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595657
    작성자 : light77
    추천 : 2
    조회수 : 408
    IP : 207.244.***.4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6/03 09:16:13
    http://todayhumor.com/?sisa_595657 모바일
    CNN, 한국 메르스 환자 2명 사망…우려가 현실로

    https://thenewspro.org/?p=12644


    CNN, 한국 메르스 환자 2명 사망…우려가 현실로
    – 전 세계 주요 외신들 긴급 타전 
    – 확진 환자 25명…700여 명 격리
    – 박 대통령, 메르스 바이러스 초기 대응 미흡


    CNN은 1일 한국에서 최초 메르스 환자와 접촉했던 2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BBC,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 요미우리, 로이터, AP통신, 르몽드 등 전 세계 유력 외신들도 한국의 메르스 발병 및 사망을 긴급 타전하였다. 

    CNN은 박 대통령이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한 초기 대응이 “다소 미흡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기사는 열과 기침 및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는 이 바이러스는 심한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미 다른 질병을 가진 사람이 사망할 확률이 더 높으나, 감기와 같은 가벼운 증상 또는 아예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CNN은 2012년에 처음 보고된 메르스 바이러스는 낙타와 관련이 있었으며 감염된 낙타들이 머무른 헛간의 공기에서 바이러스 파편들이 발견됐었다고 전했다. 2014년 한 논문은 바이러스의 공기전염 가능성을 말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메르스 바이러스가 어떻게 전염되는지 모르는 가운데 한국의 많은 사람이 바이러스 공포에 사로잡혀 있으며 치사율이 높은 이 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법은 없다고 전하며 기사를 마무리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CNN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cnn.it/1I7Cwye

    2 MERS patients die in South Korea

    한국, 메르스 환자 2명 사망

    By Ashley Fantz, K.J. Kwon and Catherine E. Shoichet, CNN
    Updated 11:59 PM ET, Mon June 1, 2015


    Almost 700 under quarantine after MERS outbreak 02:19
    메르스 발병 이후 거의 700명 격리 조치

    (CNN)Two MERS patients have died in South Korea, marking the first deaths from an outbreak of the dreaded respiratory virus in the country, officials said.

    (CNN) 염려하던 호흡기 바이러스가 한국에서 발생한 뒤 첫 사망 사례를 기록하며 메르스 환자 두 명이 사망했다고 관계자들이 말했다.

    The victims included a 58-year-old woman and a 71-year-old man who both had contact with the country’s first MERS patient, South Korea’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id.

    희생자는 한국의 최초 메르스 환자와 접촉했던 58세의 여성과 71세의 남성이라고 한국의 보건복지부는 말했다.

    So far, there have been 25 confirmed cases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two dead patients.

    지금까지 한국에서 두 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중동호흡기증후군으로 확진된 환자는 25명이다.

    Officials are recommending the government temporarily ban people exposed to MERS from leaving the country to prevent the virus from spreading, said Kwon Jun-wook, a Health Ministry official.

    관계자들은 메르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메르스 바이러스에 노출된 사람들을 출국 금지시킬 것을 한국 정부에 권고하고 있다고 보건부 권준욱씨는 말했다.

    During a Cabinet meeting Monday,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said there had been “some insufficiency” in her country’s initial response to the virus and called for an “all-out” response to halt the spread of the disease.

    월요일 국무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한 한국의 초기 대응이 “다소 미흡했다”고 말했으며 메르스의 확대를 저지할 수 있는 “총력전”을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Scientists studying how virus spreads

    바이러스가 어떻게 퍼지는지 연구하는 과학자들

    Scientists are still trying to discern how the virus is contracted. It can cause fever, cough and shortness of breath, according to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과학자들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어떻게 전염되는지 파악하려고 여전히 노력하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센터에 따르면 메르스 바이러스는 열과 기침 및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Some people also have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luding diarrhea, nausea and vomiting, while people with severe complications from the virus suffered pneumonia and kidney failure.

    일부 사람들은 설사, 메스꺼움 및 구토를 포함한 소화기계의 증세를 보이기도 했고 바이러스로 인한 심한 합병증을 보인 사람들은 폐렴과 신부전증을 앓기도 했다.

    For many people with MERS, more severe complications followed, such as pneumonia and kidney failure. About three to four out of every 10 people reported with MERS have died. Most of the people who died had an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CDC. Some infected people had only mild symptoms (such as cold-like symptoms) or no symptoms at all.

    메르스에 걸린 많은 사람들에게 폐렴과 신부전증 같은 더욱 심각한 합병증이 뒤따랐다. 메르스 환자 10명 중 3-4명이 사망했다. 질병관리센터에 따르면 사망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본적인 질병을 앓고 있었다. 몇몇 감염된 사람들은 단지 가벼운 증상들(감기와 같은 증상들)을 보이거나 아예 아무런 증상이 없었다.

    A paper published in July 2014 in the journal mBio said it might be airborne.

    2014년 7월 엠바이오지에 발표된 한 논문은 메르스 바이러스는 공기로 전염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At the time, there was wh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emed a particularly alarming outbreak, in Saudi Arabia and the United States, CNN reported. The first cases were doc-umented in spring 2012 and were linked to camels.

    당시에 WHO가 특히 염려했던 질병 발생이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에서 있었다고 CNN아 보도했다. 첫 사례는 2012년 봄에 있었으며 낙타와 관련이 있었다,

    The researchers detected fragments of the virus in the air at a barn where four of nine camels were infected. They called for additional measures to prevent possible camel to human transmission, but also emphasized that more research was needed.

    연구가들은 아홉 마리의 낙타 중 네 마리가 감염된 헛간의 공기에서 바이러스 파편들을 발견했다. 그들은 낙타에서 인간으로의 가능한 전염을 막기 위한 추가 조치를 요구했지만 아울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ccording to a May WHO report, between the 18th and 23rd of the month, the National Health Regulations arm of WHO received reports of four new cases of MERS in Saudi Arabia, including one death.

    WHO 5월 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달 18에서 23일 사이 WHO의 국제 건강 규제 분과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사망 1건이 포함된 4건의 새로운 메르스 발생 보고를 받았다.

    As of May 25,WHO had received 1,139 laboratory-confirmed cases of MERS globally, including at least 431 related deaths.

    5월 25일 현재로 WHO는 전 세계에서 실험실에서 확인된 1,139건의 메르스 감염을 보고받았으며 이 중 적어도 431명이 사망했다.

    Most South Korea cases tied to first patient

    대부분의 한국 사례는 최초 환자와 연관되어 있다.

    In South Korea, officials reported that at least 19 of the 25 MERS patients in the country had been in medical facilities and we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patient to be diagnosed with the virus.

    한국에서 관계자들은 25명의 메르스 환자 중에 적어도 19명이 의료 시설에 있었고, 바이러스로 확진된 최초 환자와 직접 접촉했다고 보고했다.

    Among those sick, five are in unstable condition, with one in critical. The first patient developed symptoms on May 11 and suffered from pneumonia and respiratory difficulty, but is in stable condition. That means, according to officials, that person’s odds of surviving are greater.

    환자 중에 다섯 명은 불안정한 상태이며, 한 명은 위독하다. 첫 환자는 5월 11일 증세를 보였고 폐렴과 호흡 곤란을 겪었으나 안정된 상태이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환자가 생존할 가능성이 커진 것을 의미한다.

    At least 682 people are quarantined in their homes or at medical facilities, Kwon said.

    권 씨는 적어도 682명이 자택이나 의료 시설에 격리되었다고 말했다.

    Fear about the virus is gripping many in South Korea. There are no vaccines, no cures and the fatality rate for the illness is high.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바이러스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 백신이나 치료법은 없으며, 이 병의 치사율은 높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

    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https://twitter.com/thenewspro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6/03 10:24:58  223.131.***.149  좀더뭔가  641939
    [2] 2015/06/03 11:43:47  39.7.***.213  날개잃은꼬꼬  54419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3
    뉴욕타임스, 메르스 발생 박대통령에게 타격 입혀 light77 15/06/14 11:02 132 2
    752
    아동 성폭행 light77 15/06/14 02:36 54 0
    751
    논평] 이 나라를 어디로 끌고 가려 하는가? light77 15/06/14 00:47 87 2
    750
    RFI 블로그, 메르스 사태 책임지지 않는 “아몰랑, 유체이탈” 박근혜 [3] light77 15/06/13 08:15 224 2
    749
    뉴욕타임스, 장덕 마을 극단적 격리 조치, 취약한 정부 시스템 탓 [1] light77 15/06/12 22:19 99 6
    748
    뉴욕타임스, 홍콩 경보 수위 격상…메르스 공포 아시아 전역으로 확대 light77 15/06/11 12:08 96 1
    747
    RFI, 메르스로 한국인 패닉에 빠진 건 정부 불신 탓 [1] light77 15/06/10 13:16 145 5
    746
    주한미군, 메르스 발생 중 한국 병원 가지 말아라 권고 light77 15/06/10 10:34 95 3
    745
    美 NPR, 메르스 위기로 정부에 대한 대중의 불신 드러나 [1] light77 15/06/09 11:56 77 2
    744
    뉴욕타임스, 삼성 서울병원과 평택 성모병원에서 메르스 발생 [2] light77 15/06/08 13:24 103 5/2
    743
    뉴욕타임스 만평, 메르스로 국제적 비웃음 사는 한국 [1] light77 15/06/08 12:51 268 12
    742
    메르스 대처 실패 박근혜, 박원순 희생양 삼아 탈출 속셈? [3] light77 15/06/07 01:21 109 14
    741
    日 산케이 신문, 박근혜 정권 위기대응 능력 질타 light77 15/06/06 08:22 148 3
    740
    뉴욕타임스, 정부에 대한 불신, 메르스 공포 확산의 주범 [1] light77 15/06/05 13:09 100 1
    739
    인터프리터, 국정원 미확인 정보 흘리는 행위 일삼으며 정치에 개입 [1] light77 15/06/05 11:02 110 1
    738
    이계덕 기자 압수수색 [98] light77 15/06/04 14:26 322 17/3
    737
    UPI, 국제인권감시기구 한국에 국보법 폐지 권고 [1] light77 15/06/04 09:13 88 3
    CNN, 한국 메르스 환자 2명 사망…우려가 현실로 light77 15/06/03 09:16 121 2
    735
    글로벌 타임스, 사드배치 후 한국은 미국의 총알받이 될 가능성 커 [1] light77 15/06/02 12:58 75 1
    734
    워싱턴 포스트, 한국 메르스 공포…700명 격리 light77 15/06/02 08:10 143 4
    733
    이그재미너, 한국은 왜 베트남전 위안부에게 사과 안 하나? [5] light77 15/06/01 13:08 209 1
    732
    디플로마트, 스타 케미컬 노동자 차광호씨 고공 연좌농성 신기록 light77 15/05/31 00:09 25 3
    731
    CNN, 미 국방부 – 한국에 살아있는 탄저균 실수로 배송 [3] light77 15/05/30 08:42 143 2
    730
    뉴욕타임스, <위민 크로스 DMZ> “우리는 시민 외교관” light77 15/05/27 13:18 36 1
    729
    중국 CCTV, 북한 국방위원회 천안함 공동조사 요구 보도 [1] light77 15/05/26 01:43 63 3
    728
    야후 뉴스, 세월호 인양업체 공개입찰 보도 light77 15/05/25 08:47 38 1
    727
    봉하 – 노무현 대통령 6주기 현장 [1] light77 15/05/24 07:59 168 13
    726
    뉴욕타임스, ‘땅콩 분노’ 조현아.. 감옥 아닌 ‘집으로’ [5] light77 15/05/24 03:59 115 10
    725
    UPI, 세월호 유족에 손 내민 서울시, 보수단체 고소로 경찰 조사 [3] light77 15/05/23 08:19 42 11
    724
    진정한 용기는 잘못의 고백 light77 15/05/22 20:36 74 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