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SWEV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25
    방문 : 16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computer_58179
    작성자 : QuadXeon
    추천 : 4
    조회수 : 432
    IP : 222.109.***.47
    댓글 : 7개
    등록시간 : 2012/09/03 02:26:07
    http://todayhumor.com/?computer_58179 모바일
    [2편]세대를 이어가는 최강의 성능, WD 벨로시랩터 1TB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4a2a244f6625130449041c016310ab88.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487f2304ded9d3ffa041533bbe8af144.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c2681f20b69f851e6a81f0ab084690c4.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width="650" height="238"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01fbb04106126ac82eb267d16521fb46.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e4c495e93170307edb63b921a7b80ea2.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width="650" height="228"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855d3a6b4ac304f78375f0959e46e326.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c589aa0baad4109e4d1933cf759a7d1f.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width="650" height="269"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b51348a9fd0f95057405ca1bc9db3b99.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ca3c349d9449856c514eb4440ab16243.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width="650" height="373"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79aa3c058ee17272c44e058558d6b722.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29476ede888e610166cf5219fe1edd7c.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0d8712e8fa494fa6e7f829ef2f7fbbd3.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ac26fe0f57658a9a893effe6fb252cf0.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width="650" height="299" /></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1f4e2f73c286b6584c43ed9e22c907e8.png" class="txc-image" style="FLOAT: none; CLEAR: none" /></P> <P style="TEXT-ALIGN: center"></P><!-- 조커 난데없이 조커가 왜 튀어나오냐며 당황하시는 분들이 있으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원래 불확정성의 원리에 근거한 예측불허의 양자역학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글이 이렇게 시작되니 아주 약간의 인내심으로 꾹 눌러담으시고 쭉쭉 읽으시다 보면 재미난게 있을겁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이 지난주의 제 리뷰를 읽으셨거나 혹은 벨로시 랩터라는 제품에 대해 알고 계시다면 제품의 성능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예측을 하고 계실겁니다. 당연히 7200RPM HDD보다야 빠를테고, SSD보다는 느릴테죠. 그렇다면, '과연 이 값비싼 디스크는 7200RPM HDD 대비 얼마만큼의 성능 향상을 보여줄 수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저는 온 힘을 기울이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추후에 다시 기술할 내용이지만 제품 자체의 특성이 OS 디스크 보다는 '대용량 초고속 디스크'로의 활용에 더 적합하기 때문에 데이터 입출력이 아주 격렬하게 발생하는 상황에서 벨로시랩터가 가진 힘이 어느정도까지인가를 살펴보려 합니다.그리고 그러한 힘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벤치마크 프로그램이 바로 전 주의 예고에서 보여드렸던 Intel Ipeak Storage Performance Toolkit(이하 ISPT입니다) 다크나이트의 조커는 사람이 죽을만큼 벼랑끝에 몰렸을때 그 사람의 속내를 온전히 볼 수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ISPT가 HDD를 죽이진 않겠지만-_- 통상의 벤치마크 프로그램들과는 매우 다른 방법으로 HDD에 부하를 주고 특성을 살피는 독특한 유틸이기 때문에 여러모로 흔치 않은 시각으로 속속들이 제품이 가진 장점을 보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기본 성능 테스트 ISPT가 "눈으로 볼 수 없을 것 같은 특성을 시각화 시켜주는데 특화된" 툴이라면 쉽게 우열 비교가 가능하도록 수치화를 시켜주는 프로그램이 크게 3가지 정도가 존재합니다. Crystal Disk Mark와 HD Tach, 그리고 HD Tune이 그러하죠. 이 세가지 프로그램은 아주 해석이 쉬우면서도 벤치마크도 간단하고 결과값 또한 신뢰할 만합니다. 기본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벤치마크 시스템 소개와 대조군 HDD 소개 한 번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테스트시스템 - 1 CPU Intel Core i7 2700K RAM PC12800 DDR3 4GB x 4 Mainboard ASUS Maximus IV Gene - Z(Intel Z68 Chipset) VGA eVGA GTX480 Superclocked OS Disk Samsung 830 Series 128GB OS Windows 7 Enterprise Edition X64 SP1 Test Tools HDTune 4.6 HDTach 3.0.0 Crystal Disk Mark3.0.1 x64 ETC AHCI 모드에서 진행, 파티션은 각자 단일 파티션으로 생성 1번 테스트 시스템은 제 메인 PC입니다. 별다른거 없는 그냥 흔해빠진 사양이고,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Z68칩셋에 기본 내장된 PCH에서 S-ATA3 포트에 물려서 AHCI 모드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굳이 AHCI모드로 진행하는 이유는 벨로시랩터의 특성 때문입니다. 저는 벨로시랩터 정도의 고성능 디스크가 들어갈 시스템에 SSD하나 안달려 있으리란 가정을 내리고 글을 못쓰겠습니다. SSD는 SSD대로 작은 용량에서 빠르게 OS와 프로그램만 담겨있고 실제 작업시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는 HDD쪽에 담겨있는 것이 맞겠죠. SSD 쓰시는 분들에게 AHCI는 필수이고 제 손을 거쳐간 4대의 랩터(360GD, 740GD, 740ADFD, 740HLFS) 모두 AHCI모드에서 훨씬 더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도록 설계되어 있던 점을 감안하여 내린 결정이니 참고하여 주세요. 대조군은 현재 메인스트림급 디스크로서 가장 많은 판매고를 올리고 있는 WD 500GB 블루 5000AAKX입니다. 가장 많이 팔리고, 대중적인 디스크로서 일반 소비자 시장용 HDD와 과연 어느정도의 성능 차이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인가를 보여주기 위한 희생양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자격을 지니고 있다는 판단 하에 끼워넣었습니다. (1)Crystal Disk Mark 3.0.1 x64 전반적으로 작게는 1.5배 가량에서 많게는 3배 이상의 차이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원래 이 정도까지 말도 안되는 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_- 집안에 굴러다닌다는 이유로 엉겁결에 대조군으로 잡혀온 500GB 블루에게 미안해 지는군요;;; 체감성능과 직결되는 부분인 4K성능의 경우 10000RPM과 2.5인치 플래터의 힘으로 2~3배 이상의 압도적인 격차로 찍어누르고 있습니다. 제가 4세대의 랩터를 8년동안 줄창 써왔지만 이 정도로 당대의 메인스트림급 디스크와 압도적인 차이를 보여준 사례는 없었는데, 좀 당황스럽네요. 더 빠른 S-ATA하드(경쟁사인 S사의 B시리즈 플래터당 1TB모델 이라거나....)를 싸움붙여보고 싶었으나 윈도 XP 환경 하에서 3TB HDD가 인식이 안되는 관계로 밀려난 점이 안타깝습니다. (2)HD Tach 3.0.0 클릭해서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전반적으로 보면, 엑세스타임이 절반 미만으로 찍혔다는 사실이 이 제품의 존재가치를 고스란히 증명해줍니다. 전통적으로 7200RPM HDD의 엑세스 타임은 아주 빠른 모델들은 12ms, 좀 느리다 싶으면 15ms 정도까지 늘어졌는데 500GB 블루는 약간 느린 축에 속하는군요. 고RPM에 힘입어 전송률도 200MB/s를 찍어주며 시작합니다. S-ATA1 인터페이스 대역폭도 다 못쓰는 주제에 HDD에 S-ATA3가 무슨 개발에 편자나며 욕했던 5년전의 제가 창피합니다-_-... 평균적인 전송률도 결국 160MB/s를 찍었습니다. 버스트 스피드는 HDD에 장착된 버퍼 메모리에서 순간적으로 메인보드를 향해 뿜어줄 수 있는 최대의 속도를 의미합니다. 즉, HDD의 스펙도 스펙이지만 버퍼 메모리 자체의 퍼포먼스가 잘 나와주어야 높게 찍히는데, 같은 S-ATA3를 지원하는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랩터쪽이 20%가량 빠르게 나왔습니다. 버퍼메모리 컴포넌트는 스펙이 다들 고만고만 할텐데, 10000RPM 덕에 데이터 충전 속도가 빨라서 발생한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 (3)HD Tune 4.60 클릭해서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많은 정보량을 보여주는 HD Tune입니다. 이쪽에서 눈여겨 보아야 할 점은 빨간 선의 기울기값 차이입니다. 클릭해서 보시면 그래프 하단부에 노란 점이 여러개 찍혀있는 것이 보이실텐데, 저 노란 점은 엑세스타임 분포도입니다. 디스크의 바깥쪽에서부터 안쪽까지 테스트하면서 엑세스타임이 얼마나 떨어지는가를 보기 위한 것이죠. HDD는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므로 안쪽의 읽기/쓰기 속도는 바깥쪽보다 떨어지는게 정상입니다. 문제는, 벨로시랩터의 경우 저 노란 점들의 평균적인 기울기가 500GB 블루보다 한참 낮다는겁니다. 기울기값만 놓고 따지면 거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데, 이는 2.5인치 플래터의 도입으로 얻어진 부수적인 이익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플래터 자체의 지름이 많이 줄어들어 버리니 바깥쪽과 안쪽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게 잡히는거죠. 그 외에 CPU사용률이 이상하게 높게 찍힌건 다른게 아니고 제가 측정중에 실수로 클릭을 해버려서 발생한 문제이니 무시하셔도 됩니다-_-... 다른 수치들이야 HD Tach와 동일하게 압도적인 차이로 찍어누르고 있고 여전히 200MB/s에 가까운 전송률은 10000RPM의 힘이 얼마나 무시무시한지 잘 보여주고 있군요. 자, 다음은 각 테스트 항목별 얼마만큼 우위를 가지고 있는지를 비율로 비교한겁니다. 테스트 프로그램 500GB 블루 벨로시랩터 성능 비율 Crystal Disk Mark Seq Write 138.1 MB/s 263.2 MB/s x 1.91 Crystal Disk Mark Seq Write 124.8 MB/s 193.3 MB/s x 1.55 Crystal Disk Mark 512k Read 52.44 MB/s 124.4 MB/s x 2.37 Crystal Disk Mark 512k Write 75.64 MB/s 259.7 MB/s x 3.43 Crystal Disk Mark 4k Read 0.665 MB/s 1.888 MB/s x 2.84 Crystal Disk Mark 4k Write 1.622 MB/s 4.817 MB/s x 2.96 Crystal Disk Mark QD32 Read 2.076 MB/s 4.392 MB/s x 2.12 Crystal Disk Mark QD32 Write 1.577 MB/s 4.960 MB/s x 3.15 HD Tach Random Access 15.4 ms 6.9 ms x 2.23 HD Tach Average read 104.2 MB/s 168.8 MB/s x 1.62 HD Tach Burst Speed 396.8 MB/s 459.0 MB/s x 1.15 D Tune Max Tranfer 127.0 MB/s 193.5 MB/s x 1.52 HD Tune Min Transfer 56.7 MB/s 113.2 MB/s x 2.00 HD Tune Aver Tranfer 98.8 MB/s 161.2 MB/s x 1.63 HD Tune Burst Speed 284.7 MB/s 388.4 MB/s x 1.36 HD Tune Access Time 15.2 ms 6.73 ms x 2.26 각 영역별로 데이터가 원체 상이하고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가 어렵기 때문에 조중동식으로 딱잘라서 평균낸 뒤 몇 배 빠르다 라고는 안합니다. 다만 대충 얼버무려도 최소한 1.5배는 빠르겠다는 생각이 드는 데이터네요. 전반적인 기본 성능 평가는 대충 이 정도로 하고, 본격적으로 심층적인 탐구를 해봐야죠. 제 리뷰의 아이덴티티이자 알파이자 오메가인 ISPT의 등장입니다 두둥! 심층 테스트 - Intel IPEAK Storage Performance Toolkit 아아, 저 고색창연한 디자인이라니... 에.....이야기가 좀 길어집니다만 제 글이 원래 삼천포 전문이니 그냥 씁니다. 요즘은 모르겠는데, 예전에는 인텔 메인보드를 사면 같이 사용될 하드웨어들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번들로 들어갔습니다. 그 프로그램의 브랜드가 IPEAK입니다. IPEAK는 상단의 로고에서 볼 수 있듯이 Intel Performance Evaluation & Analysis Kit의 약자이며 하위 프로그램들이 몇가지 있지만 저는 그 중에서도 Storage Performance Toolkit만을 사용해서 이번 심층 테스트를 진행하겠습니다. 테스트 그래프를 보면 첨에 이게 뭔 헛소리야 하시겠지만 이게 보면 볼수록 빠져드는 매력이 있는 정신나간 데이터라죠 핫핫핫 나만 그런가......ㄱ-....... 테스트시스템 - 2 CPU Intel Core 2 Duo E6300 RAM PC5300 DDR2 RAM 1GB x 2 Mainboard Gigabyte GA-965P S3 Rev 1.0 VGA Asus 9600GT Matrix OS Disk WD 5000AAJS OS Windows XP Professional SP3 기타 AHCI 모드에서 진행, 파티션 미생성 테스트 시스템 2번은 XP 환경에서의 테스트용으로 긴급공수........는 아니고 룸메이트의 컴퓨터입니다. 전반적으로 철지난 물건이지만 S-ATA2를 지원하고 이 정도면 펜티엄4 세대와는 다르게 스토리지 장비의 발목을 심각하게 잡지는 않는 세대의 규격이면서도 XP환경에서 잡스럽게 문제가 없는 사양인지라 이쪽에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ISPT 자체가 윈도7 환경 하에서 뭔짓을 해도 구동이 안되는 프로그램이라 2대의 테스트 시스템을 쓰게 만들어서 참 많이 피곤했네요-_- (1)Distribution of Read Service Times 앞서 테스트한 HD Tune의 엑세스타임 분포도 그래프와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될 데이터입니다. 과연 엑세스타임이 어느정도 잘 나오느냐를 보기 위함인데, 전체적으로 왼쪽에 가깝게 몰려있는 그래프가 가장 좋죠. 보시다시피 통상의 7200RPM HDD는 13~14ms 근방에서 좌우로 넓게 퍼져 있고 벨로시랩터는 5ms를 중앙으로 해서 좁게 몰려있습니다. 일단 평균적인 엑세스타임이 극도로 줄어든 이유는 10000RPM의 힘인거고, 두번째로 엑세스타임 분포가 폭이 넓게 벌어지지 않은건 2.5인치 플래터의 효과입니다. 움직여야할 거리의 폭 자체가 줄어들어서 발생했다기 보단 디스크 외주와 내주의 차이가 적으니 그만큼 엑세스타임 분포도 줄어드는 효과가 나온거죠. 결과적으로 HD Tune에서 기울기가 적은것과 일맥상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Read Seek Profile 마찬가지로, 클릭해서 보시는게 좋습니다. 리뷰 독자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는 3차원 그래프의 등장입니다. 근데 뭐 사실 별다른게 없어요. 일단 Seek Distance는 헤드와 읽어들이는 데이터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섹터 단위로 나타낸겁니다. 0은 헤드가 해당 데이터 바로 위에 있는 상태이고 양 옆으로 갈수록 멀리 있는 데이터라는 의미이지요. Service Time은 데이터를 읽어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단위는 엑세스타임과 동일한 ms입니다. 그리고 세로축의 Probability는 말 그대로 확률인데 가로축의 Service Time 내에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하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놓고 보면 왼쪽 벽면에 세로로 바짝 붙어있는 그래프가 나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헤드로부터 데이터가 멀리 있더라도 재빠르게 데이터를 뿌려줄 수 있다는 의미니까요. 자, 데이터 해석법은 알았으니 이제 가장 먼저 빨간 선의 눈금 위치부터 보겠습니다. 빨간선의 눈금 위치가 500GB 블루는 11ms 정도에 머물러 있는데 벨로시랩터는 7.5ms안쪽에 자리잡고 있죠. 아무리 느려도 7.5ms 이상 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고 그래프의 왼쪽 벽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면서 높이 또한 높은데 이건 그만큼 낮은 시간 안에 데이터가 즉각즉각 튀어 나온다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이것만 봐서는 그냥 좋다 수준의 감 정도 밖에 오지 않으실테고 뭔가 압도적인 차이까지는 느껴지지 않으실겁니다. 구체화된 수치도 여태까지의 벤치마크들과는 달리 고작 1.5배(11 vs 7.5) 정도의 차이 밖에 벌어지지 않았으니까요. 그런데 그게 문제가 아닙니다... (3)Read Queuing Optimazations 그래프는 큰 그림으로 보셔야 좋습니다-_- 클릭! 좀 어처구니 없는 일인데....그래프를 보고 측정이 어디가 잘못됐나 하면서 여러차례 반복을 해보고 윈도도 다시 깔아봤는데 해괴한 차이가 나왔습니다. 일단 그래프 보는 법부터 설명해드리죠. 다수의 데이터 요청을 HDD에 보내서 요청수의 증가량과 HDD의 반응속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는 테스트입니다. Child Processes의 숫자는 한 번에 몇개의 데이터 요청을 전달하느냐의 의미이고 Service Time은 문자 그대로 그 데이터가 튀어나오는 시간, 마지막으로 세로축은 여전히 확률의 의미를 가집니다. 위의 Read Seek Profile과 마찬가지로 왼쪽 벽에 붙어있을 수록 좋은 데이터인데.. 바닥면의 대각선은 데이터 해석이 편하게 제가 그어드린 일종의 보조선입니다. 한번에 다수의 데이터를 요청시 요청 갯수가 많을수록 지연시간이 생기는건 당연한 일입니다. 문제는 대다수의 HDD가 요청갯수의 제곱에 비례해서 지연시간이 발생한다는 점이고 왼쪽의 500GB 블루도 그렇게 데이터가 나와서 그냥 그러려니 했는데 어이없게도 벨로시랩터는 요청 갯수가 늘어나도 그냥 선형적인 증가폭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번에 동시 다발적으로 일을 시키면 사람이 손발이 꼬이는 통에 하던 것도 잘 못하는게 정상인건데 속도만 좀 느려졌지 제대로 잘 되고 있다 이런 의미입니다. 특히 벽면에 붙어있는 부분의 면적 또한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Child Process의 갯수가 1개 일때는 100%를 찍고 있는데 이게 의문스럽습니다. SSD도 아닌 물건이 데이터가 지연시간 0에 가까운 지점에서 바로 튀어나온다는게 납득이 안되고 있습니다. 그 친구 혼자 그래프가 말도 안되게 튀어있으면 오차겠거니 하는데 오차도 아닙니다 쿨럭...... 여튼 저 그래프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건, HDD치고는 비정상적으로 빠른 응답 특성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특히나 동시다발적으로 여러개의 데이터 요청이 이뤄지는 요즘의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벨로시랩터가 가지는 진가가 제대로 드러나는 대목이기도 하구요. (4)Read Buffer Transfer Rate 이건 버퍼메모리의 반응 특성을 보는겁니다. 가로축은 요청하는 데이터의 크기, 세로축은 그로 인한 데이터의 전송 시간을 의미 하는거죠. 데이터가 커질수록 전송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건 당연한데, 문제는 전반적으로 500GB 블루 대비 그 반응속도가 빠르단겁니다. 대략 30%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의 반응 속도 차이가 발생하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전송률이 잘나오니 버퍼에 데이터가 차오르는 주기 자체가 짧아져서 발생한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 그도 그럴것이 버퍼의 용량과 버퍼 메모리 자체의 속도 간에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편이고 요즘 WD하드들은 컨트롤러가 전부 통일이라 컨트롤러 단에서 발생하는 성능차이도 아닙니다. 흔하디 흔한 하이닉스 메모리에 뭔가 대단한 파워가 숨어있을리도 없고 말이죠..... 결론 겸 에필로그 빠르다, 이 한마디면 모든게 표현이 됩니다. 애초에 제품이 가진 아이덴티티 자체가 그러하고 실제로도 격이 다른 레벨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었으니 당연한 귀결이겠죠. 얼마만큼 빠른가를 시각적으로 보여드릴 방법에 대해 많이 연구하고 실제로 프리미어 프로나 베가스 혹은 포토샵등의 하드코어 작업 시간 단축을 동영상 등을 이용해서 보여드려 볼까 싶었습니다만..... 성능 테스트 동영상 같은걸 클릭해서 보시는 분들 자체가 잘 없을겁니다. 결론이 뻔히 정해진거고 결국 받아들이는 부분은 얼만큼 빠르냐 라는 숫자 하나로 정리해서 기억하는데 그 과정따위 누가 신경이나 쓰겠습니까 ㅎㅎ 그냥 빨리빨리 눈에 보이는게 좋은거죠. ISPT로 측정한 데이터가 그리 와닿으시지 않을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은 듭니다. 3분 걸리던게 1분이면 끝난다 라고 하면 쉽게 와닿지만 3차원 그래프의 형상은 원체 복잡 미묘해서 이과 공돌이인 저조차도 가끔 보고 있으면 멀미가 나려 하거든요. 다만, 평범한 벤치마크는 하기 싫고 이미 어지간한 리뷰는 하드웨어 사이트들이 다 알아서 해주고 있으니 차별화 요소라고 내세울만한게 생각보다 쉽지가 않아요 ㅎㅎ 그냥 뻔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나열하고 캡쳐떠서 얼만큼 더 빠르네요 라는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니까요... 여튼, 이렇게 소비자 입장에서 손을 댈 여지가 없는 제품일수록 리뷰어는 고민이 많아집니다. 활용도 라는건 이미 정해져있기 마련이니 결국 얼만큼 좋은 제품인가를 보여주기 위해 애써야 하는데 그마저도 요즘 소비자분들 눈이 원체 높아져서 말이죠.. 넋두리는 요 정도로만 끝내고 인사 드리며 마치겠습니다. 다들 평온한 한 주 되시고, 다음주에 뵈어요! -->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9/03 07:16:32  209.89.***.148  shishou515  232476
    [2] 2012/09/03 09:39:42  122.203.***.194    
    [3] 2012/09/03 10:35:51  221.139.***.62  씨디맨  111938
    [4] 2012/09/03 11:43:38  203.237.***.230  헌혈  27641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
    2017년 5월, 이달의 추천 견적(30~200만원까지) [5] 창작글본인삭제금지 SWEV 17/05/02 11:13 200 18
    6
    AMD CPU 라이젠, TV 광고 예상 콘티 [7] 창작글 SWEV 17/02/15 00:25 124 10
    5
    2017년 1월, 이달의 추천 견적(30~200만원까지) [13] 창작글 SWEV 17/01/19 08:38 180 13
    4
    섹스 하고 싶은 바탕화면 만들어봤습니다 [36] 창작글본인삭제금지 SWEV 16/05/29 00:47 580 12
    3
    효율 조작 논란에 대한 파워렉스의 사후 대응 정리 [3] QuadXeon 13/10/25 18:27 108 4
    [2편]세대를 이어가는 최강의 성능, WD 벨로시랩터 1TB [4] QuadXeon 12/09/03 02:26 76 0
    1
    [1편]세대를 이어가는 최강의 성능, WD 벨로시랩터 1TB [1] QuadXeon 12/08/25 20:38 61 1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