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무명논객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2-21
    방문 : 1522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361035
    작성자 : 무명논객
    추천 : 7
    조회수 : 584
    IP : 124.28.***.117
    댓글 : 6개
    등록시간 : 2013/02/14 22:10:12
    http://todayhumor.com/?sisa_361035 모바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마이클 로버츠 인터뷰
    <p><a target="_blank" href=\"http://left21.com/article/12438\" target=\"_blank\" class=\"tx-link\">http://left21.com/article/12438</a></p><p><br></p><p>시사게 좌파님들을 위한 참고자료 ^^</p><p><br></p><h1 style=\"margin: 5px 2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1px; color: rgb(90, 90, 90); text-align: justify; font-size: 25px; font-family: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nanumgothic;\"><span class=\"subheadline\"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78, 101, 151); display: block; font-size: 18px; font-family: \'맑은 고딕\', \'Malgun Gothic\';\">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마이클 로버츠 인터뷰</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left21.com/article/12438\" style=\"margin: 0px; padding: 0px;\">“세계 자본주의는 계속 추락하고 있습니다”</a></h1><div class=\"blank\" style=\"margin: 35px 0px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1px; color: rgb(90, 90, 90); font-family: Gulim; font-size: medium; line-height: 20px; text-align: center;\"></div><div class=\"writerBox\"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1px; color: rgb(90, 90, 90); font-family: Gulim; font-size: medium; line-height: 20px;\"><div class=\"space_between_title_and_content\" style=\"margin: 0px; padding: 0px; height: 18px;\"></div></div><div class=\"content\" style=\"margin: 7px 0px 0px; padding: 20px 0px 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90, 90, 90); width: 688px; border: 1px solid rgb(221, 221, 221); position: relative; line-height: 20px; font-family: sans-serif; text-align: center;\"><div class=\"gisabonmun-button\" style=\"margin: 0px 0px 0px 20px; padding: 4px 5px 4px 22px; letter-spacing: 0px; color: gray; position: absolute; top: -29px; left: 0px; background-image: url(http://left21.com/images/btn-gisabonmun.gif); font-size: 12px; border-width: 1px 1px 2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rgb(221, 221, 221) rgb(221, 221, 221) white; z-index: 10;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background-position: 7px 50%; background-repeat: no-repeat no-repeat;\">기사 본문</div><a class=\"print\" href=\"http://left21.com/7_print_popup.php?no=12438\"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4px 15px 4px 25px; letter-spacing: 0px; color: gray;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url(http://left21.com/images/btn-print.gif); cursor: pointer; display: block; font-size: 12px; float: right; position: absolute; top: -29px; right: 20px; border-width: 1px 1px 2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rgb(221, 221, 221) rgb(221, 221, 221) white; background-position: 7px 56%; background-repeat: no-repeat no-repeat;\">인쇄</a><button id=\"resizeFont\"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90, 90, 90);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5; background-image: none; display: block; width: 64px; height: 29px; font-size: 12px; position: absolute; top: -29px; right: 103px; border-width: 1px 1px 2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rgb(221, 221, 221) rgb(221, 221, 221) white; cursor: pointer;\"><img src=\"http://left21.com/images/btn-resize-font.p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border: 0px;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button><p class=\"date upper-date\" style=\"margin: -10px 20px 5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102, 102, 102); text-align: right; line-height: 1.5; font-size: 12px;\"><a target="_blank" href=\"http://left21.com/4_oldies_list.php?magazine_name=%EB%A0%88%ED%94%84%ED%8A%B821&hosoo=97.0\" style=\"margin: 0px; padding: 2px 0px 1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110, 73, 135);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border-bottom-color: rgb(110, 73, 135);\"><레프트21> 97호</a> | 발행 2013-01-28 | 입력 2013-01-26</p><div class=\"editor-footer\" style=\"margin: 20px; padding: 0px 0px 0px 1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107, 109, 132);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border-left-width: 3px; border-left-style: solid; border-left-color: rgb(107, 109, 132); font-size: 14px;\"><p style=\"letter-spacing: 0px; line-height: 1.5;\">최근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마이클 로버츠는 이 체제의 위기가 더 심각해지기만 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마이클 로버츠는 2008년 경제 위기와 1930년대 공황을 견주어 마르크스주의적으로 분석한 《대공황(The Great Recession)》을 썼다. 또한 그는 자신의 블로그(<a target="_blank" href=\"http://thenextrece%20ssion.wordpress.com/\"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2px 0px 1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110, 73, 135); line-height: 1.5; border-bottom-color: rgb(110, 73, 135);\">http://thenextrece ssion.wordpress.com</a>)에 최근 경제 상황을 마르크스주의적으로 분석하고 논평하는 글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p></div><p class=\"q\"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0, 85, 143);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최근 미국 민주당ㆍ공화당의 재정 절벽을 피하기 위한 예산 합의는 무엇을 보여 줬나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이번 합의는 자본의 전략가들이 자본가들의 이윤을 늘리는 것만이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는 걸 보여 줬습니다. 하지만 이건 이른바 ‘재정 절벽’이라는 그림의 절반일 뿐이에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다른 절반은 앞으로 10년 동안 연방정부 지출 중 ─ 복지 서비스와 복지수당을 포함해 ─ 어느 분야에서 얼마나 삭감할 것인가 하는 부분입니다. </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민주ㆍ공화 양당 모두 정부 지출이 삭감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어요. 공화당은 국방비는 감축하지 않고, 대신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사회보장 같은 꾀죄죄한 미국 복지제도의 핵심 부문을 대폭 줄이려 합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민주당 또한 의료, 교육, 운송 같은 정부 서비스를 줄이고 싶어 해요. 이런 분야들은 이미 줄일 대로 줄여서 사상 최저 수준입니다. </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자본의 전략가들은 큰 정부와 복지 예산이 이윤율에 부담을 준다고 옳게 봤어요. 이것은 사장들에게 세금과 이자율 부담을 높입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정부 부채와 정부 지출이 계속 늘어나면, 자본가들의 이윤을 잠식합니다. 그 전에 투자자들이 겁에 질릴 것이고, 이자율을 높이지 않으면 미국 국채를 사지 않으려 하겠죠. 그러면 정부 부채를 갚는 데 돈이 더 들게 될 거예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우리는 이런 식으로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과 그 밖에 다른 나라들에서 위기가 찾아온 것을 봤어요. 미국이 그렇게 되기까지는 아직 멀었지만, 그렇게 될 수 있는 위험이 있죠. </p><div class=\"image\" style=\"margin: 20px auto;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clear: both; width: 540px;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div class=\"image-in-image\"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line-height: 1.5;\"><img width=\"540\" src=\"http://left21.com/Photo/left21_0097/left21_0097_07.jpg\" alt=\"\" style=\"margin: 0px auto;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border: 0px; line-height: 1.5; display: block;\"></div><p style=\"margin-top: 20px; margin-bottom: 20px; padding: 5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68, 68, 68); line-height: 1.5; font-size: 12px; border: 1px solid rgb(221, 221, 221);\">△<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color: black; line-height: 1.5;\">“우린 너희의 현금인출기가 아니다” </strong> 자본가들은 이윤을 늘리기 위해 노동자들의 임금과 일자리, 복지를 빼앗으려 든다. ⓒ사진 Came Sloan (플리커)</p></div><p class=\"q\"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0, 85, 143);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위기를 대하는 미국의 대응은 유럽과 어떻게 다른가요? 그 차이는 어떤 효과를 낳을까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지금까지는, 영국과 유럽 다른 나라들의 정부가 미국이나 일본보다 긴축 조처를 더 엄격하게 시행하고 있어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그것은 부분적으로 왜 미국이 유럽보다 조금이나마 더 회복했는지를 설명하는 근거가 돼요. 하지만 일본은 회복하지 못했죠.</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미국 경제가 상대적으로 더 회복한 진정한 이유는, 자본의 이윤율이 유럽이나 일본보다 미국에서 더 회복했다는 것입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그래서 여전히 미약하긴 하지만 기업 투자가 상대적으로 더 잘 돼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한 거죠.</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하지만 지금 의회는 긴축을 대폭 강화하려 하고 있어요. 영국과 다른 나라가 긴축으로 위기를 해결하려 한 것이 실패하고 있는 이 시점에 말이에요.</p><p class=\"q\"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0, 85, 143);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미국의 이윤율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미국의 이윤율을 따져 보면, 2006년에 도달한 수준보다 한참 낮습니다. 2006년에는 지난번 정점을 찍었던 1997년보다도 낮았고, 1997년에는 그 전 정점이었던 1965년보다 낮았죠. 이윤율은 가끔 상승하는 속에서 전체적으로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제가 보기에는 미국의 이윤율은 앞으로 계속 떨어질 것입니다. 실질적 형태의 자산이나 허구적 자산(부채) 모두에서, 수익을 못 내는 자본이 아직 너무 많기 때문이죠. </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2012년에 임금을 삭감해서 전체 이윤이 상승했어요. 이렇게 해서, 이전의 부채와 비생산적 자산 때문에 발생한 이윤율 하락 압력을 간신히 봉합했어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하지만 이 자본주의가 엉망으로 망친 것을 수습하느라 또 다른 위기가 올 거예요. 나는 미국의 이윤율이 2013년에도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p><div class=\"image\" style=\"margin: 20px auto;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clear: both; width: 540px;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div class=\"image-in-image\"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line-height: 1.5;\"><img width=\"540\" src=\"http://left21.com/Photo/left21_0097/left21_0097_08.jpg\" alt=\"\" style=\"margin: 0px auto;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border: 0px; line-height: 1.5; display: block;\"></div></div><p class=\"q\"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0, 85, 143);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부자들이 점점 부유해진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들이 ‘위기’일 수가 있죠?</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절대적 실소득, 자산, 불평등 정도를 가지고 따지면 미국의 부자들은 이보다 더 부유했던 적이 없죠. 다른 많은 주요 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예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하지만 이것은 부자들 개개인의 자산을 말하는 것이고, 꼭 자본 축적이나 생산 투자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에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주요 경제부문에 대한 자본가들의 투자는 위기 이전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에요. 국민총생산 대비 투자율도 서서히 낮아져 왔어요. 특히 제조업을 비롯한 주요 생산적 부문에서 그렇죠.</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자본가들은 ‘투자 파업’ 중이에요. 위기가 심각하고 여전히 끝나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죠.</p><p class=\"q\"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0, 85, 143);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자본주의 체제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자본주의는 영국과 미국 자본주의가 1873년에서 1890년대 중반 사이와 1930년대 대공황 때 겪었던 것과 비슷한 장기불황에 빠져 있어요. 이것은 “통상적인” 경기 순환 수준이 아니에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현재 자본주의는 생산에서 저성장 혹은 무(無)성장 상태에 묶여 있어서 고용과 소득을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수 없어요.</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금융완화, 재정적 경기부양, 긴축이 상황을 반전시키는 데에 전혀 기능을 못할 거예요. 상황이 나아지려면 1880년대나 1980년대 초 같은 거대한 불황을 거쳐야 할 겁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물론, 이는 우리가 모두 이 끔찍하고 비효율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우리 경제와 사회를 조직하는 것을 참고 견딜 준비가 됐다고 가정했을 때에야 하는 말입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노동계급이 저항하지 않는다면, 최선의 경우에도, 세대 전체에서 높은 실업률과 삶의 질 하락이 나타날 것입니다.</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최악의 경우에 전쟁, 반동적 성격의 사회 격변, 회복 불가능 수준의 환경 파괴 같은 것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p><p class=\"handphone_support\"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 font-size: 14px;\"><br></p><p style=\"margin: 2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51, 51, 51); text-align: right; line-height: 1.5;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번역: <span class=\"translator_name\"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90, 90, 90);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김인수</span><b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letter-spacing: 0px; color: rgb(90, 90, 90);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5;\"></p></div><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4px; font-weight: bold; letter-spacing: 0px; line-height: 1.5; text-align: right; font-family: sans-serif;\">출처 : 영국 혁명적 반자본주의 주간지 <소셜리스트 워커> 2335호</span><br></p>
    무명논객의 꼬릿말입니다
    투철한 신념과, 충분한 지식과, 충만한 용기와 민주주의로 무장한 논객. 혹은 그렇게 되려는 사람.

    논객은 관중이 아니다. 참여하고, 주장하고, 설득해야 한다.

    맑스의 정신과, 로자의 두뇌와, 레닌의 실천과, 트로츠키의 용기와, 박노자의 지혜와, 홉스봄의 철학과, 리영희의 고뇌와, 그람시의 냉철함을 가지고 파쇼를 향해, 독재를 향해, 자본주의를 향해, 모든 억압과 속박의 고리를 향해 서슴없이 칼날을 들이대라.

    자칭 3류 국제사회주의자.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2/14 22:11:39  112.160.***.53  1919.3.1  373184
    [2] 2013/02/14 22:11:48  61.79.***.48  고기마시쪙  291818
    [3] 2013/02/14 22:11:59  120.142.***.219  타고르  374494
    [4] 2013/02/14 22:14:27  218.237.***.15  나로기지  339450
    [5] 2013/02/14 22:28:21  59.1.***.53  Solidaires  178083
    [6] 2013/02/14 22:34:37  210.223.***.200  상계동올림픽  341626
    [7] 2013/02/14 23:09:12  58.234.***.228  百年戰爭  18711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0
    뭐? 시게를 폐지하자고? [7] 무명논객 13/02/16 23:40 84 10
    389
    안녕하세요. [12] 무명논객 13/02/16 14:53 73 2
    388
    [박노자 특집] 소련 - 미래를 향한 추억, 그 세번째. [4] 무명논객 13/02/15 23:13 30 0
    387
    다들 잠깐 쉽시다. [10] 무명논객 13/02/15 22:29 78 1
    386
    안녕하세요. 신입입니다. [6] 무명논객 13/02/15 21:15 58 0
    385
    비관론은 접자. [6] 무명논객 13/02/15 16:23 56 0
    384
    새벽 채팅방 무명논객 13/02/15 02:38 61 0
    383
    러시아 혁명사 시리즈 연재를 위한 준비 텍스트 [10] 무명논객 13/02/15 01:40 61 6
    382
    오늘날 사회민주주의자들에게 던져진 질문 [6] 무명논객 13/02/14 23:38 76 0
    381
    좌파 세미나 대략적인 계획 [2] 무명논객 13/02/14 22:52 67 4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마이클 로버츠 인터뷰 [6] 무명논객 13/02/14 22:10 55 6
    379
    단! 결! 투! 쟁! [7] 무명논객 13/02/14 19:21 96 3/3
    378
    rule of law가 아니라 rule by law구나. [6] 무명논객 13/02/14 17:03 57 5
    377
    노회찬 유죄판결은 삼성공화국의 결말. [15] 무명논객 13/02/14 15:53 117 3
    376
    노회찬 의원 유죄판결은 법치의 오류. [6] 무명논객 13/02/14 15:14 109 12
    375
    최악의 시나리오. [4] 무명논객 13/02/14 14:54 104 0
    374
    추후 연재 시리즈 공지~ [13] 무명논객 13/02/14 01:33 75 4
    373
    [읽을거리] 사회민주주의의 원리 - 1편 - [2] 무명논객 13/02/13 21:35 23 1
    372
    [좌파 세미나] 대략적인 계획 [3] 무명논객 13/02/13 20:22 27 0
    371
    사회민주주의는 어떤 배경에서 탄생하게 되었나? 총정리 [3] 무명논객 13/02/13 18:54 43 3
    370
    사회민주주의는 어떤 배경에서 탄생하게 되었나? #10[마지막] [3] 무명논객 13/02/13 18:32 37 7
    369
    "불꽃의이인제"님 [6] 무명논객 13/02/13 17:53 77 0
    368
    사회민주주의는 어떤 배경에서 탄생하게 되었나? #9 [2] 무명논객 13/02/13 12:07 54 5
    367
    사회민주주의는 어떤 배경에서 탄생하게 되었나? 중간정리 [3] 무명논객 13/02/13 10:52 50 3
    366
    조선일보는 이 와중 호들갑..ㅋ [5] 무명논객 13/02/12 18:42 105 1
    365
    통진당 비판에 대한 좌파의 조금 다른? 생각 무명논객 13/02/12 17:50 70 1
    364
    아직도 문제의 핵심을 모르는건가? 우익님들? [19] 무명논객 13/02/12 16:58 198 6/4
    363
    그래도 아직 오유는 다르구나.. [8] 무명논객 13/02/12 15:14 184 3
    362
    우익들의 대안이 고작 전쟁인가? [4] 무명논객 13/02/12 14:46 118 2
    361
    북한 핵실험에 대한 좌파의 생각 [10] 무명논객 13/02/12 14:11 279 16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