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전자기파동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10-07
    방문 : 152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cience_45661
    작성자 : 전자기파동
    추천 : 13
    조회수 : 8331
    IP : 218.235.***.136
    댓글 : 83개
    등록시간 : 2015/01/30 12:09:15
    http://todayhumor.com/?science_45661 모바일
    (목성공포증)우주의 거대한 천체들
    가끔 거대한 천체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없는 답답함이나 아찔하고 어지러운 듯한 기분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div>대체로 목성을 보았을 때 그런 기분을 느끼시죠. 이는 주로 목성공포증이라고 불리웁니다...만 실제로 의학계에서 이런 이름으로 부르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div> <div>비슷한 공포증으로 심해공포증이나 우주공포증은 존재하는 것 같은데 아마 다들 그렇듯 목성을 주로 봤을 때 느끼는 공포증이라 저렇게 부르는게 아닐까 싶네요. 실제로 같은 기분을 목성외에 비슷한 거대 천체를 볼 때 느끼기 때문에 그냥 대표적으로 목성의 이름이 붙은 것 같습니다.</div> <div><br></div> <div>사실 저도 우주를 좋아하지만 목성만큼은 가까이서 보는 그림이나 그래픽을 볼 때 조금 오금이 저려오곤 합니다. 두근두근해요.</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3610eypmGDDfV86FP57TffLfg.png" width="800" height="525" alt="Comparison_of_planets_and_stars_(sheet_by_sheet)_(Oct_2014_update).png" style="border:none;"></div> <div><br></div> <div>그렇다면 이 우주에는 얼마나 거대한 천체들이 있을까요?</div> <div>가상 우주시뮬레이터로 위의 그림을 토대로 거대한 천체들을 찾아보았습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110saycNf8VuMfAEG6q7.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0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먼저 지구. 인류의 고향으로 매우 친숙하죠.</div> <div>그래서 지구는 무섭기보다는 아름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죠.</div> <div><br></div> <div>위 사진은 거리 25,000km입니다.</div> <div><br></div> <div>암석 행성은 가스 행성보단 작지만 그래도 사람 입장에선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죠.</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260z8T8BSHkS482cq4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0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국제우주정거장(ISS)가 있다는 고도 약 300km에서의 지구</div> <div>이래뵈도 지구는 태양계의 암석 행성 중 가장 큽니다.</div> <div><br></div> <div>지름 약 12,756km이죠.</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812MX2ioMnbhuR7MYU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00,000km의 지구</div> <div><br></div> <div>인류는 대부분 우주의 어떤 값을 지구를 기준으로 잡아둔 편입니다. 그래서 일단 지구를 보았는데요..</div> <div>이번에는 거대한 천체들을 둘러 볼 것이기 때문에...바로 목성으로 갈겁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840jH6g4vxqZ3.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00,000km의 목성.</div> <div>오늘은 대적점이 낮입니다. 야호. 그동안은 올 때마다 밤이라서 안 보였었는데...</div> <div><br></div> <div>앞에서 인류는 지구를 기준으로 우주의 값들을 정했었다고 했는데...시야가 넓어지다보니 지구는 너무 작았습니다...</div> <div>목성의 지름은 약 142,984km로 지구의 11배정도 됩니다. 저 대적점에만 지구가 3개는 들어간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죠.</div> <div><br></div> <div>그때문에 다른 우주의 행성들을 목성과 주로 비교하게 됩니다. 암석 행성보단 가스행성이 더 찾기 쉽기도 했구요.</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673AooDwt29OP3aXP6w9Ys.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250,000km의 목성</div> <div>마치 눈처럼 보이는 대적점 때문에 개인적으로 이 각도에서의 목성이 공포감이 커지는 편인 것 같습니다.</div> <div>날 내려다 보는 듯 한 기분...</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9279NFkRdsiyp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250,000km의 지구</div> <div>오른쪽 끝에 가장 밝은 것은 달입니다. 마치 달이 별처럼 보이는 거리네요. ㅎㄷㄷ</div> <div><br></div> <div>그건 그렇고 지구와 달의 거리가 새삼...드럽게 먼 것이 느껴집니다.</div> <div>저기에 갔던 우주비행사들이 감탄스럽네요.</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9882NcHvYkAuDKdRVOEywlp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div>361,605km떨어져 있는 달</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지구와 달 거리에서의 목성을 비교해보죠!</span></div></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9709O3PKQwj84l5CiQiJsedAN41vUD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먼저 해상도 문제로 현실보다 프로그램에서 천체가 작게보이기 때문에 좀 더 현실적인 크기처럼 보이도록 시야각을 좀 조절해놨습니다.</span></div> <div>위의 것은 시야각 조절 전의 다른 사진과 같은 시야각입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9998N8AnUGj1r.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361,605km의 달과 같은 거리에서 본 목성....</div> <div>읍크헉얽컥! ....ㅠㅠ</div> <div>저..저만한게 하늘에 떠 있을 것을 생각하면 좀...무서울지도......모르겠네요...</div> <div><br></div> <div>그리고 위성이 아니라 쟤가 행성이고 우리가 위성이겠죠...</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0158ZGj1eQURmmGXK6j73tUb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시야각 조절 전의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361,605km거리의 목성</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대략 현실에서 봤을 달의 크기와 프로그램에서의 달의 크기 차이를 생각해보고 목성을 그 비율에 맞춰서 상상해보세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저는 오줌쌀 것 같아서 안 하겠습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0711683yl7ZxRMwM9itW9qoZkRq8fX4rUDL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목성과 두 번 째로 가까운 위성 중 하나인 아드라스테아; Adrastea(목성15; Jupiter XV)</div> <div>첫 번 째로 가까운 위성이 아닌 이유는 대적점이 안 보이는 위치였어서...</div> <div><br></div> <div>거리는 128,900km입니다.</div> <div><br></div> <div>그리고 진짜 조금 지릴 수도 있는 목성 움짤.</div> <div>자신이 좀 위험하다(?)싶은 분들은 조심하세요. 저는 처음 봤을 때 많이 쫄았습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3/790106-0203_Voyager_58M_to_31M_reduced.gif" width="390" height="400" alt="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3/790106-0203_Voyager_58M_to_31M_reduced.gif" style="border:none;"></div><br></div> <div>보이저 1호가 한 달 동안 접근하며 찍은 목성 사진을 연속으로 재생시킨 움짤.gif</div> <div>처음에 이 움짤보고 너무 쫄아서 목소리도 안 나왔습니다. ㄷㄷ</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1588CLySqLQG5ODvUcKkwijB4ZDDyS.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16772Wi77nLOWL1rDu6bEtGLJ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1,000,000km거리의 목성과 지구</div> <div>이제 우리의 주인님 항성 태양으로 갑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1720ymluI51e9UKx5K7V6haUO5.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div> <div style="text-align:left;">1,000,000km거리의 태양</div> <div style="text-align:left;">지름 약 1,526,297km 적도의 지름인 것 같네요...</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대략 지구의 109배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쯤 되면 실감도 안 납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1406t1VbDV5LrsDI2pfmICXL1ReFCLcBDiYM.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2,500,000km거리의 태양</div> <div>태양계의 주인으로 태양계의 유일한 항성. 우리말로는 해(햇님)</div> <div><br></div> <div>태양은 약간 노란 빛을 띄는 주계열성입니다. 그 때문에 황색왜성(Yellow Dwarf)라고도 합니다.</div> <div>항성은 OBAFGKM로 온도에 따라 분류되며 온도가 높을 수록 O, 낮을 수록 M에 가까워 집니다. (이 밖에도 더 있습니다만 생략)</div> <div>태양은 G로 G는 5,200K~6,000K의 온도를 가지며 0부터 9까지 등급을 통해 0에 가까울 수록 뜨겁고 9에 가까울 수록 차갑습니다.</div> <div>그리고 I는 초거성 II는 밝은 거성, III가 일반 거성, IV는 준 거성, V는 주계열성을 나타냅니다.</div> <div><br></div> <div>이에따라 태양은 분광형 G2V로 분류됩니다.</div> <div>태양의 표면온도는 5,680K정도입니다.</div> <div><br></div> <div><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03575c5PAFm22T3SKhlMM.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2,500,000km거리의 목성</div> <div>목성의 다른 위성들이 별처럼 보입니다. 오른쪽 끝의 밝은 천체도 목성의 위성입니다(칼리스토)</div></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3169SnQoJTtvueH9kIsO2.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2,500,000km거리의 지구와 달</div> <div>그냥...별처럼 보이네요...</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4171sdrjGFTg3sxxNbI.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div><br></div> <div>잠시 쉬어가는 코-너</div> <div>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 프록시마(알파 센타우리 C)입니다. 태양이랑 조금 다르게 생겼죠?</div> <div><br></div> <div>분광형 M5V로 적생왜성(Red Dwarf)입니다.</div> <div>위에서 설명했듯 M은 주계열성중에선 엄청 차가운 편으로 5급이면 뭐...엄청까진 아니지만 그래도 좀 차가운 별로 프록시마는 표면온도가 3,240K입니다.</div> <div><br></div> <div>위 사진은 거리 100,000km로................어..라....?</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840jH6g4vxqZ3.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1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깜짞!)</div> <div>...100,000km거리의 목성과 비교해서..........</div> <div><br></div> <div><font size="1">작아!!</font></div> <div><font size="1"><br></font></div> <div><font size="1"></font><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4678I5UIvGII8vBeMc7IODBYab42itWoMT.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2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font size="2"><span style="line-height:15px;">2,500,000km거리의 프로시마</span></font></div> <div><font size="2">어음...프록시마는 지름 63,238km로......으엑...태양의 0.045배...아니 지금 태양과 비교할 때가 아닌거 같은데...</font></div> <div><font size="2"><span style="line-height:19.5px;">목성의 지름은 </span></fon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42,984km..........</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놈의 알다가도 모를 우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그렇습니다. 항성이라고 해서 죄다 태양처럼 커다란건 아니었습니다. 무려...행성보다 작은 항성도 존재하죠.</div> <div>괜히 목성이 "제 2의 태양이 될뻔 했다."라고 말하는게 아닙니다.</div> <div><br></div> <div>뭐...그래도 프록시마는 항성답게 목성보다는 훨씬 무거워서 질량은 목성의 63배정도 됩니다.</div> <div><br></div> <div>다만...실제로는 이보다는 더 클 수도 있습니다. 일단 멀고 어두운 별이라 편차가 좀 심하거든요.</div> <div>그래서 보통은 최소모델과 최대모델이 따로 만들어져 있기도 합니다. 프록시마는 태양의 0.14배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도 목성보다 조금 큰 수준)</div> <div><br></div> <div>스페이스 엔진은 항성을 최소모델로 지정해두는 편으로 보입니다. 로딩시간 줄일라고 그러나!?</div> <div>밝기는 겉보기 등급 11로 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임에도 불구하고 맨 눈으로는 볼 수가 없습니다. 이는 적색 왜성이 다 그러해서 태양과 가까운 수십개의 별들이 우리 눈에는 보이지가 않고 더 멀리있는 별들을 보게됩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5626LQNO8f1iUvP.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2,500,000km거리의 시리우스A</div> <div>다시 커졌습니다.</div> <div><br></div> <div>시리우스는 지구 밤하늘의 가장 밝은 별로 백색주계열성(White Main sequence star)입니다.</div> <div>크기가 꽤 크기 때문에 왜성이라고 부르지 않기 시작했습니다.</div> <div><br></div> <div>분광형은 A1V입니다. 표면온도는 9,230K이네요. 매우 뜨겁습니다.</div> <div>지름 약 2,844,086km로 태양의 2배쯤 되네요. 질량 또한 태양의 2.37배.</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6535zFYAOMlnifmWiuy5T.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한 번 더 쉬어가는 코-너</div> <div>시리우스는 쌍성계로 항성이 두 개가 있습니다. 바로 시리우스 B인데요. 크기가 작고 어둡지만 보시다시피 푸른색으로...온도는 더럽게 높습니다.</div> <div>사진은 거리 25,000km이며 표면온도는 무려 47,400K</div> <div><br></div> <div>지름은 약 15,514km로 태양의 0.011배입니다.</div> <div>분광형은 DA2로 주계열성 단계를 벗어난 항성입니다. D는 백색왜성(White Dwarf)의 분광형기호이며 A는 위 주계열성 분류와 관계없이 항성의 대기성분에 따른 표기이며 A는 수소함유량이 많은 항성을 뜻합니다. 숫자는 역시 표면온도에 따른 표기로 낮을 수록 뜨겁습니다.</div> <div><br></div> <div>주계열성의 V분류 처럼 백색왜성은 VII분류가 있으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VI 준왜성(sub Dwarf)도 마찬가지로 잘 쓰이지 않습니다.</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68110saycNf8VuMfAEG6q7.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0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br></div> <div>다시 25,000km거리의 지구와의 비교. 상당히 작습니다. 밝기도 어두워서 시리우스하면 보통은 시리우스 A를 말하는 겁니다.</div> <div>그러나 시리우스 B는 질량이 태양의 1.41배로 크기대비 질량이 꽤 큽니다. 따라서 중력 또한 강력한데...</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7367BFhitjCRnIybWRy7a6bxA5.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7368Mtb6YrZz.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7368QmiRkfRJ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에따라 중력렌즈 효과가 나타납니다.</div> <div>중력이 무려 3,189,700G(=지구 중력의 삼백 십팔만 구천칠백 배)</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7546ufqRKPk3oNwNzvETdQo.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따라서 이렇게 보통은 가려지는 상이 링모양으로 맺히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아인슈타인 링"이라고 합니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다만 진짜 시리우스 B가 중력렌즈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잘 모릅니다. 물론 백색왜성의 특성상 기대 해볼 수는 있지만 이게 보통은 블랙홀이나 은하(..)같은 초거대질량 천체를 찾을 때 볼 수 있는 현상이거든요...</span></div> <div><br></div> <div>백색왜성은 항성의 최종진화형 중 하나인데 더 이상 핵융합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온도는 점차 식어가며 최후에는 빛을 내지 않게되는 별로 죽어가는 별이라고 할 수 있죠. 다 식으면 더 이상 에너지를 발하지 않는 흑색왜성이 되며 찾을 수 없는 별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백색왜성이 다 식는데는 약 255억년이 걸리며 이는 우주의 나이 137억년을 생각해봤을 때 아직 우주에 흑색왜성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div> <div><br></div> <div>참고로 태양도 78억년 후에는 이런 백색왜성이 될 것 입니다. 먼저 거성단계를 거치겠지만요.</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8650cL4JJnIy2GcGjM3iknbqXjJpWj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87533IUxTrTlgiJwqg8jxmlJ3wp.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0.07AU(10,471,850km) 거리의 시리우스 A(위)와 같은 거리의 태양(아래)</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78809hEHfQtkxoHuAP79XnYK4NDs4UHhkFqa6.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마찬가지 0.07AU 거리의 폴룩스</div> <div>지구 밤하늘에서 열일곱 번 째로 밝은 별입니다.</div> <div><br></div> <div>K0III 오렌지색 거성(Orange Giant)이죠. 네, 벌써 주계열성 단계를 넘어 거성크기로 왔습니다.</div> <div>K형은 대체로 주계열성인데 반해서 얘는 거성입니다. III가 거성을 의미하는 것이죠. 거성도 주계열성처럼 OBAFGKM을 따르는 편이지만 주계열성과 달리 광도차이가 많이 납니다. 즉, K V와 K III는 색은 오렌지색으로 같으나 밝기는 거성이 엄청나게 더 밝죠.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지만 OBAFGKM이 온도에 따른 분류이듯 온도는 비슷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지름은 </span>14,810,189km로 태양의 10.68배, 질량은 태양의 2.67배, 표면온도는 4,750K입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1741RNXJGlcYQmY8H4G.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1741IgqMe9of21kawyT147TslvObHJfR.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1742FZtVqbqDlu1EJXriekWACKAXzsssEQ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div></div><br></div> <div>순서대로 거리 0.15AU(22,439,680km)의 폴룩스, 시리우스, 태양.</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1800marNuedhqxaYbep7GjvYjzxRaNhQ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div> <div><div style="text-align:left;"><br></div></div> <div>엑....</div> <div>마찬가지 0.15AU(22,439,680km)<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거리의 아크트루스....</span></div> <div>지구 밤하늘에서 세 번 째로 밝은 별입니다.</div> <div><br></div> <div>K2III 오렌지색 거성으로...어...댑따큽니다.</div> <div>아니 뭐...할 말이 없네요. 댑따 크당....</div> <div><br></div> <div>지름 33,958,716km로 태양의 24.4배, 질량은 태양의 3.8배, 표면온도 4,420K입니다.</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1141FyG3Bq7KsgcoSInK.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0.2AU(</span>29,919,574km)거리의 아크투르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102wK8TATfA2qscpZFPk8fxJZ75FUH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으악.......</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마찬가지 0.2AU(</span>29,919,574km)거리의 알데바란........입니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어음...지구 밤하늘에서 열세 번 째로 밝은 별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K5III 오렌지색 거성으로...어...댑따 짱 큽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니 뭐...할 말이 없네요. 댑따 짱 크당....</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지름 59,839,148km로 태양의 43배, 질량은 태양의 4.17배, 표면온도 3,950K입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5627j7y4n8zdyFlTt1ORkyhUlAOqHQo3uQ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563TK7nnWOjNu38RjNcplZN9J.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563hYXtfJMwAfJqjY5myR5EGz.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564u5CN2y6fD77rxqODfy44iemVjaHo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순서대로 3AU(태양-지구 거리의 3배)거리의 알데바란, 아크투르스, 시리우스, 태양</div> <div>1AU=149,597,871km로 태양과 지구사이의 거리이며 빛의 속도로 8분 조금넘는 정도가 걸리는 거리입니다.</div> <div><br></div> <div>참고로 이렇게 멀리서 찍었다는 것은.....</div> <div>그 다음에 올 별이...두구두구 기대하시라 개봉박두.....수준...</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2738BGS6hiZppSUBHrOPT9K32AqBXj6L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엄마깜짞이야!</div> <div>.....님들 그거 아세여...? 저 이거 하면서 별들에 접근할 때마다 숨넘어가는거.............거리 조절해야 해서 눈 감고는 못 함....ㅠㅠ</div> <div><br></div> <div>음... 3AU거리의 안타레스입니다.</div> <div>어음.... 지구 밤하늘에서 열여섯 번 째로 밝은 별입니다...</div> <div><br></div> <div>M1Ib 적색 초거성입니다.</div> <div>거성을 넘어서 초거성으로 왔습니다. 초거성. 초-거성.</div> <div><br></div> <div>초-온나 큼.</div> <div><br></div> <div>다만 적색인것에서 알 수 있듯 어두운 편입니다. 뭐....초거성 중에 어둡다는거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입니다.</div> <div>등급을 나타내는 로마숫자의 뒤에 a, ab, b등이 붙는데 순서대로 밝음, 중간 밝음, 덜 밝음의 뜻입니다.</div> <div><br></div> <div>지름 747,989,354km로 5AU가량 됩니다. 태양-목성 수준의 크기.......태양의 534배정도인 그야말로 초-온나 큰 초-거성.</div> <div>다만...앞서 말씀 드린바와 같이 스페이스 엔진은 대체로 최소모델을 쓰는데 크게는 태양의 800배가 넘는 것으로 보고있습니다.</div> <div><br></div> <div>질량은 태양의 14배이며 표면온도는 3,550K입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116qMzB7kX6qN.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으허엉 엄마아 ㅠㅠ</div> <div>3AU거리의 베텔게우스입니다...</div> <div>밤하늘의 열 번 째로 밝은 별입니다....</div> <div><br></div> <div>M2Ib 적색 초거성입니다....</div> <div>지름 5.5AU로 태양의 591배, 질량은 태양의 13.67배, 표면온도는 3,450K입니다....</div> <div><br></div> <div>하아....</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844jCN28sTRx1.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844PY5g2imHnmLgOW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845Wp8c1ln8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845zo6ImkxYUIHDaAvT1VDFy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846brI4V5jUS1aQjVTO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48468foAfshdM6En8u8vCoNpooej9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순서대로 10AU거리의 베텔게우스, 안타레스, 알데바란, 아크투르스, 시리우스, 태양입니다.</div> <div>이젠 시리우스와 태양은 실제 크기가 아니라 광체가 되어버려서 크기 구분을 할 수가 없습니다. ㅋㅋㅋ</div> <div><br></div> <div>하하 그보다 10AU에서 비교샷을 찍은 이유는? 아 예아-!</div> <div><br></div> <div><br></div> <div>음...먼저, 이 다음에 올 3개의 천체는...맨 위의 그림과 다릅니다. 왜냐하면 졸라짱 먼데다가 편차가 심해서 최소모델과 최대모델의 크기가 너무 차이나거든요. 그리고 최소모델을 쓰는 스페이스 엔진의 특성상 순서가 다릅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5202vt3UKlmCXZKT9y.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10AU거리의 백조자리 NML(NML Cygni)</div> <div>M6Ia 적색 극대거성으로 지름 7.67AU로 태양의 824배입니다.</div> <div><br></div> <div>현재 우리은하에서 발견한 항성중 가장 부피가 큰 것으로 보고있는데 태양 지름의 1,650배(2013년 1월 기준)로 봅니다만...여기선 작은 모델입니다.</div> <div>분광형에서 알 수 있듯이 적색의 차가운 극대거성으로 표면온도는 2,600K입니다. 그러나 밝기는 태양의 270,000배정도 됩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60617rRzecPeD6dTMAB9O5s7fc7E8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10AU거리의 방패자리 UY (UY Scuti)</div> <div>M4Ia 적색 극대거성으로 지름 7.78AU로 태양의 836배입니다.</div> <div><br></div> <div>최대크기는 태양 지름의 1,708배로 보고있으며 이는 현재 발견한 항성 중 가장 거대한 크기입니다.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오차값은 +-192</span></div> <div>그리고 방패자리 UY는 우리은하가 아니라 대마젤란 은하에 있습니다. 표면온도는 2,980K</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6626aPywJWlrffmaRy.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켘..</div> <div><br></div> <div>10AU거리의 큰개자리 VY (VY Canis Majoris)</div> <div>지름 18AU로 태양의 1948배(!!) ...하지만 이는 첫 발견 시의 관측값인데...이론에 따르면 지나치게 거대했습니다. 그에따라 더 정교한 관측을 시도했으며 지금은 많이 줄어들어 태양 지름의 1,420배로 보고있습니다. 어째서 수정하지 않는거냐 스페이스 엔진...</div> <div><br></div> <div>M4II 밝은 거성이며 표면온도는 2,980K입니다.</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70344ULgXewquc4.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7034ZnU87lKegSk8KAqY.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25AU거리에서의 큰개자리 VY와 태양.</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1/14225871775Ds6qNEyu.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보너스 75,000광년(...)거리의 우리은하하하....</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1/30 14:07:54  59.1.***.26  frozen  384171
    [2] 2015/01/30 14:37:48  218.234.***.84  아프리카의별  175721
    [3] 2015/01/30 14:43:18  175.192.***.246  u도시하늘  478675
    [4] 2015/01/30 16:56:00  14.47.***.228  치킨드루와  479209
    [5] 2015/01/30 17:05:08  210.2.***.232  헤헿헤헤헿  546466
    [6] 2015/01/30 17:32:49  110.70.***.167  GrowinG  552856
    [7] 2015/01/30 18:03:25  222.98.***.212  imperfect  544310
    [8] 2015/01/31 00:16:32  115.139.***.27  TotalCream  244647
    [9] 2015/01/31 00:29:20  203.226.***.47  프리  17901
    [10] 2015/01/31 01:18:21  182.215.***.64  Blame  57376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9
    비공감 사유 시스템에 대하여 정리 해봄 [3] 전자기파동 15/05/24 02:14 - -
    188
    지금 당장이라도 비공감 시스템을 돌려놓는게 나을듯 [3] 전자기파동 15/05/23 23:51 - -
    187
    비공감 개편에 대한 사견입니다 [1] 전자기파동 15/05/23 22:58 - -
    186
    디씨도 오타쿠 쪽 갤은 어느정도 취존을 하는 거슬... [11] 전자기파동 15/05/22 00:33 190 2
    185
    국제우주정거장 생방송 [8] 전자기파동 15/05/17 08:51 94 10
    184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제초는 안 좋은거임 [7] 전자기파동 15/05/05 16:45 87 5
    183
    제가 제초에 대해 시비를 걸었으니 정리해보겠음. [16] 전자기파동 15/05/04 23:56 41 5/5
    182
    [엘리트] 태양계 관광 (스페이스 압박 주의) [2] 전자기파동 15/04/24 22:45 72 4
    181
    [엘리트] 뜻밖의 행성 최초 발견자 [5] 전자기파동 15/04/23 02:19 266 0
    180
    (스페이스 압박 주의) 엘리트: 데인저러스 탐사 일지 [5] 전자기파동 15/04/22 16:36 132 7
    179
    우주따쿠를 위한 게임 엘리트: 데인저러스 [12] 전자기파동 15/04/20 15:07 251 6
    178
    페로페로가 무슨 뜻인가요? [5] 전자기파동 15/04/03 14:21 234 0
    177
    던 탐사선, 3월 6일에 왜행성 1 세레스의 궤도 진입 [15] 전자기파동 15/03/05 08:16 95 11
    176
    태양계의 위성들 [48] 전자기파동 15/02/17 07:36 146 15
    175
    소행성대를 돌파하는 방법 [17] 전자기파동 15/02/08 19:44 98 10
    (목성공포증)우주의 거대한 천체들 [3] 전자기파동 15/01/30 12:09 104 13
    173
    태양계에 우리가 잘 모르는 천체가 있다? [48] 전자기파동 15/01/29 17:09 87 15
    172
    잊혀진 행성 명왕성 [45] 전자기파동 15/01/28 03:23 98 12
    171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 어떻게 생겼을까? [4] 전자기파동 15/01/27 12:06 102 15
    170
    스페이스 엔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4] 전자기파동 15/01/27 06:27 71 22
    169
    걷는 멍멍이의 하루 [1] 전자기파동 15/01/24 02:48 47 2
    168
    법사 500승 찍었습니다. [1] 전자기파동 15/01/09 06:54 49 2
    167
    쥐새끼인가 개새끼인가. 불독을 살려둔 대가 [5] 전자기파동 14/12/16 03:23 53 11
    166
    워커불독 2266 [7] 전자기파동 14/12/14 01:14 35 2
    165
    오늘의 멍뭉이... [3] 전자기파동 14/12/08 19:16 43 3
    164
    경전차로 수풀없이 등대하기 [6] 전자기파동 14/12/07 19:28 62 6
    163
    오늘의 멍멍이 [4] 전자기파동 14/12/07 02:31 42 3
    162
    네번 째 등반만에 성공한 화증 세줄 [8] 전자기파동 14/12/02 00:56 38 10
    161
    경전차가 살아남는 법 [3] 전자기파동 14/11/06 03:34 41 10
    160
    게임파라에서 주문하신 분들 많나요? [1] 전자기파동 14/10/24 15:18 23 1
    [1] [2] [3] [4] [5] [6] [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