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Alpaca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2-29
    방문 : 225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data_1589016
    작성자 : Alpaca
    추천 : 12
    조회수 : 7773
    IP : 121.136.***.244
    댓글 : 109개
    등록시간 : 2015/01/17 01:56:54
    http://todayhumor.com/?humordata_1589016 모바일
    펌,BGM]베오베간 거구귀를 보고 찾아본 우리나라 요괴들!
    <embed src="http://player.bgmstore.net/DtJ2O" width="422" height="180"><br><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DtJ2O"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tJ2O</a> <div class="wrap"> <div> <div class="header_top"> <div> <h1 style="text-align:center;"><br></h1></div></div></div> <div class="view-wrap talk"><div class="content"> <p><br></p> <p>><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199"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199"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강철이</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가뭄, 혹은 우박의 요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맹렬한 열기를 품고 있어 강철이가 한번 지나가면 산천초목이 모두 말라버린다고 전해집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강철이 간데는 가을도 봄이라" 라는 속담마저 남아있습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0"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0"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귀수산</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산처럼 거대한 거북이와 닮은 커다란 동물로 수백미터를 훌쩍 넘는 엄청난 크기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바다에서 사는데, 때문에 섬이나 암초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등에는 대나무와 비슷한 더듬이나 촉수같은 것이 돋아나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대나무 같은 것은 두 가닥으로 되어 있는데, 보통때는 두 가닥으로 떨어져있고, 잘때나 죽었을때는 한 가닥으로 붙어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것을 잘라내면 곧 도망치거나 죽게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대나무 모양의 더음이를 잘라 물에 넣어 키우면 한 조각 한 조각이 그대로 변해서 이상한 동물의 새끼가 되며, 그 어린 모습은 용처럼 보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마도 이것이 자라나서 커지면 이렇게 거대해지는 듯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1"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1"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거구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거구귀는 이름 그대로 입이 아주 큰 귀신인데 그 입이 얼마나 컷는지 윗 입술이 하늘에 닿고 아래 입술은 땅에 닿았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거대한 입에 무시무시한 외관을 하고 있지만 비범한 사람을 만나면 어린 소년의 모습인 청의동자로 변신해 그 사람을 보좌하고</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수호하는 존재로 변한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2"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2"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귀태</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귀신과의 성관계로 생긴 아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비유적으로 쓰이거나 하지 않는 한, 무속용어에 가깝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신라시대에 진지왕의 귀신이 도화녀와 교합하여 비형랑이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로부터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고 믿어지고 있습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3"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3"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고관대면</span></div>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높다란 관을 쓰고 있고 얼굴이 커다란 괴물.</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얼굴과 관에 비해 몸은 작아서, 사람처럼 서 있을 수 없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때문에 보통 나무에 기대어 있습니다. </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4"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4"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그슨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 민담에 등장하는 요괴.  고려시대의 수호신이었으나, 조선디래를 거치면서 악귀화되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늘, 그믐 등의 단어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이며, 일단 '어둠 속에 선 것' 이라는 뜻으로 추측 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름이 비슷한 그슨새와는 아무런 관련도 없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자그마한 어린 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이의 모습으로 나타나 사람을 방심시킨 다음, 순식간에 커져 그 사람을 놀라게 하거나 죽인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공격 받을 때마다 점점 커지기도 해서, 결국은 공격한 사람을 해친다고 하는군요.</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5"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5"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그슨새</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제주도의 귀신 혹은 요괴.  주쟁이라는 제주도의 우장을 뒤집어 쓴채 길거리를 돌아다닙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일반적인 요괴나 귀신들과는 달리 낮에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홀려서 죽인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전체적으로 남성적인 속성이 강한 존재라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6"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6"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길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도깨비.</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전승에 따라 그 정체가 귀신이나 요괴라도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신라 진평왕때 비령랑과 같이 놀던 도깨비들 중 하나로 추정되며, 비령랑의 명령에 따라 다른 도깨비와 귀신글과 함께 다리를 놓은</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작업을 맡아 하룻밤만에 다리를 완공하는 공을 세웠으며 후에 비형할의 추천으로 집사 벼슬을 받아 정사를 맡았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마침 각간 직책에 있는 임종이라는 벼슬아치가 아들이 없었기에 왕의 명으로 그의 야아들이 되었으며, 임종을 길달에게 흥륜사 남쪽 문루 하나를 세우도록 하여 </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밤에 늘 그곳에서 잠을 자도록 시켰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런 이유로, 세간 사람들이 이를 길달문이라 불렀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지만 인간의 삶이 지루하였던 길달은 결국 여우로 변신해 달아났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 소식을 들은 비형랑은 즉시 귀신들과 도깨비들을 풀어 길달을 잡아, 직접 길달을 끔살해 버렸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 뒤부터 귀신과 도깨비들은 비령랑을 두려워하였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7"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7"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금돼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의 요괴.  이름처럼 금빛 털을 지는 돼지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전승에 따르면 금돼지는 마산 앞바다에 있는 월영도라는 섬의 동굴에 사는 식인요괴로 아름다운 여성을 납치하여 잡아먹거나 시중을 들게하였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관련된 설화 중 유명한 <<금돼지 자손 최치원>> 에서는 최치원의 아버지가 사실 금돼지란 얘기가 있습니다. </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어느 한 마을에 현감이 부임하고 그 부인이 행방불명되는 사건이 일어나자 한 현감이 꾀를 내어 부인의 옷자락에 실을 꿰매어 놓았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다음날 부인이 사라지자 현감은 부하들을 대동하고 실을 쫓아 부인이 사라진 동굴로 들어간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거기서 범인이 금돼지라는 것을 알아내고 금돼지의 약점인 사슴 가죽을 구해 금돼지를 없앤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부인은 그 후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이 최치원이었다.' </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약점은 사슴 가죽, 혹은 백마 가죽이라고도 하고 양 가죽이라고도 합니다.</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8"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08"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노옹화구</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대동운부군옥에 등장하는 요괴.</p> <p></p>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신라시대에 한 늙은이가 있어서 하루는 김유신 집 대문 앞에 이르렀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곧 김유신이 그 노인의 손을 잡고 집안으로 들어가 자리에 앉히고 말하기를, "지금도 옛날처럼 몸을 변화시킬 수 있느냐?" 하고 물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니까 노인은 곧 호랑이로 변했다.  그리고 또 닭으로 변하고, 이어서 매로 변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더니 마침내 집에서 기르는 개로 변하여 대문 밖으로 걸어나갔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0"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0"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노구화위남</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한국의 요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남녀와 노소를 맘대로 바꿀 수 있는 요괴이나 늙은이에서 젊은이로 젊은이에서 늙은이로 바꿀 수 있지 성별을 바꿀수 없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기원선 6세기 백제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1"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1"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노호정</span></div>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늙은 여우의 정괴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여자들에게 인기가 매우 많고 지혜로운 사람의 모습으로 변신하는데, 이때 보통 승려의 모습과 비슷하나 머리를 기른 행색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둔갑하면 사람과 모든 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정체가 늙은 여우인만큼 누런 개나 흰 매를 보면 사냥 당할까 두려워 갑자기 놀란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2"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2"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노구화호</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노구화호한 그 이름 그대로 늙은 할머니로 둔갑하는 요호. 혹은 여우로 둔갑하는 할머니 요괴를 가리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갖가지 요술을 배우고 기이한 일을 배운다거나 잔꾀를 써서 세상에 삿된 일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사람 모습일때는 노인임에도 </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남녀 모두 호감을 가질 정도로 아름답고 피부가 뽀얗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3"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3"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닷발괴물</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전래동화에 나오는 환상종.</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꼬리 깃이 닷 발, 부리가 닷 발이나 되는 새처럼 생긴 괴물로 나오며,</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대개는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로 알려져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발이란 건 한국의 옛 길이 단위인데, 한 발이 150cm(양 팔을 펼쳐서 한쪽 손에서 반대쪽 손까지의 거리)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즉 꼬리가 750cm에 부리도 750cm인 셈입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4"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4"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대선사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여자, 특히 과부에게 가서 꿈을 꾸게 하며 희롱하는 마물.</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낮에는 여자들이 왕래하는 집안의 항아리 속에서 지내다가 밤이되면 나타난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5"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5"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도피사의</span></div>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도롱이옷을 거꾸로 입은 사람 모습의 괴물.</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둘씩 몰려 다닙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람의 말을 알아들으며 사람에게 들러붙어 체온을 높여 죽입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6"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6"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두두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신라 고려 시대의 목신(木神).</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고려시대의 이의민도 두두리를 숭배했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의민은 글을 알지 못하고 무당을 믿어서, 집에 신당을 짓고 두두리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서 집에서 모셨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지만 어느날 두두리가 갑자기 통곡을 하고, 이의민이 놀라서 묻자 대답하기를, 자신이 지금까지 이의민의 집을 잘 수호해왔으나 이제 하늘이 </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재앙을 내리기로 결정하여 더 이상 이의민을 보호해줄 수 없고 자신도 의지할 곳이 없어져서 슬퍼져서 운다고 대답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얼마 후 이의민은 멸망했고, 관리들은 사당에 그려진 두두리 그림을 제거해버렸다고 한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기록으로 미루어 볼대, 경주 지방의 토속신이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몽골의 침입으로 경주 지방이 활폐화 되면서 신앙도 소멸한 것 같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도깨비의 기원으로 보는 설도 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8"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8"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두억시니</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도깨비, 야차와 매우 유사한 한국 전통의 요괴 개념중 하나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실제로 이들은 잘 구분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사납고 못된 장난을 한다는 귀신의 하나.</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두억시니'라는 단어는 국어사전에 '모질고 사나운 귀신의 일종'으로 설명되어 있는 고유명사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자로는 두옥신(斗玉神)이라고 씁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학술적인 기록에서는 불교의 야차와 같은 존재 내지, 야차가 한국에서 도깨비와 뒤섞이는 과정에서 나온 요괴라는 설이 우세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지만 한반도산 토종 귀신이라는 설도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도깨비의 경우를 생각해본다면, 두억시니도 한반도 전통의 귀신개념에서 출발하여, 야차 같은 불교 개념이 넘어왔을 때 함께 뒤섞였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9"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19"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매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천년 먹은 여우가 변한다고 전해지는 요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주로 소복을 입은 처녀의 모습으로 나타나 길잃은 청년들을 꼬셔 정기를 갈취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렇게 정기를 쏙쏙 빨리게되면 청년은 시름시름 앓다가 죽어버린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지만 대부분의 이야기에선 죽기 전에 남자의 부모나 훈장이 미리 그 사실을 알고 퇴치법을 퇴치한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가족들도 모르는 사이 섞여들었다는 민담도 흔히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친국한 사람의 정체가 알고보니 괴물이었다는, 의외로 현대적인 공포 요소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민담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경우는 그 집안의 딸로 변신하는 것.</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런 경우 한밤중에 몰래 나가서 가축의 간을 빼먹거나, 무덤 속에 들어갔다 나오는 등 기괴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목격하고 매구라는 사실을 눈치채게 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가족 사이에 매구가 섰이면 집안이 패가망신하거나 일가 식구들이 모두 죽게 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0"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0"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묘두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고양이 머리를 한 거대한 뱀요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새들이 이 요괴를 왕처럼 떠받들며 사람이 먹는 음식도 거리낌없이 먹는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묘두사가 내뿜는 푸른색 연기는 세균을 살균하고 병을 고쳐준다고 믿어 사람들 또한 신성시하였으나, 사람들이 너무 심하게</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숭배하여 피해가 큰 것을 보고, 박만호라는 사람이 이 동물에 화살을 쏘아 죽여 없애 버렸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1"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1"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백제궁인</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해동이적에 등장하는 삼천궁녀 전설과 연결되는 요괴.</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 소년이 고란사에서 독서하고 있다가, 밤중에 한 여인이 나타나 호합을 하고 새벽닭이 우니 떠나갔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소년이 요괴로 알고 여인의 옷에 실을 꽨 바늘을 꽂아두고, 아침에 그 실을 따라가보니 바위틈에 들어가 있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래서 또 밤에 나타난 여인을 붙잡고 무슨 요괴인지 물으니, 백제가 망할때 궁녀들이 백마강으로 달려가 낙화암에 빠져 죽었는데, 자신도 그 궁녀의</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 명으로 낙화암에 떨어져 죽을 때 석굴 속에 들어가 벽곡(곡기를 끊어 장생하는 도술)을 이루고, 소년들을 유혹해 동침하고 남자의 정기를 취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자신의 정기를 보충하여 이것이 충만해지면 승천할 수 있었는데, 이제 비밀이 탄로났으니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니 이것도 인연이니 아내가 되겠다고 하여, 같이 집으로와서 살았는데, 10여일이 지나자 점점 늙어 얼마 후 죽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2"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2"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불가사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전설에 등장하는 괴물, 불가살이라고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일반적인 생김새는 곰의 몸에 물소의 눈, 코끼리의 코, 호랑이의 발톱(혹은 호랑이의 손), 코끼리의 꼬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쇠를 먹으며 자라기 때문에 몸은 단단하기 그지 없으며 털이 바늘처럼 뾰족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게다가 거대화 된 상태에서 돌로 만든 성벽따위를 부수는건 일도 아니며 어떤 도검으로도 벨 수 없는 강한 육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불가(不可)살(殺)이'(죽일 수 없다)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유일한 약점은 불.</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불가사리라는 이름은 '불(火)가살(可殺)'(불로 죽일 수 있다)이기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런데 오히려 나중에는 불에 약하기는 커녕 물의 기운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는지 목조건물을 화재에 보호하기 위해 목조건물 앞에 불가사리 석상을 세워 놓기도 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실제로 경복궁 아미산 굴뚝 밑부분에 불가사리가 새겨져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단, 불가사리가 세겨진 이유가 불가사리가 불을 막아서가 아닌 악한 기운을 정화시키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3"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3"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미비</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영노라고도 하며 휘파람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팔다리가 없는 걸 제외하고는 용과 유사한 생김새를 하고 있으며, 머리에 짧고 뭉툭한 뿔이 나있고 비늘은 푸른색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엄청난 식성을 자랑하는데, 사람, 짐승, 심지어 바위나 쇠도 먹어 치울 정도로 엄청나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럼에도 이무기에 비하여 평판은 그리 나쁘지는 않은 모양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마 못된 양반이나 탐관오리를 잡아먹는다고 믿어서인 듯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가산오광대, 고성오광대 등의 탈놀이에서는 타락한 양반이나 타락한 양반을 상징하는 케릭터인 오방신장 앞에 나타나 희롱하다 잡아먹어 버리는 먹성을 </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과시합니다.  그리고 배부르고 기분좋다며 춤을 추다 지나가던 포수의 총 한방에 죽게 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4"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4"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삼두일족응</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삼두일족응은 머리가 세 개고, 발이 하나인 매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인은 3을 중시했으며, 머리가 세 개가 된 것은 그 결과로 보여집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새는 삼족오와 함께 한국의 소위 '신조(神鳥)'라 할 수 있는데, 삼재를 제 개의 머리로 쪼아갈긴다고 하여 조선 후기부터 그 그림을</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액막이 부적으로 삼아 가지고 다니기도 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절에서 주는 입춘대길 부적에도 그려져 있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인기가 어지간히 있었는지, 삼두매라고 하는 도적도 조선시대에 있었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5"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5"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상사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람이 타인에 대한 강한 사랑과 집착으로 변한 뱀을 말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상사뱀에 대한 전설은 한국의 많은 지역과 중국에 존재하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춘천의 청평사란 절에 전설로 내려오는 상사뱀입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6"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6"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새타니</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의 요괴 중 하나.</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새타니란 말이 지칭하는 대상은 2가지인데, 우선 어미에게 버림 받아 굶어죽은 남아의 원귀를 새타니라고 부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여자아이가 굶어 죽으면 태자귀라고 하며, 새타니와 태자귀는 무당이 신력을 보충하기 위해 일부러 만들어 부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미 보셨던 조선시대 괴담 중 염매가 새타니와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새타니가 원한이 강하거나 경험이 많아지면 새우니가 되며, 새우니는 훨씬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통제 불능이라서 자신을 부린</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무당을 죽이고 사람들을 괴롭힌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는 이런 원귀가 들린 무당을 북부 지역에서는 새타니, 남부지역에서는 태주 또는 명도라고 부르는데, 순우리말로 '새를 탄 이', 또는 '새를 받은 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라는 뜻입니다. 만화 '바람의 나라'에 등장한 캐릭터 중 하나인 혜압도 후자쪽의 새타니 입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7"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7"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수일이참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작은 도마뱀 모습의 요괴. 그러나 칼로 자르면 금새 자라나 원래보다 더 커진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계속 반복되면 커다란 이무기 모습으로 바뀌는데 수십명의 무사가 덤벼도 끄떡 없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일설에 따르면 어여뿐 여자가 토굴속 요새에서 살다가 둔갑해서 생긴 것이라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8"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8"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신귀원요</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몸이 조각조각 분리되어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대체로 몸이 분리될때 6조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조각들이 스믈스믈 기어갑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런 모습을 본 사람은 그 끔찍한 모습에 미치거나 놀라서 죽는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잘린 조각은 다시 합칠 수 있으며 다 합쳤을때는 일반 여성과 별 다를바가 없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9"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29"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야광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순 우리말로는 '앙괭이'라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음력 정월 16일을 귀신날이라 하여, 먼길 가는 것을 삼가고 집집마다 길불을 켜놓고 머리카락이나 볏집 등을 태워 쥐신을 쫓았으며, </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잘때는 신발을 밖에 두지 않고, 두어야 할때는 뒤집어 놓는 등의 풍속이있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는 밤에 빛을 내는 야광귀과 이날 민가에 내려와 돌아다니다가, 아이들의 신발을 신어보고 발에 맞는 신발을 신고 가버린다는 속설 때문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야광귀에 대비하여 신을 감추고, 불을 끄고 잠을 자거나, 말총으로 만든 체를 걸어두면 신발을 훔치는 대신에 체의 구멍을 세다가 첫 닭이 울면 가버린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0"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0"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어둑시니</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어덕서니, 아독시니, 아둑시니라고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고려시대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요괴로 정착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같은 한국 요괴인 그슨대와 상당히 비슷한 요괴이기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기본적으로 어둠을 상징하며, 어둡지 않으면 힘을 쓰지 못한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람이 지켜보고 있으면 점점 커지는데, 계속 바라보고 있으면 한없이 커져서 사람을 놀래키기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리고 올려다보면 올려다 볼 수록 더욱 더 커져서 마지막에서 사람이 깔려버리게 된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반대로 그렇게 커지고 있는 것을 억지로 내려다보면 점점 작아셔 마지막에는 다시 사라지게 된다고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눈을 돌려 버리고 무시해 버리면 끝인, 관심을 주지 않으면 사라져버리는 요괴입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1"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1"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이무기</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렁이가 천년을 살면 용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구렁이는 느긋해서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여의주를 두개 이상 갖고 있으면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는 포기해야 용이 되는데 욕심때문에 그러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용이 되기 위해서 물 속에서 수행을 하는데, 만일 1000년이 지나도 용이 되지 못하면 절망해서 난폭해진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는 1000년 수행 후 밖으로 나와서 처음 만나는 사람을 기다리는데, 그 사람이 "용이다"고 하면 용이 되지만 "뱀이다"고 하면 이무기가 되어 다시 1000년을 수련해야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 외에도 용이 되기 직전 사람에게 하늘로 오르는 모습을 보이면 도로 땅으로 쳐박혀 처음부터 다시 수련을 시작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설질이 사납다 뿐이지 직접 해를 끼치는 경우는 적지만, 하필 인간이랑 꼬여 이무기생을 망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때문에 격노한 이무기가 사람을 해치는데, 이것이 바로 '용오름' 현상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전에 의하면 거의 모든 생물의 왕, 헤엄치는 모든 생물을 관장하는 왕이며, 그들은 모두 이무기의 지배하에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물고기가 2500마리가 넘으면 이무기가 나타나 그들의 왕이 된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2"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2"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이수약우</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의 괴물 혹은 환상종에 속하는 괴이한 짐승.</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코와 꼬리가 길고 몸집이 큰 네발 짐승.  코끼리나 소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긴 느낌이며 힘이 세고</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식성이 매우 좋아 특별히 포악하지 않음에도 다루기 어렵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799년에 신라의 우두주 도독이 발견하였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불가사리의 원형이라 봐도 좋을 요괴입니다.  솔직히 생김새뿐만 아니라 발견된 년도도 불가사리보다 훨씬 먼저 나왔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실 그냥 평범한 코끼리인데 사람들이 소문으로 듣고 생각했던 코끼리보다 크고 괴이하게 생겨 요괴하 생각하고 이런 이름을 붙였는지도 모른다고</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3"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3"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인두조수</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람의 머리를 한 요괴들을 일컫습니다.  요괴들 중 서열이 높은 것은 새의 몸을 한 것으로 이승과 저승을 두루 날아다니며</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신령들의 사자 혹은 영혼을 인도하는 역할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들은 대개 사람처럼 혹은 그 이상으로 지혜롭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 모습도 선비처럼 관리나 상투를 쓰는 등의 고상한 머리장식을 하고 있습니다. 새의 몸을 한 것 말고도 뱀 혹은 사슴 등의 네발 짐승의 몸을 한것, 머리와 꼬리에</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머리가 둘 달린 쌍두의 것도 있습니다.  이들의 고기를 먹으면 오래 살거나 머리가 좋아지거나 빨리 달릴 수 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람의 얼굴을 한 요괴나 영물은 범세계적으로 등장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우리나라의 경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잘 나타나있으며 그 종류도 천추, 만세, 성성, 하조, 서조 등 다양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4"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4"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일촌법사</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김소년과 대도둑' 설화에 등장하는 요괴들 중 하나로, 만년묵은 쥐요괴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대도둑의 부하요괴이며 강력한 요괴로 꼬리털을 번개처럼 돌려 물을 폭포처럼 쏟아내는 요술을 사용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5"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5"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제생요마</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삿갓과 도롱이를 쓰고 다리가 한개뿐인 인간형 요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주로 어두운 밤에 두 눈을 번뜩이며 한 다리로 껑충껑충 뛰어 다닙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뛰는 힘이 좋으며 특정 체질의 사람을 시름시름 앓게 한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서울 종묘 근처에서 이유란 자가 목격하였다는 기록이 '학산한언' 이라는 책에 기록되어 있습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6"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6"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죽통미녀</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대동운부군옥에> 등장하는 요괴.</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신라시대 김유신이 서주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앞을 보니 머리 위에 이상한 기운이 서린 한 이객이 걸어가고 있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얼마 후 이 손님이 길가 나무 밑에서 쉬기에, 김유신도 같이 나무 밑에서 쉬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김유신이 잠든 체하니, 손님은 주위에 사람이 있는지 살핀 다음 품속에서 죽통을 꺼내 흔들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자 그 안에서 두 미인이 나와, 함께 앉아 다정하게 이야기했다.  그리고 얼마 후 손님은 다시 미녀를 죽통속에 넣고 일어나 길을 떠났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김유신이 그를 뒤따라 가서 얘기를 나누니 부드럽고 친절한 사람이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나중에 서울 경주에 들어와 김유신이 그를 안내해 남산 및 소나무 아래에서 잔치를 베푸니, 손님은 두 미녀를 나오게해서 함께 참여케하고, 자신은 서해에 사는데</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동해에서 아내를 취하여, 지금 아내를 데리고 부모(처가인 동해로)에게 문안 인사차 가는 일이라고 말하였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리고 곧 바람이 일고 구름이 몰려와 어두워지더니 손님이 사라져 버렸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7"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7"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창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호랑이에게 먹힌 사람이 귀신이 되어 호랑이의 명을 받드는 것을 말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주로 중국이나 한국 전승에서 등장한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창귀는 호랑이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호랑이가 다른 사람을 잡아먹도록 유도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호랑이가 다른 사람을 잡아 먹으면 그 창귀는 호랑이에게서 해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창귀가 호랑이가 사람을 잡아먹도록 유도하지 않아도 매우 귀찮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왜냐하면 창귀가 호랑이에게 함정의 위치등을 알려주어 민가의 피해가 커지기 때문입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창귀를 퇴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창귀는 신 것을 좋아하므로 매실을 길에 뿌려두면 그걸 먹고 취하여 창귀를 거느리는</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호랑이가 함정에 빠진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방법 외에도 식인 호랑이를 잡아 호랑이에게 죽은 사람의 장손이 호랑의 심장을 꺼내 씹어먹거나 호랑이에게 먹힌 시체를 호식총이란 분묘에 안치하여 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창귀 중 유명한 것은 박지원의 소설 호질에 등장하는 세 창귀입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8"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8"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치우</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치우는 65ㅐ의 팔, 4개의 눈, 그리고 소의 뿔과 발굽, 구리로 된 머리와 쇠로된 이마를 가지고 있었으며, 맨몸으로 맹수와도 대적할 수 있을 만큼 힘도 굉장히 강했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때문에 당시의 조악한 기술로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었으며 안개 도술까지 구사할 수 있어 어디서 어떻게 나타날지 알 수 없으니 결국 그 누구도 대적할 수 없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것을 요사하기를 동두철액이라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형제 81인 또는 72인과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리고 다녔다고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치우라는 이름이 처음 발견된 기록은 산해경인데, 산해경은 전국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치우가 정말 고대의 실존 인물이었다면 수없이 발견된 은의 갑골문자에는 왜 전혀 나오지 않는지를 전혀 설명하지 못한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죽, 신화속의 존재일 확률이 매우 높다. 실존 인물이라는 증거라고는 전혀 없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치우의 무덤이라 전해내려오는 곳들도 그냥 그렇다는 구전이 내려올 뿐, 유물이나 기록같은 제대로 된 근거가 없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9"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39"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홍량거부</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바다와 육지를 오가는 거대한 이무기 모양의 괴물.  길이가 수십미터 정도의 괴물로 육지에서 짐승을,</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먹는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거대한 만큼 매우 둔해 함정에 잘 걸린다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뱃속에 진주와 비슷하게 생긴 보석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어 조선시대의 한 화포장이 무인도에서 우연히 마주친 이 요괴를 함정으로 죽이고</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보석들을 꺼내 무인도를 지나던 상인들에게 구출된 직후 모두 팔아 부자가 되었다고 합니다.</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40"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40"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탄주어</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엄청나게 거대한 물고기 요괴.  배를 한입에 삼킬정도로 거대하다고 합니다.</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41" target="_blank"><img class="hasOrigin" src="http://thumb.pann.com/tc_296/http://fimg2.pann.com/new/download.jsp?FileID=28726241" alt=""></a></p> <p style="text-align:center;"> </p>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해태</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p> <p></p>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자같기도 하고 구름같은 갈기를 가지고 코는 크고 수염이 달렸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눈은 부릅뜨면서 눈썹까지 달렸습니다.  선인은 내러벼두고 악인은 해한다고 하는 한국과 중국의 상상의 동물.</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환상종입니다.  해치라고도하며, 뜻은 해님이 파견한 벼슬아치라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광화문 앞에도 한 쌍 놓여있는데, 이것은 파사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경복궁을 지을 당시 관악산이 품고 있는 화기를 불을 먹는 해태를 통해</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억누르려고 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의 해태는 뿔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생긴 것도 중국의 해태와는 달리 삽살개나 사자를 닮았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옛 그림을 보면 차이가 큰데, 한국의 해치와 사자의 차이는 순종왕릉의 궤에만 보이며, 그 차이는 해치는 사자와 달리 몸에 비늘무늬가 있고 목에 방울이 달린</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정도의 차이가 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나마도 흉배나 탱화, 민화의 경우에는 그것도 없어 사실상 사자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국 해태가 뿔이 없는 이유로 가장 유력한 것은 해태가 본래 황제에게만 허락된 상징물이기 때문에 중국 사신이 보면 뭐라고 할까봐 속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중국 한의 양부가 지은 '이물지'에서 최초로 그 묘사를 찾을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동북 지방의 황량한 땅에 어떤 짐승이 사는데 이름을 '해치'라고 한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뿔이 하나이고 성품이 충직하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사람들이 싸우는 것을 보면 바르지 못한 자를 들이받고 사람들이 서로 따지는 것을 들으면 옳지 못한 자를 문다" 고 합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 상징성 때문에 국회, 경찰청, 대법원을 물론이고 일단 사법연수원에도 해태의 상이 세워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근대법학교육 백주년 기념관 앞에 있는</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정의의 종'에도 새겨져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곳의 해태는 학교 교수의 주장으로 뿔이 있다고 합니다. </span></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 </p> <p style="text-align:center;">출처 : <a target="_blank" href="http://cafe.naver.com/pclemon" target="_blank">http://cafe.naver.com/pclemon</a></p> <p style="text-align:center;">2차 출처 : 네이트 판</p> <p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m.pann.nate.com/talk/322768059" target="_blank">http://m.pann.nate.com/talk/322768059</a></p></div></div></div> <div class="bannerTop"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f3f3f3;"><div class="ad"> </div> </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1/17 03:54:22  1.229.***.134  산사나무  561077
    [2] 2015/01/17 05:53:39  50.157.***.201  House_M.D  439681
    [3] 2015/01/17 06:35:38  156.111.***.112  활자중독자  5503
    [4] 2015/01/17 07:09:20  175.119.***.23  과수원사과  531405
    [5] 2015/01/17 07:47:06  104.54.***.72  Knight광  330865
    [6] 2015/01/17 09:13:11  175.223.***.201  꾹밍깡뿅  572173
    [7] 2015/01/17 09:16:45  80.59.***.37  케닉  206331
    [8] 2015/01/17 09:28:52  223.62.***.48  Heartqueen  267335
    [9] 2015/01/17 09:33:32  112.151.***.240  Dr.魔法师  595137
    [10] 2015/01/17 10:11:42  219.249.***.132  뽀룹뽀룹  54677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
    그거 알아요? [1] Alpaca 15/02/10 16:22 122 2
    펌,BGM]베오베간 거구귀를 보고 찾아본 우리나라 요괴들! [117] Alpaca 15/01/17 01:56 173 12
    91
    6년만에 던파 복귀했습니다. [3] Alpaca 14/12/17 22:12 69 0
    90
    초능력,FPS] 수퍼핫! 수퍼핫! 수퍼핫! [1] Alpaca 14/12/17 21:20 94 7
    89
    여자아이를 대표할 만한 캐릭터가 뭐가 있을까여ㅠ [7] Alpaca 14/10/23 19:00 68 1
    88
    집가고 싶다ㅠㅠ Alpaca 14/10/16 20:43 21 0
    87
    본삭금) 마우스 포인터 지나간 자리 표시하는 프로그램 [2] Alpaca 14/10/14 19:04 23 0
    86
    안잊었어여 Alpaca 14/09/25 13:58 44 5
    85
    유명한 좀비게임의 노래인데 [3] Alpaca 14/09/23 16:27 20 0
    84
    어도비 프리미어CS6에서 MPEG2파일이 안열려요ㅠㅠ (본삭금) [3] Alpaca 14/09/03 18:29 33 1
    83
    프리미어cs6에서 mpeg2파일이 안열려유ㅠ(본삭금) Alpaca 14/09/03 18:28 13 0
    81
    한글문서에서 메크로 관련 질문 드립니다ㅠ(본삭금) Alpaca 14/08/19 16:37 15 0
    80
    하..요즘 미치겠네요ㅋㅋㅋ(일종의 뻘글?) [5] Alpaca 14/02/18 00:46 26 1
    79
    컴퓨터는 되게 많이 쓰는데 하나도 모릅니다..ㅠㅠ [2] Alpaca 14/02/17 23:45 26 0
    78
    3년만에 느껴보네여 Alpaca 14/02/15 03:07 41 1
    77
    졸업식때문에 Alpaca 14/01/27 00:58 31 0
    76
    3년만에 20kg 쪘습니다. [12] Alpaca 14/01/27 00:42 71 0
    75
    띠링! Alpaca 13/12/20 14:54 13 0
    74
    베가스 정품 얼마 정도 하나요... [5] Alpaca 13/09/21 21:45 38 0
    73
    고3이 100만원짜리 mtb 도난당한 썰 [2] Alpaca 13/07/14 00:50 52 0
    72
    명품모자가 만들어지는 과정 Alpaca 13/04/13 23:01 77 0
    71
    죄송하지만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고양이짤 Alpaca 13/04/07 00:18 36 0
    70
    빨검은 사랑입니다. 쥐샥,뉴에라 구매한 곳 [1] Alpaca 13/03/20 00:34 63 0
    69
    빨검은 사랑입니다 Alpaca 13/03/19 01:36 118 1
    68
    Alpaca 13/03/17 23:36 74 5
    67
    아 오유에 게이가 많은이유 [5] Alpaca 13/03/03 00:04 33 0
    66
    며칠전엔 배남식 안좋다는글과 옵g좋다는 글이 많은듯했는데 Alpaca 13/03/02 22:02 12 0
    [1] [2] [3] [4]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