. 그런데 중동에서 일하는 필리핀 사람들은 왜 아무렇지도 않죠 ?”

    Dans tout le pays, les centres commerciaux sont déserts, les cinémas annulent des séances faute de spectateurs, et des centaines d’écoles sont fermées. Vingt-quatre morts et 166 contaminations confirmées depuis le premier diagnostic établi sur un homme revenant d’Arabie saoudite, le 20 mai… Plusieurs milliers de personnes placées en quarantaine… La Corée du Sud est aujourd’hui le deuxième plus grand foyer du coronavirus MERS, baptisé MERS-CoV, un virus presque aussi dévastateur que celui du sras.

    나라 어딜 가든 대형 쇼핑몰이 텅텅 비어있고, 극장은 관객이 없어 상영을 취소하며, 수백 곳의 학교가 폐쇄했다. 지난 5월 20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으로 온 남성에게서 처음으로 이 바이러스가 발견된 이후 확진자는 166명, 사망자는 24명으로 집계됐다. 수천 명이 격리 대상이 됐다. 이제 한국은 사스만큼이나 파괴력이 센 메르스 바이러스에 있어 세계 두 번째 나라가 됐다.

    On ne connaît à ce jour ni vaccin ni traitement pour ce syndrome respiratoire qui, selon l’Organisation mondiale de la santé (OMS), présente un taux de mortalité avoisinant 35 %. On suppose que le chameau pourrait être le réservoir du virus, mais sa transmission à l’homme n’est pas confirmée. Comment dès lors expliquer l’ampleur de l’épidémie qui frappe le pays ? La plupart des victimes, constate l’OMS, ont été contaminées dans des structures de santé : sur les 133 malades dont les déplacements ont pu être reconstitués, 72 l’ont été au Centre médical Samsung, l’un des plus grands de Séoul. Sans doute le système hospitalier sud-coréen est-il directement en cause : les visites ne sont pas, ou peu, réglementées, et, la plupart du temps, ce sont les familles qui prennent en charge la vie quotidienne des patients (aide à la toilette, alimentation, etc.).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현재까지 치사율 35%에 달하는 이 호흡기 증후군에 대한 예방약이나 치료약이 없다. 그저 낙타가 바이러스의 매개라는 점을 추측할 뿐 어떻게 인간에게 옮기는 지는 확실치 않다. 나라를 흔들어놓은 대규모 전염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세계보건기구는 피해자의 대부분이 의료기관에서 전염된 것으로 확인했다. 동선이 확실한 확진자 133명 가운데 72명은 한국에서 가장 큰 병원 중 하나인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됐다. 한국의 의료시스템이 직접적 원인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병실 방문은 거의 또는 매우 드물게 제재를 받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 환자를 간호하는 것은 가족이다. ( 화장실이나 식사 보조 등 )

    Bref, l’inquiétude grandit, mais la colère aussi : la communication hésitante des autorités au cours des premiers jours de l’épidémie a ravivé rancœurs et frustrations. « On nous ment, comme on nous a menti lors du naufrage du Sewol, s’irrite Dae-chol. Ce sont tous des pourris qui se croient au-dessus des lois. J’avais voté pour Park Geun-hye, mais je suis déçu. »

    어쨌든 걱정은 커지고, 분노도 함께 커지고 있다. 정부가 초기부터 정보 공개를 주저하는 동안 국민들의 원성과 낙심이 더욱 커졌다. 대철씨는 “세월호 때 그랬던 것처럼 정부가 우리에게 거짓말을 했다. 정부는 법 위에 있는 사람들인 것 같다. 나는 선거에서 박근혜를 찍었는데, 실망했다”며 분노했다.

    La lenteur des premières mesures – il a fallu trois semaines pour qu’un plan d’urgence contre le MERS-CoV soit mis en place ! – et le manque de transparence des autorités rappellent en effet les errements qui ont suivi la catastrophe du Sewol, en avril 2014. Personne n’a oublié ni les cafouillages des secours ni le silence assourdissant de la présidente aussitôt après le naufrage du ferry. Un an après, le navire n’a d’ailleurs toujours pas été renfloué, et les familles des 304 victimes, essentiellement des lycéens, accusent le gouvernement d’indifférence et d’incompétence.

    첫 조치가 느렸던 점-메르스에 대한 비상 계획이 세워지기까지 3주나 걸렸다 !-과 정부의 투명성이 부족한 점은 확실히 2014년 4월 참사 때 비난받았던 점을 떠올리게 한다. 누구도 당시 사고 이후 구조팀의 혼란과 대통령의 먹먹한 침묵을 잊지 않았다. 1년이 지나 배는 여전히 물속에 있고 대부분이 고교생인 희생자 304명의 가족들은 정부의 무관심과 무능을 질타하고 있다.

    La multiplication récente des scandales de corruption et de trafic d’influence dans l’entourage présidentiel ne contribue certes pas à arranger les choses. Ainsi, fin 2014, du Memogate, une sombre affaire dans laquelle le propre frère de Park Geun-hye se trouve impliqué, ou encore du suicide, au mois d’avril, d’un ancien député dans la poche duquel on aurait trouvé une liste de personnalités ayant reçu des pots-de-vin lors de la dernière campagne présidentielle. Et n’oublions pas la retentissante affaire de la fille du PDG de Korean Air, qui, en décembre 2014, fit faire demi-tour à son avion pour un caprice d’enfant gâtée.

    최근 잇따른 비리나 대통령 주변의 수뢰 스캔들은 사태를 더욱 꼬이게 하고 있다. 2014년 말 박근혜 동생이 연루된 음침한 사건 메모 게이트가 있었고, 지난 4월에는 지난 대선에서 뇌물을 준 사람들의 리스트를 호주머니에 남기고 전직 국회의원의 자살한 일도 있었다. 2014년 12월 부잣집 도령이 투정부리듯 항공기를 유턴시킨 대한항공 회장의 딸 관련 사건 역시 반향이 커서 잊을 수 없다.

    On imagine que la presse s’en donne à cœur joie. Même le très conservateur Chosun Ilbo titrait récemment : « Où est le leadership dans la crise du MERS ? » Quant au Hankyoreh, plutôt à gauche, il accusait le gouvernement d’« incompétence crasse ». La présidente peut-elle encore se sortir de ce mauvais pas ? « Non, c’est trop tard, tranche un éditorialiste de ce même Hankyoreh. À la fin de son mandat, dans un peu plus de deux ans, on ne se souviendra que de sa gestion calamiteuse du naufrage du Sewol et de l’épidémie de MERS. Elle a tout raté. »

    언론들은 신이 났다. 극보수 성향의 <조선일보>조차 “메르스 위기의 리더십은 어디에 있나 ?”라고 물었고, 좌파 신문 <한겨레>는 정부의 “지독한 무능”을 비판했다. 대통령은 이 난관을 벗어날 수 있을까 ? <한겨레> 논설위원은 “아니, 너무 늦었다. 2년 조금 더 남은 그의 임기가 끝난 뒤 사람들은 세월호 침몰과 메르스 전염병 사건에서 보여준 재앙 수준의 대처만을 기억할 것이다. 그는 완전 망했다”고 밝혔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

    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https://twitter.com/thenewspro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7/05 09:28:34  116.40.***.118  mb18seki  252006
    [2] 2015/07/05 10:15:44  202.156.***.48  두아이아빠9  147721
    [3] 2015/07/05 11:33:04  110.70.***.162  허이  35126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3
    일 요미우리, 메르스 사망자 유족 소송제기 타전 [1] light77 15/07/13 08:42 118 0
    782
    야후 뉴스, 광복절 기념 남북 합동 연주회 추진 보도 light77 15/07/10 11:18 37 0
    781
    신화통신, 박 대통령의 제왕적 질타 받은 새누리당 원내대표 사퇴 보도 light77 15/07/09 11:09 84 3
    780
    의회 민주주의는 죽었다 [1] light77 15/07/09 07:52 114 0
    779
    스타트리뷴, 이희호 여사 방북 계획 보도 light77 15/07/07 22:04 32 0
    778
    가디언지, 한국 해군 장교 군사기밀 유출 혐의로 체포 보도 light77 15/07/07 08:09 89 1
    죈 아프리크, 박근혜의 무능에 국민 전체가 만장일치로 반대표 던지다 light77 15/07/05 07:33 229 3
    776
    BBC, 한국 메르스, 소강상태 후 또 신규 감염 발생 light77 15/07/03 23:46 66 2
    775
    뉴욕타임스, 한국 전직 총리 불법 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 light77 15/07/03 19:14 65 0
    774
    글렌데일 뉴스프레스,한국 대학생들 위안부문제 알리기위해 자전거 미국횡단 [1] light77 15/07/02 13:49 42 3
    773
    AFP, 한국전쟁과 냉전의 산물인 대인지뢰 피해 보도 light77 15/07/02 12:51 68 1
    772
    CNN, 유례없는 가뭄으로 북한에 기근 초래할 전망 [1] light77 15/07/02 11:12 64 1
    771
    영 FT, “제주, 해군기지 둘러싸고 분열돼” light77 15/06/30 20:47 66 0
    770
    FP, 박근혜 정부의 무능력이 메르스 대처 실패의 주된 요인 light77 15/06/30 13:15 122 1
    769
    FP, 신 평양 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김정은 공항 시찰 보도 light77 15/06/30 12:22 56 0
    768
    日 요미우리, 미 국무부 인권 보고서 한국 보도자유 침해 주목 light77 15/06/26 20:26 47 1
    767
    야후뉴스, 프랑스 정부,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유병언 딸 석방 light77 15/06/25 13:17 74 0
    766
    논평] 한국전쟁 발발 65주년에 붙여 light77 15/06/25 09:06 46 0
    765
    타오르는 해외동포들의 ‘세월호 기억하기’ [5] light77 15/06/25 08:09 30 12
    764
    뉴욕타임스, 삼성그룹 후계자 메르스 사태로 대국민 사과 [2] light77 15/06/24 21:08 46 0
    763
    해외학자들, 조희연 교육감 무죄 촉구를 위한 공개 탄원 [1] light77 15/06/24 07:51 91 11
    762
    AFP, 미 헤지펀드 엘리엇, 삼성의 주식판매 관련 불법 주장 light77 15/06/23 12:25 46 0
    761
    야후뉴스, 박 정권의 투명성 부족, 세월호로부터 배운 것 없어 light77 15/06/23 10:28 77 0
    760
    뉴욕타임스, 한국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발생으로 조사받는 중 light77 15/06/20 08:38 78 2
    759
    CCTV, 성대에서 마스크 착용한 홍콩 학생들 교실에서 쫓아내 light77 15/06/19 21:52 75 2
    758
    日 아사히 신문, “부산국제영화제 외압으로 휘청” [2] light77 15/06/19 20:36 61 3
    757
    AFP 통신, 메르스 발생으로 관광산업 등 한국 경제 타격 입어 light77 15/06/17 22:28 26 0
    756
    미 토픽스, 메르스 위기 대처로 맹비난 받는 박근혜 [1] light77 15/06/17 19:13 127 6
    755
    <르몽드>, 매일 아침 메르스 상황 체크하는 한국 light77 15/06/17 08:48 119 0
    754
    뉴욕타임스, 박 대통령 서투른 메르스 대응으로 지도자 이미지 실추 [1] light77 15/06/15 16:25 173 4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