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600790
    작성자 : light77
    추천 : 1
    조회수 : 371
    IP : 207.244.***.2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7/02 12:51:53
    http://todayhumor.com/?sisa_600790 모바일
    AFP, 한국전쟁과 냉전의 산물인 대인지뢰 피해 보도

    https://thenewspro.org/?p=13263


    AFP, 한국전쟁과 냉전의 산물인 대인지뢰 피해 보도
    – 한국정부, 4월부터 지뢰로 인한 피해자들에게 보상금 및 재정지원 지급 시작
    – 피해 주민들, 그동안 정부에 피해 보상 요구도 못해


    야후 뉴스는 한국 정부가 뒤늦게나마 남-북 분단 65년이 지난 올해 4월부터 휴전선 접경지역 마을에서 지뢰로 인한 피해자들에게 보상금과 생활재정 지원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는 AFP통신을 인용 보도했다.

    AFP 통신은 한국전쟁 이후 수십 년간 휴전선 접경지역 사람들은 지뢰로 인한 피해를 겪었음에도 피해를 감내해왔고, 한국 정부는 침묵으로 일관해왔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휴전선 인근은 한국 전쟁 전후로 80만 개 내지는 백만 개의 지뢰가 매설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AFP는 한국 전쟁 종전 이후, 국제적 정세에 따라 혹은 남북한 긴장 관계로 인해 지뢰 매설은 꾸준히 늘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대인지뢰는 날씨와 지형의 변화로 매설 지역에서 벗어나 민간인들에게 피해를 입혔다고 전하며 이는 남북한의 특수한 군사적 대립과 냉전의 산물이라고 전했다.

    이 매체는 지뢰에 의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문제를 일으키면 고향 마을 떠나게 될 것이 두려워 보상금을 청구하거나 불평할 수조차 없는 상황이었다는 한국지뢰제거 연구소장 김기호씨의 말을 전하며, 또한 매설된 지뢰로 인한 피해 지역 사람들은 모든 사고에 대해 군에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포기각서에 서명하도록 요구받았다고 보도했다.

    한국은 공식적으로 2000년 이후 지뢰 매설을 중단했지만 아직까지 대인지뢰 사용과 생산을 금지한 오타와 조약에는 가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미군 역시 대인지뢰 사용을 중단했지만 남북한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휴전선 근접지역은 제외했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AFP는 지뢰 피해보상 법안이 시기적으로 너무 늦은 것은 아닌가라고 말하고 “세월 다 지나서 곧 죽게 된 터에 돈 몇 푼 받는 게 뭐가 중요하겠는가”라는 오른발을 잃은 어느 나이 든 피해자의 말을 전하며 기사를 마무리했다.

    남북 관계가 군사적으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할지라도, 민간인에 대한 피해는 조속히 피해에 대한 보상과 생활안정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도록 국가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또한 정부와 군 당국은 매설된 지뢰의 위치 인식과 매설지역에서 이탈된 대인지뢰에 대한 수색과 제거 활동을 계속해야 한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AFP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yhoo.it/1FScmLP

    Counting the cost of South Korea’s landmine victims

    한국 지뢰 피해자들의 피해를 따져보기

    By Jung Ha-Won | AFP – Thu, Jun 25, 2015


    After decades of official silence, South Korea is beginning to compensate hundreds of landmine victims maimed by a deadly, and dangerously enduring legacy of the Korean War and its Cold War aftermath.

    수십 년 동안의 공식적인 침묵 이후 한국 정부는 위태롭게 지속되던 한국전쟁과 그 이후 냉전의 후유증이 남긴 치명적인 유산에 의해 불구가 된 수백 명의 지뢰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Dwarfed in numerical terms by countries like Laos and Cambodia where landmines kill or injure hundreds each year, South Korean victims have largely been left to suffer in unrecognised isolation.

    지뢰 폭발로 해마다 수백 명이 죽거나 부상을 입는 라오스와 캄보디아 같은 나라에 치어 한국 희생자들은 대부분 인지도 받지 못한 채로 고립되어 고통을 감내해왔다.

    At least 1,000 are estimated to have died or been left disabled in recent decades, according to the Peace Sharing Association, a coalition of local anti-landmine civic groups. Among them, nearly 30 have been killed or maimed since 2005.

    지뢰 반대 한국 시민 단체들의 연대인 평화나눔회에 따르면 최소 1,000명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사망하거나 불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거의 30명이 2005년 이후 사망하거나 불구가 됐다.

    Now, 65 years after the conflict started, a law which came into effect in April is offering some financial support, including compensation payouts, to the injured and to the relatives of those who died.

    분쟁이 시작되고 65년이 지난 이제, 지난 4월에 시행되기 시작한 법안은 부상당한 사람들과 사망자 가족들에게 보상금 지급을 포함한 재정 지원을 제공한다.

    Lawmaker Han Ki-Ho, who championed the bill, said there was a “terrible irony” in South Korea having donated 8.8 billion won ($8.0 million) since 1993 to UN campaigns to help landmine victims.

    이 법안 제정에 기여한 한기호 국회의원은 1993년 이래로 한국이 지뢰 희생자를 돕는 UN 캠페인에 88억 원(8백만 달러)을 기부한 사실은 “엄청난 모순”이라고 말했다.

    “And we spent next to nothing to help our own… it doesn’t make any sense,” the former army lieutenant general told AFP.

    “그리고 우리 국민을 돕기 위해서는 거의 한 푼도 쓰지 않았다… 이건 말이 안 된다”고 전 육군 중장은 AFP에 말했다.

    The military says more than 800,000 mines were planted along the tense border with North Korea during and after the 1950-53 Korean conflict as a defence against infiltration. Activists estimate the number at over one million.

    군은 1950-53년 한국 전쟁 당시와 그 이후에 북의 침투에 대한 방어책으로 80만 개 이상의 지뢰가 북한과의 긴장된 경계 지역을 따라 매설됐다고 말한다. 활동가들은 그 숫자가 백만 이상이라고 추정한다.

    – Cold War tensions –
    -냉전 시대의 긴장-

    A particularly large number were air-dropped in the 1960s, residents and activists say, as incursion fears surged following the 1962 Cuban missile crisis and a 1968 cross-border mission by North Korean commandos to assassinate then-president Park Chung-Hee.

    주민들과 활동가들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와 1968년 북한의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을 위한 특수부대원 남파 공작 이후, 남침에 대한 두려움이 급증함에 따라, 특히 1960년대에 많은 양의 지뢰가 공중 투하되었다고 말한다.

    Many small anti-personnel mines were left unmarked or shifted from their demarcated positions over the years by rain and mudslides, posing a fatal hazard to farmers and children playing in the fields.

    많은 작은 인명 사살용 지뢰들은 표식 없이 남겨졌거나 수년간 비와 진흙 사태에 의해 표시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서 농부들과 들판에서 노는 아이들에게 치명적인 위험요소가 됐다.

    Lim Duk-Sung was 16 when he stepped on a landmine in 1978 while playing near a river around his home village of Wondang, some 55 kilometres (35 miles) northwest of Seoul, near the border.

    1978년 서울에서 북서쪽으로 55km 떨어진 국경 근처의 고향 마을, 원당 강가에서 놀다 지뢰를 밟았을 당시 임덕성씨는 16살이었다.

    The blast blew off his right foot and, after a series of painful surgeries, most of his leg below the knee was amputated.

    지뢰는 폭발하며 그의 오른발을 날려버렸고, 수차례의 고통스러운 수술 끝에 그의 다리는 무릎 아래에서 대부분 절단되고 말았다.

    The medical treatment left his already impoverished family bankrupt, while Lim dropped out of school and has battled depression ever since.

    수술비용은 이미 가난했던 그의 가족을 파산시켰고, 임 씨는 학교를 중퇴했으며 지금껏 우울증과 싸우고 있다.

    “None of us ever imagined protesting to the military or asking for compensation,” Lim told AFP.

    “아무도 군에 항의하거나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상상도 해보지 않았다”고 임 씨는 AFP에 말했다.

    That’s just the way things are here,” he said.

    “여기서는 다 그런 식이다”라고 그가 말했다.

    There is no official data on the precise number of landmine victims, with activists saying they were effectively dismissed as necessary collateral in the constant struggle to secure the border against aggression from North Korea.

    지뢰 피해자 수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는 없으며, 활동가들에 의하면 지뢰 피해자들은 북한의 침략으로부터 국경을 지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중 발생하는 불가피한 피해로 여겨져 묵살당했다.

    Many victims were poor, uneducated farmers or their children, as well as herb pickers searching the hillsides for medicinal plants.

    많은 피해자들은 가난하고 교육받지 못한 농부와 농부의 자녀 또는 산허리에서 약초를 캐는 약초꾼들이었다.

    -Scared to speak out-

    -목소리를 높이는 것조차 두렵다-

    Few have dared to seek compensation.

    감히 보상금을 청구하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They were scared that they would be kicked out of their hometown if they ’cause trouble’,” said Kim Ki-Ho, head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Mine Clearance.

    “그들은 ‘문제를 일으키면’ 고향에서 쫓겨나게 될까 두려워했다”고 김기호 한국지뢰제거연구소 소장이 말했다.

    Once part of a heavily restricted military area, the border villages were re-opened in the 1960s, allowing many former residents to return.

    통행이 극도로 제한됐던 군사 지역의 한 부분이었던 국경 마을들은 1960년대 다시 열리며 전에 살던 많은 주민들이 돌아오도록 허용됐다.

    But they were required to sign a waiver that absolved the military of responsibility for any undefined “accidents” in the future.

    그러나 그들은 미래의, 규정되지 않은 모든 “사고들”에 대해 군의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포기 각서에 서명하도록 요구받았다.

    Life in these villages has always been coloured by the heavy military presence along the fortified border.

    이들 마을의 삶은 방어가 튼튼한 국경 지대를 따라 빽빽하게 주둔한 군의 존재로 채색됐다.

    The army bans farmers growing tall crops to better monitor the border and, in the past, used to require villagers to wear certain colour clothes on a given day — making it easier to spot North Korean spies. Land mine warning signs are still common around the area.

    군은 국경을 잘 감시하기 위해 농부들에게 키가 큰 작물을 키우는 것을 금지했고, 과거에는 쉽게 북한 간첩을 찾아낼 수 있도록 마을 사람들에게 정해진 날에 특정한 색의 옷을 입을 것을 요구했다. 지뢰 경고판은 여전히 이 지역에서 흔하다.

    Although it stopped laying new mines in 2000, South Korea — like the US,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 has not joined the more than 160 countries to have signed the Ottawa Treaty banning the use or production of anti-personnel mines.

    비록 한국은 2000년 지뢰 매설을 중지했지만,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 그리고 북한과 마찬가지로 160개국 이상이 서명한 대인 지뢰 사용과 생산을 금지하는 오타와 조약에 가입하지는 않았다.

    South Korea’s military says more than 800,000 mines were planted along the tense border with North Korea during and after the 1950-53 Korean conflict

    한국군은 1950-53년 한국 전쟁 이후 북한과의 긴장된 국경을 따라 80만 개 이상의 지뢰가 매설됐다고 말한다.

    – Too late? –
    -너무 늦었나? –

    When the United States — the South’s key military ally — declared last year that it was halting the use of all anti-personnel mines, it made an exception for the inter-Korean border, citing the area’s “unique challenges”.

    한국의 주요 군사 동맹국인 미국이 작년에 모든 대인지뢰의 사용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을 때 남북한 국경 지역의 “특수 상황”을 언급하며 그 지역은 제외했다.

    Lawmaker Han agrees, arguing that landmines remain a crucial defence tool given that the two Koreas remain technically at war after the Korean conflict ended with a ceasefire instead of a peace treaty.

    국회의원 한기호는 평화협정이 아닌 휴전협정으로 한국 전쟁이 마무리된 후 양국이 엄밀히 말해 전쟁 중에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지뢰가 여전히 중요한 방어 도구라고 말하며 이에 동의한다.

    “I think we will be able to remove those mines once the two Koreas reunify,” he said.

    “일단 남북한이 통일되면 그 지뢰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그는 말했다.

    For Lee Tae-Ui, an 81-year-old farmer in the village of Wondang, the fate of the mines is all a bit academic.

    원당마을 81세 농부인 이태위씨에게 그 지뢰들의 미래는 모두 다소 이론적일 뿐이다.

    Lee was eking out a living as a part-time scrap metal collector in the 1960s when the military offered him work clearing the area around the village of mines.

    이 씨가 고철 수집으로 겨우겨우 생계를 꾸리고 있던 1960년대에 지뢰 마을 주변 지역을 정리하는 일자리를 군이 제공했다.

    He lost his right foot when he stepped on an unexploded device and received nothing by way of compensation. The financial support being offered by the new bill has come too late to be of any real use to him.

    그는 폭발하지 않은 지뢰를 밟아 오른발을 잃었으며 그 어떤 형태의 보상도 받지 못했다. 그 새로운 법안에 의해 제공되는 재정적 지원은 너무 늦어 그에게 별 소용이 없다.

    “What’s the point of getting some money after all these years, when I’ll die soon anyway?” he said.

    “세월 다 지나서 곧 죽게 된 터에 돈 몇 푼 받는 게 뭐가 중요한가?”라고 그는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

    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https://twitter.com/thenewspro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7/02 14:45:06  222.118.***.116  candysays  2690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3
    일 요미우리, 메르스 사망자 유족 소송제기 타전 [1] light77 15/07/13 08:42 118 0
    782
    야후 뉴스, 광복절 기념 남북 합동 연주회 추진 보도 light77 15/07/10 11:18 37 0
    781
    신화통신, 박 대통령의 제왕적 질타 받은 새누리당 원내대표 사퇴 보도 light77 15/07/09 11:09 84 3
    780
    의회 민주주의는 죽었다 [1] light77 15/07/09 07:52 114 0
    779
    스타트리뷴, 이희호 여사 방북 계획 보도 light77 15/07/07 22:04 32 0
    778
    가디언지, 한국 해군 장교 군사기밀 유출 혐의로 체포 보도 light77 15/07/07 08:09 89 1
    777
    죈 아프리크, 박근혜의 무능에 국민 전체가 만장일치로 반대표 던지다 light77 15/07/05 07:33 229 3
    776
    BBC, 한국 메르스, 소강상태 후 또 신규 감염 발생 light77 15/07/03 23:46 66 2
    775
    뉴욕타임스, 한국 전직 총리 불법 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 light77 15/07/03 19:14 65 0
    774
    글렌데일 뉴스프레스,한국 대학생들 위안부문제 알리기위해 자전거 미국횡단 [1] light77 15/07/02 13:49 42 3
    AFP, 한국전쟁과 냉전의 산물인 대인지뢰 피해 보도 light77 15/07/02 12:51 68 1
    772
    CNN, 유례없는 가뭄으로 북한에 기근 초래할 전망 [1] light77 15/07/02 11:12 64 1
    771
    영 FT, “제주, 해군기지 둘러싸고 분열돼” light77 15/06/30 20:47 66 0
    770
    FP, 박근혜 정부의 무능력이 메르스 대처 실패의 주된 요인 light77 15/06/30 13:15 122 1
    769
    FP, 신 평양 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김정은 공항 시찰 보도 light77 15/06/30 12:22 56 0
    768
    日 요미우리, 미 국무부 인권 보고서 한국 보도자유 침해 주목 light77 15/06/26 20:26 47 1
    767
    야후뉴스, 프랑스 정부,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유병언 딸 석방 light77 15/06/25 13:17 74 0
    766
    논평] 한국전쟁 발발 65주년에 붙여 light77 15/06/25 09:06 46 0
    765
    타오르는 해외동포들의 ‘세월호 기억하기’ [5] light77 15/06/25 08:09 30 12
    764
    뉴욕타임스, 삼성그룹 후계자 메르스 사태로 대국민 사과 [2] light77 15/06/24 21:08 46 0
    763
    해외학자들, 조희연 교육감 무죄 촉구를 위한 공개 탄원 [1] light77 15/06/24 07:51 91 11
    762
    AFP, 미 헤지펀드 엘리엇, 삼성의 주식판매 관련 불법 주장 light77 15/06/23 12:25 46 0
    761
    야후뉴스, 박 정권의 투명성 부족, 세월호로부터 배운 것 없어 light77 15/06/23 10:28 77 0
    760
    뉴욕타임스, 한국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발생으로 조사받는 중 light77 15/06/20 08:38 78 2
    759
    CCTV, 성대에서 마스크 착용한 홍콩 학생들 교실에서 쫓아내 light77 15/06/19 21:52 75 2
    758
    日 아사히 신문, “부산국제영화제 외압으로 휘청” [2] light77 15/06/19 20:36 61 3
    757
    AFP 통신, 메르스 발생으로 관광산업 등 한국 경제 타격 입어 light77 15/06/17 22:28 26 0
    756
    미 토픽스, 메르스 위기 대처로 맹비난 받는 박근혜 [1] light77 15/06/17 19:13 127 6
    755
    <르몽드>, 매일 아침 메르스 상황 체크하는 한국 light77 15/06/17 08:48 119 0
    754
    뉴욕타임스, 박 대통령 서투른 메르스 대응으로 지도자 이미지 실추 [1] light77 15/06/15 16:25 173 4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