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이거보소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2-23
    방문 : 64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iphone_12938
    작성자 : 이거보소
    추천 : 16
    조회수 : 739
    IP : 211.198.***.114
    댓글 : 3개
    등록시간 : 2012/09/17 19:55:39
    http://todayhumor.com/?iphone_12938 모바일
    [약스]아이폰을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 기사좀 끝까지 읽으세요
    <p></p><p><table width="67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id="ArtView"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color: rgb(85, 85, 85); font-family: 돋움, dotum; "><tbody><tr><td valign="top"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width="10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10" height="80" class="backgr"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background-image: url(http://www.mediatoday.co.kr/image2006/default/info_bg.gif); border-bottom-width: 1px;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bottom-color: rgb(191, 193, 192); background-position: 0% 100%; background-repeat: repeat no-repeat; "><tbody><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top: 10px; "><table width="10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width="10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class="view_t" id="font_title"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25px; font-weight: bold; letter-spacing: -0.1em; line-height: 30px; padding-bottom: 5px; ">아이폰을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 기사 좀 끝까지 읽으세요</td></tr><tr><td class="sub" id="font_subtitle"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 color: rgb(102, 102, 102); letter-spacing: -0.1em; ">[비평] 도 넘은 애플 때리기, 왜곡과 오독 넘쳐난다… “혁신은 없지만 그래도 가장 매력적”</td></tr><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 10px 0px 30px; "><table width="100%" cellspacing="0" cellpadding="0" border="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class="SmN" align="left" id="font_email" style="font-family: verdana, 돋움; font-size: 11px; color: rgb(119, 119, 119); letter-spacing: -0.1em; ">허완 기자 | <span class="SmN" style="letter-spacing: -0.1em;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email protected]" style="color: rgb(119, 119, 119); letter-spacing: -0.1em; ">[email protected]</a></span>  </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width="100%" cellpadding="0" cellspacing="0" border="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align="right"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left: 5px;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style="color: rgb(77, 77, 77); "><img src="http://www.mediatoday.co.kr/image2006/default/btn_textbig.gif" border="0" title="글자키우기" style="border: 0px solid rgb(17, 17, 17); "></a></td><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style="color: rgb(77, 77, 77); "><img src="http://www.mediatoday.co.kr/image2006/default/btn_textsmall.gif" border="0" title="글자줄이기" style="border: 0px solid rgb(17, 17, 17); "></a></td><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left: 5px;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style="color: rgb(77, 77, 77); "><img src="http://www.mediatoday.co.kr/image2006/default/btn_print.gif" border="0" title="프린트하기" style="border: 0px solid rgb(17, 17, 17); "></a></td><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style="color: rgb(77, 77, 77); "><img src="http://www.mediatoday.co.kr/image2006/default/btn_send.gif" border="0" title="기사보내기" style="border: 0px solid rgb(17, 17, 17); "></a></td><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style="color: rgb(77, 77, 77); "><img src="http://www.mediatoday.co.kr/image2006/default/btn_ermail.gif" border="0" title="오류신고하기" style="border: 0px solid rgb(17, 17, 17); "></a></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body></table></td></tr><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background="http://www.mediatoday.co.kr/box/box_news/650_roll_bg.gif"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width="650" align="left"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 0px 0px 0px 10px; "></td><td align="right"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width="15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able></td></tr></tbody></table></td></tr><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table width="100%" cellspacing="0" cellpadding="0" border="0"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margin-top: 20px; "><tbody><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 0px 10px; "><iframe src="http://www.mediatoday.co.kr/banner/naon_mt_top.html" width="650" height="25" marginwidth="0" marginheight="0" frameborder="0" scrolling="no" align="center"></iframe></td><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d></tr><tr><td height="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d></tr><tr><td align="center"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table width="67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align="center" id="ArtView"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class="content" id="articleBody" style="font-family: gulim; padding-top: 0px; line-height: 22px; letter-spacing: 0em; font-size: 14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div id="_article" class="articleBody" style="margin: 0px; padding: 0px;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10" align="right"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p><ins style="display: inline-table; border: none; height: 250px; margin: 0px; padding: 0px; position: relative; visibility: visible; width: 250px; "><ins id="aswift_1_anchor" style="display: block; border: none; height: 250px; margin: 0px; padding: 0px; position: relative; visibility: visible; width: 250px; "><iframe allowtransparency="true" frameborder="0" height="250" hspace="0" marginwidth="0" marginheight="0" scrolling="no" vspace="0" width="250" id="aswift_1" name="aswift_1" style="left: 0px; position: absolute; top: 0px; "></iframe></ins></ins></td></tr></tbody></table><div id="media_body" style="margin: 0px; padding: 0px; "><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span style="color: rgb(128, 128, 0); ">“애플의 새로운 스마트폰 '아이폰5'가 화제로 떠오른 가운데, 미국 포브스(Fobes)지가 ‘당신이 아이폰5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선정해 눈길을 끈다.”</span></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14일 오후 <a target="_blank" href="http://view.heraldcorp.com/view.php?ud=20120914000917&cpv=0" style="color: rgb(195, 46, 65); ">헤럴드경제 인터넷판에 실린 기사</a>의 첫 문장이다. 이 신문은 이어 “포브스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아이폰5가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받았던 만큼 실망감이 컸다’며 제품을 구매하지 말아야 할 이유에 대해 조목조목 밝혔다”고 전했다. 12일(현지시각) 공개된 아이폰5에 대해 외신들도 혹평을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div> <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span style="color: rgb(0, 0, 128); "><strong>‘아이폰5 사지 말아야 할 이유?’…웃기시네!</strong></span></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이 신문은 “가장 큰 비판은 더 이상 아이폰의 혁신을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것”이라며 “이는 국내 소비자들만의 생각이 아니었다”고 보도했다. “포브스지 또한 ‘얇고 더 커진 스크린만으로 혁신이라 할 수 있는가?’라며 회의감을 나타냈다”고 전하기도 했다. 중앙일보도 14일자 B4면에서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아예 ‘아이폰5를 사지 말아야 할 이유’라는 기사를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외신도 실망감을 표시하고 있다는 이야기다.</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그러나 위 기사에서 <a target="_blank" href="http://www.forbes.com/sites/roberthof/2012/09/12/why-you-shouldnt-buy-apples-new-iphone-5/" style="color: rgb(195, 46, 65); ">인용된 포브스 기사</a>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끝난다.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span style="color: rgb(128, 128, 0); ">“지금까지의 내 충고와는 달리, 나는 아마도 새로운 아이폰(아이폰5)을 살 것 같다. 다른 무엇보다, 아이폰5는 미치도록 근사할 것이다.” (</span><span style="color: rgb(128, 128, 0); ">“So for all my advice to the contrary, I may very well go for that new iPhone after all. After all, it’s going to be insanely great, right?”)</span></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이전 아이폰(아이폰4S)도 여전히  훌륭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4S는 여전히 지금까지 나온 최고의 아이폰이고, 또 시판 중인 스마트폰 중 최고”이므로 굳이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거나 비싼 요금제(service plan)에 가입하면서 아이폰5를 살 이유는 없다. 미국 통신사들이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폐지하고 있는 것도 “두 번 생각해봐야 할 중요한 이유”가 된다.</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그러나 이와 동시에 아이폰5를 살 이유도 많다. 기사를 쓴 로버트 호프는 “이런 충고를 무시할 이유도 충분하다”며 아이폰 시리즈 최초로 도입된 LTE 기능을 언급했다. 또 그는 “나는 아이폰5를 포함한 아이폰 ‘시리즈들(iPhones)’이 대체로 라이벌들에 앞설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애플의 강점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매력적으로 엮어내는 애플만의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대목은 한국 언론의 기사에서 쏙 빠졌다.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span style="color: rgb(0, 0, 128); "><strong>도 넘은 애플 ‘때리기’, 왜?</strong></span></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14일자 신문들은 일제히 '혁신’은 없었다며 아이폰5를 깎아내렸다. 조선일보는 B1면에서 “스티브 잡스 없는 아이폰은 ‘창조와 혁신’ 대신 ‘진화’를 선택했다”고 보도했고, 한국경제는 2면에서 “‘무덤에 있는 잡스가 통곡할 것’이라는 한탄이 나올 정도”라고 전했다. 아주경제는 5면에서 <혁신 아이콘서 조롱거리로…삼성은 LTE 특허소송 내비쳐>라는 제목을 달았다.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부정적인 뉘앙스의 제목들이 지면을 가득 수놓았다.<br><br><table width="62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width="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 </td><td align="center"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img alt="" src="http://www.mediatoday.co.kr/news/photo/201209/104992_102194_4559.jpg" style="border: 1px solid rgb(128, 128, 128); "></td><td width="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 </td></tr><tr><td id="font_imgdown_102194" colspan="3"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 10px 20px; "> </td></tr><tr><td colspan="3"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top: 5px; padding-bottom: 5px; "><p><iframe src="http://p.lumieyes.com/frm2.asp?domain=mediatoday.co.kr&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noresize="" scrolling="No" frameborder="0" marginheight="0" marginwidth="0" style="height: 60px; width: 620px; "></iframe></p></td></tr></tbody></table></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아이폰5에 ‘혁신’은 없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이 같은 평가가 아이폰5를 ‘폄하’하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a target="_blank" href="http://news.cnet.com/8301-1035_3-57508093-94/the-ho-hum-era-of-smartphones-has-begun/?tag=nl.t720&s_cid=t720" style="color: rgb(195, 46, 65); ">“스마트폰 시장이 ‘혁명적인 발전’에서 훨씬 더 단조로운 ‘점진적인 개선’의 시대로 옮겨왔기”</a> 때문이다. “터치스크린이나 무수한 앱, 길 찾기 기능을 갖춘 모바일 지도, 생동감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처음 소개되던 때의 ‘충격’에 비하면, 스마트폰에 더 이상 그와 같은 ‘혁명’은 없을지 모른다는 이야기다.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호의적인 평가도 많다. <a target="_blank" href="http://www.guardian.co.uk/technology/2012/sep/13/iphone-5-industry-experts-verdicts" style="color: rgb(195, 46, 65); ">가디언에 따르면</a>, 통신 전문가인 에른스트 도쿠는 “아이폰5는 애플이 삼성 갤럭시S3에 뒤지지 않게 해줄 것”이라고 전망했고, 시장조사업체 ‘Usurv’에 따르면, 아이폰 이용자 중 44%는 ‘생각해 볼 필요도 없이’ 아이폰5를 구입할 의향을 나타냈다. <a target="_blank" href="http://techpinions.com/why-the-new-iphone-will-be-roundly-panned-and-why-it-will-still-sell-like-crazy/9975" style="color: rgb(195, 46, 65); ">IT매체 ‘테크피니언(Techpinopns)’의 존 컥</a>은 “애플에게 중요한 건 기능의 ‘양(quantity)’이 아니라, (기능들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경험의 ‘질(quality)’”이라며 “소위 ‘전문가’들은 이런 점을 고려하지 않지만, 이용자들은 그럴 것”이라고 분석했다.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한국 언론들의 아이폰 ‘때리기’가 향하는 지점은 비교적 분명하다. 국민일보는 1면에서 “이에 따라 삼성의 갤럭시S3, 갤럭시노트2의 판매에 큰 타격을 입히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 많다”고 전했고, 디지털타임스는 1면에서 “삼성전자와의 LTE 스마트폰 승부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매일경제는 3면에 실린 표에서 ‘삼성·애플’의 구도를 전개했고, 머니투데이는 2면에서 ‘대세는 (갤럭시노트의) 펜’이라며 노골적으로 삼성 편을 들었다. 디지털타임스는 5면에서 <아이폰5에 실망했다면 ‘옵티머스G?’>라는 홍보성 기사를 내기도 했다. 낯 뜨거울 정도다. <br><br><table width="52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width="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 </td><td align="center"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img alt="" src="http://www.mediatoday.co.kr/news/photo/201209/104992_102193_4433.jpg" style="border: 1px solid rgb(128, 128, 128); "></td><td width="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 </td></tr><tr><td id="font_imgdown_102193" colspan="3"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 10px 20px; "><font class="view_r_caption" style="font-family: verdana, gulim; font-size: 12px; ">▲ 디지털타임스 14일자 5면</font></td></tr><tr><td colspan="3"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top: 5px; padding-bottom: 5px; "><p><iframe src="http://p.lumieyes.com/frm2.asp?domain=mediatoday.co.kr&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noresize="" scrolling="No" frameborder="0" marginheight="0" marginwidth="0" style="height: 60px; width: 520px; "></iframe></p></td></tr></tbody></table></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2009년 아이폰의 국내 출시를 다룬 기사들도 비슷했다. 한국 언론들은 “일각에서는 아이폰이 한국 소비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한국경제)”거나 “한국인의 특성상 DMB 기능이 없는 것은 아쉬운 대목(경향신문)”이라는 등의 기사를 쏟아냈다. 대신 “T옴니아2는 지난 10월말 출시된 최신 제품으로 하드웨어 기능 면에서 아이폰을 월등히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아시아경제)”는 식으로 삼성을 띄우는 기사가 넘쳐났다. <br><br>(관련기사: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450" style="color: rgb(195, 46, 65); "><한국 신문들, 옴니아 일병 구하기 총력전</a>>,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389" style="color: rgb(195, 46, 65); "><아이폰은 '까고' 갤럭시S는 '띄우고'></a>)    <br><br><table width="52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style="clear: none; text-align: left; font-size: 12px; "><tbody><tr><td width="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 </td><td align="center"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img alt="" src="http://www.mediatoday.co.kr/news/photo/201209/104992_102191_3831.jpg" style="border: 1px solid rgb(128, 128, 128); "></td><td width="10"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 </td></tr><tr><td id="font_imgdown_102191" colspan="3"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 10px 20px; "> </td></tr><tr><td colspan="3" style="font-family: 돋움, dotum; padding-top: 5px; padding-bottom: 5px; "><p><iframe src="http://p.lumieyes.com/frm2.asp?domain=mediatoday.co.kr&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2" noresize="" scrolling="No" frameborder="0" marginheight="0" marginwidth="0" style="height: 60px; width: 520px; "></iframe></p></td></tr></tbody></table> </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17일자 신문들은 아이폰5가 ‘VoLTE’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아이폰5’ 사봤자 별로 좋을 것 없는 그 이유>(아시아경제) 같은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아이폰을 향한 날카로운 비판의 잣대가 그 자체로 나쁜 건 아니다. 문제는 그 잣대가 삼성이나 LG 앞에서는 자취를 감춘다는 점이다. 최소한의 균형성과 객관성마저 갖추지 못한 ‘아이폰 때리기’ 기사는 <a target="_blank" h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046" style="color: rgb(195, 46, 65); ">네티즌들의 조롱거리</a>가 된 지 오래다. ‘언론의 위기’가 왜 수년째 회자되고 있는지, 언론만 모르고 있는 걸까.</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r></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r></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r></div><div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r></div><div style="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padding: 0px; ">출처 - 미디어오늘</div></div></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td></tr></tbody></table></p><p></p>
    이거보소의 꼬릿말입니다
    맞는 말인듯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9/17 20:00:17  119.196.***.70  닥쳐라  259151
    [2] 2012/09/17 20:02:00  220.86.***.244  Truelight  46248
    [3] 2012/09/17 20:08:28  164.125.***.133    
    [4] 2012/09/17 20:13:38  180.228.***.41  뒷북의추억  212757
    [5] 2012/09/17 20:18:33  59.0.***.200    
    [6] 2012/09/17 20:42:32  112.186.***.234    
    [7] 2012/09/17 20:55:41  175.213.***.165  깡깡체육관  280390
    [8] 2012/09/17 21:17:19  203.252.***.170  내가니엡이다  94397
    [9] 2012/09/17 21:58:07  220.125.***.51    
    [10] 2012/09/17 22:05:27  114.129.***.103  주어는없음  19089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
    08플팩 vs 프리미엄 선수영입 이거보소 14/04/07 18:41 55 0
    43
    공 패키지 [2] 이거보소 14/04/07 13:14 106 0
    42
    08 플팩 vs 1500만 이피 [9] 이거보소 14/04/07 11:29 151 0
    41
    아이폰5S 꿀팁!! [2] 이거보소 13/11/09 07:21 178 1
    40
    아이폰5S 견적 (?)좀 내주세요! 이거보소 13/10/26 23:48 23 0
    39
    애플광고음악 [1] 이거보소 13/10/24 14:42 23 0
    38
    내일 학교 행사 옷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이거보소 13/10/24 00:01 22 0
    37
    50위 안에 들어보겠습니다. 이거보소 13/10/19 16:35 17 0
    36
    NT6 구형 vs 신형 vs pro 이거보소 13/07/03 18:43 9 0
    35
    커스텀 이어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5] 이거보소 13/06/30 23:05 20 0
    34
    북미 전용 롤 선불카드 팝니다. 이거보소 13/05/26 17:07 167 0
    33
    그런짓은 하지말앗어야 했는데... 이거보소 13/04/21 13:22 91 0
    32
    이모 여기 베오베 티켓 하나 주문요~ [5] 이거보소 13/04/20 22:07 22 2
    31
    <- 똥 [3] 이거보소 13/03/13 23:07 58 3
    30
    와 노래 진짜 좋다... [4] 이거보소 13/02/17 23:45 78 1
    29
    973013 인증 부탁.. ㅠㅠ [1] 이거보소 12/12/20 18:09 13 0
    28
    무한상사 팬티 甲 [1] 이거보소 12/09/29 19:45 441 1
    27
    무한도전 개념 팬티 [6] 이거보소 12/09/29 19:43 437 18
    아이폰을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 기사 좀 끝까지 읽으세요 [1] 이거보소 12/09/17 19:55 114 6
    25
    9월 12일 애플 발표회 행사 총정리 [1] 이거보소 12/09/13 04:03 521 0
    24
    오유 글중에서 [1] 이거보소 12/09/09 11:43 88 0
    23
    (도움) 뒷북계의 1인자가 되겠다 [4] 이거보소 12/09/03 22:13 193 2
    22
    사이 좋은 한반도 [6] 이거보소 12/08/01 00:57 438 4
    21
    펜싱 이의제기 비용 얼마? 이거보소 12/07/31 04:04 254 0
    20
    방송에 나온 김기열 팬카페... 이거보소 12/07/08 22:45 417 4
    19
    디아블로 인페르노 잡힘 [2] 이거보소 12/05/20 10:19 918 4
    18
    NPC 말하는거 [2] 이거보소 12/05/18 23:14 141 0
    17
    체험판 시디키 [2] 이거보소 12/05/16 00:57 285 0
    16
    베오베행 생일티켓이다! [5] 이거보소 12/04/20 18:54 197 5
    15
    Vocalling 님 ㅅㄱ염 이거보소 12/04/19 23:22 132 0
    [1] [2] [3] [4] [5]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