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v^_^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05-12-19
    방문 : 342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data_586045
    작성자 : v^_^
    추천 : 3
    조회수 : 735
    IP : 118.216.***.160
    댓글 : 1개
    등록시간 : 2010/03/25 21:10:50
    http://todayhumor.com/?humordata_586045 모바일
    내일이면 도마 안중근 서거 100주년입니다.
    내일(3월 26일)이면 안중근 의사께서 서거하신지 100년이 됩니다.
    기사 중에 쓸만한 것 하나와 위키피디아 내용을 올리고 갑니다.

    <a target="_blank" h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00325100628422&p=nocut&RIGHT_COMM=R4 target="_blank"><font size=4>왜 안중근 의사를 되돌아보는가?</font></a>

    *출처: 위키피디아 - 안중근
    <h1 id="firstHeading" class="firstHeading">안중근</h1>
    <div id="bodyContent">
    <h3 id="siteSub">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3>
    <div id="contentSub"></div>
    <tr>
    <td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125%; font-weight: bold; text-align:center; font-size:125%;"><b>안중근</b></td>
    </tr>
    <tr>
    <td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padding:4pt; line-height:1.25em; text-align:center; font-size:8pt;"><a target="_blank" href="/wiki/%ED%8C%8C%EC%9D%BC:An_Jung-geun.JPG" class="image"><img alt="{{{그림툴팁}}}" src="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e/An_Jung-geun.JPG/225px-An_Jung-geun.JPG" width="225" height="286" /></a></td>
    </tr>
    <tr>
    <td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div style="padding-top:2pt;"></div>
    </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b><span style="white-space:nowrap">출생</span></b></th>
    <td><a target="_blank" href="/wiki/1879%EB%85%84" title="1879년">1879년</a> <a target="_blank" href="/wiki/9%EC%9B%94_2%EC%9D%BC" title="9월 2일">9월 2일</a><br />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 title="조선">조선</a> <a target="_blank" href="/wiki/%ED%99%A9%ED%95%B4%EB%8F%84" title="황해도">황해도</a> <a target="_blank" href="/wiki/%ED%95%B4%EC%A3%BC%EA%B5%B0" title="해주군" class="mw-redirect">해주부</a></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b><span style="white-space:nowrap">사망</span></b></th>
    <td><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6%EC%9D%BC" title="3월 26일">3월 26일</a><br />
    <a target="_blank" href="/wiki/%EC%9D%BC%EB%B3%B8_%EC%A0%9C%EA%B5%AD" title="일본 제국">일본 제국</a> <a target="_blank" href="/wiki/%EB%A4%BC%EC%88%9C" title="뤼순" class="mw-redirect">료쥰</a></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사인</b></span></th>
    <td>포로(사형)</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국적</b></span></th>
    <td class="category"><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 title="조선">조선</a>, <span class="flagicon"><a target="_blank" href="/wiki/%ED%8C%8C%EC%9D%BC:Flag_of_Korea_1882.svg" class="image" title="대한제국의 국기"><img alt="대한제국의 국기" src="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0/Flag_of_Korea_1882.svg/22px-Flag_of_Korea_1882.svg.png" width="22" height="15" class="thumbborder" /></a></span>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 title="대한제국">대한제국</a></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별칭</b></span></th>
    <td class="nickname">응칠(아명), 도마(세례명)</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직업</b></span></th>
    <td class="role"><a target="_blank" href="/wiki/%EA%B5%90%EC%9C%A1%EC%9E%90" title="교육자" class="mw-redirect">교육자</a>, <a target="_blank" href="/wiki/%EA%B5%B0%EC%9D%B8" title="군인">군인</a>, <a target="_blank" href="/wiki/%EB%8F%85%EB%A6%BD%EC%9A%B4%EB%8F%99%EA%B0%80" title="독립운동가" class="mw-redirect">독립운동가</a>,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D%95%AD%EC%9D%B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항일 (존재하지 않는 문서)">항일</a>운동가</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종교</b></span></th>
    <td><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 title="천주교" class="mw-redirect">천주교</a></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배우자</b></span></th>
    <td>김아려</td>
    </tr>
    <tr>
    <th style="background:transparent;"><span style="white-space:nowrap"><b>부모</b></span></th>
    <td>안태훈,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B%A7%88%EB%A6%AC%EC%95%84" title="조마리아">조마리아</a></td>
    </tr>
    </table>
    <p><b>안중근</b>(安重根, <a target="_blank" href="/wiki/1879%EB%85%84" title="1879년">1879년</a> <a target="_blank" href="/wiki/9%EC%9B%94_2%EC%9D%BC" title="9월 2일">9월 2일</a>~<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6%EC%9D%BC" title="3월 26일">3월 26일</a>)은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 title="대한제국">대한제국</a>의 교육가, <a target="_blank" href="/wiki/%EB%8F%85%EB%A6%BD%EC%9A%B4%EB%8F%99" title="독립운동">독립운동</a>가, 대한의병 참모중장이다. <a target="_blank" href="/wiki/%EB%B3%B8%EA%B4%80" title="본관">본관</a>은 <a target="_blank" href="/wiki/%EC%88%9C%ED%9D%A5_%EC%95%88%EC%94%A8" title="순흥 안씨">순흥</a>, 고려조 명현 <a target="_blank" href="/wiki/%EC%95%88%ED%96%A5" title="안향">안향</a>의 26대손이다.<sup id="cite_ref-.EC.95.88.EC.A4.91.EA.B7.BC.EC.9D.98.EC.82.AC_.EA.B8.B0.EB.85.90.EA.B4.80_0-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EC.95.88.EC.A4.91.EA.B7.BC.EC.9D.98.EC.82.AC_.EA.B8.B0.EB.85.90.EA.B4.80-0">[1]</a></sup></p>
    <p><a target="_blank" href="/wiki/1905%EB%85%84" title="1905년">1905년</a>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 title="조선">조선</a>을 사실상 <a target="_blank" href="/wiki/%EC%9D%BC%EB%B3%B8" title="일본">일본</a>의 보호국으로 만든 <a target="_blank" href="/wiki/%EC%9D%84%EC%82%AC%EC%A1%B0%EC%95%BD" title="을사조약" class="mw-redirect">을사조약</a>이 체결된 것에 저항해, 독립 운동에 투신한 그는 <a target="_blank" href="/wiki/1909%EB%85%84" title="1909년">1909년</a> <a target="_blank" href="/wiki/10%EC%9B%94_26%EC%9D%BC" title="10월 26일">10월 26일</a>에 <a target="_blank" href="/wiki/%EC%A4%91%EA%B5%AD" title="중국">중국</a> <a target="_blank" href="/wiki/%ED%95%98%EC%96%BC%EB%B9%88" title="하얼빈" class="mw-redirect">하얼빈</a> 역에서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a>를 저격, 사살했다.</p>
    <p>어려서 <b>안응칠</b>(安膺七)이라는 아명으로 불렸으며, 독실한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 title="천주교" class="mw-redirect">천주교</a> 신자였던 그의 <a target="_blank" href="/wiki/%EC%84%B8%EB%A1%80%EB%AA%85" title="세례명">세례명</a>은 <a target="_blank" href="/wiki/%EC%82%AC%EB%8F%84" title="사도">사도</a> <a target="_blank" href="/wiki/%ED%86%A0%EB%A7%88%EC%8A%A4_(%EC%82%AC%EB%8F%84)" title="토마스 (사도)" class="mw-redirect">성 토마스</a>의 이름을 딴 토마스였다. 그래서 <b>안중근 토마스</b>(혹은 <b>도마 안중근</b>)라고도 불린다.</p>
    <table id="toc" class="toc">
    <tr>
    <td>
    <div id="toctitle">
    <h2>목차</h2>
    </div>
    <ul>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a target="_blank" href="#.EC.83.9D.EC.95.A0"><span class="tocnumber">1</span> <span class="toctext">생애</span></a>
    <ul>
    <li class="toclevel-2 tocsection-2"><a target="_blank" href="#.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_.EC.A0.80.EA.B2.A9"><span class="tocnumber">1.1</span> <span class="toctext">이토 히로부미 저격</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3"><a target="_blank" href="#.EA.B9.80.EA.B5.AC.EC.99.80.EC.9D.98_.EC.9D.B8.EC.97.B0"><span class="tocnumber">1.2</span> <span class="toctext">김구와의 인연</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4"><a target="_blank" href="#.EB.A7.88.EC.A7.80.EB.A7.89_.ED.96.89.EC.A0.81"><span class="tocnumber">1.3</span> <span class="toctext">마지막 행적</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5"><a target="_blank" href="#.EC.97.B0.EB.B3.B4"><span class="tocnumber">1.4</span> <span class="toctext">연보</span></a></li>
    </ul>
    </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6"><a target="_blank" href="#.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_.EC.82.AC.EC.82.B4.EC.9D.98_.EC.98.81.ED.96.A5"><span class="tocnumber">2</span> <span class="toctext">이토 히로부미 사살의 영향</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7"><a target="_blank" href="#.EB.8F.99.EC.96.91.ED.8F.89.ED.99.94.EB.A1.A0"><span class="tocnumber">3</span> <span class="toctext">동양평화론</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8"><a target="_blank" href="#.ED.8F.89.EA.B0.80"><span class="tocnumber">4</span> <span class="toctext">평가</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9"><a target="_blank" href="#.EA.B0.80.EC.A1.B1_.EA.B4.80.EA.B3.84"><span class="tocnumber">5</span> <span class="toctext">가족 관계</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0"><a target="_blank" href="#.EC.A0.80.EC.84.9C_.EB.B0.8F_.EC.9C.A0.EB.AC.B5"><span class="tocnumber">6</span> <span class="toctext">저서 및 유묵</span></a>
    <ul>
    <li class="toclevel-2 tocsection-11"><a target="_blank" href="#.EC.A0.80.EC.84.9C"><span class="tocnumber">6.1</span> <span class="toctext">저서</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12"><a target="_blank" href="#.EC.8B.9C"><span class="tocnumber">6.2</span> <span class="toctext">시</span></a></li>
    <li class="toclevel-2 tocsection-13"><a target="_blank" href="#.EC.9C.A0.EB.AC.B5"><span class="tocnumber">6.3</span> <span class="toctext">유묵</span></a></li>
    </ul>
    </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4"><a target="_blank" href="#.EA.B8.B0.EB.85.90_.EC.82.AC.EC.97.85"><span class="tocnumber">7</span> <span class="toctext">기념 사업</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5"><a target="_blank" href="#.EA.B4.80.EB.A0.A8_.EC.98.81.ED.99.94"><span class="tocnumber">8</span> <span class="toctext">관련 영화</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6"><a target="_blank" href="#.EB.AC.B8.ED.99.94.EC.97.90_.EB.82.98.EC.98.A8_.EC.95.88.EC.A4.91.EA.B7.BC"><span class="tocnumber">9</span> <span class="toctext">문화에 나온 안중근</span></a>
    <ul>
    <li class="toclevel-2 tocsection-17"><a target="_blank" href="#.EC.95.88.EC.A4.91.EA.B7.BC.EC.9D.84_.EC.97.B0.EA.B8.B0.ED.95.9C_.EB.B0.B0.EC.9A.B0"><span class="tocnumber">9.1</span> <span class="toctext">안중근을 연기한 배우</span></a></li>
    </ul>
    </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8"><a target="_blank" href="#.ED.95.A8.EA.BB.98_.EB.B3.B4.EA.B8.B0"><span class="tocnumber">10</span> <span class="toctext">함께 보기</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19"><a target="_blank" href="#.EC.A3.BC.EC.84.9D"><span class="tocnumber">11</span> <span class="toctext">주석</span></a></li>
    <li class="toclevel-1 tocsection-20"><a target="_blank" href="#.EB.B0.94.EA.B9.A5_.EA.B3.A0.EB.A6.AC_.EB.B0.8F_.EC.B0.B8.EC.A1.B0_.EC.9E.90.EB.A3.8C"><span class="tocnumber">12</span> <span class="toctext">바깥 고리 및 참조 자료</span></a></li>
    </ul>
    </td>
    </tr>
    </table>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if (window.showTocToggle) { var tocShowText = "보이기"; var tocHideText = "숨기기"; showTocToggle(); }
    //]]>
    </script>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 title="부분 편집: 생애">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83.9D.EC.95.A0">생애</span></h2>
    <p><a target="_blank" href="/wiki/%ED%99%A9%ED%95%B4%EB%8F%84" title="황해도">황해도</a> <a target="_blank" href="/wiki/%ED%95%B4%EC%A3%BC%EA%B5%B0" title="해주군" class="mw-redirect">해주부</a> <a target="_blank" href="/wiki/%EC%88%98%EC%96%91%EC%82%B0_(%ED%99%A9%ED%95%B4%EB%8F%84)" title="수양산 (황해도)">수양산</a> 아래에서<sup id="cite_ref-autogenerated1_1-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autogenerated1-1">[2]</a></sup> 현감 안인수의 손자이자 진사 안태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천주교 성당 건축에 참여할 정도로 독실한 신앙심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sup id="cite_ref-2"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2">[3]</a></sup>, 안중근 자신도 <a target="_blank" href="/wiki/1895%EB%85%84" title="1895년">1895년</a>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 title="천주교" class="mw-redirect">천주교</a>학교에 입학하여 <a target="_blank" href="/wiki/%EC%8B%A0%ED%95%99" title="신학">신학</a>과 <a target="_blank" href="/wiki/%ED%94%84%EB%9E%91%EC%8A%A4%EC%96%B4" title="프랑스어">프랑스어</a>를 배웠다. <a target="_blank" href="/wiki/1904%EB%85%84" title="1904년">1904년</a> <a target="_blank" href="/wiki/%ED%8F%89%EC%96%91" title="평양" class="mw-redirect">평양</a>에서 석탄 장사를 하다가, <a target="_blank" href="/wiki/1905%EB%85%84" title="1905년">1905년</a>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 title="조선">조선</a>을 사실상 <a target="_blank" href="/wiki/%EC%9D%BC%EB%B3%B8" title="일본">일본</a>의 식민지로 만든 <a target="_blank" href="/wiki/%EC%9D%84%EC%82%AC%EC%A1%B0%EC%95%BD" title="을사조약" class="mw-redirect">을사조약</a>이 체결되는 것을 보고 이를 저항해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이어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82%BC%ED%9D%A5%ED%95%99%EA%B5%9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삼흥학교 (존재하지 않는 문서)">삼흥학교</a>를 세우고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F%88%EC%9D%98%ED%95%99%EA%B5%9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돈의학교 (존재하지 않는 문서)">돈의학교</a>를 인수해 교육에 힘쓰다가 <a target="_blank" href="/wiki/1907%EB%85%84" title="1907년">1907년</a> <a target="_blank" href="/wiki/%EC%97%B0%ED%95%B4%EC%A3%BC" title="연해주" class="mw-redirect">연해주</a>로 건너가 <a target="_blank" href="/wiki/%EC%9D%98%EB%B3%91" title="의병">의병</a>에 가담하였다.</p>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2" title="부분 편집: 이토 히로부미 저격">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_.EC.A0.80.EA.B2.A9">이토 히로부미 저격</span></h3>
    <dl>
    <dd><small>이 부분의 본문은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_%EC%A0%80%EA%B2%A9_%EC%82%AC%EA%B1%B4" title="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a>입니다.</small></dd>
    </dl>
    <div class="thumb tright">
    <div class="thumbinner" style="width:182px;"><a target="_blank" href="/wiki/%ED%8C%8C%EC%9D%BC:Fn1900.jpg" class="image"><img alt="" src="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9/Fn1900.jpg/180px-Fn1900.jpg" width="180" height="135" class="thumbimage" /></a>
    <div class="thumbcaption">
    <div class="magnify"><a target="_blank" href="/wiki/%ED%8C%8C%EC%9D%BC:Fn1900.jpg" class="internal" title="실제 크기로"><img src="http://bits.wikimedia.org/skins-1.5/common/images/magnify-clip.png" width="15" height="11" alt="" /></a></div>
    사용된 권총과 같은 모델. 벨기에 <a target="_blank" href="/wiki/FN_M1900" title="FN M1900">FN M1900</a> 권총. 중국과 북한에서 생산되었다.</div>
    </div>
    </div>
    <p><a target="_blank" href="/wiki/1909%EB%85%84" title="1909년">1909년</a> <a target="_blank" href="/wiki/10%EC%9B%94" title="10월">10월</a>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a>가 <a target="_blank" href="/wiki/%EB%9F%AC%EC%8B%9C%EC%95%84_%EC%A0%9C%EA%B5%AD" title="러시아 제국">러시아 제국</a>의 재무장관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BD%94%EC%BD%94%ED%94%84%EC%B2%B4%ED%94%8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코코프체프 (존재하지 않는 문서)">코코프체프</a>와 회담하기 위해 <a target="_blank" href="/wiki/%ED%95%98%EC%96%BC%EB%B9%88" title="하얼빈" class="mw-redirect">하얼빈</a>에 오게 되었다. <sup id="cite_ref-chosun1_3-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chosun1-3">[4]</a></sup><a target="_blank" href="/wiki/%ED%95%98%EC%96%BC%EB%B9%88" title="하얼빈" class="mw-redirect">하얼빈</a> 역 전 역인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B1%84%EA%B0%80%EA%B5%A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채가구 (존재하지 않는 문서)">채가구</a> 역, <a target="_blank" href="/wiki/%EC%B0%BD%EC%B6%98" title="창춘" class="mw-redirect">창춘</a> 역에서도 <a target="_blank" href="/wiki/%EC%9A%B0%EB%8D%95%EC%88%9C" title="우덕순">우덕순</a>과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A1%B0%EB%8F%84%EC%84%A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조도선 (존재하지 않는 문서)">조도선</a>,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C%A0%EB%8F%99%ED%95%9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유동하 (존재하지 않는 문서)">유동하</a>의 암살 계획이 있었으나, 각각 철통 같은 수색과 역장의 의심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안중근 이전에도 안양에서 <a target="_blank" href="/wiki/%EC%9B%90%ED%83%9C%EC%9A%B0" title="원태우">원태우</a>가 돌을 던져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한 적이 있었다. 안중근은 하얼빈 역 기차에서 내리는 이토 히로부미를 <a target="_blank" href="/wiki/FN_M1900" title="FN M1900">브라우닝제 반자동권총 M1900</a>으로 저격하였다. <sup id="cite_ref-4"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4">[5]</a></sup>이외에도, 일곱 발의 저격 총알 중, 나머지 네 발 중 세 발은 각각 옆에 있던 수행비서관, 하얼빈 주재 일본 총영사,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A7%8C%EC%A3%BC_%EC%B2%A0%EB%8F%8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만주 철도 (존재하지 않는 문서)">만철</a> 이사를 맞혔다.<sup id="cite_ref-chosun1_3-1"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chosun1-3">[4]</a></sup></p>
    <p>저격 후, 안중근은 <a target="_blank" href="/wiki/%EB%9F%AC%EC%8B%9C%EC%95%84%EC%96%B4" title="러시아어">러시아어</a>로</p>
    <table align="center"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order-style:none; background-color:transparent;">
    <tr>
    <td width="20" valign="top" style="color:#B2B7F2;font-size:40px;font-family:serif;font-weight:bold;text-align:left;padding-top:20px;">“</td>
    <td valign="top" style="padding:10px;">
    <p><b>코레야 우라! (Корея! Ура!)</b></p>
    </td>
    <td width="20" valign="bottom" style="color:#B2B7F2;font-size:40px;font-family:serif;font-weight:bold;text-align:right;padding-top:20px;">”</td>
    </tr>
    </table>
    <p>(<b>한국 만세</b>라는 뜻)라고 크게 외쳤다. <sup id="cite_ref-chosun1_3-2"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chosun1-3">[4]</a></sup></p>
    <p>저격 30분만인 오전 10시경, 이토 히로부미는 피격당한 직후 열차 으로 옮겨졌다. 죽기 직전에 브랜디(옛날에는 각성제로 종종 사용) 한 모금 마시고 "범인은 조선인인가?"하고 물었으며, 주변에서 그렇다고 대답하자 "바보 같은.."이라고 뇌까리며 죽었다고 한다. 이는 당시 사건 현장에 있던 주변인물들의 증언에 의한 것이지만 조작이라는 주장이 있다. 총을 세 발이나 맞고 그런 말을 남길 수 있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 동행한 의사의 증언으로는 분명히 열차 내로 옮길 때까지 살아있었다고 한다. 다만, 다른 책에서는 죽을 당시에 "난 틀렸다... 다른 부상자는?"이란 말을 남기고 죽었다고도 기록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감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p>
    <p>안중근은 곧바로 <a target="_blank" href="/wiki/%EB%9F%AC%EC%8B%9C%EC%95%84_%EC%A0%9C%EA%B5%AD" title="러시아 제국">러시아 제국</a> 공안들에게 체포되어 <a target="_blank" href="/wiki/%EC%9D%BC%EB%B3%B8" title="일본">일본</a> 정부에 넘겨져 <a target="_blank" href="/wiki/%EB%A4%BC%EC%88%9C" title="뤼순" class="mw-redirect">뤼순</a> 감옥에 갇혀 <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2%EC%9B%94_14%EC%9D%BC" title="2월 14일">2월 14일</a> 사형 선고를 받고, 같은해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6%EC%9D%BC" title="3월 26일">3월 26일</a> 처형되었으며, 유해는 오늘날 현재까지도 찾지 못했다. 같이 거사한 <a target="_blank" href="/wiki/%EC%9A%B0%EB%8D%95%EC%88%9C" title="우덕순">우덕순</a>은 징역 3년,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A1%B0%EB%8F%84%EC%84%A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조도선 (존재하지 않는 문서)">조도선</a>과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C%A0%EB%8F%99%ED%95%9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유동하 (존재하지 않는 문서)">유동하</a>는 각각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한편 법관양성소 출신 <a target="_blank" href="/wiki/%EB%B3%80%ED%98%B8%EC%82%AC" title="변호사">변호사</a>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B%B3%91%EC%B0%A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병찬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병찬</a>(安秉瓚)이 안중근을 위해 무료 변론을 하였다. 안중근은 체포되어 처형되기까지 재판과정에서 재판소내의 어떤 기세에도 굴하지 않고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a>를 죽인 이유를 당당히 밝혔다.</p>
    <blockquote class="toccolours" style="margin:14px 40px; padding: 10px 15px 10px 15px; display:table;">
    <p><b>내가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a>를 죽인 이유는 이러하다.</b><br />
    <br />
    1. 한국의 <a target="_blank" href="/wiki/%EB%AF%BC%EB%B9%84" title="민비" class="mw-redirect">민황후</a>를 시해한 죄요<br />
    2.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_%EA%B3%A0%EC%A2%85" title="대한제국 고종">고종</a>를 폐위시킨 죄요<br />
    3. <a target="_blank" href="/wiki/%EC%9D%84%EC%82%AC%EC%A1%B0%EC%95%BD" title="을사조약" class="mw-redirect">5조약</a>과 7조약을 강제로 맺은 죄요<br />
    4. 무고한 한국인들을 학살한 죄요<br />
    5. 정권을 강제로 빼앗은 죄요<br />
    6. 철도, 광산, 산림, 천택을 강제로 빼앗은 죄요<br />
    7. 제일은행권 지폐를 강제로 사용한 죄요<br />
    8. 군대를 해산시킨 죄요<br />
    9. 교육을 방해한 죄요<br />
    10.한국인들의 외국 유학을 금지시킨 죄요<br />
    11.교과서를 압수하여 불태워 버린 죄요<br />
    12.한국인이 일본인의 보호를 받고자 한다고 세계에 거짓말을 퍼뜨린 죄요<br />
    13.현재 한국과 일본 사이에 경쟁이 쉬지 않고 살육이 끊이지 않는데 태평 무사한 것처럼 위로 천황을 속인 죄요<br />
    14.동양 평화를 깨뜨린 죄요<br />
    15.<a target="_blank" href="/wiki/%EA%B3%A0%EB%A9%94%EC%9D%B4_%EC%B2%9C%ED%99%A9" title="고메이 천황">일본 천황 폐하의 아버지 태황제</a>를 죽인 죄이다.<sup id="cite_ref-5"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5">[6]</a></sup><br />
    <br />
    내가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a>를 죽인 이유는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a>가 있으면 동양의 평화를 어지럽게 하고 한일간이 멀어지기 때문에 한국의 의병 중장의 자격으로 죄인을 처단한 것이다. 그리고 나는 한일 양국이 더 친밀해지고, 또 평화롭게 다스려지면 나아가서 오대주에도 모범이 돼 줄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결코 나는 오해하고 죽인 것은 아니다.</p>
    </blockquote>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3" title="부분 편집: 김구와의 인연">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A.B9.80.EA.B5.AC.EC.99.80.EC.9D.98_.EC.9D.B8.EC.97.B0">김구와의 인연</span></h3>
    <p>백범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A%B5%AC" title="김구">김구</a>가 <a target="_blank" href="/wiki/%EB%8F%99%ED%95%99_%EB%86%8D%EB%AF%BC_%EC%9A%B4%EB%8F%99" title="동학 농민 운동">동학 농민 운동</a>에 참여했다가 실패한 후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이 <a target="_blank" href="/wiki/%EC%B2%AD%ED%95%99%EB%8F%99" title="청학동">청학동</a>으로 이사하여 살게 되었을 때 처음 대면하였으며,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A%B5%AC" title="김구">김구</a>는 그가 총으로 사냥을 잘하며 남자다웠다고 평하였다. 또한 <a target="_blank" href="/wiki/%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 title="이토 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a> 처단 후 그의 부인 등의 유족을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A%B5%AC" title="김구">김구</a>가 돌보았으며 안중근의 동생인 <a target="_blank" href="/wiki/%EC%95%88%EA%B3%B5%EA%B7%BC" title="안공근">안공근</a>은 상하이에서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A%B5%AC" title="김구">김구</a>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p>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4" title="부분 편집: 마지막 행적">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B.A7.88.EC.A7.80.EB.A7.89_.ED.96.89.EC.A0.81">마지막 행적</span></h3>
    <p><a target="_blank" href="/wiki/2008%EB%85%84" title="2008년">2008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5%EC%9D%BC" title="3월 25일">3월 25일</a>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A%B5%AD%EC%A0%9C%ED%95%9C%EA%B5%AD%EC%97%B0%EA%B5%AC%EC%9B%9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국제한국연구원 (존재하지 않는 문서)">국제한국연구원</a>은 안중근이 사형선고를 받은 <a target="_blank" href="/wiki/2%EC%9B%94_14%EC%9D%BC" title="2월 14일">2월 14일</a>부터 순국한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6%EC%9D%BC" title="3월 26일">3월 26일</a>까지의 행적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공개하였다.</p>
    <ul>
    <li><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2%EC%9B%94_14%EC%9D%BC" title="2월 14일">2월 14일</a> : 오전 10시 30분 <a target="_blank" href="/wiki/%EB%A4%BC%EC%88%9C" title="뤼순" class="mw-redirect">뤼순</a>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A%B4%80%EB%8F%99%EB%8F%84%EB%8F%85%EB%B6%8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관동도독부 (존재하지 않는 문서)">관동도독부</a> <a target="_blank" href="/wiki/%EC%A7%80%EB%B0%A9%EB%B2%95%EC%9B%90" title="지방법원">지방법원</a>에서 <a target="_blank" href="/wiki/%EC%82%AC%ED%98%95" title="사형">사형</a> 선고를 받음. 안중근은 당시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 title="천주교" class="mw-redirect">천주교</a> 조선대목구(현재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_%EC%84%9C%EC%9A%B8%EB%8C%80%EA%B5%90%EA%B5%AC" title="천주교 서울대교구">천주교 서울대교구</a>)장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AE%88%ED%85%9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뮈텔 (존재하지 않는 문서)">뮈텔</a> <a target="_blank" href="/wiki/%EC%A3%BC%EA%B5%90" title="주교">주교</a>에게 전보를 보내 <a target="_blank" href="/wiki/%EC%82%AC%EC%A0%9C" title="사제">사제</a>를 보내줄 것을 요청함.</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2%EC%9B%94_17%EC%9D%BC" title="2월 17일">2월 17일</a> : 안중근은 고등법원장을 면담하여 한 국가의 독립을 위한 의병장으로서의 행동을 살인범으로 심리한 것에 이의를 제기함.</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9%EC%9D%BC" title="3월 9일">3월 9일</a> : <a target="_blank" href="/wiki/%EA%B3%A0%ED%95%B4%EC%84%B1%EC%82%AC" title="고해성사">고해성사</a>를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A1%B0%EC%A0%9C%ED%94%84_%EB%B9%8C%EB%A0%9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조제프 빌렘 (존재하지 않는 문서)">조제프 빌렘</a> 당시 <a target="_blank" href="/wiki/%ED%99%A9%ED%95%B4%EB%8F%84" title="황해도">황해도</a> 천주교 신천본당 주임신부에게서 받음.</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10%EC%9D%BC" title="3월 10일">3월 10일</a> : 빌렘 신부의 집전으로 안중근이 마지막 <a target="_blank" href="/wiki/%EB%AF%B8%EC%82%AC" title="미사">미사</a>를 봉헌.</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5%EC%9D%BC" title="3월 25일">3월 25일</a> : 사형 집행 연기. 세계적으로 <a target="_blank" href="/wiki/%EC%84%B1%ED%83%84%EC%A0%88" title="성탄절" class="mw-redirect">성탄절</a>, 정월 초하루, 국왕의 탄신일에는 <a target="_blank" href="/wiki/%EC%82%AC%ED%98%95" title="사형">사형</a>이 없다는 관례와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 title="대한제국">대한제국</a>내의 의병활동이 강하게 전개되고 있어 <a target="_blank" href="/wiki/%ED%86%B5%EA%B0%90%EB%B6%80" title="통감부">통감부</a>에서 이를 고려, 사형을 연기 요청. 이날은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 title="대한제국">대한제국</a> 황제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_%EC%88%9C%EC%A2%85" title="대한제국 순종">순종</a>이 태어난 건원절이었음.
    <ul>
    <li>이에 안중근은 면회를 온 두 동생에게 당부를 남김. 당부 내용은 노모의 안부를 묻고, 불효의 죄를 용서를 청하였고, 장남을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 title="천주교" class="mw-redirect">천주교</a> <a target="_blank" href="/wiki/%EC%82%AC%EC%A0%9C" title="사제">사제</a>로 길러 달라고 부탁. 동생 안정근에게는 한국의 발전을 위해 <a target="_blank" href="/wiki/%EA%B3%B5%EC%97%85" title="공업" class="mw-redirect">공업</a> 또는 식림 같은 한국을 위한 일에 종사토록 부탁.</li>
    </ul>
    </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10%EB%85%84" title="1910년">1910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_26%EC%9D%BC" title="3월 26일">3월 26일</a> : 오전 10시 사형 집행. 참석자: 미조부치 검찰관, 구리하라 감옥장.</li>
    </ul>
    <p>당시 안중근을 지원한 사람은 거부 <a target="_blank" href="/wiki/%EC%B5%9C%EC%9E%AC%ED%98%95" title="최재형">최재형</a>이었는데, 최재형은 안중근의 체포에 대비, <a target="_blank" href="/wiki/%EB%B3%80%ED%98%B8%EC%82%AC" title="변호사">변호사</a>와 상의할 정도로 안중근을 현실적으로 도왔다. 한편 안중근은 글씨가 뛰어나, <a target="_blank" href="/wiki/%EB%A4%BC%EC%88%9C" title="뤼순" class="mw-redirect">뤼순</a> 감옥 수감 때 많은 유묵을 남겼고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B%B3%B4%EB%AC%BC" title="대한민국의 보물">보물</a> 569호로 지정되었다. <a target="_blank" href="/wiki/1962%EB%85%84" title="1962년">1962년</a> <a target="_blank" href="/wiki/%EA%B1%B4%EA%B5%AD%ED%9B%88%EC%9E%A5" title="건국훈장">건국훈장</a>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 title="대한민국">대한민국</a>장에 추서되었다.</p>
    <p>옥중에서 미완으로 끝난 저서《<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F%99%EC%96%91%ED%8F%89%ED%99%94%EB%A1%A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동양평화론 (존재하지 않는 문서)">동양평화론</a>(東洋平和論)》을 남겼다. <a target="_blank" href="/wiki/2008%EB%85%84" title="2008년">2008년</a> <a target="_blank" href="/wiki/3%EC%9B%94" title="3월">3월</a> <a target="_blank" href="/wiki/%EC%A4%91%EA%B5%AD" title="중국">중국</a>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 뤼순(旅順) 감옥 뒤편 야산 일대 등지에서 유해 발굴작업을 벌였지만 실패하였다.<sup id="cite_ref-6"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6">[7]</a></sup></p>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5" title="부분 편집: 연보">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97.B0.EB.B3.B4">연보</span></h3>
    <ul>
    <li>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부 광석동에서 부 안태훈 모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B%A7%88%EB%A6%AC%EC%95%84" title="조마리아">조마리아</a> 사이에서 출생.</li>
    <li>1894년: 16세에 김아려와 혼인.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A%B5%AC" title="김구">김구</a>와의 첫 만남.</li>
    <li>1896년: 부친 안태훈이 천주교에 입교.</li>
    <li>1897년: 19세에 천주교에 입교.</li>
    <li>1898년~ 1904년: 천주교 전교 사업. 천주교대학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불발.</li>
    <li>1905년: 부친 안태훈 사망</li>
    <li>1906년: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82%BC%ED%9D%A5%ED%95%99%EA%B5%9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삼흥학교 (존재하지 않는 문서)">삼흥학교</a>, <i>돈의학교</i>를 운영하였으며 <a target="_blank" href="/wiki/%EC%84%9C%EB%B6%81%ED%95%99%ED%9A%8C" title="서북학회">서북학회</a>에 가입.</li>
    <li>1907년: 석탄회사 삼합을 설립하였으나, 같은해 8월 1일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C%A0%9C%EA%B5%AD_%EA%B5%B0%EB%8C%80_%ED%95%B4%EC%82%B0" title="대한제국 군대 해산">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자</a> 만주로 <a target="_blank" href="/wiki/%EB%A7%9D%EB%AA%85" title="망명">망명</a>했다.</li>
    <li>1908년: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C%80%ED%95%9C%EC%9D%98%EB%B3%91&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대한의병 (존재하지 않는 문서)">대한의병</a> 참모중장으로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A%B5%AD%EB%82%B4_%EC%A7%84%EA%B3%B5_%EC%9E%91%EC%A0%84_(1908%EB%85%8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국내 진공 작전 (1908년) (존재하지 않는 문서)">국내 진공 작전을</a> 추진.</li>
    <li>1909년: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B%A8%EC%A7%80%EB%8F%99%EB%A7%B9&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단지동맹 (존재하지 않는 문서)">단지동맹</a> 결성(동지 11명).</li>
    <li>1909년 10월 26일: 거사</li>
    <li>1910년 2월 14일: 일본제국 재판부는 안중근에게 사형을 선고.</li>
    <li>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 55분 순국.</li>
    </ul>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6" title="부분 편집: 이토 히로부미 사살의 영향">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9D.B4.ED.86.A0_.ED.9E.88.EB.A1.9C.EB.B6.80.EB.AF.B8_.EC.82.AC.EC.82.B4.EC.9D.98_.EC.98.81.ED.96.A5">이토 히로부미 사살의 영향</span></h2>
    <p>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은 당시 <a target="_blank" href="/wiki/%EB%8F%99%EC%95%84%EC%8B%9C%EC%95%84" title="동아시아">동아시아</a>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a target="_blank" href="/wiki/%EC%A4%91%EA%B5%AD" title="중국">중국</a>에서는 1927년부터 장쉐량의 지시로 동북 각지의 36개 모범소학교에서 수업 전에 안중근의 노래를 합창하였으며, <a target="_blank" href="/wiki/%EC%A4%91%EC%9D%BC_%EC%A0%84%EC%9F%81" title="중일 전쟁">중일 전쟁</a> 발발 이후엔 <a target="_blank" href="/wiki/%EC%A0%80%EC%9A%B0%EC%96%B8%EB%9D%BC%EC%9D%B4" title="저우언라이">저우언라이</a>와 <a target="_blank" href="/wiki/%EA%B6%88%EB%AA%A8%EB%A4%84" title="궈모뤄">궈모뤄</a> 등이 <a target="_blank" href="/wiki/%EB%AC%B4%ED%95%9C" title="무한">무한</a>, <a target="_blank" href="/wiki/%EC%9E%A5%EC%82%AC" title="장사">장사</a> 등지에서 화극 《안중근》을 연출해 반일 투쟁을 고무 격려했다. 안중근이 사용한 권총은 중국과 북한에서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64%EC%8B%9D_%EA%B6%8C%EC%B4%9D&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64식 권총 (존재하지 않는 문서)">64식 권총</a>으로 생산되었다. 또한 일본에서는 이토를 사살한 조선인을 적대하는 감정이 가속되었으며, 조선의 강점을 주장하는 논리로 발전하였다.<sup id="cite_ref-7"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7">[8]</a></sup> 이토를 사살한 것이 한일합방을 가속화했다는 견해가 있으나, 1909년 4월 이토와 고무라 외무대신은 이미 한일 합방에 대한 의견의 일치를 보았고, 이토는 동경에서 한일 합방에 대한 의도를 드러낸 연설을 한 바 있어, 일본 정부 내에서 한일합방을 반대하는 세력은 없었다.</p>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7" title="부분 편집: 동양평화론">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B.8F.99.EC.96.91.ED.8F.89.ED.99.94.EB.A1.A0">동양평화론</span></h2>
    <p>안중근이 옥중에서 집필한 '동양평화론'에서 하얼빈 의거를 동양 평화를 위한 전쟁이라고 했는데 동양평화론이란 한·중·일 3국이 각각 독립을 유지하면서 서로 상호 부조하여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서구 제국주의를 막을 수 있다는 사상이었다.<sup id="cite_ref-8"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8">[9]</a></sup></p>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8" title="부분 편집: 평가">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D.8F.89.EA.B0.80">평가</span></h2>
    <ul>
    <li>혁명가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C%82%B0" title="김산">김산</a>은 “춥고 긴긴 겨울밤에 학교 기숙사에서 우리는 수많은 수행원들을 데리고 기차에서 내려온 이등박문을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 역에서 어떤 식으로 저격했는가 하는 이야기와 한국독립을 위해 대담무쌍한 행동을 했던 사람들에 대한 많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라고 <a target="_blank" href="/wiki/%EB%8B%98_%EC%9B%A8%EC%9D%BC%EC%A6%88" title="님 웨일즈">님 웨일즈</a>의 《아리랑》은 수록하고 있다.</li>
    <li>한국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ED%9A%8C" title="천주교회" class="mw-redirect">천주교회</a>에서는 안중근을 한국의 <a target="_blank" href="/wiki/%EB%AA%A8%EC%84%B8" title="모세">모세</a>, 한국의 사도 <a target="_blank" href="/wiki/%EB%B0%94%EC%98%A4%EB%A1%9C" title="바오로" class="mw-redirect">바오로</a>라고 부른다.<sup id="cite_ref-.EA.B0.80.ED.86.A8.EB.A6.AD_.EC.8B.A0.EB.AC.B8_2008.EB.85.84_4.EC.9B.94_13.EC.9D.BC_9-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EA.B0.80.ED.86.A8.EB.A6.AD_.EC.8B.A0.EB.AC.B8_2008.EB.85.84_4.EC.9B.94_13.EC.9D.BC-9">[10]</a></sup>즉, 안중근을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a target="_blank" href="/wiki/%EB%AA%A8%EC%84%B8" title="모세">모세</a>의 애국심과 <a target="_blank" href="/wiki/%EB%B0%94%EC%98%A4%EB%A1%9C" title="바오로" class="mw-redirect">바오로</a>의 신앙심을 가진 <a target="_blank" href="/wiki/%EA%B8%B0%EB%8F%85%EA%B5%90%EC%9D%B8" title="기독교인">기독교인</a>으로 평가한 것이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EA%B3%A0%EB%A0%A4%EB%8C%80%ED%95%99%EA%B5%90" title="고려대학교">고려대학교</a> 사학과 노길명 교수는 안중근을 독실한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 title="천주교" class="mw-redirect">천주교</a> 신앙과 애국심을 조화시킨 인물로 평하였다.<sup id="cite_ref-.EA.B0.80.ED.86.A8.EB.A6.AD_.EC.8B.A0.EB.AC.B8_2008.EB.85.84_4.EC.9B.94_13.EC.9D.BC_9-1"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EA.B0.80.ED.86.A8.EB.A6.AD_.EC.8B.A0.EB.AC.B8_2008.EB.85.84_4.EC.9B.94_13.EC.9D.BC-9">[10]</a></sup></li>
    <li>미래사목연구소 황종률 박사는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을 “정의의 하느님”의 뜻에 협력하는 것으로 하느님이 던진 물음에 대한 답이라고 평가하였다.<sup id="cite_ref-.EA.B0.80.ED.86.A8.EB.A6.AD_.EC.8B.A0.EB.AC.B8_2008.EB.85.84_4.EC.9B.94_13.EC.9D.BC_9-2"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EA.B0.80.ED.86.A8.EB.A6.AD_.EC.8B.A0.EB.AC.B8_2008.EB.85.84_4.EC.9B.94_13.EC.9D.BC-9">[10]</a></sup></li>
    <li><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EB%AF%BC%EC%A3%BC%EC%A3%BC%EC%9D%98%EC%9D%B8%EB%AF%BC%EA%B3%B5%ED%99%94%EA%B5%AD" title="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a>에서는 “20세기 초 우리나라 반일애국운동가,” “일제의 조선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애국열사”로 평가하며 북조선의 역사서인 “조선전사”에 저격장면, 계기 등을 자세히 소개하였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 title="대한민국">대한민국</a>과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EB%AF%BC%EC%A3%BC%EC%A3%BC%EC%9D%98%EC%9D%B8%EB%AF%BC%EA%B3%B5%ED%99%94%EA%B5%AD" title="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a>은 제15차 남북 장관급 회담(2005년6월21~24일, 서울)에서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사업 공동 추진’에 합의했다.</li>
    <li>안중근 의사 기념 사업회에서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_%EC%9D%98%EC%82%AC_%EA%B5%AD%EC%A0%9C%ED%8F%89%ED%99%94%EC%83%81&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중근 의사 국제평화상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중근 의사 국제평화상</a>을 제정하였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C%82%BC%EC%9B%85" title="김삼웅">김삼웅</a>은 안중근의 동양평화 제안을 유럽공동체(EU)와 같은 것으로 평가한다. 당시 안중근의 제안 내용은 한국, 중국, 일본이 동양평화회의를 결성하며, 여순을 중립화하고, 관련 3국으로 운영되는 동양평화회의본부를 여순에 설치한다. 또한 평화지역 창설, 공동개발은행과 공동화폐 발행 등이 포함되어 있다.<sup id="cite_ref-1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0">[11]</a></sup></li>
    <li>안중근은 또한 문명개화를 통해 실력을 닦는 것이 한국 독립의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한 문명개화론자이면서, 일본의 보호정치가 한국의 문명개화가 아닌 국권침탈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바로 무장투쟁의 선두에 나선 행동가라고 서영희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평했다.<sup id="cite_ref-ahn_99_11-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ahn_99-11">[12]</a></sup></li>
    <li>안중근이 자신을 존경했던 일본인 간수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A7%80%EB%B0%94_%EB%8F%84%EC%8B%9C%EC%B9%9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지바 도시치 (존재하지 않는 문서)">지바</a>에게 남긴 <a target="_blank" href="/wiki/%EC%9C%84%EA%B5%AD%ED%97%8C%EC%8B%A0_%EA%B5%B0%EC%9D%B8%EB%B3%B8%EB%B6%84" title="위국헌신 군인본분" class="mw-redirect">위국헌신 군인본분</a>(爲國獻身軍人本分,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침은 군인이 해야 할 일입니다)이라는 글귀는 현재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A%B5%AD%EA%B5%B0" title="대한민국 국군">대한민국 국군</a>의 표어 중 하나이다.</li>
    </ul>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9" title="부분 편집: 가족 관계">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A.B0.80.EC.A1.B1_.EA.B4.80.EA.B3.84">가족 관계</span></h2>
    <ul>
    <li>할아버지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9D%B8%EC%88%9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인수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인수</a>, <a target="_blank" href="/wiki/%EC%A7%84%ED%95%B4" title="진해" class="mw-redirect">진해</a> 현감 역임</li>
    <li>아버지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D%83%9C%ED%9B%8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태훈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태훈</a>(泰勳), 진사</li>
    <li>어머니 :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B%A7%88%EB%A6%AC%EC%95%84" title="조마리아">조마리아</a>(趙마리아)</li>
    <li>부인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A%B9%80%EC%95%84%EB%A0%A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김아려 (존재하지 않는 문서)">김아려</a>(金亞麗)</li>
    <li>여동생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84%B1%EB%85%8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성녀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성녀</a> 누시아(1881~1954), 독립운동가, 부산 천주교 묘지에 안장.</li>
    <li>남동생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0%95%EA%B7%B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정근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정근</a>, 독립운동가, 1949년 상하이에서 사망.</li>
    <li>남동생 : <a target="_blank" href="/wiki/%EC%95%88%EA%B3%B5%EA%B7%BC" title="안공근">안공근</a>, 독립운동가, 1939년 사망 추정.</li>
    <li>큰아들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B%B6%84%EB%8F%8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분도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분도</a>, 연해주로 피신하였다가 병으로 사망.</li>
    <li>작은아들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80%EC%83%9D&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준생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준생</a>(俊生), <a target="_blank" href="/wiki/1952%EB%85%84" title="1952년">1952년</a> <a target="_blank" href="/wiki/11%EC%9B%94" title="11월">11월</a> 폐결핵으로 사망. 혜화동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sup id="cite_ref-12"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2">[13]</a></sup></li>
    <li>둘째며느리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A0%95%EC%98%A5%EB%85%8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정옥녀 (존재하지 않는 문서)">정옥녀</a></li>
    <li>딸: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D%98%84%EC%83%9D&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현생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현생</a>, 생사불명</li>
    <li>조카 : <a target="_blank" href="/wiki/%EC%95%88%EC%A7%84%EC%83%9D" title="안진생">안진생</a>, 미얀마 대사 역임</li>
    <li>조카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9A%B0%EC%83%9D&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우생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우생</a>, 안공근의 아들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9A%B0%EC%83%9D&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우생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우생</a>의 묘는 북조선의 애국열사릉에 있다.</li>
    <li>조카 : <a target="_blank" href="/wiki/%EC%95%88%EC%B6%98%EC%83%9D" title="안춘생">안춘생</a>, 초대 육사 교장, 국회의원 역임</li>
    <li>손자 : 유일한 손자로,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9B%85%ED%98%B8&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웅호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웅호</a>(雄浩)는 안준생의 아들이다. <sup id="cite_ref-13"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3">[14]</a></sup></li>
    </ul>
    <dl>
    <dd>
    <ul>
    <li>증손자 : 토니 안(안보영) <sup id="cite_ref-14"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4">[15]</a></sup></li>
    </ul>
    </dd>
    </dl>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0" title="부분 편집: 저서 및 유묵">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A0.80.EC.84.9C_.EB.B0.8F_.EC.9C.A0.EB.AC.B5">저서 및 유묵</span></h2>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1" title="부분 편집: 저서">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A0.80.EC.84.9C">저서</span></h3>
    <p>안중근은 옥중에서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F%99%EC%96%91%ED%8F%89%ED%99%94%EB%A1%A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동양평화론 (존재하지 않는 문서)">동양평화론</a>(東洋平和論)》을 집필하였다. 이 책에는 일본이 3국 간섭으로 인해 <a target="_blank" href="/wiki/%EB%A4%BC%EC%88%9C" title="뤼순" class="mw-redirect">뤼순</a>을 청나라에 돌려준 뒤 한·중·일 3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군항으로 만들어 세 나라에서 대표를 파견하고 평화회의를 조직하고 3국 청년으로 구성된 군단을 편성하고, 이들에게 2개국 이상의 언어를 배우게 하며, <a target="_blank" href="/wiki/%EC%9D%80%ED%96%89" title="은행">은행</a>을 설립하고 공용 화폐를 만들자는 주장이 들어 있다.</p>
    <p>또한 《안응칠역사(安應七歷史)》라는 제목으로 자서전을 집필하였다. 이 자서전의 원본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일본어 번역본과 한문 등사본이 전해진다. 이 자서전을 저본으로 하여 1970년에 출판된 《안중근 자서전》이 있다.</p>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2" title="부분 편집: 시">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8B.9C">시</span></h3>
    <p>안중근은 의거를 거행하기 전 〈장부가(丈夫歌)〉를 지어 우덕순에게 주었으며, 우덕순도 〈거의가(擧義歌)〉로 답하였다. 〈장부가〉는 안중근의 친필로 된 한시와 한글시가 함께 전해진다.</p>
    <dl>
    <dd>丈夫處世兮,其志大矣。 장부가 셰상에 쳐함이여 그 뜻이 크도다</dd>
    <dd>時造英雄兮,英雄造時。 때가 령웅을 지음이여 령웅이 때를 지으리로</dd>
    <dd>雄視天下兮,何日成業。 뗜하를 웅시함이여 어니 날에 업을 일울고</dd>
    <dd>東風漸寒兮,壯士義烈。 동풍이 졈드 차미여 쟝사에 의긔가 뜨겁도다</dd>
    <dd>憤慨一去兮,必成目的。 분개히 한 번 가미여 반다시 목젹을 이루리로다</dd>
    <dd>鼠竊伊藤兮,豈肯比命。 쥐도젹 이등이여 엇지 즐겨 목숨을 비길고</dd>
    <dd>豈度至此兮,事勢固然。 엇지 이에 이랄 쥴을 시아려스리요 사셰가 고여하도다</dd>
    <dd>同胞同胞兮,速成大業。 동포 동포여 속히 대업을 이룰지어다</dd>
    <dd>萬歲萬歲兮,大韓獨立。 만셰 만셰여 대한 독립이로다</dd>
    <dd>萬歲萬歲兮,大韓同胞。 만셰 만셰여 대한 동포로다</dd>
    </dl>
    <h3><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3" title="부분 편집: 유묵">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C.9C.A0.EB.AC.B5">유묵</span></h3>
    <div class="thumb tright">
    <div class="thumbinner" style="width:102px;"><a target="_blank" href="/wiki/%ED%8C%8C%EC%9D%BC:Ajg_calligraphy_ilil.jpg" class="image"><img alt="" src="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4/Ajg_calligraphy_ilil.jpg/100px-Ajg_calligraphy_ilil.jpg" width="100" height="437" class="thumbimage" /></a>
    <div class="thumbcaption">
    <div class="magnify"><a target="_blank" href="/wiki/%ED%8C%8C%EC%9D%BC:Ajg_calligraphy_ilil.jpg" class="internal" title="실제 크기로"><img src="http://bits.wikimedia.org/skins-1.5/common/images/magnify-clip.png" width="15" height="11" alt="" /></a></div>
    "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속에 가시가 돋는다.</div>
    </div>
    </div>
    <dl>
    <dd><small>이 부분의 본문은 <a target="_blank" href="/wiki/%EC%95%88%EC%A4%91%EA%B7%BC_%EC%9D%98%EC%82%AC_%EC%9C%A0%EB%AC%B5" title="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 의사 유묵</a>입니다.</small></dd>
    </dl>
    <p>안중근은 옥중에서 많은 글씨를 남겼다. 이것들 중 몇몇이 보물 제569호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으로 지정됐다. 이 가운데 유명한 것으로는 보물 제569-2호인 "<span lang="ja"><ruby><rb>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rb><rp>(</rp><rt>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rt><rp>)</rp></ruby></span> <span style="font-size:smaller;">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속에 가시가 돋는다.<sup>[<a target="_blank"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D%BC%EB%B3%B8%EC%96%B4%EC%9D%98_%ED%95%9C%EA%B8%80_%ED%91%9C%EA%B8%B0" title="위키백과:일본어의 한글 표기">*</a>]</sup></span>" 등이 있다.<sup id="cite_ref-15"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5">[16]</a></sup></p>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4" title="부분 편집: 기념 사업">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A.B8.B0.EB.85.90_.EC.82.AC.EC.97.85">기념 사업</span></h2>
    <ul>
    <li><a target="_blank" href="/wiki/1958%EB%85%84" title="1958년">1958년</a> -“애국열사 안중근”은 북한에서 창작, 공연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63%EB%85%84" title="1963년">1963년</a>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EC%9D%98%EC%82%AC%EC%88%AD%EB%AA%A8%ED%9A%8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중근의사숭모회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중근의사숭모회</a>가 설립되어 초대 이사장으로 <a target="_blank" href="/wiki/%EC%9C%A4%EC%B9%98%EC%98%81" title="윤치영">윤치영</a>이 취임하였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74%EB%85%84" title="1974년">1974년</a> - 안중근 기념 동상이 작가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A%B2%BD%EC%8A%B9" title="김경승">김경승</a>에 의해 제작되어 남산 구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EC%8B%A0%EA%B6%81" title="조선신궁">조선신궁</a> 자리에 설치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79%EB%85%84" title="1979년">1979년</a>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_%EC%9D%B4%EB%93%B1%EB%B0%95%EB%AC%B8%EC%9D%84_%EC%8F%98%EB%8B%A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a>》가 북조선에서 개봉되었다. 감독은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7%84%EA%B8%B8%EC%84%A0&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엄길선 (존재하지 않는 문서)">엄길선</a>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총장이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79%EB%85%84" title="1979년">1979년</a>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AA%85%EB%8F%99_%EC%B2%9C%EC%A3%BC%EA%B5%90%ED%9A%8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명동 천주교회 (존재하지 않는 문서)">명동 천주교회</a>에서 안중근 의사 탄신 100주년기념 대미사가 집전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86%EB%85%84" title="1986년">1986년</a> - <a target="_blank" href="/wiki/%EA%B9%80%EC%9D%BC%EC%84%B1" title="김일성">김일성</a> <a target="_blank" href="/wiki/%EC%A1%B0%EC%84%A0%EB%AF%BC%EC%A3%BC%EC%A3%BC%EC%9D%98%EC%9D%B8%EB%AF%BC%EA%B3%B5%ED%99%94%EA%B5%AD" title="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a> 주석은 중국 뤼순 감옥을 방문하여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을 요청하였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90%EB%85%84" title="1990년">1990년</a> - <a target="_blank" href="/wiki/%EC%B2%9C%EC%A3%BC%EA%B5%90%EC%A0%95%EC%9D%98%EA%B5%AC%ED%98%84%EC%A0%84%EA%B5%AD%EC%82%AC%EC%A0%9C%EB%8B%A8" title="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a>이 《안중근 (도마) 의사 추모 자료집-서거 80주년을 맞이하여》를 발간하였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1999%EB%85%84" title="1999년">1999년</a> - 서울시 도시공원위원회에서 안중근 의사 기념공원 조성 제안을 부결하였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0%EB%85%84" title="2000년">2000년</a> - 안중근 의사 유골 발굴위원회가 발족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0%EB%85%84" title="2000년">2000년</a> - 하얼빈 역에서 남한과 북조선의 공동 기념식이 열렸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1%EB%85%84" title="2001년">2001년</a> - 오페라 “아시아의 횃불 안중근”이 독일에서 초연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2%EB%85%84" title="2002년">2002년</a> - 오페라 “안중근 손가락”이 한국에서 공연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2%EB%85%84" title="2002년">2002년</a> - 안중근 의사 국제 평화상이 제정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3%EB%85%84" title="2003년">2003년</a> -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_%EC%9D%98%EC%82%AC_%EC%88%AD%EB%AA%A8%ED%9A%8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안중근 의사 숭모회 (존재하지 않는 문서)">안중근 의사 숭모회</a> 이사진의 퇴진과 개혁을 촉구하는 100인 선언이 발표되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4%EB%85%84" title="2004년">2004년</a> - 안중근의 삶을 그린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F%84%EB%A7%88_%EC%95%88%EC%A4%91%EA%B7%B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도마 안중근 (존재하지 않는 문서)">도마 안중근</a>》이 한국에서 개봉되었다. 연출가는 <a target="_blank" href="/wiki/%EC%84%9C%EC%84%B8%EC%9B%90" title="서세원">서세원</a>이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6%EB%85%84" title="2006년">2006년</a> - 가짜 안중근 휘호가 8천만 원에 낙찰되기도 했다.<sup id="cite_ref-16"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6">[17]</a></sup></li>
    <li>독립운동가로서는 최초로 2008년 건조된 한국 해군의 1800톤급인 <a target="_blank" href="/wiki/%EC%86%90%EC%9B%90%EC%9D%BC%EA%B8%89_%EC%9E%A0%EC%88%98%ED%95%A8" title="손원일급 잠수함">손원일급 잠수함</a> 대형 3번함의 이름이 안중근함으로 명명되었다.<sup id="cite_ref-17"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7">[18]</a></sup><sup id="cite_ref-18"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8">[19]</a></sup> 안중근 잠수함은 2008년 6월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다. 안중근함 진수식에는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A%B9%80%ED%83%9C%EC%98%81_(1949%EB%85%84)&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김태영 (1949년) (존재하지 않는 문서)">김태영</a>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 title="대한민국">대한민국</a> 합참의장과 정옥근 해군참모총장 등 군관계자와 <a target="_blank" href="/wiki/%ED%98%84%EB%8C%80%EC%A4%91%EA%B3%B5%EC%97%85" title="현대중공업">현대중공업</a> 임직원, 안중근 의사 숭모회 관계자 등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9%EB%85%84" title="2009년">2009년</a> - 안중근의 사망과 이토 히로부미 저격 100주년을 기념해 특별기획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8%EB%93%9C%EB%9D%BC%EB%A7%88" title="대하드라마" class="mw-redirect">대하드라마</a> <a target="_blank" href="/wiki/%EB%8F%99%EB%B0%A9%EC%9D%98_%EB%B9%9B" title="동방의 빛">동방의 빛</a>(가제)이 <a target="_blank" href="/wiki/2010%EB%85%84" title="2010년">2010년</a>에 방영할 예정이다.
    <ul>
    <li><a target="_blank" href="/wiki/9%EC%9B%94_4%EC%9D%BC" title="9월 4일">9월 4일</a> <a target="_blank" href="/wiki/%EC%A4%91%EA%B5%AD" title="중국">중국</a> <a target="_blank" href="/wiki/%ED%95%98%EC%96%BC%EB%B9%88" title="하얼빈" class="mw-redirect">하얼빈 시</a>에 세워졌다가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 title="대한민국">대한민국</a>에 반입된 안중근 의사의 동상이 <a target="_blank" href="/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A%B5%AD%ED%9A%8C" title="대한민국 국회">대한민국 국회</a>에 임시 전시됐다.<sup id="cite_ref-19"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19">[20]</a></sup></li>
    <li><a target="_blank" href="/wiki/10%EC%9B%94_9%EC%9D%BC" title="10월 9일">10월 9일</a>~<a target="_blank" href="/wiki/10%EC%9B%94_10%EC%9D%BC" title="10월 10일">10월 10일</a> <a target="_blank" href="/wiki/%EC%A4%91%EA%B5%AD" title="중국">중국</a> <a target="_blank" href="/wiki/%ED%95%98%EC%96%BC%EB%B9%88" title="하얼빈" class="mw-redirect">하얼빈</a>에서 안중근 의사의 <a target="_blank" href="/wiki/1909%EB%85%84" title="1909년">1909년</a> <a target="_blank" href="/wiki/10%EC%9B%94" title="10월">10월</a>의 의거 100주년을 기념하여 최초로 국제 <a target="_blank" href="/wiki/%EC%9E%A5%EA%B8%B0_%EA%B8%B0%EC%A0%84" title="장기 기전">장기 기전</a>인 제1회 <a target="_blank" href="/wiki/%EC%84%B8%EA%B3%84%EC%9D%B8_%EC%9E%A5%EA%B8%B0_%EB%8C%80%ED%9A%8C" title="세계인 장기 대회">세계인 장기 대회</a>가 개최 되었다.<sup id="cite_ref-20" class="reference"><a target="_blank" href="#cite_note-20">[21]</a></sup></li>
    <li><a target="_blank" href="/wiki/10%EC%9B%94_26%EC%9D%BC" title="10월 26일">10월 26일</a> - 안중근의 이야기를 담은 창작 뮤지컬 '영웅'이 초연되었다. (제작사: 에이콤 / 연출: 윤호진 / 공연장 : LG아트센터)</li>
    </ul>
    </li>
    </ul>
    <h2><span class="editsection">[<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C%95%88%EC%A4%91%EA%B7%BC&action=edit§ion=15" title="부분 편집: 관련 영화">편집</a>]</span> <span class="mw-headline" id=".EA.B4.80.EB.A0.A8_.EC.98.81.ED.99.94">관련 영화</span></h2>
    <ul>
    <li><a target="_blank" href="/wiki/2002%EB%85%84" title="2002년">2002년</a>, <a target="_blank" href="/wiki/2009_%EB%A1%9C%EC%8A%A4%ED%8A%B8_%EB%A9%94%EB%AA%A8%EB%A6%AC%EC%A6%88" title="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9 로스트 메모리즈</a></li>
    <li><a target="_blank" href="/wiki/2004%EB%85%84" title="2004년">2004년</a>, <a target="_blank" href="/w/index.php?title=%EB%8F%84%EB%A7%88_%EC%95%88%EC%A4%91%EA%B7%BC&action=edit&redlink=1" class="new" title="도마 안중근 (존재하지 않는 문서)">도마 안중근</a></li>

    <a target="_blank" h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01&newsid=20100309183905714&p=kukminilbo target="_blank"><font size=4>*보너스 - 성지</font></a>
    v^_^의 꼬릿말입니다
    <img src=http://cfs12.blog.daum.net/image/3/blog/2008/02/06/23/09/47a9bfa82173b&filename=2008-02-06PM10-53-27.jpg>

    어린왕자 같은 동심을 지닌 분들이 많이 있는 오유 최고~!!! d=(≥O≤)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0/03/25 21:26:52  125.180.***.159  휴학생
    [2] 2010/03/31 06:36:10  66.249.***.135  
    [3] 2010/04/28 11:14:39  66.249.***.91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7
    서울메트로 특급 살인사건 [1] ▩-_- 10/03/31 21:26 449 3
    356
    빨강머리 앤 - 제3화 ▩-_- 10/03/31 21:09 191 0
    355
    쩝... -_-a [4] ▩-_- 10/03/29 21:32 393 1
    354
    천안함 기사 모음 [2] ▩-_- 10/03/29 21:06 108 5
    353
    야옹이와 흰둥이 2부 [1] v^_^ 10/03/28 15:52 467 10
    352
    군복 홈쇼핑 패러디 v^_^ 10/03/28 15:33 496 2
    351
    [지식채널ⓔ] Baby Sign [2] v^_^ 10/03/26 21:08 257 7
    350
    [YTN]도전의 달인 [1] v^_^ 10/03/26 20:54 305 2
    349
    [노컷카툰] '상수↔변수' v^_^ 10/03/25 21:15 57 1
    내일이면 도마 안중근 서거 100주년입니다. [1] v^_^ 10/03/25 21:10 124 1
    347
    재미있는 농담 하나 v^_^ 10/03/25 20:51 424 4
    346
    [미공개 영상] '동혁이형' 장동혁, '편지'로 심경 밝혀 v^_^ 10/03/24 22:57 511 4
    345
    암소 두 마리로 본 각국 경제 [7] v^_^ 10/03/23 22:02 595 12
    344
    빨강머리 앤 [8] v^_^ 10/03/23 21:51 463 11
    343
    우리나라에서 만든 광고라는데... [6] v^_^ 10/03/22 22:02 597 4
    342
    재미있는 기사 v^_^ 10/03/22 21:59 257 1
    341
    독도 대국민 담화 [2] v^_^ 10/03/21 22:49 414 6
    340
    [EBS 지식채널ⓔ]백수의 일기 [3] v^_^ 10/03/21 22:45 384 4
    339
    기독교 그 불편한 진실 [2] v^_^ 10/03/21 19:28 555 13
    338
    [펌]대한민국 봅슬레이 국가대표 팀을 만나고 왔습니다. [3] v^_^ 10/03/20 11:11 374 10
    337
    요즘 날씨가... v^_^ 10/03/17 22:28 310 0
    336
    대통령의 유머 [4] v^_^ 10/03/13 20:58 546 13
    335
    [지식채널ⓔ]두 명의 대통령 [5] v^_^ 10/03/13 20:49 409 11
    334
    붕어빵 미스테리 [2] v^_^ 10/03/10 22:34 498 2
    333
    스펀지밥 Sad Story [5] v^_^ 10/03/09 22:22 448 14
    332
    노무현, 이명박 대통령 3ㆍ1절 기념사 비교 [3] v^_^ 10/03/07 20:37 378 15
    331
    삼성과 애플에 관한 글 - 두 번째 v^_^ 10/03/07 20:27 332 1
    330
    [지식채널ⓔ] 오일러의 왼쪽 눈 [1] v^_^ 10/03/06 21:01 454 6
    329
    김연아 따라하기 [3] v^_^ 10/03/04 21:04 817 10
    328
    상식과 상상 시리즈 [4] v^_^ 10/03/04 20:47 778 9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