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emonade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6-21
    방문 : 1328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military2_1235
    작성자 : Lemonade
    추천 : 3
    조회수 : 921
    IP : 124.59.***.105
    댓글 : 4개
    등록시간 : 2017/03/22 23:46:31
    http://todayhumor.com/?military2_1235 모바일
    Tu-16/H-6에 대한 두서없는 간단한 이야기입니다.
    전후 소련 항공기의 역사는 배제하고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시베리아 환경 관리직으로의 보직 변경을 피하고자 한 많은 기술자들의 노력 끝에 롤스 로이스 엔진을 달고 있던 Tu-81이래 처음으로 자국산 엔진을 달고 있는 폭격기가 52년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 폭격기는 53년 드디어 양산형이 만들어졌고 54년 모스크바의 군사 퍼레이드에서 인민 앞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div><br></div> <div><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895000755faeff1644c328850f7caa3bcf891__mn246692__w731__h560__f98494__Ym201703.jpg" width="731" height="560" alt="USS_Ranger_CV-61_with_Tu-16_1989.jpg" style="border:none;" filesize="98494"></div><br></div> <div>이는 소련이 서구 열강으로부터 제공권을 되찾은 역사적인 날이자 도리어 서구 열강과 그 들의 친구들을 위협할수 있게된 기념비적인 날입니다만 이 역사적인 기체의 전성기는 불과 10년 아니 그 보다 짧았습니다, </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지금 시대는 2차세계대전이 아닐뿐더러 기술의 발전은 나만의 것이 아니기에 더 이상 구시대적인 발상을 전제로 한 이상 생존성을 담보할수 없었기 때문이죠,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모든 전략 폭격기들이 그러하듯 적들의 공중 전력이 아군 보다 빈약할때야 상관이 없었습니다만 대등하거나 도리어 위협적일때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9pt;">그렇다고 본디 목적대로 핵무기 투하를 포기하고 </span><span style="font-size:9pt;">UB-2F Tchaika나 UB-5 Kondor 무선 활공 폭탄을 달자니 이 역시 문제인게 목표에 완전히 도달할때까지 폭격기의 사수는 무선 조종기를 들고 주파수를 맞추고 목표 주변을 배회하여야 했습니다,</span></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덕분에 빠른 속도로 본디 만들어진 목적을 포기하고 다른 일을 찾아 나서야 했지요, </span></div></div></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8958672590fec900c4c529799ede396d35a5c__mn246692__w482__h250__f13471__Ym201703.jpg" width="482" height="250" alt="Tu-16a.jpg" style="border:none;" filesize="13471"></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그 때문인지 불과 2년여뒤 오른쪽 윙팁에서 호스를 뽑아 필요한 항공기의 왼쪽 윙팁에 연결하여 주유하는 프롬 윙 투 윙이라는 피쉬앤칩스에서 개발한 독특한 시스템의 TU-16Z가 등장했습니다, 물론 왜 이러한 방식을 가져왔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사실 이렇다 할 방식이 정형화되거나 효과적임이 확인되지 않은 시기인 탓도 있겠습니다만</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파일럿들을 다시금 가려내고 가려내어 그 들만이 조종하게 하였음에도 사건 사고가 끊이지 사실에서 위험성을 체감할수 있는데 그 것과 별개로 </span><span style="font-size:9pt;">심지어 야간 작전이 불가하여 TU-16ZA라는 개량형이 나오기까지 했다는 사실에서 참 안타까울뿐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0001156cad309633468fb45a6ae477796056__mn246692__w273__h185__f8977__Ym201703.jpg" alt="다운로드 (4).jpg" style="border:none;width:480px;height:326px;" filesize="8977"></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1203b6d01550c81b45eeb48325136a7735d9__mn246692__w410__h262__f16665__Ym201703.jpg" width="410" height="262" alt="image006.jpg" style="border:none;" filesize="16665"></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br></div></div> <div style="text-align:left;">물론 우리가 익히 아는 프로그 앤 드로그과 유사한 호스 콘 로드라는 방식으로 주유하는 TU-16N이 등장하기는 했습니다 첫 공중 급유기 개발 이래로 10여년쯤 뒤에요, 다만 주유시 비행 성능이 급감하는 문제가 생겨서 다시 개량형을 만들어야 했지만 사실 소련에서 공중 급유기를 그렇게 강조하지 않았기에 큰 문제는 아니었죠,</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142645f5ff1638404346915c2ac7d6bd9133__mn246692__w298__h169__f16319__Ym201703.jpg" width="298" height="169" alt="images (4).jpg" style="border:none;" filesize="16319"></div></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아무튼 비단 공군만이 이 친구에게 관심 있던건 아닙니다, 해군에서도 관심이 있었지요, 물론 해군이 핵폭탄을 날릴 일은 없었으니까, 일단은 그 들은 어뢰와 기뢰를 살포하는 기체로 개수를 하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1696152621bbb7fa494eb79a8c96ad618212__mn246692__w440__h352__f16333__Ym201703.jpg" width="440" height="352" alt="440px-Tu-16_Badger_G.jpg" style="border:none;" filesize="16333"></div></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러나 폭격기 치고는 <span style="font-size:9pt;">F-4급의</span><span style="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size:9pt;">극히 적은 폭장량과 더 좁은 행동 반경은 잠수함 조차 따라가지 못할정도로 심각한 여러 제약을 낳았고 결국 본래의 모습을 버리고 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대함 미사일을 외부에 달고 날아다니게 되었습니다, 물론 내부 무장창은 당연하게도 짧은 행동 반경 및 부족한 비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깔끔하게 포기하였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사실 그보다 우수한 성능의 폭격기들이 등장하는 한편 시대의 변화로 더 이상 핵폭탄을 실어 나를 일이 없어졌기도 했지만요.</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비단 이러한 문제는 소련의 그 것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쨌거나 폭격기는 폭격기이라 어느 국가에서든 환영받기 마련이었던 TU-16는 위협적이지 않은 성능과 플래그쉽으로서의 가치로 인하여 여러 국가에 팔려나갔고 그 구매 고객중에는 중국이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물론 중국도 나름나름 핵 보유국이라 라이센스를 불하받은 기본형 외에 기본형을 베이스로 핵폭탄 투하형을 만들었습니다만 문제가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여기는 동북아에요.</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18105b7de3ddc23c457691f7e15a50426e95__mn246692__w500__h429__f29867__Ym201703.jpg" width="500" height="429" alt="98d78843de52e2de0dfdaf840ecb26b2.jpg" style="font-size:9pt;border:none;" filesize="29867"></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남으로 보이는 동남아 친구들은 어떻게 상대할수는 있다지만 북으로는 말할것도 없는 러시아가 버티고 있고 동으로 가자니 미국이라는 일진을 등에 업은 한국과 일본이 있습니다, 공군과 해군에 몰빵할수 밖에 없는 일본은 둘째치고 한국도 만만치가 않은게 지금도 그러하거니와 5-60년대를 기준으로 봐도 한국도 물론 못오지만 나도 못가는 상황이고 폭격기 띄었다가는 공군만 말아먹기 십상일 정도로 비등비등한 전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사실 육방부라는 우스갯 소리에 가려져서 그렇지 유지보수가 안되서 장비의 운용을 포기한 독일이나 돈이 없어 구축함 리스 사업/부동산 사업에 나선 프랑스 같은 유럽의 열강 싸다구를 후려치는게 대한민국입니다, 하필 위 아래 위위 아래 대부분이 세계 순위권 안의 열강 + 군사 국가라는게 문제일뿐이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아무튼 작전 반경상 서해를 건너기도 힘들지만 어찌어찌 넘어가도 돌아오지 못하는게 H-6인터라 <span style="font-size:9pt;">그래서 화력을 증가시켜 자위에 열을 올린 </span><span style="font-size:9pt;">H-6C를끝끝으로 중</span><span style="font-size:9pt;">국 역시 소련과 마찬가지로 개량의 방향을 바꿨습니다, </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 </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237661fa684306c8436c810ebfc00b16ea55__mn246692__w251__h201__f6313__Ym201703.jpg" width="251" height="201" alt="다운로드 (5).jpg" style="border:none;" filesize="6313"></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2466c650bf112cad4bfa8b26282b173aaa65__mn246692__w607__h472__f32745__Ym201703.jpg" width="607" height="472" alt="avtu16_2_05 (1).jpg" style="border:none;" filesize="32745"></div></div></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2세대 개량기인 H-6D는 B형과 마찬가지로 내부 무장창을 폐기하고 외부에는 실크웜의 라이센스 버전인 C-601을 비릇하여 여러 종류의 대함 미사일을 실었습니다, 이제는 폭격기 라기 보다는 미사일 플랫폼이 더 어울리는 말이 되었는데 더 나아가 아예 M형에서는 지형 추적 시스템을 탑재하는 한편 크루즈 미사일을 실기도 하였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생각난 김에 옮기자면 지난 답글에서 실수한 부분인데 이라크 전쟁에서 파괴되었고 03년에 마지막으로 확인된 기체는 H-6D의 수출형인 B-6D입니다, 워낙 비슷하게 생겨서 깜빡깜박하네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그리고 2세대의 개량에서 얻은 경험으로 1세대 기체들을 개량했는데 정찰기인 H-6B형이 무인 항공기 다수를 외부에 장착하는 공중 항모 비스무레한 무언가로 개량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만 확인된바는 없습니다, </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 </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274587b84f1e58154b0f98d3da058771998a__mn246692__w600__h399__f38317__Ym201703.jpg" width="600" height="399" alt="124423179_201n.jpg" style="border:none;" filesize="38317"></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31322151d15f1b6f49518d82bfbaf23ce537__mn246692__w600__h400__f56579__Ym201703.jpg" width="600" height="400" alt="1421350-v40-15.jpg" style="border:none;" filesize="56579"></div></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윗 사진의 H-6G형은 크루즈 미사일의 궤도 관측에 쓰이는 유도기였고 U형과 HY-6은 공중 급유기인데 불과 십수여기만이 만들어져서 그런가 또 사진 찾기가 어렵네요, 사진은 HY-6입니다. <span style="font-size:9pt;">H-6H형이나 M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예 미사일 플랫폼으로 넘어갔는데 이는 3세대 기체인 H-6K역시 마찬가지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193213236f9451f3c846ddb21a4e243db0572d__mn246692__w836__h482__f30707__Ym201703.jpg" width="800" height="461" alt="p163117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30707"></div><br></div> <div style="text-align:left;">사거리 2천 km 가량의 <span style="background-color:#f9f9f9;color:#333333;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CJ-10A</span><span style="background-color:#f9f9f9;color:#333333;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size:9pt;">크루즈 미사일 최대 4발을 실고 날아오를수 있는 이 기체에서 어떤 점이 달라졌는가는 현재로서는 알수가 없습니다, 다만 탑재하는 병기가 더 비대해지고 무거워진만큼 비행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것을 포기할수 밖에 없었다는 사실은 명백하며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행 반경 역시 더 좁아졌다는 것은 기정 사실화 된 바 있습니다,</span></div><br></div> <div style="text-align:left;">자 그럼 여기에서 한가지 의문이 들수 밖에 없습니다, 대체 50년대 만들어진 기체의 무엇이 대단하여 3세대에 걸쳐 개량을 거듭하며 쓸수 밖에 없었는가? <span style="font-size:9pt;">답은 간단합니다, 현재 중국에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수 있는 기체가 없습니다, </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ICBM등의 등장으로 별 가치가 없다 하나 어쨌거나 위력적인 크루징 미사일을 쏠수 있는 방도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게 사실이고, 당장 2세대 </span><span style="font-size:9pt;">H-6D가 여전히 대함 미사일을 실고 날아오르는 것에서 볼수 있듯이 중국의 공군이 아무리 발전했다 하나 이 기체의 임무를 대신할수 있는 무언가를 찾기란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그렇다고 이 기체가 만능인것도 아닙니다, 반드시 호위기를 비릇한 보조 전력이 동반되어야 하는데다 목적대로 나는건 좋은데 비행시간/반경 모두 작금의 시대에는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라 한번 추적이 붙으면 떨쳐내기도 어렵고 살기도 힘듭니다, 상대가 공군의 전력이 떨어지는 국가이거나 아군이 제공권을 얻은 상황에서야 쓸만하지만 그러하지 않는다면 생존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말이지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덕분에 당장 미국의 제해/제공권을 벗어나기 위하여 발해만과 그네들의 동해안, 우리에게는 서해안에 전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THAAD 배비와 제주도 군항 건설은 더더욱 이 친구의 발을 묶을수 밖에 없기에 활동이 민감하기 이를데 없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즉 말 그대로 50년대 기본 베이스를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너무나 명백한 기체입니다, 아무리 개량을 거쳐봐야 F-4의 폭장량을 겨우 따라잡는 수준이고 내부 무장창을 들어내며 개조를 해봐야 기름먹는 하마일뿐입니다, 그렇다고해서 무턱대고 보조 전력을 뺄수도 없는 계륵이지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다만 이 기체를 대신할 기체를 만들기에는 기술력이 부족하고 팔 나라도 없습니다, 미국이야 당연히 안되고 러시아 역시 자국의 안보를 고려할때 생각할수도 없는 선택지이지요,</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그래서 쓰일 뿐입니다, 시대를 초월하는 어떤 가성비가 있거나 강점이 있는게 아니라요.</span></div></div></div>
    Lemonade의 꼬릿말입니다
    답글로 옮겨적기는 너무 길어서 두서없이나마 옮겨적습니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3/23 21:55:07  175.223.***.234  한라산대폭발  615848
    [2] 2017/03/23 23:29:13  203.226.***.141  귀환병  393615
    [3] 2017/04/04 13:38:21  218.144.***.153  오래전그날  6310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7
    미국 공식 입장.jpg [20] 펌글 Lemonade 17/04/05 15:49 292 13
    336
    황군의 후예라고들 합니다만 [1] 창작글 Lemonade 17/04/03 00:13 69 10
    335
    시리아 반군 신형 복합 장갑(수정/데이터주의) [16] 펌글 Lemonade 17/04/02 18:24 235 14
    334
    잠수함 충돌 괴담 퍼뜨리던 이들… 이젠 무책임한 침묵 [183] 펌글본인삭제금지 Lemonade 17/03/28 10:11 250 18
    333
    사실 성리학이라는 문화/사상 자체가 완벽함을 추구하는 건 아닙니다. [2] 창작글 Lemonade 17/03/28 01:34 52 0
    332
    미드에 묘사된 우리나라 해군 (스크롤 주의) [7] Lemonade 17/03/26 00:15 172 3
    331
    제가 인터넷 상에서 경험자의 말을 걸러 듣게된 이유입니다. [6] 창작글 Lemonade 17/03/25 10:46 129 6
    330
    Signaal PHS-32 Hull mounted Sonar(수정) [39] Lemonade 17/03/24 21:48 65 5
    329
    샤카족에 관한 글 - 붓다의 인종적 기원 문제 고찰(깁니다.) [3] Lemonade 17/03/23 00:26 55 4
    Tu-16/H-6에 대한 두서없는 간단한 이야기입니다. [4] Lemonade 17/03/22 23:46 82 3
    327
    이란이 앞서 맨든 전차들입니다. [7] 창작글 Lemonade 17/03/19 22:57 115 10
    326
    60년도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 방한 당시 군부대 열병식 사진입니다. [7] Lemonade 17/03/17 15:21 181 11
    325
    폴란드의 기병이 독일 전차에 돌격했다는 이야기에 관한 글입니다. [6] 창작글 Lemonade 17/03/09 21:04 139 6
    324
    아르헨티나의 기갑 전력 (2) [8] 창작글 Lemonade 17/03/05 12:47 173 14
    323
    보병 방진에 대한 두서없는 이야기 -2 Lemonade 17/03/03 22:24 49 4
    322
    보병 방진에 대한 두서없는 이야기 -1 [5] 창작글 Lemonade 17/03/03 00:15 47 2
    321
    아르헨티나의 기갑 전력 (1) - 내용추가 [2] Lemonade 17/02/25 02:18 134 11
    320
    사실 아래에서 언급된 서달의 사건은 좀 순화된 바가 없지 않습니다, [2] Lemonade 17/02/24 00:48 50 4
    319
    소명글입니다, [3] Lemonade 17/02/20 20:31 57 4/9
    318
    두서없이 옮겨적은 산포와 보병포의 차이? 입니다. [4] 창작글 Lemonade 17/02/17 23:33 103 10
    317
    컨테이너 선이 상륙에 도움이 되는가? [33] 창작글 Lemonade 17/02/10 22:26 154 15
    316
    미군 76mm 포의 티거 및 판터 교전거리표 [19] 펌글 Lemonade 17/02/09 23:04 113 14
    315
    전차 잡는 자주포 글을 보고 생각난 글입니다. [13] 창작글 Lemonade 17/02/07 23:07 119 7
    314
    간략히 적어본 일제 강점기 시대의 제주도의 가치와 일본군 주둔 현황입니다 [12] Lemonade 17/02/04 00:18 68 1/4
    313
    유교의 이념에 관한 두서없는 짧은 글입니다, [3] 창작글 Lemonade 17/01/29 10:00 52 0
    312
    조선시대 재정난의 대표적 사례를 꼽자면 이걸 빼놓을수 없죠, [6] 창작글 Lemonade 17/01/28 23:12 103 8
    311
    멕시코의 기갑전력 [12] 창작글 Lemonade 17/01/27 11:12 172 13
    310
    아래 대전차 미사일 이야기가 나와서 생각난 동영상입니다, [3] Lemonade 17/01/24 21:05 98 2
    309
    온두라스의 기갑 전력 [7] 창작글 Lemonade 17/01/13 22:49 118 16
    308
    파라과이의 공군 전력 [15] 창작글 Lemonade 17/01/08 18:07 132 11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