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583378
    작성자 : light77
    추천 : 5
    조회수 : 358
    IP : 199.115.***.220
    댓글 : 3개
    등록시간 : 2015/03/29 05:39:09
    http://todayhumor.com/?sisa_583378 모바일
    애리조나 데일리 스타, 동계 올림픽 한일 공동개최 권유
    <div><br></div> <div>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a target="_blank" href="https://thenewspro.org/?p=11313"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https://thenewspro.org/?p=11313</span></a><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font-size:12pt;"></span></b><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ff0000;">애리조나 데일리 스타, 동계 올림픽 한일 공동개최 권유</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무려 13조에 이르는 엄청난 비용, 강원도 경제적 부담 심각</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자존심 내려놓고 실리 따져야</span></b></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애리조나 데일리 스타는 22일 기사에서 한국은 단독 개최라는 ‘값비싼’ 꿈을 버리고 일본과의 공동 개최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기사는 평창 올림픽의 예산은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올림픽보다 10배가 넘는 천문학적인 액수이며, 평창이 속한, 부유하지 못한 강원도는 이미 중앙 정부 차원의 지원이 없으면 대회 개최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라고 전했다. 그러나 IOC가 비용 절감을 위해 일본과의 공동 개최를 촉구했음에도, 평창 올림픽 준비 위원장은 일본과의 공동 개최는 없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고 덧붙였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애리조나 데일리 스타는 평창은 나가노와의 공동개최를 통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시아의 올림픽’이라는 상징적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일본과의 협력이 불러올 상징적 이익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론, 한국은 외교와 국민감정 등 일본에 공동 개최를 제안하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2002 월드컵 공동 개최의 성공 사례를 돌아보면 해답을 얻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기사는 17일간의 올림픽이 강원도를 파산시킬 수도 있으며 선택은 한국 국민에게 달려 있다고 말하며 마무리했다.</span><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br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박 대통령은 한일 공동 개최는 의미 없다며 반대했다. 올림픽은 철저히 국익과 실리를 좇아야 한다. 이미 천문학적인 적자 발생이 기정사실로 됐고, 여기저기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늦지 않았다. 정부는 아무쪼록 한일 공동개최와 국내 분산 개최 여론에 귀를 열기를 바란다.</span></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애리조나 데일리 스타 기사 전문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번역 감수: 임옥</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기사 바로가기 ☞ <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pan><a target="_blank" href="http://tucson.com/ap/commentary/south-korea-should-co-host-olympics-with-japan/article_9a9dc093-da14-5d0a-afc9-3201aea94356.html"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http://tucson.com/ap/commentary/south-korea-should-co-host-olympics-with-japan/article_9a9dc093-da14-5d0a-afc9-3201aea94356.html</span></a><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 </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trong style="padding:0px;margin:0px;list-style:none;border:0px none;"><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South Korea should co-host Olympics with Japan</span></strong></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한국은 동계올림픽을 일본과 공동 개최해야 한다</b></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ext-align:center;"><img src="http://i1.media.daumcdn.net/uf/image/U01/agora/55170D083F5C3E000D" class="txc-image" width="481" style="border:0px;vertical-align:middle;max-width:600px;height:auto;margin-bottom:10px;clear:none;float:none;" al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March 22, 2015 3:30 pm • By Adam Minter Bloomberg New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In 2018, the Olympic torch will be lit in Pyeongchang, South Korea, kicking off the first Winter Olympics to be held in an Asian country other than Japan. But if South Korea really wants to make history it will decide to share those games — and their spiraling costs — with another country.</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2018년,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 중에는 처음으로 한국의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며 올림픽 성화에 불이 지펴질 것이다. 그러나 한국이 정말로 역사에 남을 일을 하고 싶다면 한국은 올림픽 경기들과 – 그리고 그 엄청난 비용을 – 다른 국가와 분담할 것을 결정할 것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For years,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gnored the rising costs and indebtedness associated with hosting the Olympics. But after Vladmir Putin’s $51 billion Sochi Olympics scared off several cities from even bidding for future games,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responded last December with a set of reforms. Among them was a provision allowing for games to be co-hosted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in order to lower costs for individual countrie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수년간 국제올림픽 위원회(IOC)는 올림픽 개최와 연계된 비용 상승과 채무를 무시해왔다. 그러나 블라드미르 푸틴이 소치올림픽에서 510억 달러(역주: 53조5,500억 원)를 소비한 이후 다른 도시들이 두려운 나머지 장래의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한 신청조차도 하기 꺼리면서 국제올림픽 위원회는 작년 12월 일련의 새로운 개혁방안을 내놓았다. 그 개혁안 중에는 개별 국가들의 비용을 낮추기 위해 국경을 넘어 타국과 공동개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항이 있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ough the provision wasn’t aimed at any particular country, Pyeongchang should be the first to make use of it. Since 2011, the prospective budget for the 2018 event has increased more than 50 percent, from an already steep $7.8 billion to $11.9 billion. (The final bill for 2006 Winter Games in Turin, Italy, was around $1 billio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이 조항은 어떤 특정한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평창은 이를 이용하는 첫 번째 도시가 되어야 한다. 2011년 이후로, 2018년 동계올림픽을 위한 잠정적인 예산은 이미 높은 액수였던 78억 달러 (역주: 8조6,190억 원)에서 119억 달러(역주: 13조1,495억 원)로 50% 이상 증가했다.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06 동계올림픽 대회의 최종 지출은 10억 달러(역주:1조1,050억 원) 정도였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As of December, Pyeongchang still needed eight more facilities, including a $120 million sliding center where the bobsled and luge events can be held. But after shelling out $1.5 billion for a ski resort, Gangwon, the underdeveloped state where Pyeongchang is located, is already threatening to forfeit its rights to host the games if the federal government doesn’t chip in more money. (It’s not clear what such a forfeiture would mean in practic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지난 12월 현재로 평창은 봅슬레드와 루지 경기가 열릴 수 있는 1억2천만 달러(역주: 1,326억 원)짜리 슬라이딩센터를 포함하여 8개의 시설이 여전히 더 필요했다. 하지만 스키 리조트 건설에 15억 달러(역주: 1조6,575억 원)를 지급한 후, 평창이 위치한 저개발 상태의 강원도는 중앙 정부가 더 큰 비용을 분담하지 않으면 평창의 대회 유치에 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겠다고 이미 협박 중이다. (이 포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Even if Pyeongchang manages to find the money it needs, that would just be the start of its troubles. As other Olympic cities have learned, maintaining Olympic venue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games can be extremely expensive — especially if nobody wants to pay to continue using them. (That problem has been particularly acute in Beijing, host of the 2008 Summer Games.) According to an analysis published last week, the cost of maintaining Pyeongchang’s Olympic venues will be approximately $18.9 million annually, including almost $3 million per year for the sliding cente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비록 평창이 필요한 돈을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문제의 시작일 것이다. 다른 올림픽 개최 도시들이 깨닫게 되었듯이 경기 폐막 후에 – 특히 아무도 그 시설들을 계속 사용하는데 돈을 내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 – 올림픽 시설들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비싼 비용이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2008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인 베이징에서 특히 심각했다.) 지난주에 발표된 한 분석에 따르면, 평창 올림픽 시설 유지에 드는 비용은 슬라이딩 센터 관리에만도 매년 3백만 달러(역주: 33억1,500만 원)로서 한 해에 대략 1천8백9십만 달러(역주: 208억8,450만 원)가 될 것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Shortly after the latest round of IOC reforms, several news organizations reported that the IOC was urging South Korea to give up on the expensive dream of hosting the Olympics solo, and share the sliding events with Nagano, Japan, as a cost-saving measure.</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IOC의 가장 최근 개혁안이 발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여러 뉴스 매체들은 IOC가 한국에 올림픽을 단독 개최하는 값비싼 꿈을 포기하고 비용 절감을 위해 일본의 나가노와 공동 개최할 것을 촉구해왔음을 보도했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ut if the economic logic is hard to argue with, the political symbolism seems to be a tougher sell. Since the election in Japan of nationalist Prime Minister Shinzo Abe, tensions between Tokyo and Seoul — always high — have been on the rise. When South Korea’s then-Prime Minister Chung Hong Won politely dismissed the idea of sharing the games last December, it may have been because he was wary of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costs of asking Japan to lend it a hand in 2018. The same goes for last week’s petulant announcement by the head of Pyeongchang’s organizing committee that South Korea would only share the Olympics in the case of a natural disaste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러나 한국이 공동 개최의 경제적 논리를 반박하기는 어렵겠지만, 한국에 공동 개최의 정치적 상징성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문제로 보인다. 일본의 민족주의자 수상인 아베 신조의 당선 이후, 서울과 도쿄의 갈등은 – 항상 높았지만 – 더욱 심화 되어왔다. 당시 한국의 총리 정홍원이 작년 12월 올림픽 공동 개최를 정중히 거절한 이유는, 2018년 올림픽 개최를 위해 일본에 손을 벌리는 것에 대해 정치적, 외교적으로 치를 대가를 염려했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주 평창 올림픽 준비 위원장은 자연재해의 경우에만 올림픽 공동 개최를 하겠다는 퉁명스러운 발표를 했는데, 그 발표의 원인 또한 같을 것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But South Korea shouldn’t only consider the symbolic costs of cooperating with Japan — it should also consider the potential symbolic gains. The country’s political leaders would be well-served by looking back to the 2002 World Cup they successfully co-hosted with Japan. It wasn’t the preferred option for either Japan or South Korea, each of who would have preferred to have had the honor of hosting on its own. But politics and practicality brought the two countries together. And the event is still universally cited as a success — not only for the events on the field, but also because it marked the first time that geopolitical rivals co-hosted a major sporting even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러나 한국은 일본과의 협력이 불러올 상징적 대가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이것이 의미하는 잠정적인 상징적 이익 또한 고려해야 한다. 한국의 정치인들에게는, 일본과 성공적으로 공동개최했던 2002 월드컵을 돌아보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일본이나 한국 모두 월드컵 단독 개최의 영광을 가지고 싶어 했기에 2002 월드컵 공동 개최는 일본에도 한국에도 선호된 선택이 아니었다. 그러나 정치와 실용성이 두 나라의 공동 개최가 가능케 했다. 그리고 이 월드컵 공동 개최는 여전히 성공적 사례로 일컬어진다. 경기장에서 벌어진 축구 경기들 자체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국과 일본이라는 두 지정학적 라이벌이 중요한 스포츠 행사를 최초로 공동 개최했다는 이유 때문에도 그러하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2018 Olympics are different. Pyeongchang won the right to host them, and Japan never even bid. But once again the two countries have the opportunity to step up and offer the world an example of sporting graciousness. Nagano hosted the 1998 Olympics, and it still has its sliding center. According to one report, it’s since been allowed to “rust,” but refurbishing it would be far cheaper, and far friendlier to the environment, than building one in Pyeongchang. It would also only add to the atmosphere of an “Asian Olympics.”</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2018년 올림픽은 다르다. 평창은 올림픽 유치권을 따냈으며, 일본은 유치 신청을 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다시 한 번 두 국가는 수준을 높여 스포츠 우아함의 본보기를 전 세계에 보여줄 기회를 가지게 된다. 나가노는 1998년 올림픽을 개최했고 아직 그 슬라이딩센터를 가지고 있다. 한 보도에 따르면, 슬라이딩 센터는 그 이후 “녹슬도록” 방치됐지만 이를 재단장하는 것이 평창에 슬라이딩 센터를 건설하는 것보다는 비용이 훨씬 저렴하고 더 환경친화적일 것이다. 게다가 그것은 “아시아의 올림픽”이라는 분위기를 더욱 고양시킬 것이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The choice ultimately is South Korea’s, and it will probably be dictated by national pride. But the South Koreans should keep in mind that bankrupting a small province over a 17-day Olympics is nothing to be proud of, eithe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 0px 1em;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list-style:none;border:0px none;color:#222222;">그 선택은 궁극적으로 한국이 해야 하며, 이는 아마도 국민적 자부심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17일간의 올림픽으로 작은 도(道) 하나가 파산되는 것 역시 자랑스러워할 게 못 된다는 것을 한국인들은 명심해야 한다.</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222222;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span><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222222;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br></span></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3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222222;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4px;line-height:21px;">************************************************************************</span><br></p> <p style="margin:0px auto 6px;padding:0px;font-family:Helvetica, Arial, 'lucida grande', tahoma, verdana, arial, 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17.5636348724365px;color:#141823;"><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font color="#0900ff" face="NanumGothic"><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a target="_blank" href="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www.facebook.com/TheNewsPro</b></span></a></span></font><br></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font color="#222222" face="NanumGothic"><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br></span></font></p> <p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font-family:'굴림', gulim, sans-serif;font-size:12.7272720336914px;line-height:23.3999996185303px;color:#333333;"><a target="_blank" href="https://twitter.com/thenewspro" target="_blank" class="tx-link" style="text-decoration:none;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font-size:13.63636302948px;line-height:21px;"><span style="margin:0px auto;padding:0px;color:#0900ff;"><b>https://twitter.com/thenewspro</b></span></a></p></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3/29 05:46:48  58.235.***.226  동네호구오빠  579449
    [2] 2015/03/29 08:52:02  59.3.***.69  악멸  263515
    [3] 2015/03/29 09:14:30  110.70.***.165  topdeck1102  547731
    [4] 2015/03/29 10:31:53  124.5.***.36  longofu  597572
    [5] 2015/03/29 14:55:50  123.99.***.182  게르만족  346574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3
    AFP, 세월호 유족 경찰과 충돌 타전 light77 15/04/12 08:36 52 3
    662
    멕시코 통신사 노티맥스, 한국 세월호 침몰 1주기 보도 light77 15/04/11 12:01 30 4
    661
    블룸버그, 세월호 유가족들과의 “심층” 인터뷰 [1] light77 15/04/10 11:48 41 11
    660
    지지통신, 한국의 일본 전문가 “가토 전 지국장, 출국 허용돼야” light77 15/04/10 02:11 49 0
    659
    세월호 참사 1주기, 전 세계 해외 동포 동시 추모 집회 light77 15/04/09 01:10 23 1
    658
    글로벌 포스트, 박 정권의 심각한 인권 탄압 국민들의 입 막아 light77 15/04/08 00:54 89 5
    657
    스페인 EFE 통신사, 생생한 세월호 유가족 행진 사진 보도 light77 15/04/07 13:34 34 6
    656
    로이터 통신, 한국 세월호 유가족 항의 행진 영상 보도 light77 15/04/07 07:53 44 10
    655
    스위스 국영통신, 유족들의 항의 도보 행진 보도 [1] light77 15/04/06 16:18 56 13
    654
    야후 뉴스, 세월호 유가족과 시민들 행진 종료 보도 light77 15/04/06 07:06 58 2
    653
    블룸버그, ‘재벌 저격수’ 새정연 박영선 의원 인터뷰 light77 15/04/05 23:35 105 0
    652
    야후 뉴스, 미군 실사격 훈련 규탄 및 반대집회 사진 게재 light77 15/04/05 15:22 68 2
    651
    BBC, 세월호 유가족들, 독립적 조사 촉구하며 행진 [1] light77 15/04/05 12:22 26 5
    650
    알자지라, 세월호 참사 1주기 실종자 유가족 인터뷰 [1] light77 15/04/04 11:51 35 15
    649
    <르몽드>, ‘김영란법’으로 촌지, 떡값 사라질까 [1] light77 15/04/03 13:07 82 0
    648
    가디언,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 정부에 대한 항의 표시로 삭발식 단행 [1] light77 15/04/03 08:15 67 6
    647
    레볼루션 뉴스, 세월호 유가족에 공권력행사하는 한국 경찰 [2] light77 15/04/02 07:44 107 10
    646
    미주 동포 일본 재침략 야욕 온몸 던져 막는다! light77 15/04/01 21:57 88 0
    645
    [논평] 외교마저 정신 못 차리나? light77 15/04/01 00:20 60 0
    644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전면철회 재외동포 성명서 light77 15/03/31 13:09 32 12
    643
    IHS 마리타임 360, 세월호 가족들, 세월호 조속인양 촉구 [1] light77 15/03/31 07:57 41 7
    642
    더스탠다드, 가난으로 불행한 한국 노인들 [1] light77 15/03/30 08:50 190 4
    641
    아시아원, 해군 잇따른 비리, 천안함 희생 노력 무력케 해 [2] light77 15/03/29 23:27 40 1
    640
    텔레그래프, 세월호 인양을 위한 “3보 1배” 사진 보도 [6] light77 15/03/29 14:43 27 12
    639
    캐나다 세월호 간담회 사진들 [2] light77 15/03/29 09:36 44 12
    애리조나 데일리 스타, 동계 올림픽 한일 공동개최 권유 [5] light77 15/03/29 05:39 89 5
    637
    캐나다에서 울려 퍼진 “진실을 인양하라” “세월호를 인양하라” [1] light77 15/03/25 11:21 54 8
    636
    뉴욕타임스 만평, 한국에서 펼쳐지는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 [4] light77 15/03/24 11:21 159 6
    635
    캐나다 최대 방송사 CTV, 세월호 유가족 인터뷰 [1] light77 15/03/24 06:25 63 11
    634
    뉴욕타임스, A.I.I.B.에 대한 오판으로 중국에 설욕패 당한 미국 [2] light77 15/03/24 02:24 91 2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