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파라클레테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3-03
    방문 : 345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218937
    작성자 : 파라클레테
    추천 : 3
    조회수 : 315
    IP : 113.60.***.126
    댓글 : 1개
    등록시간 : 2012/08/10 12:58:43
    http://todayhumor.com/?sisa_218937 모바일
    MB - 박근혜 曰 -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P> </P> <DIV style="PADDING-BOTTOM: 40px; WIDOWS: 2; TEXT-TRANSFORM: none;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TEXT-INDENT: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LETTER-SPACING: normal; PADDING-RIGHT: 0px; FONT: 12px dotum, AppleGothic, sans-serif; WHITE-SPACE: normal; ORPHANS: 2; COLOR: rgb(102,102,102); WORD-SPACING: 0px; PADDING-TOP: 0px; -webkit-text-stroke-width: 0px; -webkit-text-size-adjust: auto" class=newstitlwrap> <DIV style="BORDER-BOTTOM: rgb(230,230,230) 1px solid; PADDING-BOTTOM: 26px; MARGIN: 0px 0px 9px; PADDING-LEFT: 10px; PADDING-RIGHT: 10px; PADDING-TOP: 0px" class=newstitle> <H3 style="PADDING-BOTTOM: 8px; LINE-HEIGHT: 1.2em; MARGIN: 0px; PADDING-LEFT: 0px; LETTER-SPACING: -2px; PADDING-RIGHT: 0px; FONT-FAMILY: dotum, AppleGothic, sans-serif; COLOR: rgb(0,10,25); FONT-SIZE: 25px; FONT-WEIGHT: bold; PADDING-TOP: 0px" class=tit_subject><A style="COLOR: rgb(0,10,25);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65607">MB에게 몰표 던진 이유, 잊으셨나요?</A></H3><STRONG style="PADDING-BOTTOM: 18px; DISPLAY: block; COLOR: rgb(102,102,102); FONT-SIZE: 14px" class=tit_subtit><A style="COLOR: rgb(102,102,102);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65607">[게릴라칼럼] '네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와 '행복세'의 비밀</A></STRONG></DIV></DIV> <DIV style="PADDING-BOTTOM: 40px; WIDOWS: 2; TEXT-TRANSFORM: none;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TEXT-INDENT: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LETTER-SPACING: normal; PADDING-RIGHT: 0px; FONT: 12px dotum, AppleGothic, sans-serif; WHITE-SPACE: normal; ORPHANS: 2; COLOR: rgb(102,102,102); WORD-SPACING: 0px; PADDING-TOP: 0px; -webkit-text-stroke-width: 0px; -webkit-text-size-adjust: auto" class=newswrap> <DIV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9px; PADDING-RIGHT: 9px; PADDING-TOP: 0px" class=news_body> <DIV style="Z-INDEX: 400;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0px" class=news_view> <DIV style="POSITION: absolute; PADDING-BOTTOM: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WIDTH: 300px; PADDING-RIGHT: 0px; HEIGHT: 300px; VISIBILITY: visible; RIGHT: -360px; PADDING-TOP: 0px; TOP: -220px" id=ti_naver_EXP1 class=outatc_til_ad> <OBJECT id=ti_ad_oEXP1 codeBase="htt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8,0,0,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width=300 height=300><param name="allowNetworking" value="internal" /><PARAM NAME="_cx" VALUE="7937"><PARAM NAME="_cy" VALUE="7937"><PARAM NAME="FlashVars" VALUE=""><PARAM NAME="Movie" VALUE=""><PARAM NAME="Src" VALUE=""><PARAM NAME="WMode" VALUE="Window"><PARAM NAME="Play" VALUE="-1"><PARAM NAME="Loop" VALUE="-1"><PARAM NAME="Quality" VALUE="High"><PARAM NAME="SAlign" VALUE=""><PARAM NAME="Menu" VALUE="-1"><PARAM NAME="Base" VALUE=""><PARAM NAME="AllowScriptAccess" VALUE=""><PARAM NAME="Scale" VALUE="ShowAll"><PARAM NAME="DeviceFont" VALUE="0"><PARAM NAME="EmbedMovie" VALUE="0"><PARAM NAME="BGColor" VALUE=""><PARAM NAME="SWRemote" VALUE=""><PARAM NAME="MovieData" VALUE=""><PARAM NAME="SeamlessTabbing" VALUE="1"><PARAM NAME="Profile" VALUE="0"><PARAM NAME="ProfileAddress" VALUE=""><PARAM NAME="ProfilePort" VALUE="0"><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false"><PARAM NAME="AllowFullScreenInteractive" VALUE="false"> <embed name="ti_ad_oEXP1" src="http://ojsfile.ohmynews.com/ADSVC_FILE/2012/07/18/0000001037_mh_300x300_120718.swf?clickthru=" quality="high" wmode="transparent" allowscriptaccess="Always" width="300" height="30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shockwave/download/index.cgi?P1_Prod_Version=ShockwaveFlash"></OBJECT></DIV>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WIDTH: 602px; PADDING-RIGHT: 0px; FLOAT: left;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OVERFLOW: hidden; PADDING-TOP: 0px" class=article_view>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00> <TBODY> <TR> <TD>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00> <TBODY> <TR> <TD></TD></TR> <TR> <TD style="TEXT-ALIGN: justify; LINE-HEIGHT: 25px; FONT-VARIANT: normal; FONT-STYLE: normal;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class=at_contents>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TD></TR></TBODY></TABLE>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사람들은 비합리적이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것은 물론이고, 어떤 목표를 추구한다고 하면서 그 반대편으로 달려가는 경우가 허다하다.</DIV>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2007년 대선에서 사람들이 이명박 후보에게 몰표를 던진 이유는 하나였다. '나를 부자로 만들어 줄 것'이라는 기대. 그 후보가 훌륭한 인품이나 도덕성을 갖추고 있다고 믿은 이들은 거의 없었다. 부도덕하지만 유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 </P>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center>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WIDTH: 50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id=photoBoxIE000848017 class=photoCenter> <TABLE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0px" class=photoCenter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TBODY> <TR> <TD><IMG style="BORDER-BOTTOM: 0px; BORDER-LEFT: 0px; BORDER-TOP: 0px; BORDER-RIGHT: 0px" id=photoIE000848017 border=0 src="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07/1219/IE000848017_STD.jpg"></TD></TR>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PADDING-TOP: 10px">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5px;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colSpan=2 align=left><B>▲<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TD></TR> <TR> <TD style="LINE-HEIGHT: 20px; FONT-FAMILY: dotum, 돋움;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PADDING-TOP: 5px" class=box_man align=left>ⓒ 권우성</TD> <TD align=right>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TEXT-ALIGN: right; MARGIN: 0px; PADDING-TOP: 5px" class=atc_btn>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class=btn_area01><A style="PADDING-BOTTOM: 0px; BACKGROUND-COLOR: rgb(148,154,170); PADDING-LEFT: 8px; PADDING-RIGHT: 8px; DISPLAY: inline-block; COLOR: rgb(244,244,244); FONT-SIZE: 11px;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0px" class=btn_all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0848017" target=_blank tag="이명박">관련사진보기</A></P></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DIV>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얼마나 헛된 희망이었던가. 임기 다 끝난 지금까지도 날 부자로 만들어주지 못해서가 아니다. '7%성장'을 들고 나와, 5년 평균 성장률이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래 최저치인 3.2%를 기록해서도 아니다. 국제투명성기구에서 발표하는 부패인식지수가 2008년 이래 매년 하락해, 국가청렴도가 계속 뒷걸음질을 쳐서도 아니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부도덕하지만 유능한 정권'에 기대 부자가 되려고 했던 것이 부질 없는 희망이었다. '부도덕하지만 유능하다'는 말 자체가 모순이기 때문이다. 정말로 유능한 사람은 부도덕할 이유가 없다. 정당하게 승부할 수 없는 무능한 존재이기 때문에 부도덕한 술수를 쓰는 것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하지만 보다 더 헛된 욕망은 '나를 부자로' 만들어 주길 바랐다는 점이다. '우리' 아닌 '내'가, '행복'이 아닌 '부자'를 원했다는 사실 말이다. 오해 없길 바란다. 여기서 '우리 모두 행복해지는 사회를 꿈꿔요' 식의 민망한 캠페인을 펼치려는 게 아니다. 한국사회가 그런 동화 같은 이야기에 귀기울일 만큼 순박한 곳도 아니지 않은가.</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STRONG>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고?</STRONG></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는 말이 있다. 듣기 좋은 말일지는 모르나, 객관적 사실로 보긴 어렵다. 아니면 우리가 모두 바보였단 말인가. 대체 왜 부자가 되길 바랐고, 왜 부자로 만들어주겠다는 후보에게 표를 던졌던가. 다 행복해지기 위해서 아니었는가.</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center>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WIDTH: 50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id=photoBoxIE001474759 class=photoCenter> <TABLE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0px" class=photoCenter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TBODY> <TR> <TD><IMG style="BORDER-BOTTOM: 0px; BORDER-LEFT: 0px; BORDER-TOP: 0px; BORDER-RIGHT: 0px" id=photoIE001474759 border=0 src="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12/0809/IE001474759_STD.jpg"></TD></TR>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PADDING-TOP: 10px">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5px;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colSpan=2 align=left><B>▲<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테드 강연중인 하버드 경영대의 마이클 노튼 교수</TD></TR> <TR> <TD style="LINE-HEIGHT: 20px; FONT-FAMILY: dotum, 돋움;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PADDING-TOP: 5px" class=box_man align=left>ⓒ TED</TD> <TD align=right>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TEXT-ALIGN: right; MARGIN: 0px; PADDING-TOP: 5px" class=atc_btn>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class=btn_area01><A style="PADDING-BOTTOM: 0px; BACKGROUND-COLOR: rgb(148,154,170); PADDING-LEFT: 8px; PADDING-RIGHT: 8px; DISPLAY: inline-block; COLOR: rgb(244,244,244); FONT-SIZE: 11px;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0px" class=btn_all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1474759" target=_blank tag="행복">관련사진보기</A></P></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DIV>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행복해지려면 돈이 필요하다. 과학적 사실이 그렇다. 그럼 얼마나 있어야 할까. 프린스턴대학의 2010년 연구에 따르면, 가계 연소득 7만 5천불이 '행복 기준선'이 된다. 물론 이 수치는 상대적이다. 7만 5천불은 일인당 평균 소득이 5만 불에 가까운 미국을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하버드 경영대의 마이클 노튼은 '행복 기준소득'을 5만불로 본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나라와 거주지역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미국 가계소득 5~7만 불은 입고, 먹고, 자는 기본적 삶이 해결되고, 가끔 여행과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수준이다. 이 수준까지는 소득 증가와 행복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발견된다. 5~7만불까지는 소득이 늘 수록 개인이 행복감을 느낄 가능성도 커지는 것이다. 이해할 만하다. 기초 생계가 보장되지 않는 주리고 헐벗은 상태에서 행복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하지만 이 금액을 넘어서면 돈과 행복 사이의 상관관계는 사라지고 만다. 다시 말해 미 대륙에서 7만 5천불은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는' 최대치인 셈이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 매우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한국 가족의 의식주 해결 비용은 7만 5천불보다 낮겠지만, 그냥 미국 기준을 적용해 연가계소득 7500만원을 '행복기준선'으로 삼아 보자. 7500만원을 넘는 초과분 소득은 그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잉여소득'이 된다. 반면에 '행복 기준선'에 미치지 못하는 만큼의 '미달소득'은 개인의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잉여소득'의 일부를 세금으로 걷어 '미달소득'을 채워주면 사회전체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STRONG>'행복세'를 걷자</STRONG></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여기서 7500 만원의 소득은 과세를 위한 과학적인 기준점이 된다. 실제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여론조사에서, 다수의 응답자가 '4인 가족이 중산층으로 살려면 연소득 7000만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미국의 '행복 기준소득'을 한국 평균소득에 대입하면 3000 만원이 조금 넘는다. 이는 2011년 국내 평균 가구의 연평균 소득 4610만원에 못 미치는 금액으로, 이 '최저 행복 기준선' 이하는 보조가 필요한 가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물론 미국과 한국은 소득, 물가, 소비성향의 차이가 있으므로, 한국적 상황에 맞는 '행복 기준소득'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행복세'를 부과하면 된다. 물론 '잉여소득'의 크기에 따라 차등 부과해야 할 것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왜 가난한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부자가 불행해져야 하냐'고 물을 사람이 있을 것이다. 말하지 않았는가. 부자가 불행하지 않은 한도에서 거둬 불행한 가정을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라고. 게다가 이 정책은 '부자가 불행하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부자를 진정으로 행복하게 만드는' 지름길이다. 내 개인적 주장이 아니라, 과학 학술지에 실린 연구결과가 그렇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center>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WIDTH: 50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id=photoBoxIE001474760 class=photoCenter> <TABLE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0px" class=photoCenter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TBODY> <TR> <TD><IMG style="BORDER-BOTTOM: 0px; BORDER-LEFT: 0px; BORDER-TOP: 0px; BORDER-RIGHT: 0px" id=photoIE001474760 border=0 src="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12/0809/IE001474760_STD.jpg"></TD></TR>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PADDING-TOP: 10px">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5px;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colSpan=2 align=left><B>▲<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노튼의 강연 '돈으로 행복을 사는 비결'의 토대가 된 2008년 <사이언스>논문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쓰면 행복해진다'</TD></TR> <TR> <TD style="LINE-HEIGHT: 20px; FONT-FAMILY: dotum, 돋움;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PADDING-TOP: 5px" class=box_man align=left>ⓒ 사이언스</TD> <TD align=right>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TEXT-ALIGN: right; MARGIN: 0px; PADDING-TOP: 5px" class=atc_btn>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class=btn_area01><A style="PADDING-BOTTOM: 0px; BACKGROUND-COLOR: rgb(148,154,170); PADDING-LEFT: 8px; PADDING-RIGHT: 8px; DISPLAY: inline-block; COLOR: rgb(244,244,244); FONT-SIZE: 11px;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0px" class=btn_all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1474760" target=_blank tag="행복">관련사진보기</A></P></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DIV>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P>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앞서 말한 하버드 경영대 노튼 교수가 최근 큰 화제를 불러 모았다. 지난 5월 '돈으로 행복을 사는 법'이라는 짧은 강연이 인터넷에 공개되어 많은 이들의 공감을 산 것이다. 이 강연은 노튼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던 2008년 <사이언스> 논문을 토대로 한 것이다.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니, 부자와 부자가 되길 소망하는 사람들은 귀가 솔깃해질 만 하다.</DIV>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이 글은 돈을 갖고도 행복을 얻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것이다. 그럼 과학의 힘을 빌어, 행복을 사는 비결을 알아보자. 돈 있고 귀 있는 자는 들을 지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STRONG>'개인적 소비'와 '사회적 소비'</STRONG></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먼저 연구자들은 다양한 소득수준과 소비성향을 지닌 632명의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얼마나 벌고 어떻게 쓰는지, 그리고 이런 소비행태가 개인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보기 위해서다. 여기서 연구자들은 소비를 두 가지로 나눴다. 첫 번째는 '개인적 소비'로, 청구서 비용을 내거나 자신이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것이고, 두 번째는 '사회적 소비'로 남에게 줄 물건을 사거나 기부하는 것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조사 결과는 아주 흥미로웠다. 타인을 위해 돈을 쓰는 '사회적 소비' 지출이 많은 사람들일 수록 행복감이 높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개인 소비'와 행복지수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이 예비조사를 토대로 두 가지 실험을 한다. 하나는 보너스를 받은 직장인들이 어떻게 돈을 쓸 때 더 행복해지는지 보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공짜돈이 생겼을 때 이것을 어떻게 쓰는 게 더 큰 행복해지는지 살피는 것이었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보너스의 경우도 '사회적 소비'에 지출한 사람들일 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보너스가 지급된 후 6-8주 후 지출 용도와 행복감을 측정한 결과, 남을 위해 돈을 쓴 사람일수록 행복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때 '얼마나 받았는지' 보다 '어떻게 썼는지'가 행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연구자들은 돈의 소비와 행복감 사이의 직접적 인과관계도 살폈다. 사람들을 아침에 불러 행복지수를 측정한 뒤 돈을 나눠 주어 쓰게 한 후, 저녁에 다시 행복감을 측정한 것이다. 참여자들은 각각 20불 또는 50불이 든 돈봉투를 받았다. 그중 절반은 그 돈을 자신을 위해 쓰도록 했고, 나머지 절반은 남을 위해 쓰라는 지시가 주어졌다. 이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돈의 액수와 상관 없이, 남을 위해 쓴 사람이 훨씬 더 행복해 진 것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이 연구는 한국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소득은 과거와 비할 수 없을만큼 늘었으나, 국민은 오히려 더 불행해진 이유에 대해서 말이다. 한국갤럽은 1992년과 2010년 사이의 소득과 행복지수 변화 관계를 조사했다. 이 시기에 1인당 국민소득은 3배나 커졌으나, 행복감을 느끼는 사람은 오히려 10%나 줄었다. 같은 시기에 하루 평균 자살자는 9.9 명에서 42.6명으로 무려 4배 이상 늘었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이유는 간단하다. 어리석게도 '부자로 만들어 주겠다'는 지도자를 고른 탓이다. 물론 대통령 한 명이 사회를 이 꼴로 만든 건 아니다. 그런 지도자를 스스로 택할 만큼 어리석은 탐욕이 낳은 총체적 결과다. 국민을 행복하게 만드는 게 아니라, 부자로 만들어 주겠다는 지도자를 원할 만큼 말이다. 우린 그러고도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집권 여당의 유력한 대선 후보가 국민에게 자랑스레 내놓은 표어를 보라.</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STRONG>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STRONG></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center> <DIV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WIDTH: 55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id=photoBoxIE001462682 class=photoCenter> <TABLE style="PADDING-BOTTOM: 0px; MARGIN: 0px auto;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0px" class=photoCenter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TBODY> <TR> <TD><IMG style="BORDER-BOTTOM: 0px; BORDER-LEFT: 0px; BORDER-TOP: 0px; BORDER-RIGHT: 0px" id=photoIE001462682 border=0 src="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12/0710/IE001462682_STD.jpg"></TD></TR>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PADDING-TOP: 10px">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5px;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colSpan=2 align=left><B>▲<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B>박근혜 새누리당 의원이 7월 10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광장에서 대선출마 선언을 한 뒤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TD></TR> <TR> <TD style="LINE-HEIGHT: 20px; FONT-FAMILY: dotum, 돋움; COLOR: rgb(158,162,167); FONT-SIZE: 11px; PADDING-TOP: 5px" class=box_man align=left>ⓒ 사진공동취재단</TD> <TD align=right>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style="TEXT-ALIGN: right; MARGIN: 0px; PADDING-TOP: 5px" class=atc_btn>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class=btn_area01><A style="PADDING-BOTTOM: 0px; BACKGROUND-COLOR: rgb(148,154,170); PADDING-LEFT: 8px; PADDING-RIGHT: 8px; DISPLAY: inline-block; COLOR: rgb(244,244,244); FONT-SIZE: 11px;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0px" class=btn_all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1462682" target=_blank tag="박근혜">관련사진보기</A></P></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DIV>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center>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지난 5년 내내 추구해 온 '내 꿈'.</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align=justify>'부자'도 어리석은 마당에, 유권자들은 '우리' 대신 '나'를 부자로 만들어줄 지도자를 원했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원하고 있다.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가 어떨지 알기 위해 표어의 주인을 뽑을 필요는 없다. 지난 5년간 쭉 보아 온 나라니까.</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우리는 이 사회에서 '우리 꿈'을 짓밟으며 '내 꿈'만을 꾸어 온 결과를 목격하고 있다. 자신만을 챙기고 자신만을 위해 돈을 쓰라고, 그게 정상이라고 믿어 온 결과 말이다. 한국사회는 '우리 꿈'을 말하는 건 '포퓰리즘'이고 '좌파'며, 무엇보다 정상이 아니라고 가르쳐 왔다. 정부가, 기업이, 학교가, 그리고 가정이 말이다.</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그러나 앞의 연구가 보여주었듯, 한국은 남의 행복에서 행복을 얻는 존재다. 이 <사이언스> 연구의 '과학성'이 의심된다면, 아인슈타인에게도 물어보라.</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FONT color=#996633>"우리는 다른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 사람은 다른 이의 미소와 안녕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FONT></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 </P> <P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25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COLOR: rgb(0,10,25); FONT-SIZE: 16px; PADDING-TOP: 0px">그렇다. 우리는 그런 존재다. 알지 못하는 미지의 타인이 지을 미소 속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존재. 우리가 불행한 이유는 본연의 모습을 잃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네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다. 그래야만 나도 행복할 수 있다</P></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DIV></DIV></DIV> <P><a target="_blank"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65607&CMPT_CD=P0000">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65607&CMPT_CD=P0000</A></P> <P> </P> <P>우리에겐 네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가 필요해요</P> <P> </P> <P>오마이뉴스 기사입니다.</P> <P> </P>
    파라클레테의 꼬릿말입니다
    니꿈 말고 내꿈좀 이루어줘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8/10 13:00:33  211.197.***.58  
    [2] 2012/08/10 13:05:43  112.155.***.137  lastlaugher
    [3] 2012/08/10 13:07:44  210.90.***.135  ALLONS-Y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
    조언좀 부탁드려요 ~~ [3] 파라클레테 13/02/27 00:52 61 0
    31
    베오베에 산수팡하는거보고 했다가중독됨. . 파라클레테 13/02/20 23:19 55 0
    30
    방금 영화 베를린을 보고왔어요 파라클레테 13/02/14 23:01 44 1
    27
    오유... 파라클레테 13/01/24 23:13 30 0
    26
    자신이 느끼는 소소한 행복!! 이야기 해주세요!! [7] 파라클레테 12/12/30 21:14 53 0
    21
    이제 오유에 평화가 찾아올것만 같아서 기분이 좋다 파라클레테 12/12/19 10:55 0 1
    20
    이정희후보 극딜 후에 문재인후보지지선언하면 [2] 파라클레테 12/12/04 20:52 153 0
    19
    좋아하는감정..주는만큼 받고싶다.ㅠㅠ [7] 파라클레테 12/11/26 01:21 76 1
    18
    왜 다 지웠을까요...소중한 추억인데.. 파라클레테 12/11/17 12:23 52 0
    17
    어떤이성이 맘에든다면 바빠도 연락할시간은 만드는거겠죠? [7] 파라클레테 12/11/13 15:25 125 1
    16
    괜찮아 괜찮아. [4] 파라클레테 12/11/04 13:56 26 0
    15
    도서관에 왔지만... [4] 파라클레테 12/10/21 18:33 83 3
    14
    . 파라클레테 12/10/20 20:26 22 0
    13
    로또 오만원 당첨 으힝힝 [1] 파라클레테 12/10/13 22:01 8 0
    12
    잘해주면 그사람한테 관심이 떨어지나요????????아후 [3] 파라클레테 12/10/05 10:41 84 0
    11
    부담스러운짓을 안해야하는데 자꾸해요 [4] 파라클레테 12/10/03 14:33 53 1
    10
    아오 1루심 왜 그걸 못보냐.. 아웃인데 파라클레테 12/09/04 21:06 81 2
    9
    오늘 기아 투수 타자 그냥 아주 씨앙 아주 난리나 아오빡쳐 [1] 파라클레테 12/08/21 19:35 69 1
    MB - 박근혜 曰 -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1] 파라클레테 12/08/10 12:58 91 3
    7
    KIA 간다간다간다간다!!!!!!! [1] 파라클레테 12/07/27 21:24 75 1
    6
    목젖 재건술이나 구강악안면외과에 대해서 아시는분 계신가요..? [1] 파라클레테 12/07/27 11:18 79 0
    5
    안녕하세요 오유지식인님들의 지식좀 얻으려고합니다[진료관련] 파라클레테 12/07/27 11:07 29 0
    4
    근데 올스타전 보이콧은 어떻게된거에요? [1] 파라클레테 12/07/22 06:32 88 0
    3
    대선후보 지지율에 관한 의문 [1] 파라클레테 12/07/17 16:34 50 0
    [1] [2] [3]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