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야간행자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05-03-31
    방문 : 214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19451
    작성자 : 호빠앙맨
    추천 : 5/5
    조회수 : 344
    IP : 222.104.***.211
    댓글 : 3개
    등록시간 : 2006/01/13 17:55:17
    http://todayhumor.com/?sisa_19451 모바일
    세튼의 특허권 승인요청..(퍼온글)
    미 라이프뉴스사가 오늘자(현지시간)로 올린 인터넷 기사이다. 

    Former Hwang Partner Wants to Patent Human Cloning Process 
    by Steven Ertelt LifeNews.com Editor January 7, 2006 
    <전문번역> 
    한때 황우석 박사의 고위 파트너이자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조작했던 팀의 한 구성원이 미국정부에 대고 인간복제에 관한 자신의 특허를 승인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피츠버그대학의 연구자 제랄드 쉐턴은 인간 배아와 배아줄기 세포에 대한 복제과정에 대해 과거 그의 연구 파터너들에 의한 공헌을 배제한 채 특허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황박사 팀은 두 가지의 주요 업적을 주장한 바 있다--하나는 인간배아를 성공적으로 복제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거부반응을 극복할 수 있는 환자맞춤형(patient-specific) 배아줄기 세포를 복제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 두 번째의 업적 주장은 가짜로 밝혀졌으며 서울대학교는 이런 자체 조사결과를 첫 번째 업적에까지 적용시켜 공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서울대측이 모두 무효화할 의지를 말하는 것으로 보임) 

    쉐턴은 여전히 미 특허 및 상호청에 제출한 2004년 4월에 자신이 제출한 특허원장에 대해 (승인할 것을) 압력을 가하고 있다. 
    피츠버그 트리뷴지 기사에 따르면 쉐턴과 동료 과학자인 칼핀 시멀리, 크리스토퍼 나바라 등은 여전히 자신들의 방법론이 인간복제를 “매우 실질적인 과정”으로 만들 수 있다고 특허원장에서 밝히고 있다. 
    쉐턴은 황박사 팀이 작성하고 지금은 취소된 채 피츠버그대로부터 내사를 받고 있는 과학논문의 공동저자였다. 

    피츠버그대 측이나 쉐턴은 트리뷴지의 이에 대한 질의에 대해 일체 응답하지 않고있다. 다른 두 과학자도 논평을 거부했다고 트리뷴 리뷰지가 보도했다. 
    시민단체인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과학센터의 메릴 구즈만은 트리뷴지에다 쉐턴이 황박사팀의 인간배아 복제연구에 기여한 기술은 일부 미국립건강원(NIH)의 자금 지원에 의해 가능했었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피츠버그 대학측이 미국 납세자들의 세금을 사용하고도 그 기술에 대한 특허신청에 대해 논의를 거부하는 데 대해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그들의 태도에 대해 분개했다. 

    이번 특허신청은 국제적인 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황박사는 인간배아 복제과정은 흠결있는 데이터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효하며 그것에 대한 소유권은 대한민국 팀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연구팀은 지난 2004년 12월에 국제특허 신청을 발원했으며 쉐턴은 이 특허자 명단에 등재되어있지 않다고 트리뷴지는 전했다. (끝) 

    황박사 관련 기사를 한번 번역 좀 해 달라는 네티즌의 요청을 보고 번역을 해 나가면서 나는 도저히 침착할 수가 없었다. 

    제랄드 쉐턴과 그의 파트너들이 미 특허청에 인간복제 기술에 대한 특허를 신청해 놓고 지금도 빨리 승인하라고 압력을 가한다는 기사내용이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마디로 복제기술이 유효하다는 것이다. 

    바로 쉐턴 팀이 황박사 팀의 인간복제 기술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이제 그들이 그것을 탈취하려 시도하고 있는 말이다. 황박사 팀이 기술이 없으면 왜 그들이 특허신청을 내놓고 아직까지 그것을 촉구하는가 말이다. 

    기억하기론 쉐턴 팀은 처음부터 기술이 가짜라고 말하진 않은 것 같다. 바로 이 같은 이유에서였을 것이다. 
    이들은 논문 게재과정의 비과학성을 문제 삼은 것이다. 그리고는 잔치에서 소외되어가는 자신들의 입지를 새로 세운 것이다. 

    필자는 얼마 전 미국내 연구기관들이 앞 다투어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기사 번역서와 나의 생각을 담은 글 <이곳 캘리포니아는 지금 축제분위기이다>를 서프라이즈에 기고한 바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읽고 높은 평점을 주었지만 결국 서프라이 편집진은 이를 대문글로 공식화하지 않았었다. 미국 내에서 일어나는 이런 상황들을 도저히 묵과할 수 없어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다시 쓰기로 했다. 

    '다 끝나가는 게임'이라며 필자를 이상한 사람으로 볼지도 모르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대한민국은 지금 제정신이 아니다. 어쩌면 나라전체가 이렇게 비이성적인 구조로 흘러갈수 있다는 말인가. 

    한 과학자의 작은 실수를 부풀려 모든 것을 무위로 만들려 작정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정도의 기사가 나온다면 이미 황우석 박사 논란은 국내와 국외가 총 망라된 이권다툼임을 쉽게 눈치 챌 수 있다. 이쯤 되면 쉐튼 팀이 왜 황박사 팀으로부터 뛰쳐나갈 빌미가 주어졌는지 알만하지 않은가? 

    그런데도 국내에서는 여전히 과학자들끼리 서로 아귀다툼을 벌이고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그 흔하고 흔해 빠진 교훈을 우리는 눈앞에서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가? 
    대체 대한민국이 지금 제정신인가? 
    절차상의 실수를 트집 잡아 정녕 이렇게 까지 ‘우리 대한민국의 기술‘을 매장해야 한다는 말인가? 참으로 비통한 심정이다. 서울대 조사위와 정부당국은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의 본질을 알고 있기나 하는지 의심스러운 지경이다. 2006년 새해 벽두에 지금 대한민국에서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우리의 역량이 정녕 이것밖에 안 된다는 말인가? 

    <문단별 전문번역> 
    Pittsburgh, PA (LifeNews.com) -- A scientist who was the former top partner of Hwang Woo-suk and a member of the research team that fabricated its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s pressing for the U.S. government to approve a patient he's applied for on human cloning. 한때 황우석 박사의 고위 파트너이자 배아줄기세포 연구 조작를 했던 팀의 한 구성원이 미국정부에 대고 인간복제에 관한 자신의 특허를 승인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University of Pittsburgh researcher Gerald Schatten wants to patent the process of cloning human embryos and embryonic stem cells without crediting his former research partners. 피츠버그대의 연구자 제랄드 쉐턴은 인간 배아와 배아줄기 세포에 대한 복제과정에 대해 과거 그의 연구 파터너들에 의한 공헌을 배제한 채 특허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Hwang's team made two key claims -- that it had successfully cloned human embryos and that it had successfully cloned patient-specific embryonic stem cells that could overcome rejection issues. 황박사 팀은 두가지의 주요 업적을 주장한 바 있다--하나는 인간배아를 성공적으로 복제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거부반응을 극복할 수 있는 환자맞춤형(patient-specific) 배아줄기 세포를 복제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The latter claim has proven fals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preparing to release the results of its investigation into the former. 그 두 번째의 업적 주장은 가짜로 밝혀졌으며 서울대학교는 이런 자체 조사결과를 첫 번째 업적에까지 적용시켜 공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모두 무효화할 의지를 말하는 것으로 보임) 

    Still, Schatten is pressing ahead and his application at the U.S. Patent &Trademark Office, which he filed in April 2004, is still pending. 쉐턴은 여전히 미 특허 및 상호청에 제출한 2004년 4월에 자신이 제출한 특허원장에 대해 (승인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According to a Pittsburgh Tribune Review article, Schatten and fellow scientists Calvin Simerly and Christopher Navara say their methods could make human cloning "a practical procedure," the application says. The methods could also be used to create embryonic stem cells. 피츠버그 트리뷴지 기사에 따르면 쉐턴과 동료 과학자인 칼핀 시멀리, 크리스토퍼 나바라 등은 여전히 자신들의 방법론이 인간복제를 “매우 실질적인 과정”으로 만들 수 있다고 원장에서 밝히고 있다. 

    Schatten was a co-author of the Science paper Hwang's team authored that has now been revoked and he has also come under investigation from Pitt. 쉐턴은 황박사 팀이 작성하고 지금은 취소된 채 피츠버그대로부터 내사를 받고 있는 과학논문의 공동저자였다. 

    Neither Pitt nor Schatten would respond to the Pittsburgh newspaper for comment on the patent application. Simerly and Navara also declined comment, the Tribune Review reported. 피츠버그대 측이나 쉐턴은 트리뷴지의 이에 대한 질의에 대해 일체 응답하지 않고 있다. 다른 두 과학자도 논평을 거부했다고 트리뷴 리뷰지가 보도했다. 

    Merrill Goozman, of the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a watchdog group, told the Pittsburgh newspaper that the methods Schatten used to help Hwang's team engage in human cloning were funded in part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o the tune of $1.8 million. 시민단체인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과학센터의 메릴 구즈만은 트리뷴지에 쉐턴이 황박사 팀의 인간배아 복제연구에 기여한 기술은 일부 미 국립보건원(NIH)의 일부 지원에 의해 가능했었다고 밝혔다. 

    "I think that it is outrageous th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refuses to discuss its patent claims on a technology that was funded by the U.S. taxpayers," he said in response. 

    “나는 피츠버그 대학측이 미국 납세자들의 세금을 사용하고도 그 기술에 대한 특허신청에 대해 논의를 거부하는 데 대해 경악을 금치 못 한다”고 그들의 태도에 대해 분개했다. 

    The patent request could spark international controversy. Hwang insists that the human embryo cloning process works despite the falsified data and he insists the rights to it belong to the South Korean team. The team filed for an international patent in December 2004 and Schatten is not listed on that patient, the Tribune Review indicated. 
    이번 특허신청은 국제적인 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황박사는 인간배아 복제과정은 흠결있는 데이터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효하며 그것에 대한 소유권은 대한민국 팀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연구팀은 지난 2004년 12월에 국제특허 신청을 발원했으며 쉐턴은 이 특허자 명단에 등재되어있지 않다고 트리뷴지는 암시했다. (끝)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06/01/13 18:05:55  125.188.***.28  골동품
    [2] 2006/01/13 18:07:44  211.54.***.34  
    [3] 2006/01/13 18:20:14  211.229.***.244  꼬물핸펀
    [4] 2006/01/13 21:20:28  218.156.***.30  
    [5] 2006/01/13 21:37:53  222.237.***.13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
    황박사 연구 국제 특허 받을 수 있다(펌) [1] 호빠앙맨 06/01/19 13:18 104 10
    13
    황우석 박사관련 공영언론에 보도안된 내용모음(펌) [7] 호빠앙맨 06/01/19 12:40 151 13
    12
    우리는 이상을 꿈꿉니다(펌) 호빠앙맨 06/01/19 09:52 53 2/2
    11
    문신용, 노성일 작년기사 중에.... [1] 호빠앙맨 06/01/18 13:17 206 12
    10
    한학수, "황박사 예수 행세" 워싱턴 포스트 인터뷰 " 펌 [11] 호빠앙맨 06/01/18 11:39 246 13/3
    9
    이번 황우석 파동에 메디포스트와 삼성일가 관여 하였는가? (펌) 호빠앙맨 06/01/18 10:54 118 7
    8
    사이언스지에 공동저자에 윤현수 박사와 노성일 이사가 빠진이유? 호빠앙맨 06/01/18 10:22 149 12
    7
    면역돼지 누가 빠를까? .. 엠젠바이오-황우석팀 개발경쟁 (펌) [1] 호빠앙맨 06/01/15 09:30 112 1/2
    6
    노성일이사장은 벌써 자료다 정리했음. [1] 호빠앙맨 06/01/13 18:00 165 8/6
    5
    (펌)서울대 게시판에서 파문을 일으킨 공개 질의서 [1] 호빠앙맨 06/01/13 17:58 156 12/8
    세튼의 특허권 승인요청..(퍼온글) [3] 호빠앙맨 06/01/13 17:55 109 5/5
    3
    ABC 뉴스 보도자료 호빠앙맨 06/01/13 17:52 87 5/5
    2
    황박사 두둔한다고 막 욕하시는분들에게 하나 물어봅시다 [6] 호빠앙맨 06/01/12 15:23 313 35/7
    1
    오늘 발표에 대한 반대 증거 제시(펌) [7] 호빠앙맨 06/01/10 15:03 213 5/9
    [1] [2] [3] [4] [5] [6] [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