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emonade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6-21
    방문 : 1328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26476
    작성자 : Lemonade
    추천 : 0
    조회수 : 1071
    IP : 124.59.***.105
    댓글 : 11개
    등록시간 : 2016/07/24 00:37:55
    http://todayhumor.com/?history_26476 모바일
    조선 초기 경계에 관한 예종 시기의 기록입니다.
    옵션
    • 펌글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공조 판서(工曹判書) <span class="idx_wrap idx_person tooltip2" title="梁誠之"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0076f0;">양성지(梁誠之)</span>가 상서하였는데, 그 상서는 이러하였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신은 엎드려 보건대, 주상 전하께서는 영명(英明)하고 관고(冠古)하신 자질로 선성(先聖)의 부탁(付托)의 중함을 받아서 대보(大寶)를 이어 등극하시어, 정성을 다하여 정치에 힘쓰셨으니, 먼저 방납(防納)을 혁파하여 우리 일국(一國)의 복(福)이 되게 하셨고, 다음으로 도둑을 엄하게 다스리시어 우리 양민(良民)에게 은혜(恩惠)를 베푸셨으며, 역적(逆賊)을 평정하여 종사(宗社)가 견고해졌습니다. 황제의 명을 받아 조야(朝野)가 경사스러우니, 이는 신자(臣子)의 정백(精白)한 한 가지 마음을 바르게 하여서 휴덕(休德)을 이어받은 시기입니다. 신은 용렬한데도 특별히 선왕(先王)의 천지(天地)같은 사사로운 은혜를 입었으나, 조그마한 보답도 하지 못하여 전하에게 보답을 도모하고자 생각하고 있으니, 어찌 일찍이 잠시라도 품은 바를 늦추겠습니까? 삼가 관견(管見) 28가지를 조목별로 기록하여 올리니, 엎드려 생각건대 예감(睿鑑)을 드리워 살피소서.</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1. 장장(長墻)에 대한 의논입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신은 그윽이 생각하건대, 본국은 안팎이 산과 강으로 되어 있어 넓이가 몇만 리(里)이고, 호수(戶數)가 1백 만이고, 군사가 1백 만으로, 요(堯)임금과 아울러 섰고, 주(周)나라에는 신하가 되지 않았고, 원위(元魏)와는 통호(通好)하였으며, 풍연(馮燕)에는 정성을 바쳤고, 수(隋)나라는<a target="_blank" href="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6029_002#footnote_1" class="idx_wrap idx_annotation04 footnote_super" style="padding:0px;margin:0px;line-height:16px;text-decoration:none;color:#333333;" target="_blank">육사(六師)<sup style="padding:0px;margin:0px;font-size:10px;color:#c864ff;">690)</sup></a> 가 대패(大敗)하였고, 당(唐)나라는 손님으로 대우하였고, 요(遼)나라는 패군(敗軍)하여 처참하였으며, 송(宋)나라는 섬겼고, 금(金)나라는 부모(父母)의 고향이라고 일컬었으며, 원(元)나라는 사위와 장인의 나라가 되었습니다. 우리 명(明)나라 <span class="idx_wrap idx_person tooltip2" title="明太祖"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0076f0;">고황제(高皇帝)</span>도 또한 삼한(三韓)이라 이르고 하하(下下)의 나라라고 하지 않았습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요동(遼東)의 동쪽 1백 80리는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연산</span>(<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連山</span>)</span>을 경계로 하여 <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파절</span>(<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把截</span>)을 삼았으니, 성인(聖人)께서 만리를 헤아려 밝게 보시는데 어찌 토지가 비옥하여 가축을 기르거나 사냥하는 데 편리하다는 것을 모르고서 수백 리의 땅을 버려 그 곳을 비게 하였겠습니까? 진실로 동교(東郊)의 땅은 삼한(三韓)에서 대대로 지키어 양국(兩國)의 강역(疆域)을 서로 섞일 수 없게 하였으니, 만약 혹 서로 섞인다면 흔단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입니다. 지금 듣건대, 중국에서 장차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동팔참(東八站)</span>의 길에 담장[墻]을 쌓아서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벽동(碧潼)</span>의 경계에 이르게 한다고 하니, 이는 실로 국가의 안위(安危)에 관계되는 바이므로, 깊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보다 앞서 본국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안도(平安道)</span>의 백성 가운데 부역(賦役)에서 도망한 자가 저곳에 흘러 들어갔으니, 동쪽으로는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개주(開州)</span>로부터 서쪽으로는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요하(遼河)</span>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바다에 이르러, 대개 고을의 취락(聚落)이 서로 바라보이는데, 몇천만 명이나 되는지 알지 못합니다. <span class="idx_wrap idx_era"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ff4e00;">영락(永樂)</span> 연간에 <a target="_blank" href="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6029_002#footnote_2" class="idx_wrap idx_annotation04 footnote_super" style="padding:0px;margin:0px;line-height:16px;text-decoration:none;color:#333333;" target="_blank">만산군(漫散軍)<sup style="padding:0px;margin:0px;font-size:10px;color:#c864ff;">691)</sup></a> 은 모두 4만여 인이었는데, 근년(近年)에 요동(遼東)의 호구(戶口) 가운데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동녕위(東寧衛)</span>에 십분의 삼이 살고 있습니다. 만약 장장(長墻)이 없다면 야인(野人)이 출몰(出沒)할 것이니 진실로 염려스럽고, 만약 혹 담장을 쌓는다면 도로 내지(內地)가 되어서 진실로 좋은 땅이 될 것이니, 그 유망(流亡)하는 자가 어찌 옛날보다 만만배(萬萬倍)가 되지 않겠습니까? 이것이 그 해(害)의 첫번째입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만약 중국에서 연대(煙臺)를 벌여서 설치하고 둔전(屯田)을 널리 행한다면, 이와 같다면 양국의 사이에는 다만 강 하나만이 한계가 될 뿐이니, 이름은 해외(海外)라고 하여도 실로 같은 안입니다. 저들이 어찌 천백 년 동안 우리 변방을 엿보지 않았겠습니까? 혹은 이익이 되기도 하고 혹은 해가 되기도 하여 헤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것이 그 해의 두 번째입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장장(長墻)이 비록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요하(遼河)</span>에서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압록강(鴨綠江)</span>에 이른다고 하더라도 오히려 염려할 만한 것이 있는데, 만약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벽동(碧潼)</span>의 경계(境界)인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산양호(山羊湖)</span> 사이에 이른다면, 이는 동한(東韓)의 땅이어서 저들의 봉역 가운데에 있으니, 사람에 있어서는 팔꿈치와 겨드랑이의 사이와 같고 인가(人家)가 울타리 안에 있는 것과 같아, 한쪽은 여기에 있고 한쪽은 저기에 있어서 저들의 주장에 달려 있습니다. 어찌 다만 <a target="_blank" href="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6029_002#footnote_3" class="idx_wrap idx_annotation04 footnote_super" style="padding:0px;margin:0px;line-height:16px;text-decoration:none;color:#333333;" target="_blank">장사(長沙)의 무수(無袖)<sup style="padding:0px;margin:0px;font-size:10px;color:#c864ff;">692)</sup></a> 뿐이겠습니까? 이것이 그 해의 세번째입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이와 같은 이해(利害)는 삼척 동자(三尺童子)라도 알지 못함이 없습니다.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건주(建州)</span>의 사람들은 형세상 반드시 와서 싸울 것이나, 가까이 들리는 일은 항상 그 실지를 잃음이 많을 터인데, 만약 진실로 이러한 일이 있는데도 태평하게 주청(奏請)하지 않는다면, 저들은 우리를 무능(無能)하다고 여기고 더욱 능욕(凌辱)하는 일이 있을 것이므로, 모름지기 급히 달려서 상주(上奏)하여야 할 것입니다. <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연산</span> <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파절</span>(<span class="search_keyword_bd idx_wrap" style="padding:0px;margin:0px;border:2px solid rgb(240,108,73);">連山把截</span>)은 <span class="idx_wrap idx_person tooltip2" title="明太祖"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0076f0;">고황제(高皇帝)</span>가 정한 바이므로 양국의 봉강(封疆)은 서로 어지럽힐 수 없습니다.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벽동(碧潼)</span> 이서와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의주(義州)</span> 이북은 큰 강이 한계로 막혀 있어서 족히 염려할 것이 못되나, 이어 <span class="idx_wrap idx_person tooltip2" title="金輔"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0076f0;">김보(金輔)</span> 등 내사(內史) 족친(族親)을 보내어 들어가서 나라 사람들의 뜻을 아뢰어 제총(帝聰)에 이르도록 하여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요하(遼河)</span>로부터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압록강(鴨綠江)</span>에 이르기까지 쌓도록 할 수 있다면 어찌 다행이 아니겠습니까? 만약 청(請)에 따르지 않는다면 마땅히 자치(自治)하는 일이 더욱 엄중하게 하여 만세(萬世)토록 견고하게 할 뿐입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신이 가만히 보건대,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안도</span>의 폐해로서 큰 것이 셋 있으니, 부방(赴防)이고 관부(館夫)이고 기재(騎載)하여 영송(迎送)·호송(護送)하는 데 지대하는 일입니다. 만약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벽동</span>의 강 밖에다 또 장장(長墻)을 쌓는다면 북방(北方)의 수어(守禦)는 옛날에 비해서 가벼워질 것입니다. 만약 전과 같이 남쪽 경계의 군사로써 강변(江邊)의 땅을 지키게 한다면 백성들이 모두 요해(遼海)로 흘러 들어갈 것이니, 그 해로움이 이루 다 말할 수 없습니다. 모름지기 강 연안의 주(州)·군(郡)을 흩어서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적유령(狄踰嶺)</span>을 관방(關防)으로 삼아야 할 것이니,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강계(江界)</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위원(渭原)</span>은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희천(熙川)</span>에,<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이산(理山)</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벽동(碧潼)</span>은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운산(雲山)</span>에,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창성(昌城)</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삭주(朔州)</span>는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귀성(龜城)</span>에 옮기소서. 이렇게 하면, 강변을 부방(赴防)하는 폐단은 거의 없어질 것입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또 나라의 대소 사명(使命)은 모두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양(平壤)</span>에 이르러 감사(監司)에게 전부(傳付)되는데, 백성의 일은 도사(都事)로 하여금, 군사의 일은 우후(虞候)로 하여금 행하게 하고, 작은 일은 지인(知印)이 적간(摘奸)하게 하소서. 이렇게 하면, 한번에 관부(館夫)의 폐단은 없앨 수 있습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또 성절사(聖節使)·천추사(千秋使)·정조사(正朝使) 외에 사하사(謝賀使)·주문사(奏聞使) 등은 모두 따르는 자를 데리고 가므로 <a target="_blank" href="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6029_002#footnote_4" class="idx_wrap idx_annotation04 footnote_super" style="padding:0px;margin:0px;line-height:16px;text-decoration:none;color:#333333;" target="_blank"><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동팔참(東八站)</span><sup style="padding:0px;margin:0px;font-size:10px;color:#c864ff;">693)</sup></a> 의 길에 과연 염려되는 바가 있습니다. 즉 한번 길에 3절(三節)의 사람이 부사(副使)를 대동하고 간다고 해도 불과 15인이고, 단사(單使)로 가면 12인이니, 이로 인하여 군사는 50명, 건량(乾糧)은 50두(斗)로 정하고, 말에 실리는 짐[馬䭾]은, 상절(上節)이라면 5, 중절이라면 3, 하절이라면 2로 하소서. 이렇게 한다면 기재(騎載)하여 영송·호송하는 데 지대하는 폐단도 또한 없앨 수 있습니다.</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이리하여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양부(平壤府)</span>를 승격시켜서 서경(西京)으로 하고,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한성부(漢城府)</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함흥(咸興)</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경주(慶州)</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전주(全州)</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개성부(開城府)</span>와 더불어 육경(六京)으로 삼는다면, 우리 나라의 형세를 굳게 하고, 서인(西人)의 마음을 수습하고, 지도(地圖)를 나누어 형세를 고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병정(兵政)을 고쳐서 위(衛)로 나누어,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경기(京畿)</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충청도(忠淸道)</span>를 중위(中衛)로 삼고, 경상도(慶尙道)·<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전라도(全羅道)</span>를 후위(後衛)로 삼고,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안도(平安道)</span>·<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함길도(咸吉道)</span>를 전위(前衛)로 삼고,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강원도(江原道)</span>를 우위(右衛)로 삼고,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황해도(黃海道)</span>를 좌위(左衛)로 삼으소서. 신의 전의 상소와 같이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함길도</span>의 각 고을은 종친(宗親)에게 분사(分賜)하여 관향(貫鄕)으로 삼게 하고,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안도</span>의 각 고을은 공신(功臣)에게 분사하여 <a target="_blank" href="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6029_002#footnote_5" class="idx_wrap idx_annotation04 footnote_super" style="padding:0px;margin:0px;line-height:16px;text-decoration:none;color:#333333;" target="_blank">식읍(食邑)<sup style="padding:0px;margin:0px;font-size:10px;color:#c864ff;">694)</sup></a> 으로 삼게 하면, 안팎이 서로 이어지고 양계(兩界)가 충실하게 됩니다. 또 옛날 강동(江東)과 같이 <span class="idx_wrap idx_place" style="padding:0px;margin:0px;color:#2eb100;">평양</span>의 상류(上流)를 요해처(要害處)로 삼고 다시 큰 고을을 설치하면, 중병(重兵)이 유숙할 수 있고, 만약에 건주 사람이 이른다면 올 때는 접대하고 갈 때는 따라가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모련위(毛憐衛)·대마도(對馬島)의 사람은 더욱 후대(厚待)를 더하여 원교(遠交)를 하여서 완급(緩急)할 때 좌우(左右)에서 돕도록 하소서.</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br></p> <p class="paragraph" style="padding:0px;margin:0px 0px 20px;text-indent:20px;color:#333333;font-family:NanumGothic, NanumBarunGothic, '새굴림', '돋음';font-size:15px;line-height:28px;">(중략)</p>
    출처 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6029_002
    예종실록 6권, 예종 1년 6월 29일 신사 2번째기사
    Lemonade의 꼬릿말입니다
    <a href="http://activexxx.mooo.com/ouavatar/ouavatar_menu.php" target="_blank"><img src="http://activexxx.mooo.com/ouavatar/ouavatar.php?start=true&language=ko_kr&text_direction=ltr&mn=246692&about1=&about2=&nick_icon=star&star_color=0056ab&background_color=00023b&text_color=ffffff&about_color=94d2ff&body_num=2&body_color=d41a5e&oumark_color=c73269&oumark_gloss_opacity=30&squid_num=3&squid_left_direction=down&squid_right_direction=down&skin_color=ffb273&hair_num=5&hair_color=450000&blush_num=1&blush_color=ff8973&brow_num=3&brow_color=450000&eyes_num=4&eyes_color=FFFFFF&pupil_color=450000&glasses_num=1&glasses_border_color=000000&glasses_lens_color=ADD8E6&glasses_opacity=50&nose_num=1&nose_color=450000&mouth_num=7&mouth_color=7B220B&tongue_color=FF6B70&teeth_color=FFFFFF&bottom_color=FF6B70&bottom_num=1&rotate=0&crop=0&hyperlink=http%3A%2F%2Factivexxx.mooo.com%2Fouavatar%2Fouavatar_menu.php&end=true&isold&.png" alt="오늘의유머 꼬릿말 서비스 by ActiveXXX"></a>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7
    엘 살바도르의 기갑 전력 [9] 창작글 Lemonade 17/01/08 12:53 140 13
    306
    과테말라의 기갑 전력 [19] 창작글 Lemonade 17/01/07 18:36 145 16
    305
    파라과이의 기갑 전력 [10] 창작글 Lemonade 17/01/07 17:10 129 11
    304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7) 지난 글에서 놓친 몇 가지 [1] Lemonade 17/01/06 17:36 112 11
    303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6) 98식 경전차 케니 [7] Lemonade 17/01/06 14:47 109 11
    302
    세월호의 복원성에 대해.Araboja (*거친 표현 주의) [33] 펌글 Lemonade 17/01/03 20:15 59 1
    301
    이진규 예비역 대령의 인터뷰 내용 전문입니다. [26] Lemonade 16/12/31 21:43 98 3
    300
    간략하게 기술한 SAM-X 사업 이야기 입니다. [3] 창작글 Lemonade 16/12/31 01:22 80 2
    299
    모 님과의 THAAD 등의 잡스럽고 늘어지는 논쟁에 대한 정리글입니다, [1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Lemonade 16/12/29 21:38 103 3
    298
    우리 나라의 탄도탄 요격 체계에 관한 간략한 글이에요 [29] 창작글 Lemonade 16/12/29 00:57 101 10
    297
    신박한 아랫 글을 보며 생각난 잡설 [61] 창작글 Lemonade 16/12/28 00:43 66 18
    296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5) 95식 경전차 하고 입니다, [15] Lemonade 16/10/08 13:27 108 10
    295
    조선 시대 화승총의 위엄 [11] 펌글 Lemonade 16/09/20 23:30 180 11
    294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4) 89식 중전에 관한 이런저런 이야기입니다. [5] Lemonade 16/09/13 21:21 86 10
    293
    짤막한 2차세계대전 미 해군의 식사 이야기입니다. [33] Lemonade 16/09/08 21:54 156 19
    292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3) 97형 치하에 관한 이런저런 이야기입니다. [15] Lemonade 16/09/06 00:27 94 11
    291
    미국이 국력의 10%만을 기울였다는 태평양 전선 이야기 [5] 창작글 Lemonade 16/09/05 14:41 205 10
    290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2) T-34에 관한 이런 저런 이야기입니다 [5] Lemonade 16/08/31 22:38 96 11
    289
    예정 없는 전차 이야기 (1) T-34에 관한 이런 저런 이야기입니다 [10] Lemonade 16/08/31 00:28 130 15
    288
    간략하게나마 답변드리는 나카지마 사카에 엔진이야기입니다. [7] Lemonade 16/08/14 12:33 73 11
    287
    2차대전의병맛무기들 2편의 몇가지 내용에 대한 간략한 반론입니다 (1) [10] Lemonade 16/08/12 21:45 77 6
    286
    밀리터리 게시판에서 논해지는 몇가지 이야기들의 반론입니다, [15] Lemonade 16/08/09 01:38 53 6
    285
    military_63828 글에 대한 두서없는 짧은 답글입니다, [3] 창작글 Lemonade 16/08/09 00:37 38 0
    조선 초기 경계에 관한 예종 시기의 기록입니다. [12] 펌글 Lemonade 16/07/24 00:37 45 0
    283
    게시판에서 아이러니 한 일이 생겼군요, [8] 본인삭제금지 Lemonade 16/06/08 08:53 60 4/8
    282
    어느 트롤러를 옹호하는 답글에서 이어진 진심펀치님과의 문답의 글입니다, [32] 창작글본인삭제금지 Lemonade 16/05/26 09:54 32 8/6
    281
    T-34 글이 올라와 써보는 두서없고 간단한 썰 [11] 창작글 Lemonade 16/05/22 14:17 112 4
    280
    어제 지운 카드 정지 글의 후기입니다. [7] 창작글 Lemonade 16/05/20 09:54 101 0
    279
    어떠한 대상 혹은 타인을 비판할때는 좀 알고 비판하면 좋겠습니다, [58] Lemonade 16/05/18 09:13 212 2/2
    278
    어떠한 대상 혹은 타인을 비판할때는 좀 알고 비판하면 좋겠습니다, Lemonade 16/05/18 09:13 33 0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