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코임브라지코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5-20
    방문 : 5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panic_50774
    작성자 : 전설의선수
    추천 : 13
    조회수 : 10763
    IP : 119.203.***.87
    댓글 : 9개
    등록시간 : 2013/06/20 13:24:17
    http://todayhumor.com/?panic_50774 모바일
    치명적인독을지닌 복어
    <br /><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HUAcN"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UAcN</a><embed width="422" height="180" src="http://player.bgmstore.net/n0LEq"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allowscriptaccess="always" allowfullscreen="true"></embed><br /><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n0LEq"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n0LEq</a> <h3 class="ending_tit_new_navercast" id="ending_title_area"> </h3> <div class="smarteditor_area" style="width: 740px; padding-left: 50px"> <div id="na_title_bottom"></div> <div align="justify"><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735" height="23"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735px; height: 23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봄에서 여름에 이르는 시기, 산란기를 맞은 복어에 독이 잔뜩 올랐다.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55240" target="_blank">테트로도톡신</a>이라는 맹독은 해독제조차 없다. 그러다 보니 복어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가끔 복어 독에 의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보도되면서 마치 복어가 흉측한 괴물이라도 되는 듯 비추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복어의 독은 자기 방어를 위한 가장 수동적인 수단일 뿐이다.</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024b7000049fb490f" alt="해독제조차 없는 치명적인 독 때문에 복어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 src="http://ncc.phinf.naver.net/ncc01/2010/7/16/238/1.gif" /></div> <div class="caption_type3">해독제조차 없는 치명적인 독 때문에 복어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div> <div align="justify"><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c686d001657f541a8"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255/%C4%B8%BC%C7_%B9%D8_%B6%F3%C0%CE.jpg"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div>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735" height="130"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735px; height: 130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2pt">복어의 위협적인 독은 사실 <span style="color: rgb(69, 84, 224)">‘수동적’ 자기방어의 수단</span></span></strong><br /></div> <div>복어는 몸놀림이 그리 민첩하지 못해 쫓아오는 포식자를 따돌리기 어렵다. 위협을 느끼면 몸체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열심히 파닥거리며 도망쳐보지만, 그런 느린 움직임으로는 생사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한계에 부닥친 복어는 물을 빨아들여 몸을 서너 배까지 부풀려 포식자를 위협한다. 대개 복어를 쫓던 포식자는 돌변한 기세에 주춤할 수밖에 없다. 만약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잡아먹으면, 복어는 껍질과 고기, 내장 등에 포함된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맹독 성분으로 포식자에게 치명상을 입힌다. 그런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120~130종의 모든 복어가 독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C8%B2%BA%B9&x=0&y=0" target="_blank">황복</a>,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C0%DA%C1%D6%BA%B9&x=0&y=0" target="_blank">자주복</a>,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B1%EE%C4%A1%BA%B9&x=0&y=0" target="_blank">까치복</a>,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B0%CB%BA%B9&x=0&y=0" target="_blank">검복</a>은 독성이 강하고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B9%D0%BA%B9&x=0&y=0&sm=ncc_clk&fbm=1&x=0&y=0" target="_blank">밀복</a>,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B0%A1%BD%C3%BA%B9&x=0&y=0" target="_blank">가시복</a>,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B0%C5%BA%CF%BA%B9&x=0&y=0" target="_blank">거북복</a>의 독성은 약하다. 독이 강한 복어일수록 맛이 좋아 사람들이 즐기는 편이니, 복어 독과 맛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도 있다.</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 <div></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cd92c20021eef9219f" alt="복어는 움직임이 느리고 몸체에 비해 작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의 위협에 민첩하게 도망치지 못한다. 몸이 느려 해조류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는 복어의 모습(왼쪽). 복어가 작은 지느러미를 움직여 도망치는 모습(오른쪽)."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169/2.jpg" /></div> <div class="caption_type2">복어는 움직임이 느리고 몸체에 비해 작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의 위협에 민첩하게 도망치지 못한다. <br />몸이 느려 해조류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는 복어의 모습(왼쪽). 복어가 작은 지느러미를 움직여 도망치는 모습(오른쪽).</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div>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735" height="82"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735px; height: 82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span style="font-size: 12pt"><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최대 80% 치사율의 맹독은 바로 <span style="color: rgb(69, 84, 224)">‘테트로도톡신’</span></span></strong></span></div> <div><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969080015b713a30d"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35/17.jpg" /><br />테트로도톡신은 주로 난소나 간에 있지만, 종에 따라 위와 장, 껍질, 정소에 맹독 성분이 있는 것도 있다. 복어는 반드시 전문가가 조리한 것만 먹어야 하는데 난소와 알, 간, 내장, 껍질 등 독성이 있는 부위를 완전히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혹시 있을지 모를 독을 씻어내기 위해 물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복어 한 마리에 물 서 말’이란 속담이 생겨났을 정도다. </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 <div></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div>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359" height="208"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359px; height: 208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어류학자인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36051" target="_blank">정문기</a> 박사는 [어류박물지]에서 테트로도톡신의 위력이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다고 밝히고 있다. 중독되면 입술 주위나 혀끝이 마비되면서 손끝이 저리고 구토를 한 뒤 몸 전체가 경직되는데 결국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이런 증상은 30분 이내에 시작되어 한 시간 반에서 여덟 시간 만에 치사율이 40~80퍼센트에 이른다. 복어 독에 의한 사망 여부는 보통 중독 뒤 여덟 시간 이내에 결정된다. </div> <div> </div> <div>테트로도톡신은 해독제가 없다 보니 중독되면 독을 희석시키기 위해 다량의 물을 투입하여 위장을 씻어내야 한다. 중독 시 생사는 초기대응에 달려 있다. 일단 중독되면 몸이 마비되어 스스로 숨을 쉴 수가 없으므로 병원으로 이송하는 동안 반드시 인공호흡을 통해 호흡을 유지해야 한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의식은 있는데 몸이 마비되어 전혀 움직일 수 없어,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극심한 공포를 겪었다고 한다.</div></td></tr></tbody></table></td> <td width="20" class="NHN_Layout_Space"><br /></td>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359" height="168"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359px; height: 168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a0ccf1d0016a8735edb" alt="복어의 독은 테트로도톡신으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를 정도로 위력적이다. 테트로도톡신의 분자구조. <출처: Yikrazuul at en.wikipedia> "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21/5.jpg" /></div> <div class="caption_type2">복어의 독은 테트로도톡신으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를 정도로 <br />위력적이다. 테트로도톡신의 분자구조. <출처: Yikrazuul at en.wikipedia> </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 <div></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div>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735" height="249"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735px; height: 249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2pt">복어는 <span style="color: rgb(69, 84, 224)">어떻게 독을 만들까?</span></span></strong></div> <div><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969080015b713a30d"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35/17.jpg" /><br />복어가 어떤 방식으로 독을 만들어내는지는 오래 전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혹자는 유전적으로 독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일본 나가사키 대학의 아라카와 오사무 해양생물학 교수가 독이 없는 복어 양식에 성공하면서 복어 독에 대한 비밀이 벗겨졌다. 아라카와 교수는 복어에게 고등어 등 무독성 먹이만 먹여 양식했는데, 이렇게 수 년 동안 양식된 복어에서는 독 성분이 조금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복어는 <a target="_blank" href="http://navercast.naver.com/science/image/2957" target="_blank">불가사리</a>와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4711" target="_blank">갑각류</a>, 납작벌레 등 자체에 독이 있는 먹이를 먹기 때문에 몸에서 독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독이 없는 복어를 양식하는 데 성공하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유통되기는 어렵다. 독이 없는 양식 복어와 독이 있는 자연산 복어의 겉모습이 똑같아 자연산 복어를 독이 없는 양식 복어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div> <div> </div> <div> </div> <div><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2pt">독보다 가시, <span style="color: rgb(69, 84, 224)">독특한 외양으로 주목 받는 가시복어</span></span></strong></div> <div><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969080015b713a30d"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35/17.jpg" /><br />독이 없는 복어 중 특이한 외양을 가진 것으로는 가시복어가 있다.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B0%A1%BD%C3%BA%B9%BE%EE&x=0&y=0" target="_blank">가시복어</a>는 독 대신 몸에 강하고 긴 가시를 가지고 있다가 포식자에게 쫓기게 되면 다른 복어와 마찬가지로 몸을 부풀리는데, 이때 평상시 옆으로 누워 있던 가시들이 몸이 팽창되면서 꼿꼿하게 곧추서게 된다. 이쯤 되면 가시복어를 쫓던 포식자가 놀랄 수밖에 없다. 몸이 부풀어 커진데다 가시까지 돋아 있으니 한입에 삼킬 수도, 물어뜯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또한, 가시복어는 튼튼한 이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의 기가 꺾이면 바로 반격에 나서기도 한다. 가시복어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온대와 열대의 전 세계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고기에 독이 없어 식용할 수 있다.</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 <div></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cf7175000ebee5ae48" alt="가시복어는 위기의 순간 독 대신 강하고 긴 가시로 자신을 방어한다. 평상 시 가시복어의 모습(왼쪽)과 가시를 곧추세운 모습(오른쪽). "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145/3.jpg" /></div> <div class="caption_type2">가시복어는 위기의 순간 독 대신 강하고 긴 가시로 자신을 방어한다. 평상 시 가시복어의 모습(왼쪽)과 가시를 곧추세운 모습(오른쪽).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div>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735" height="84"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735px; height: 84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2pt">물이나 공기를 채워 몸을 부풀리는 특성, <span style="color: rgb(69, 84, 224)">이름의 유래가 되기도</span></span></strong><br /><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969080015b713a30d"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35/17.jpg" /></div> <div>복어는 물 속에서는 입으로 물을 마셔 위장 아랫부분에 있는 ‘확장낭’이라는 신축성 있는 주머니에 물을 채운 후 식도의 근육을 축소시켜 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몸을 부풀린다. 낚시에 걸려 물 밖으로 나왔을 경우에는 아가미구멍을 통해 공기를 들이마셔 확장낭을 채운다. 물 속에서 들이마시는 물의 양은 체중의 배 이상도 가능하다. 이처럼 배를 부풀리는 습성을 이름에 담아내고자 했던지, 복어의 이름은 ‘배(腹)’와 관련이 있다. 영어로 '퍼퍼(Puffer)'라 부르는 것도 복어가 물과 공기를 빨아들이면 ‘펍’하고 부풀어 오르는 데서 따왔다.</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 <div></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6daeb001707f09fc0" alt="복어는 몸의 ‘확장낭’이라는 주머니에 물이나 공기를 가득 채워 몸을 부풀린다." src="http://ncc.phinf.naver.net/ncc01/2010/7/16/72/4.jpg" /></div> <div class="caption_type3">복어는 몸의 ‘확장낭’이라는 주머니에 물이나 공기를 가득 채워 몸을 부풀린다.</div> <div><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fa95f0047717d6494"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50/%C4%B8%BC%C7_%B9%D8_%B6%F3%C0%CE.jpg"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 </div> <div align="justify"></div>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 <table width="735" height="141" class="Basicborder NHN_Layout" style="width: 735px; height: 141px"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 style="vertical-align: top"> <div><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2pt">세계의 별미, <span style="color: rgb(69, 84, 224)">복어</span></span></strong></div> <div><strong><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2pt"><span style="color: rgb(69, 84, 224)"><img class="_attachment _photo" id="0129d9d969080015b713a30d" alt="" src="http://ncc.phinf.naver.net/ncc02/2010/7/16/35/17.jpg" /></span></span></strong><br />복어는 전 세계적으로 120~130종이나 있지만, 식용 가능한 종류는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ncc_clk&ie=utf8&query=%EC%B0%B8%EB%B3%B5" target="_blank">참복</a>과 황복, 자주복, 검복, 까치복,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820566" target="_blank">은복</a>,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704543" target="_blank">복섬</a>, 밀복, <a target="_blank"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ncc_clk&where=nexearch&query=%C1%B9%BA%B9&x=0&y=0" target="_blank">졸복</a>, 가시복, 거북복 등 몇 종류가 되지 않는다. 복어가 가진 독특한 미감은 오래 전부터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왔다. 미식가들은 복어를 철갑상어 알인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50948" target="_blank">캐비아</a>’와 떡갈나무 숲의 땅속에서 자라는 버섯인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89500" target="_blank">트러플</a>’, 거위 간 요리인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794448" target="_blank">푸아그라</a>’와 함께 세계 4대 진미로 꼽기도 한다.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 <a target="_blank"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93807" target="_blank">소동파</a>는 복어 맛을 가리켜 “사람이 한 번 죽는 것과 맞먹는 맛”이라 극찬했다. 복어를 좋아하기는 일본인도 매한가지이다. “복어를 먹지 않는 사람에겐 후지산을 보여주지 말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우리나라에서는 참복을 최고로 치지만, 중국에서는 황복이, 일본에서는 자주복이 인기가 있다. 복어는 이외에도 가까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사람들과, 멀리는 이집트인들도 먹는다. 이집트에서는 복어 껍질로 만든 지갑이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이 있다. 아마 복어의 몸이 부풀어 커지는 데서 연유한 상징적 의미일 듯하다. </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 <div></div> <div> </div> <div> </div> <div>ps. 저는 태어나서 복어한번도안먹어봤고 앞으로도 죽을때까지안먹려고요.  하지만 생긴게되게 까리해서 나중에키우볼생각은있어요.</div> <div>출처-네이버</div></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6/20 13:38:13  221.138.***.73  눈이따꼬매  192136
    [2] 2013/06/20 13:49:31  1.214.***.123  甲오징어甲  124576
    [3] 2013/06/20 14:03:38  210.218.***.4  꾸루룩꾸루룩  211552
    [4] 2013/06/20 16:59:36  117.111.***.38  리에  424064
    [5] 2013/06/20 18:22:42  182.172.***.14  gotmd  100915
    [6] 2013/06/20 21:28:51  221.162.***.58  임수도령  178459
    [7] 2013/06/20 21:50:00  211.199.***.213  마크자인  396457
    [8] 2013/06/20 22:50:19  203.236.***.250  da8237gc  386456
    [9] 2013/06/20 23:51:08  211.197.***.82  니잘스  243210
    [10] 2013/06/21 01:42:31  175.223.***.61  어이퇴갤  16485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
    전투기조종사가받는훈련 [1] 전설의선수 13/06/20 16:02 262 2
    45
    d-7 이거같지않나요? 전설의선수 13/06/20 15:40 64 0
    치명적인독을지닌 복어 [4] 전설의선수 13/06/20 13:24 518 3
    42
    고2학생인데요. 전설의선수 13/06/19 23:54 30 0
    41
    ebsi의미스테리 [2] 전설의선수 13/06/19 23:15 267 0
    40
    슈뢰딩거의고양이사고실험 [3] 전설의선수 13/06/19 20:05 372 3
    39
    우주의크기 [2] 전설의선수 13/06/19 19:26 95 0
    38
    위닝2014 플레이영상 전설의선수 13/06/19 14:03 98 1
    37
    8강은문제없으니 걱정마세요. [2] 전설의선수 13/06/19 12:37 160 0/4
    36
    공포의 레오나르두 전설의선수 13/06/19 01:46 69 0
    35
    8강은갈거같네요. [3] 전설의선수 13/06/19 00:46 84 0
    34
    어차피 전설의선수 13/06/18 22:40 31 0
    33
    코펜하겐해석 [2] 전설의선수 13/06/18 19:20 259 3
    32
    유령비행기 전설의선수 13/06/17 15:48 202 0
    31
    어떤게 실제사진인지맞춰보세요 [2] 전설의선수 13/06/17 15:26 54 0
    30
    어떤게 실제사진인지맞춰보세요 [9] 전설의선수 13/06/17 01:42 124 0
    29
    조종실에서비행기착륙영상 [1] 전설의선수 13/06/16 15:37 236 0
    25
    루디펠러후기 전설의선수 13/06/16 01:28 46 0
    24
    곧있으면 출시되는 피파14와 위닝2014플레이영상 [1] 전설의선수 13/06/15 20:06 87 1
    [1] [2]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