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594605
    작성자 : light77
    추천 : 1
    조회수 : 247
    IP : 207.244.***.4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5/27 13:18:48
    http://todayhumor.com/?sisa_594605 모바일
    뉴욕타임스, <위민 크로스 DMZ> “우리는 시민 외교관”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a target="_blank" href="https://thenewspro.org/?p=12565"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https://thenewspro.org/?p=12565</span></a><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span></b><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ff0000;font-size:12pt;">뉴욕타임스, <위민 크로스 DMZ> “우리는 시민 외교관”</span></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900ff;font-size:12pt;">– 글로리아 스타이넘 등 30여 명의 해외 여성 평화 운동가, 한반도 평화 위해 비무장지대 종단</span></b></span><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900ff;font-size:12pt;">– 남북한 이례적 허용했으나, 남측의 판문점 걷기 통과 반대로 상징성 일부 훼손돼</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0900ff;font-size:12pt;">– 주최측, 한반도 평화 정착과 통일 앞당기는 계기 되기를</span></b><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뉴욕타임스는 24일 저명한 페미니스트인 글로리아 스타이넘과 두 명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가 참가한 가운데 30명의 여성 평화 운동가들이 한반도에 영구적 평화를 촉구하며 비무장지대를 넘는 행사를 했다고 보도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기사는 이들이 비무장 지대를 넘어가도록 남북한 정부가 허용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었으나 남측이 판문점 통과와 도보를 반대하는 바람에 개성에서 파주로 버스를 타고 넘어와야 했다고 전하며 <위민 크로스 DMZ> 행사의 상징성이 다소 손상됐다고 덧붙였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글로리아 스타이넘은 “우리는 아무도 해낼 수 있다고 말한 바 없는 일, 평화와 화해, 그리고 인권을 위한 행진, 게다가 양국이 동의한 행진을 해냈다”고 소감을 전하며 한반도에서 영구적인 평화협정 체결과 통일을 앞당길 수 있는 발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뉴욕타임스는 남한으로 넘어온 이들은 환영과 동시에 이들을 기다리고 있던 탈북자들을 포함한 남한의 보수주의자들로부터 북한을 찬양하고 거짓 평화를 증진한다 비난도 받았다고 전했다. </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여성 평화 운동가들은 그들 중 일부가 마치 북한 지도자를 찬양한 것처럼 보도한 북한의 국영 뉴스의 보도를 사실과 다르다며 일축했으나 보수주의자들은 이런 행사가 북측의 선전용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뉴욕타임스는 주최 측이 이번 행사의 목적은 남북한에 팽배한 불신과 적대감을 완화 시키는 데 있다고 거듭 강조했으나 보수주의자들과 같은 입장을 가진 한국 정부는 스타이넘과 그 일행이 판문점을 건너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전하며 기사를 마무리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span></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번역 감수 : 임옥</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기사 바로가기 ☞ <a target="_blank" href="http://nyti.ms/1FBhVl2"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006890;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http://nyti.ms/1FBhVl2</span></a></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trong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Peace Activists Cross Demilitarized Zone Separating Koreas</span></strong></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평화 운동가들, 남북한을 가르는 비무장지대 종단</span></b></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y CHOE SANG-HUN, MAY 24, 2015</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65444B3B25B6000D" class="txc-image" width="857"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65444D3B7AF90026" class="txc-image" width="1024"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size:10pt;">David Guttenfelder for The New York Times</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PAJU, South Korea — A group of 30 female peace activists, including the feminist leader Gloria Steinem and two Nobel Peace Prize laureates, crossed the demilitarized zone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on Sunday, calling for an end to the Korean War, whose unresolved hostility has been symbolized by the heavily armed border for six decade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한국 파주 – 일요일, 페미니스트 선도자 글로리아 스타이넘과 두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30명의 여성 평화 운동가들이 한국 전쟁의 종식을 촉구하며 북한에서 비무장지대를 건너 남한으로 행진했다. 지난 60년 동안 중무장된 채로 남아 있는 경계 지역은 한국 전쟁의 해소되지 않은 적대감을 보여준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It was rare for the two rival Korean governments to agree to allow a group of peace activists to pass through the border area, known as the DMZ.</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DMZ로 알려진 경계지역을 평화 운동가들이 통과하도록 남북한 정부가 허용한 것은 드문 일이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Yet some of the symbolism the activists had hoped to generate with their Women Cross DMZ campaign was lost when South Korea denied them permission to walk through Panmunjom, a border village where a truce was signed in 1953 to halt, though not formally end, the conflict, leaving the divided Korea technically in a state of wa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하지만 운동가들이 <위민 크로스 DMZ> 행사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상징성은 이들이 판문점을 통과해서 걷는 것을 한국 정부가 허용치 않아 다소 손실됐다 – 이 국경 마을인 판문점에서 1953년 휴전협정이 맺어져 공식적인 종전이 아닌 채로 전쟁이 중단되며, 분단된 한국은 엄격히 말해 여전히 전쟁 상태에 남게 됐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Instead, the women, who had traveled from Pyongyang, the North Korean capital, were detoured to a checkpoint southwest of Panmunjom. There, convoys of South Korean trucks go to and from a joint industrial park in the North Korean town of Kaesong. The women, carrying banners, were again barred from walking across the border, and had to cross by bu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 대신 북한의 수도인 평양에서 출발한 이 여성들은 판문점의 남서쪽의 검문소로 우회했다. 그곳에서는 한국 호송 트럭들이 북한 도시 개성의 공동 산업 공단까지 오간다. 사인을 든 여성들은 경계를 걸어서 건너지 못하도록 다시 제지당했으며 버스를 타고 건너야 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65446D3875C10005" class="txc-image" width="600"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size:10pt;">Women at the Imjingak Pavilion in Paju, South Korea. “We were able to be citizen diplomats,”<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aid an organizer, Gloria Steinem. David Guttenfelder for The New York Times<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한국 파주의 임진각에 모인 여성들. “우리는 시민 외교관이 될 수 있었다”고 기획자인 글로리아 스타이넘이 말했다.</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till, they considered the endeavor a success. “We have accomplished what no one said can be done, which is to be a trip for peace, for reconciliation, for human rights and a trip to which both governments agreed,” Ms. Steinem told the South Korean news media. “We were able to be citizen diplomat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래도 그들은 행사가 성공이었다고 여겼다. “우리는 아무도 해낼 수 있다고 말한 바 없는 일, 평화와 화해, 그리고 인권을 위한 행진, 게다가 양국이 동의한 행진을 해냈다”고 스타이넘은 한국 뉴스 매체에 말했다. “우리는 시민 외교관이 될 수 있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women — including the Nobel Peace laureates Mairead Maguire from Northern Ireland and Leymah Gbowee from Liberia — arrived in Pyongyang on Tuesday for the march, which they hoped would highlight the need to build peace and set the stage for Korean reunification by formally ending the war with a permanent peace treaty.</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북아일랜드 출신 메어리드 맥과이어와 라이베리아 출신 리마 보위를 포함한 여성들이 도보 행진을 위해 화요일 평양에 도착했으며 이들은 이 행사를 통해 영구적인 평화협정으로 공식적으로 전쟁을 종결함으로써 평화를 구축하고 한반도 통일을 위한 장을 마련할 필요성을 강조하게 되기를 희망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crossing, however, took place amid tension over the North’s pursuit of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and over its human rights record.</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러나 이 종단은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 미사일 추진과 북한의 인권 상황과 관련된 긴장이 팽대한 가운데 행해졌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Just two days before the women’s arrival in Pyongyang, the North’s state-run media hurled one of its harshest — and most sexist — screeds against President Park Geun-hye of South Korea, calling her “a fork-tongued viper” and one “not worth calling a woman” because “she has never given birth to a baby.” Last week,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sai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led by Kim Jong-un, was “one of the most egregious examples of reckless disregard for human right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행진 참가 여성들의 평양 도착 불과 이틀 전에 북한의 국영 매체는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갈라진 혀를 가진 독사”, “아이를 낳아본 적이 없기” 때문에 “여자라고 부를 가치도 없는” 사람이라고 부르며 아주 거칠고 성차별적인 글로 비방했다. 지난 주, 존 케리 국무장관은 김정은이 이끄는 북한 정부에 대해 “무모할 정도로 인권을 무시하는 가장 지독한 예 중 하나”라고 말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ome rights activ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opposed the women’s trip, saying that it would be used as propaganda by North Korea. They urged the peace activists to call on the North to dismantle political prison camps and end human rights abuse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미국과 한국의 일부 인권 운동가들은 여성운동가들의 북한 방문에 반대하며 이번 방문이 북한이 자신들을 선전하는 데 이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여성 평화 운동가들에게, 정치범 수용소를 철거하고 인권 침해를 멈출 것을 북한에 요구하라고 촉구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654483392C620008" class="txc-image" width="600"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font-size:10pt;">International peace activists hold a news conference with the South Korean media<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after arriving by bus from North Korea across the Demilitarized Zone betwee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the two countries. David Guttenfelder for The New York Times<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국제 평화 운동가들은 버스를 타고 두 나라 사이에 놓인 비무장지대를<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건너 북한으로부터 도착한 후 남한 언론과 기자회견을 가졌다.</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When the activists marched in Pyongyang on Saturday, North Korean women in colorful traditional dresses lined a boulevard waving red and pink paper flowers, according to North Korean television footag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북한 텔레비전 영상에 의하면, 여성 평화 운동가들이 토요일 평양에서 행진할 때, 색색의 전통 의상을 입은 북한 여성들이 도로변에 줄지어 서서 빨간색과 분홍색의 종이꽃을 흔들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One of the roadside signs said “Let us reunify the divided country as soon as possible!” On the other side of the border on Sunday, hundreds of South Korean activists welcomed the women who crossed into the South Korean city of Paju, north of Seoul. Not far away, however, hundreds of conservative South Koreans, including defectors from the North, also rallied, accusing the activists of “flattering Kim Jong-un” and promoting a “fake peac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도로 옆에 한 사인에는 “최대한 빨리 분단된 조국을 통일시키자!”고 적혀 있었다. 일요일, 국경 다른 편에서는 수백 명의 남한 운동가들이 서울 북쪽에 있는 남한의 도시 파주로 넘어온 행진단을 환영했다. 그러나 멀지 않은 곳에서는 탈북자를 포함한 수백 명의 남한의 보수주의자들도 집회를 열고 여성 평화 운동가들을 “김정은을 찬양하고” “거짓 평화”를 증진시킨다며 비난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Go back to the North!” they chanted.</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북으로 돌아가라!”고 그들은 외쳤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conservative protesters cited reports in the state-run North Korean news media that quoted some of the visitors as praising North Korean leaders. In its reports about the activists’ meetings with North Korean women in Pyongyang, the North’s Korean Central News Agency also cited “speakers” who it said called the United States “a kingdom of terrorism and a kingpin of human rights abuse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보수 시위자들은 일부 방문자가 북한 지도자들을 찬양한 것을 인용한 북한의 국영 뉴스 미디어 보도를 언급했다. 조선중앙통신사는 또한 평양에서 북한 여성과 만난 자리에서 운동가들이 미국을 “테러의 왕국이며 인권 남용의 중심”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conservatives said those reports proved that the activists had been used as propaganda tools by the North. But organizers of the trip said that none of the visiting women had uttered any of the remarks that were reported in the North Korean media. The organizers stressed that their trip had been aimed at easing the mistrust and hostility that not only divided the two Koreas but also people in the South.</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보수주의자들은, 이런 보도는 행동가들이 북한에 의해 선전 도구로 이용되고 있음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행사 주최 측은 방문 중인 여성 어느 누구도 북한 언론에 보도된 그런 표현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주최 측은 이 행사는 남북한을 갈라놓았을 뿐 아니라 남한 내 국민들을 분열시킨 불신과 적대감을 완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everal South Korean activists have in the past defied the ban on visiting North Korea without government permission and traveled to Pyongyang to promote reconciliation. When they returned home to face arrest, North Korea gave them a rousing send-off at Panmunjom. South Korean officials did not want Ms. Steinem and her party to cross Panmunjom partly because they did not want North Korea to use the trip for similar propaganda.</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과거에 몇몇 남한 행동가들은 정부의 허가 없이 북한 방문을 금하는 것에 반대하며 화해를 조성하기 위해 평양을 방문했다. 그들이 체포를 앞두고 고국에 돌아올 때 북한은 판문점에서 열렬한 환송을 했다. 한국의 관계자들은 북한이 이 행사를 비슷한 선전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라도 스타이넘과 그 일행이 판문점을 건너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222222;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span><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222222;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br></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222222;list-style:none;border:0px none;text-align:justify;">************************************************************************<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line-height:23.3999996185303px;">*****</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font color="#0900ff" face="NanumGothic"><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a target="_blank" href="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www.facebook.com/TheNewsPro</b></span></a></span></font><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222222;list-style:none;border:0px non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a target="_blank" href="https://twitter.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twitter.com/thenewspro</b></span></a></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5/27 13:40:06  211.229.***.180  막시버무스  54574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3
    뉴욕타임스, 메르스 발생 박대통령에게 타격 입혀 light77 15/06/14 11:02 132 2
    752
    아동 성폭행 light77 15/06/14 02:36 54 0
    751
    논평] 이 나라를 어디로 끌고 가려 하는가? light77 15/06/14 00:47 87 2
    750
    RFI 블로그, 메르스 사태 책임지지 않는 “아몰랑, 유체이탈” 박근혜 [3] light77 15/06/13 08:15 224 2
    749
    뉴욕타임스, 장덕 마을 극단적 격리 조치, 취약한 정부 시스템 탓 [1] light77 15/06/12 22:19 99 6
    748
    뉴욕타임스, 홍콩 경보 수위 격상…메르스 공포 아시아 전역으로 확대 light77 15/06/11 12:08 96 1
    747
    RFI, 메르스로 한국인 패닉에 빠진 건 정부 불신 탓 [1] light77 15/06/10 13:16 145 5
    746
    주한미군, 메르스 발생 중 한국 병원 가지 말아라 권고 light77 15/06/10 10:34 95 3
    745
    美 NPR, 메르스 위기로 정부에 대한 대중의 불신 드러나 [1] light77 15/06/09 11:56 77 2
    744
    뉴욕타임스, 삼성 서울병원과 평택 성모병원에서 메르스 발생 [2] light77 15/06/08 13:24 103 5/2
    743
    뉴욕타임스 만평, 메르스로 국제적 비웃음 사는 한국 [1] light77 15/06/08 12:51 268 12
    742
    메르스 대처 실패 박근혜, 박원순 희생양 삼아 탈출 속셈? [3] light77 15/06/07 01:21 109 14
    741
    日 산케이 신문, 박근혜 정권 위기대응 능력 질타 light77 15/06/06 08:22 148 3
    740
    뉴욕타임스, 정부에 대한 불신, 메르스 공포 확산의 주범 [1] light77 15/06/05 13:09 100 1
    739
    인터프리터, 국정원 미확인 정보 흘리는 행위 일삼으며 정치에 개입 [1] light77 15/06/05 11:02 110 1
    738
    이계덕 기자 압수수색 [98] light77 15/06/04 14:26 322 17/3
    737
    UPI, 국제인권감시기구 한국에 국보법 폐지 권고 [1] light77 15/06/04 09:13 88 3
    736
    CNN, 한국 메르스 환자 2명 사망…우려가 현실로 light77 15/06/03 09:16 121 2
    735
    글로벌 타임스, 사드배치 후 한국은 미국의 총알받이 될 가능성 커 [1] light77 15/06/02 12:58 75 1
    734
    워싱턴 포스트, 한국 메르스 공포…700명 격리 light77 15/06/02 08:10 143 4
    733
    이그재미너, 한국은 왜 베트남전 위안부에게 사과 안 하나? [5] light77 15/06/01 13:08 209 1
    732
    디플로마트, 스타 케미컬 노동자 차광호씨 고공 연좌농성 신기록 light77 15/05/31 00:09 25 3
    731
    CNN, 미 국방부 – 한국에 살아있는 탄저균 실수로 배송 [3] light77 15/05/30 08:42 143 2
    뉴욕타임스, <위민 크로스 DMZ> “우리는 시민 외교관” light77 15/05/27 13:18 36 1
    729
    중국 CCTV, 북한 국방위원회 천안함 공동조사 요구 보도 [1] light77 15/05/26 01:43 63 3
    728
    야후 뉴스, 세월호 인양업체 공개입찰 보도 light77 15/05/25 08:47 38 1
    727
    봉하 – 노무현 대통령 6주기 현장 [1] light77 15/05/24 07:59 168 13
    726
    뉴욕타임스, ‘땅콩 분노’ 조현아.. 감옥 아닌 ‘집으로’ [5] light77 15/05/24 03:59 115 10
    725
    UPI, 세월호 유족에 손 내민 서울시, 보수단체 고소로 경찰 조사 [3] light77 15/05/23 08:19 42 11
    724
    진정한 용기는 잘못의 고백 light77 15/05/22 20:36 74 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