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오사카돌이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2-17
    방문 : 1189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3822
    작성자 : Aokizi
    추천 : 6
    조회수 : 7510
    IP : 218.156.***.89
    댓글 : 1개
    등록시간 : 2012/03/21 07:05:37
    http://todayhumor.com/?history_3822 모바일
    율곡 이이 선생의 조선최고의 장원급제문 '천도책' (초스압)
    출처 : '최인호'님의 소설 "유림"



    '이렇게 길고도 진지한 글을 누가 읽을까...'

    라고 생각하면서도 저는 정말 감명깊고, 재밌게 봤기에 옮겨봅니다 :)
    (아, 제가 일일이 타이핑해서 옮겼다는게 아니라, 다른 곳에 있던 글을 옮긴것입니다.)









    “竊謂萬化之本 一陰陽而已

    是氣 動則爲陽 靜則爲陰

    一動一靜者 氣也 動之靜之者 理也”

    이율곡 일생일대의 최고의 명문장, 천도책은 그렇게 시작된다.

    훗날 명나라로 건너가 중국학자들로부터 극찬을 받아 ‘해동의 주자’라고 일컬을 만큼 율곡의 천재성을 드러낸 천도책의 첫 문장이다.

     

    한글로 옮기면 오히려 그 깊은 뜻이 반감되는 첫 문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건대 만 가지 변화의 근본은 하나의 음양일 따름입니다.

    이 기(氣)가 움직이면 양(陽)이 되고, 고요하면 음(陰)이 됩니다.

    한번 움직이고 한번 고요한 것은 곧 기이고, 움직이게 하고 고요하게 하는 것은 이(理)인 것입니다.…”

    일단 첫머리를 열기 시작한 율곡의 붓은 더 이상 막힘이 없었다.

    그는 엉킨 실타래에서 그 첫 실마리를 찾아 낸 사람처럼 일필휘지(一筆揮之)하였다.

    지금도 남아 있는 율곡의 답안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한자도 덧붙이거나 한자도 뺀 것이 없는 완벽한 문장이었다.

    율곡이 쓴 본론은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하늘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어서 그 이(理)는 지극히 미묘하며 그 현상은 지극히 드러난다 하는데, 이 말을 아는 사람과는 함께 ‘하늘의 도’를 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질문을 하신 집사선생께서 지극히 미묘하고 지극히 현묘한 도리로써 조목별로 깊이 연구한 논설을 듣고자 하시니, 하늘과 사람의 이치를 연구한 자가 아니고서는 어찌 더불어 의논할 수 있겠습니까.…”

    율곡의 문장은 마치 하늘이 내린 옥음(玉音)을 받아 적는 듯하였다. 하나의 망설임도 없었고, 추호의 걸림도 없었다.

    그리하여 율곡의 천도책은 다음과 같이 마무리된다.

    “…원컨대 집사께서 천한 사람의 어리석은 말씀을 임금께 올려주신다면 가난한 선비는 움막 속에서도 남은 여한이 없을 것입니다. 삼가 대답합니다.”

    모든 문장을 마친 율곡은 먹이 마르기를 기다려 자리에서 일어섰다.

    전해내려 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율곡이 납권한 시험지가 세 번째 답안지였다고 전해지고 있을 만큼 속결(速決)이었다.

    율곡은 자리에서 일어나 자신의 시험지 오른쪽에 적힌 자신의 이름과 본관을 다시 한번 확인하여 보았다.

    답안지에는 시험보는 사람의 이름뿐 아니라 부, 조부, 증조부, 외조부 등의 품계도 차례대로 적는 것이 명문화되어 있었는데, 이는 시험을 본 사람의 이름을 가리고 채점을 한다고 해도 훗날 급제하였을 때 그가 어떤 집안출신인가, 혹은 역모나 사화에 연루되었던 대역죄인의 후예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예비책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김병연(金炳淵)은 향시에서 장원급제하였으나 과거시험에서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투항하였던 대역죄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스스로 삭과하고 푸른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며 삿갓을 쓰고 일생동안 방황함으로써 ‘김삿갓’이란 별명으로 불리던 방랑시인이었다.

    자진 삭과하지 않았더라도 김병연은 삭과되었을 것이니, 이러한 사실은 엄격한 계급사회를 반영하는 산증거라고 말할 수 있음인 것이다.

    율곡은 답안지를 작성하여 이를 시관(試官) 앞에 제출하였다. 이로써 율곡은 우여곡절 끝에 과거시험을 무사히 끝낸 것이었다.

    율곡이 답안지를 제출하자 수권관(收券官)은 받는 순간 종이를 붙여 이름을 가렸다. 그리고 수권관은 이를 다시 등록관에게 넘겨주었다.

    등록관은 이름을 가린 답안지를 받자마자 시험지의 맨 끝에 자호(字號)를 쓰고 도장을 찍어 그 가운데를 잘라 따로 보관하였다.

    자호란 천자문의 순서대로 매긴 순번으로, 수험생의 수험번호와 같은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름부분이 잘려진 시험지를 등록관이 다시 베껴서 이를 다시 시관에게 올렸다. 이러한 모든 일련의 작업은 시관이 채점을 할 적에 누구의 답안지인지 모르게 함으로써 공평무사하게 시험을 치르기 위함이었던 것이다.

    이 별시문과의 시관은 출제자였던 정사룡과 양응정.

    특히 정사룡은 지난해 봄 신사헌에게 시험문제를 누설했다가 파직되었던 아픈 전과가 있었으므로 이번의 기회가 자신의 불명예를 씻을 절호의 찬스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날 밤.

    성균관의 별전에서는 시관들이 밤을 새워 시험지를 채점하고 있었다. 임금이 친림하여 치르는 알성시에서는 시험을 치른 당일에 합격자를 발표하는 즉일방방(卽日放榜)이 보통이었으나 그 이외의 시험에서는 삼일방방(三日放榜)이 대부분이었다.

    삼일방방이라 하더라도 시간이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보통 10장씩 무작위로 작축(作軸)된 시험지를 일단 명관(命官) 앞에 갖다놓고 명관들이 이를 우선 예심(豫審)하였다. 명관들은 일종의 예선심사원으로 이들의 기준에 통과하지 않으면 여지없이 낙고(落考) 되는 것이 보통이었던 것이다.

    일단 명관들의 심사를 통과한 시험지만 시관인 정사룡과 양응정에게 넘겨지는데, 정사룡은 양응정보다 거의 30살이나 많은 노대신이었으므로 우선은 양응정이 먼저 비점(批點)을 치고 관별해낸 시험지를 최종으로 정사룡이 낙점하는 역할로서 분담하고 있었던 것이다.

    비점이란 시관이 응시자가 지은 시나 문장을 평가할 때 특히 잘 지은 문구에 찍던 둥근 점을 의미하는 것인데, 따라서 명관과 시관을 통과하는 동안 비점이 많이 찍힌 답안지일수록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은 당연한 일이었던 것이다.

    때로는 답안지에 붉은 색으로 줄을 긋거나 점을 찍었는데,‘춘향전’에도 나오는 이몽룡의 과거시험답안지에 ‘붉은 점이 바닷가에 찍힌 기러기의 발자국처럼 많았다.’고 나와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채점의 특성을 말한 것이었다.

    “대감어른”

    거의 날이 샐 무렵의 어둑새벽에 양응정이 시험답안지를 들고 정사룡을 찾아와 말하였다. 정사룡은 밤이 깊었으므로 침상에 몸을 기대고 깜빡 잠이 들어 있었다.

    “무슨 일이오.”

    정사룡이 묻자 양응정이 웃으며 대답하였다.

    “이 시험지를 관별하여 주십시오, 대감어른. 신이 보기에는 군계일학이나이다.”

     

    정사룡은 양응정이 내민 시험지를 받아들었다.

    양응정은 정사룡이 천거한 젊은 시관이었다.

    그는 2년 전의 문과중시에서 장원급제하였던 전도유망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윤원형에 의해서 파직되어 이 무렵 적수(赤手)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이미 시험문제의 누설로 한바탕 파직의 상처를 입었던 정사룡은 이번 기회에 과거시험에서 두 차례나 장원급제하였던 전도유망한 양응정을 구제하리라 결심하고 그를 시관으로 추천하였던 것이다.

    정사룡은 양응정이 내민 시험지를 바라보았다. 과연 시험지 곳곳에는 양응정이 비점한 붉은 점이 안족(雁足)처럼 점점이 찍혀 있었다.

    정사룡은 졸린 눈을 비비며 천천히 답안지를 읽어 보기 시작하였다. 

    하늘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어서 그 이(理)는 지극히 미묘하며 그 형상은 지극히 드러난다 하는데, 이 말을 아는 사람과는 함께 하늘의 도를 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질문을 하신 집사선생께서는 지극히 미묘하고 지극히 현묘한 도리로써 조목별로 깊이 연구한 논설을 듣고자 하시니, 하늘과 사람의 이치를 연구한 자가 아니고서는 어찌 더불어 의논할 수 있겠습니까.

    저는 평상시에 선각자들에게서 들은 바로써 밝은 질문에 조금이나마 대답하고자 합니다.

    가만히 생각하건대 만화(萬化)의 근본은 한 음양(陰陽)일 따름입니다. 이 기가 움직이면 양이 되고, 고요하면 음이 됩니다. 한번 움직이고 한번 고요한 것은 기(氣)요, 움직이게 하고 고요하게 하는 것은 이(理)입니다.

    대개 형상이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은 오행(五行)의 바른 기가 모인 것도 있고, 혹 하늘과 땅의 어그러진 기를 받은 것도 있습니다. 혹은 음양의 두 기가 서로 부딪치는 데서부터 나기도 하고, 혹은 두 기가 발산하는 데서 나기도 하기 때문에, 해와 달과 별은 하늘에 걸렸고, 비와 눈과 서리와 이슬은 땅 위에 내리는 것입니다. 바람과 구름이 일어나고 우레와 번개가 일어나는 것은 이 기가 아닌 것이 없습니다. 그 하늘에 걸리는 까닭과 땅에 내리는 까닭, 바람과 구름이 생겨나는 까닭, 그리고 우레와 번개가 일어나는 까닭은 모두 이 이(理)가 아닌 것이 없습니다.…”

    천천히 답안지를 읽어 내리던 정사룡은 차츰 몸을 일으켜 바로 세우며 정색을 하였다. 수험생이 쓴 문장의 내용은 정사룡의 잠을 단박에 쫓아낼 정도로 명징(明證)하였다.

    어째서 양응정이 시험답안지 곳곳에 붉은 색의 비점을 찍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특히 다음에 나오는 내용은 정사룡의 마음에 비수처럼 내리 꽂혀 모골송연(毛骨悚然)하였다.

    “二氣苟調 則彼麗乎天者 不失其度

    降于地者 必順其時 風雲雷電 皆 於和氣矣

    此則理之常也 二氣不調 則其行也 失其度

    其發也 失其時 風雲雷電 皆出於乖氣矣

    此則理之變也”

     

    그 문장을 읽는 순간 정사룡은 자신도 모르게 붓을 들어 그 곁에 비점을 찍었다.

    일찍이 시문과 음률에 뛰어나고 글씨도 잘 써서 호음잡고(湖陰雜稿)란 문집을 내고 ‘조천록(朝天錄)’이란 책을 지어 지나치게 탐학하다는 비난을 받을 정도로 문장에 뛰어났던 정사룡이었으므로 그는 본능적으로 율곡의 문장에 매료당하였던 것이다.

    특히 정사룡이 감탄하였던 문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음양의 두 기가 진실로 조화가 되면 저 하늘에 걸려 있는 것이 그 정도를 잃지 아니하고 땅에 내리는 것이 그 알맞은 때에 순응하고 바람, 구름, 우레, 번개가 모두 조화로운 기(和氣) 속에 있는 것이니, 이는 곧 이(理)의 떳떳한 것입니다. 음양이 조화하지 않으면 그 행하는 것이 절도를 잃고 그 발산하는 것이 때를 잃어서 바람, 구름, 우레, 번개가 모두 어그러진 기(乖氣)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이것은 모두 이(理)의 변함입니다.”

    그러나 정사룡의 마음을 더욱 사로잡은 것은 그 다음 문장이었다.

    그 문장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사람은 곧 천지의 마음입니다. 사람의 마음이 바르면 천지의 마음이 또한 바르고 사람의 기가 순하면 천지의 기도 또한 순하게 되는 것입니다.

    (然而人者天地之心也 人之心正 則天地之心亦正 人之氣順 則天地之氣亦順矣)”

    그 문장을 본 순간 정사룡은 자신도 모르게 무릎을 내리치며 옳거니, 하고 중얼거렸다.

    천도책의 과거시험을 출제한 사람은 다름 아닌 정사룡. 그런데 정사룡이 바라던 주제의 핵심을 정확히 꿰뚫어 답안지가 작성되고 있음이 아닐 것인가.

    ‘하늘과 사람이 서로 감응한다.’는 동중서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자연의 현상을 이(理)와 기(氣)의 개념을 빌려서 설명한 이기론은 한나라 무렵의 원시 유교사상을 형이상학적으로 전개시킨 송나라시대의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북송의 주돈이(周敦 )가 주창한 그 유명한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부터 확립된 유가적 우주론이었다.

    즉 만물의 존재는 태극에서 음양의 기운이 생성되고, 음양이 변하여 ‘불, 물, 나무, 쇠, 흙(火水木金土)’의 기운을 지니는 오행(五行)으로 발전한다. 오행은 모여서 하늘(乾)과 땅(坤)이 되고, 건곤은 각각 남성과 여성을 낳으며, 이 남성적인 것(陽)과 여성적인 것(陰)이 곧 만물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주돈이에 의해서 그 기틀이 마련된 송 대의 성리학은 마침내 이기론의 논리로 진화하게 되는데, 즉 우주만물은 곧 기가 모여서 구성된 것이며, 이 기는 곧 이의 원리에 의해서 생겨나는 것이라는 이기론이 정립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기론 위에 답안지는 마침내 ‘사람은 곧 천지의 마음’이란 핵심을 설파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사람’이란 최고 지도자인 ‘임금’을 말하는 것으로 ‘천지를 안정시키고 모든 자연현상이 순조롭게 되기를 기대한다면 정치가 잘 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최고지도자인 임금의 덕이 잘 닦여야 한다.’는 본론으로 들어가고 있음이었던 것이다

    정사룡이 자신도 모르게 무릎을 내리치며 감탄사를 발했던 것은 바로 그러한 연유 때문이었다. 정사룡은 숨을 죽이고 답안지를 계속 읽어 내려갔다.

    드디어 답안지는 본론으로 치닫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치의 떳떳함(常道)과 이치의 변함(怪變)을 한결같이 하늘의 도에만 맡길 수 있겠습니까. 원컨대 어리석은 저는 이 점에 대해서 답하고자 합니다.

    홍몽(鴻:혼돈)이 처음으로 갈라져 해와 달이 번갈아 밝으니, 해는 태양의 정기가 되고 달은 태음(太陰)의 정기가 되었습니다. 양의 정기는 빨리 움직이는지라 하루로서 하늘을 돌고 음의정기는 더디 움직이는지라 하룻밤에 다 돌지 못합니다. 양이 빠르고 음이 더딘 것은 기운이요, 음이 더디게 되는 것과 양이 빠르게 되는 것은 이치입니다. 저는 그것을 누가 그렇게 하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다만 저절로 그렇게 되는 것(自然而然爾)이라고 생각할 뿐입니다.

    해는 임금의 상징이요, 달은 신하의 상징입니다. 그 가던 길을 같이하고 그 모이는 도(度)를 같이하기 때문에 달이 해를 가리면 일식(日蝕)이 되고, 해가 달을 가리면 월식(月蝕)이 됩니다. 저 달이 희미한 것은 오히려 변이 되지 않지만 저 해가 희미한 것은 음이 성하고, 양이 약하며, 아래가 위를 업신여기고, 신하가 임금을 거역하는 현상이 되는 것입니다. 더구나 두 해가 함께 나오고 두 달이 함께 나타나는 것은 그것은 비상한 변괴로 모두 어지러운 기운이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저는 일찍이 옛날 일을 살펴보니 재난과 이변은 임금이 덕을 닦은 다스려진 세상에는 나타나지 않고 일식과 같은 변괴는 모두 말세의 쇠한 정치에만 나타났으니, 하늘과 사람이 서로 함께하는 관계를 곧 알 수 있습니다.

    지금 저 하늘의 푸름은 기운이 쌓인 것으로 정말 색은 아닙니다.

    참으로 별의 찬란한 이치를 말할 수 없으면 천기(天機)의 운행을 이미 밝혀낼 수 없을 것입니다. 저 밝게 반짝이며 각각 자리와 차례가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다 원기(元氣)의 운행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뭇별은 하늘을 따라다니며,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날(經)이라 말하고 다섯 별은 때를 따라 각각 나타나며 하늘을 따라다니지 못하기 때문에 씨(緯)라 말합니다.

    하나는 떳떳한 차례가 있는데, 하나는 떳떳한 도수가 없습니다. 그 대강을 말하면 하늘은 날이 되고, 다섯 별은 씨가 되지만 그 자세한 것을 말하려 하면 한 자쯤 되는 종이에 다 쓸 수 없을 것입니다.

    별의 상서는 아무 때나 나타나는 것이 아니거니와 별의 변괴도 또한 아무 때나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상서로운 별은 반드시 밝은 시대에 나타나고, 요괴스러운 혜성은 반드시 쇠한 세상에만 나타납니다.

    우순(虞舜)의 시대가 문명(文明)해지자 좋은 별이 나타났고, 춘추의 시대가 혼란해지자 혜성이 나타났습니다. 우순 같은 다스림이 그 한 시대만이 아니고, 춘추시대 같은 어지러움이 그 한 시대뿐이 아니니 어떻게 일일이 밝혀 말할 수 있겠습니까.”

     

    “천재다.”

    전해내려 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정사룡은 율곡의 답안지를 읽으며 연방 감탄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는 반(班)과 장(張)의 유(流)다.”

    정사룡이 감탄하였던 반은 ‘반고(班固)’를 가리키고, 장은 ‘장형(張衡)’을 가리키는데, 두 사람은 모두 후한(後漢) 때 도읍을 노래한 도부(都賦)를 지음으로써 중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전설적인 문장가로 알려져 있던 사람이었다.

    정사룡은 이미 기러기의 발자국처럼 점점이 찍혀 있는 답안지 위에 자신도 모르게 비점을 찍으면서 정독해 내려갔다.

    “…만물의 정기가 올라가 뭇별이 되었다고 말하는 따위에 저는 적이 의심을 가집니다. 별들이 하늘에 있는 것은 오행의 정기로서 자연의 기운입니다.

    나는 어떤 물건의 정기가 어떤 별이 되었는지를 모릅니다. 

    여덟 필의 명마가 방성(房星)의 정기가 되고, 부열(傅說)이 열성(列星)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종류의 말은 이른바 ‘산과 강과 땅이 그림자를 하늘에 보낸다.’는 말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이것은 선비들이 믿을 것이 못됩니다.…”

    “옳거니.”

    정사룡은 다시 무릎을 내리치며 탄식하였다.

    답안은 비록 짧은 문장이었으나 거자의 높은 식견을 알아볼 수 있는 명문장이었다.

    답안지에 나오는 방성(房星)은 ‘천자의 수레를 끄는 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찍이 주나라의 목왕(穆王)이 쓰던 팔준마가 하늘에 올라가 별이 되었고, 은나라의 어진 재상 부열이 하늘에 올라가 열성이 되었다는 장자(莊子)의 말을 인용한 것이었다.

    이러한 전설이나 신화는 일찍이 왕안석(王安石)이 노래하였던 ‘달 속에 무엇이 있는 듯한데, 이는 산하(山河)의 그림자’란 시의 내용처럼 선비로서는 믿을 수 없는 한갓 소문에 불과하다는 거자의 냉정함이 정사룡의 마음을 사로잡았기 때문이었다.

    정사룡은 다시 읽기 시작하였다.

    “…별의 기운됨은 속이 텅 비어 엉긴 것으로, 그것이 혹 음기가 맺히지 못해 혹은 떨어져 돌이 되기도 하고, 떨어져 언덕이 된다는 것을 나는 소자(邵子:송나라의 유학자. 소강절을 말함)의 말에서 보았었으나, 만물의 정기가 별이 된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또 하늘과 땅 사이에 차 있는 것은 기운 아닌 것이 없습니다.

    음기가 엉기어 모여 있어 밖에 있는 양기가 들어오지 못하면 돌고 돌아서 바람이 됩니다. 만물의 기운이 비록 ‘간(艮:東北方)에서 나와 곤(坤:西南方)으로 들어간다.’고 말하나, 그 음기가 모이는 것이 일정한 곳이 없는 만큼 양기가 흩어지는 것도 또한 방향이 없습니다.

    큰 덩어리(大塊:땅덩이, 또는 하늘과 땅 사이의 자연)가 내뿜는 기운이 어떻게 한 방향에만 얽매여 있겠습니까.

    동쪽에서 일어나는 것을 ‘기르는 바람’이라고 하는데, 그것이 동쪽에서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서쪽에서 일어나는 것을 ‘만물을 죽이는 바람’이라 하는데, 그것이 서쪽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탱자나무 굽은 가지에 새가 집을 짓고, 빈 구멍에서 바람이 분다.’라고 했으니, 그것이 빈 구멍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정사룡은 잠시 고개를 들고 읽던 것을 멈췄다.

    답안지에 나오는 ‘탱자나무 굽은 가지에 새가 집을 짓고 빈 구멍에서 바람이 온다.’란 구절은 중국의 고대문학가인 송옥(宋玉)의 ‘풍적(風賊)’에 나오는 유명한 시구.

    사마천의 기록에 의하면 굴원(屈原)의 제자였다고도 알려진 송옥은 특히 미인의 자태를 묘사하는 데 뛰어나 전통적인 중국시에 나타나는 통속적인 풍류재자(風流才子), 즉 비추문학(悲秋文學)의 개조로 알려져 있는데, 거자는 고금의 시들을 이처럼 자유자재로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누구일까.

    순간 정사룡은 참을 수 없는 호기심을 느꼈다. 그래서 시험지의 맨 끝 부분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답안지를 접수한 수권관이 받는 순간 종이를 붙여 이름을 가렸고, 등록관 역시 받는 순간 도장을 찍어 그 가운데를 잘라 따로 보관하였으므로 도저히 누구의 답안지인가를 가늠할 수 없음이었다.

    신원이 누구인지는 몰라도 과거시험을 본 사람은 틀림없이 성균관에서 수학하고 있는 젊은 유생. 그러나 그 젊은 유생은 이미 정사룡의 식견을 뛰어넘고 있음이 아닐 것인가. 정사룡은 신음소리를 내면서 다시 답안지를 읽기 시작하였다.

    “정자(程子)의 말에 ‘올해의 우레는 일어나는 곳에 일어난다.’고 했는데, 저는 또한 나뭇가지가 흔들리는 것은 기운에 부딪혀 일어났다가 기운이 멈추면 그치는 것으로 처음부터 나가고 들어오고 하는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크게 다스려진 세상에는 음양의 기운이 커져 맺히지 못하기 때문에 그 흩어지는 것이 반드시 화하여 불어도 나뭇가지를 울리지 않고 세상의 도의(道義)가 이미 쇠하면 음양의 기운이 엉기어 퍼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 흩어지는 것이 반드시 격하여 나무를 꺾고 집을 쓰러뜨리게 되는 것입니다.

    순한 바람은 화하여 흩어지는 것이요, 회오리 바람은 격하여 흩어지는 것입니다.

    성왕(成王:주나라 무왕의 아들)의 한번 잘못된 생각으로 큰바람이 벼를 쓰러뜨리고 주공(周公)시대 때에는 여러 해의 덕화로 바다의 파도가 일지 않았으니, 그 기운이 그렇게 된 것은 또한 사람이 한 일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산천의 기운이 위로 올라가 구름이 된 것이니, 좋고 나쁜 징조를 이로 인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옛 임금은 영대(靈臺:문왕이 세운 일종의 천문대로 천문과 기상을 살피던 곳)를 만들어 운물(雲物:구름의 빛깔)을 살펴보고 그로써 길흉의 징조를 살폈습니다. 대개 좋고 나쁜 일은 갑자기 그날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올 징조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구름이 희면 반드시 떠나 흩어지는 백성이 있고, 구름이 푸르면 반드시 곡식을 해치는 벌레가 있습니다. 검은 구름이 어찌 수재(水災)의 징조가 아니며, 붉은 구름이 일어난다면 어찌 전쟁의 징조가 아니겠습니까. 누른 구름은 풍년이 들 징조이니, 이것은 곧 기운이 먼저 일어난 것입니다.”

    “…저 연기도 아니고 안개도 아니면서 뭉게뭉게 보기 좋게 일어나 곱게 피어올랐다가 깨끗이 흩어진다면 홀로 지극히 환한 기운을 얻어 성왕(聖王)의 상서가 되는 것이니, 그것이 곧 상서로운 구름(慶雲)인 것입니다.

    참으로 백성의 재물을 넉넉하게 해주지 못하고 노여움을 푸는 덕이 없으면 이것에 이르게 하기는 어렵습니다. 어찌 물과 흙의 가벼운 밝은 기운이 한갓 백의창구(白衣蒼狗)가 되는 것에 견주겠습니까.”

    “백의창구라.”

    숨을 죽이고 답안지를 읽어 내리던 정사룡은 이 부분에 이르러서 입맛을 다시며 다시 한번 자신의 무릎을 내려쳤다.

    ‘백의창구’는 ‘백운창구(白雲蒼狗)’라고도 불리는 고사성어로, 직역하면 ‘흰 구름이 한순간에 푸른 개로 변한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세상의 일이 급변하는 것을 비유하는 문장으로 당나라의 시인 두보(杜甫:712~770)가 친구인 시인 왕계우(王季友)를 위해 쓴 시 ‘가탄(可嘆)’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한 성어인 것이다.

    두보의 벗 왕계우는 가난하였지만 학문을 열심히 하고 타고난 성품과 행실이 매우 바른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의 부인이 어려운 살림살이를 참지 못하고 이혼하고 떠나버리자 집안 사정을 모르는 세상 사람들은 왕계우를 매우 나쁜 사람이라고 비난하였다. 그러나 왕계우의 집안 사정을 잘 알고 있는 두보는 품성이 단정한 왕계우가 세상 사람들에게 비난받는 것을 분하게 여기어 탄식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를 짓는다.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이 흰옷 같은데(天上浮雲似白衣)

    잠시 푸른 개 모양으로 바뀌었네(斯須改幻爲蒼狗)

    세상일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같은데(古往今來共一時)

    인생만사에 일어나지 않는 일이 있겠는가(人生萬事無不有)”

    두보의 시에 나오는 ‘백운창구’란 고사성어를 적재적소에 인용하는 답안지의 내용을 본 순간 정사룡은 다시 모골이 송연하여 중얼거렸다.

    “천재다. 이는 하늘이 주신 재능이다.”

    “어떻습니까, 대감어른.”

    정사룡이 연방 신음소리를 내며 중얼거리자 옆자리에서 다른 답안지를 관별하고 있는 양응정이 넌지시 물었다.

    “군계일학이 아니겠나이까.”

    “일학(一鶴)이 아니라 국사(國士)일세.”

    국사는 원래 ‘국사무쌍(國士無雙)’이란 말에서 나온 것으로 ‘나라 안에 둘도 없는 선비’를 가리키고 있는 내용이었다.

    일찍이 유방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였던 한신을 가리키던 대명사로 정사룡은 감히 그 성어를 빌려 답안지를 작성한 율곡을 ‘마땅히 온 나라가 섬겨야 할 높은 선비’로까지 꿰뚫어 보고 있었던 것이다.

     

    정사룡은 다시 답안지의 내용을 정독하여 읽어 내려갔다.

    “…안개란 것은 음기가 새어나가지 못해 김이 서려서 된 것입니다.

    만물의 음기가 모인 것도 또한 능히 안개를 만들어 냅니다. 다 산천의 해로운 기운인데, 그것이 붉으면 병혁(兵革:무기)이 되고, 그것이 푸르면 재앙이 되는 것은 모두 음기가 성해질 징조입니다.

    역적 왕망이 천자의 자리에 오르자 누른 안개가 사방을 둘러쌌고, 천보의 난(당 현종 때 일어난 안록산의 난) 때에는 큰 안개로 낮이 어두웠으며, 한고조가 백등(白登)에서 포위되었을 때와 문산(文山)이 시시(柴市)에서 죽을 때에는 모두 캄캄한 흙비가 내렸습니다.” 

    답안지에 나오는 왕망(王莽)의 황무(黃霧)는 서한의 역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왕망이 제위를 넘보고 참람한 행동을 하자 누런 안개가 사방에 끼었다고 한서(漢書)가 기록한데서 비롯된 말이며,‘신당서(新唐書)’를 보면 안록산의 난이 일어났을 무렵 ‘한겨울 석 달 동안 항상 짙은 안개가 끼어 10보 밖의 사람이 안 보이고 대낮이 한밤중처럼 캄캄하였다.’는 기록에 의거한 내용이었다.

    또한 사기에는 한고조가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흉노를 치러 갔다가 평성의 백등에서 도리어 묵돌에게 7일 동안 포위당하였는데, 그때 7중의 달무리가 삼성(參星)과 필성(畢星)을 에워쌌다는 기록이 나와 있으며, 문산은 송나라 최후의 충신이었던 문천상(文天祥)을 가리키는 것으로 원나라의 군사와 끝까지 싸우다 패전하여 포로가 되었으나 세조의 회유에도 불구하고 끝내 굴복하지 않고 정기가(正氣歌)를 지어 자기의 충절을 드러내었던 의인.

    문산이 마침내 북경의 시시에서 교수형을 당하던 날 바람이 크게 불어 모래를 날리고 대낮이 캄캄하여 지척을 분간할 수 없었다는 고사를 인용한 말이었다.

    율곡의 답안지는 다시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혹 신하로서 임금을 배반하거나, 오랑캐가 중국을 침범하거나 하면 이 같은 일로 다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저 양기가 발산한 뒤에 음기가 양기를 싸서 양기가 나갈 수 없으면 분격하여 우레와 번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레와 번개는 반드시 봄과 여름에 일어나는데 그것은 천지의 성난 기운입니다. 빛이 번쩍번쩍하는 것은 양기가 나와 번개가 되는 것이며, 소리가 우렁우렁하는 것은 두 기운이 부딪쳐 우레가 되는 것입니다.

    옛 선비들이 말하기를 ‘우레와 번개는 음양의 바른 기운이다. 혹은 숨은 벌레를 놀라게 하고, 혹은 바르지 못한 것을 친다.’고 했는데, 사람도 원래 바르지 못한 기운이 모인 사람이 있고, 만물도 바르지 못한 기운이 붙은 것이 있으므로, 바른 기운이 바르지 못한 기운을 치는 것은 또한 그러한 이치 때문입니다.

    공자가 심한 우레 소리에 반드시 얼굴빛을 변한 것도 참으로 이 때문이었습니다.

    더구나 마땅히 벼락을 칠 것을 친 것으로는, 상(商)나라의 무을(武乙)과 노(魯)나라의 이백(夷伯)의 사당과 같은 것이니, 어찌 이런 이치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까.”

     

    율곡의 답안지를 읽어 내리던 정사룡은 이 부분에 이르러 다시 ‘옳거니’하며 자신의 무릎을 내리쳤다. 답안지의 내용은 정곡을 찌르고 있기 때문이었다.

    ‘공자께서 심한 우레 소리(迅雷)에도 얼굴빛을 변하셨다.’라는 말은 논어의 ‘향당(鄕黨)편’에 나오는 유명한 장면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스승께서는)천둥이 치거나 바람이 세차게 불어도 반드시 정색을 하셨다.(迅雷風烈必變)” 

    공자의 이러한 태도는 하늘에 대한 공자의 공경에서 나온 몸가짐이었다. 하늘은 말이 없지만 ‘사철을 운행하게 하고 만물을 생성케 한다.’고 믿었던 공자로서는 자연계의 이변에 대해 본능적으로 긴장과 엄숙한 태도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일찍이 중용에서 ‘정성은 하늘의 도요, 정성되게 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라고 말하였던 공자였으므로 도덕 그 자체는 하늘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도덕을 실천하는 것은 인간이라는 공자의 ‘천도(天道)’사상을 나타내고 있음인 것이다.

    공자는 언제나 하늘에 기도드리는 자세로 살아 온 사람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공자가 마침내 심한 병이 들어 죽음에 이르게 되자 자로가 하늘에 기도를 드리기를 요청하였을 때 공자가 자로에게 ‘그런 선례(先例)가 있느냐.’하고 물었던 데서도 드러난다.

    이에 자로가 ‘뇌문(文)에 그에 관해서 위의 천신(天神)과 아래의 지기(地祇)에게 기도드려 빌었던 선례가 있다.’고 대답하자 공자는 이렇게 탄식한다.

    “나는 그렇게 빌어 온 지 이미 오래이다.(丘之禱久矣)”

    이러한 공자의 태도를 인용하여 율곡은 인류가 낳은 성인 공자를 ‘심한 우레 소리에도 반드시 얼굴빛을 변하여 정색을 하였다.’고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바르지 못한 사람을 하늘이 친 예를 들어 무을(武乙)과 이백(夷伯)의 고사를 인용하였던 것이다.

    무을은 상나라의 25대 임금으로 매우 무도하여 하늘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던 폭군이었다. 그는 허수아비를 만들어 그곳을 천신이라고 부르게 하고 우상을 섬겼다.

    그 허수아비를 대신하여 자기와 장기를 두게 하고는 허수아비가 지면 온갖 모욕을 다 하였으며, 또 가죽주머니에 피를 담아 공중에 매달아 놓고 활로 그 주머니를 쏘아 맞히고는 하늘을 꿰뚫었다고 자랑하곤 하였다.‘사기’에 보면 무을은 뒤에 하(河)와 위(渭)나라 사이에서 사냥을 하다가 벼락을 맞고 죽었는데, 이는 하늘의 도를 거스른 죄 때문이었던 것이다.

    또한 이백은 노나라의 대부로서 희공(僖公) 15년, 이백의 사당에 벼락이 쳐서 불이 나 다 타버렸는데, 이는 예에 벗어나는 행위에 대한 하늘의 재앙이 내렸기 때문에 사당에 불이 났을 것이라고 예언하였던 공자의 원견지명(遠見之明)에서 비롯된 고사였던 것이다.

    “손오공의 여의봉(如意棒)이다.”

    정사룡은 감탄하며 말하였다.

    마음대로 길게도 짧게도 할 수 있고, 그것을 타고 하늘을 날 수 있는 신통력을 발휘하듯 거자는 적재적소에 적합한 고사를 이처럼 절묘하게 인용하고 있음인 것이다.





    “…만약 ‘어떤 것이 (벼락을 치는)권위를 가지고서 주관하는 곳이 있다.’고 말한다면 이는 지나친 천착(穿鑿)에 가까울 것입니다.

    또 양기가 펴지는 계절에 이슬이 만물을 적시는 것은 구름기운이 내리는 것이요, 음기가 성할 때 서리가 풀을 죽이는 것은 이슬이 언 때문입니다.

    ‘시경’에도 말하지 않았습니까.‘갈대는 푸르고 푸른데 흰 이슬이 서리가 된다.’고 한 것은 이를 두고 이른 것입니다.

    음기가 극성하면 서리가 혹 때를 잃게 됩니다.

    위주(僞周)가 조정에 임하자 음양이 바뀐지라 남월(南越)은 극히 따뜻한 곳인데도 6월에 서리가 내렸습니다. 

    생각건대 반드시 온 천하가 다 음기의 해로운 기운에 갇혀 있었던 것입니다.

    측천무후의 일을 말하려면 말이 길어져 이만 줄이겠습니다.

    비와 이슬은 다 구름에서 나오는데, 젖은 기운이 많은 것은 구름이 되고, 젖은 기운이 적은 것은 이슬이 됩니다. 음과 양이 서로 어울리면 이에 곧 비를 내립니다. 혹 짙은 구름이 비가 되지 않는 것은 위와 아래가 어울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홍범전(洪範傳)에 말하기를 ‘임금이 도리를 다하지 못하면 그 내리는 벌은 항상 음하다.’고 한 것은 바로 이를 두고 말하는 것입니다.

    또 양기가 지나치면 가물고, 음기가 성하면 홍수가 집니다.

    반드시 음기와 양기가 조화를 이룬 뒤에야 비 오고, 햇볕 나는 것이 제때에 맞게 됩니다.

    대저 신농씨와 같은 거룩한 마음을 가지고 순박하고 밝게 다스려진 세상에 있으면 해를 원하면 해가 나오고, 비를 원하면 비가 오는 것은 참으로 당연한 일입니다.

    거룩한 임금이 백성을 다스리면 하늘과 땅이 서로 화합하여 5일에 한번 바람불고,10일에 한번 비가 오는 것은 또한 떳떳한 이치입니다.

    이 같은 덕이 있으면 곧 반드시 이 같은 하늘의 감응이 있는 것입니다. 하늘의 도에 어찌 사사로운 후함이 있겠습니까.

    대개 원통한 기운이 가뭄을 부르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까닭에 한 여자가 원한을 품어도 오히려 땅을 타게 만든다 했으니, 무왕이 은나라를 쳐 이긴 것은 족히 그런 것을 천하의 원통한 기운을 녹여주었기 때문이며, 안진경이 옥사를 판결한 것은 족히 그로서 한 지방의 원통한 기운을 사라지게 했으므로 단비가 내린 것이 조금도 이상할 게 없습니다.

    하물며 태평한 세상은 본래 한 지아비 한 지어미도 그 은택을 입지 않은 사람이 없음이지 않겠습니까.

    저 크게 추울 때에 천지가 아무리 이미 닫히고 막혔다 하더라도 두 기운이 또한 어울리지 않을 수 없는지라 비 기운이 엉기어 눈꽃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은 대개 음기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초목의 꽃은 양기를 받기 때문에 다섯 잎이 나오는 것이 많은데, 다섯은 양(陽)의 수입니다.

    또한 눈꽃은 음기를 받는지라 홀로 여섯 잎을 내는데, 그것은 음(陰)의 수인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저절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율곡의 답안지는 마침내 ‘홍범전(洪範傳)’에까지 이르고 있었다.

    ‘홍범전’은 북송의 왕안석(王安石)이 지은 책으로 주로 자연과 사회를 분석한 명저 중의 하나이다.

    즉 ‘화수목금토’가 한 시공간에 존재하며 색, 소리, 냄새, 맛 등 물리적 성질을 지닌 다섯 오원소를 물질원소로 보고 있다. 이 요소들이 서로 다른 요소와 함께 차별과 대립을 반복함으로써 상생(相生)하고, 상극(相剋)하며, 천지만물이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 유가에 있어 대표적인 철학서인 것이다.

    즉 자연계와 인간사회는 천도(天道)가 지배하는 곳으로 인간은 천도에 따라 성(性)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었다.

    따라서 율곡이 인용하였던 측천무후(則天武后)의 고사는 이러한 하늘의 도를 어긋난 그 대표적인 예였던 것이다.

    측천무후는 당나라 태종의 병을 시중들고 있었던 낮은 신분의 궁녀였던 미랑을 가리킨다. 아버지 태종뿐 아니라 세자였던 이치의 마음까지 사로잡은 경국지색. 마침내 아버지가 죽자 황제에 오른 고종은 미랑을 자신의 왕비로 삼고 이름을 무측천(武則天)이라 하였다. 태종이 죽자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었던 미랑을 다시 궁중으로 불러들여 자신의 왕비로 삼았던 고종은 마침내 허수아비왕으로 전락하고 만다. 고종이 죽은 후 중종과 예종을 차례로 폐하고 국호를 주라 칭하고, 자신을 신성황제(神聖皇帝)로까지 일컬었던 무측천은 그러나 오나라와 월나라 땅에 한여름에 서리가 내림으로써 하늘의 재앙을 불러일으켰는데, 이는 나라에 임금이 없기 때문에 양이 성한 계절에도 음의 결정인 서리가 내린 것이라는 당서(唐書)의 내용을 인용하였음인 것이다.

    그 순간 정사룡은 자신도 모르게 붓을 들어 답안지 첫 장 한 구석에 다음과 같은 글을 써 내렸다.

    “一之本”

    이 문장의 의미는 ‘많은 문장 중에서 으뜸’이라는 뜻이었다.

    원래는 모든 답안지를 다 채점하고 났을 때 채점관들이 합의하여 장원이나 차석이 결정되어 최종시험관인 정사룡이 낙점하여 답안지에 써넣는 최종 판결문이었다.

    물론 아직 답안지는 많이 남아 있었다.

    남아 있는 내용을 다 읽지도 않고 도중에 장원급제에 해당되는 ‘일지본’의 관별을 내리는 것은 상례에 맞지 않은 일이었으나 그 순간 정사룡은 더 이상 읽고 말고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정사룡이 그렇게 낙점을 내리자 곁에서 이를 지켜보던 양응정이 의아한 표정으로 정사룡을 쳐다보았다. 그러자 정사룡은 탄식을 하며 이렇게 말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이 이상의 답안은 없네. 만약 이 이상의 답안이 나올 수 있다면 이는 인간의 글이 아니라 신필일 것이네.” 지금도 전해 내려오는 이율곡의 ‘천도책’ 답안지에는 미처 다 읽기도 전에 정사룡이 감탄하여 적은 ‘일지본’이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 있음이다.

     

    그러나 정사룡이 더욱 크게 놀란 것은 그 다음 문장에서였다.

    무릇 모든 출제관들은 시험문제 중에 자신들만의 난해한 걸림돌 하나를 장치해 놓는 습성이 있기 마련이다. 아무리 문장에 능하고 임기응변에 뛰어난 거자라 할지라도 총체적인 핵심을 꿰뚫지 못하면 절대로 뛰어넘을 수 없는 함정을 마련해 놓는 것이다.

    그것은 정사룡도 예외는 아니었다.

    방대한 독서량과 다방면에 걸친 풍부한 지식이 없고서는 절대로 독파할 수 없는 지뢰밭을 마련해 놓은 부분이 있었으니, 그것은 다음과 같은 질문이었다. 

    “…눈에 눕고(臥雪), 눈에 서고(立雪), 손님을 맞이하고(迎賓), 친구를 찾는(訪友) 이를 또한 소상히 말할 수 있겠는가.”

    아주 단순하게 보이는 질문 중의 하나지만 실은 거자들의 발목을 잡는 그물이자 덫이었던 것이다.

    왜냐하면 ‘눈에 눕다’라는 말에 얽힌 고사를 알지 못하거나 ‘눈에 선다’라는 문장의 유래를 알지 못하고서는 도저히 이 질문에 명쾌한 답안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었다.

    원래 ‘눈에 눕다’라는 말은 원안(袁安)의 고사를 가리킨다.

    원안은 후한(後漢)의 현신으로 자는 소공(邵公). 사람됨이 엄중하고 위엄됨이 있어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가 입신출세하지 않았을 때 낙양에 큰 눈이 내렸는데, 사람들은 모두 눈을 쓸고 나와 거리에서 걸식을 하였다. 그런데 한 집만은 눈이 한길 쌓여 있었고, 마침 순행을 나온 낙양령(洛陽令)이 얼어 죽었는가 하고 사람들을 시켜 눈을 치우고 집으로 들어가 보니 원안은 방안에 누워 있었다고 한다. 낙양령이 이를 보고 원안을 어질게 여겨 그를 효렴(孝廉)으로 천거하였다는 내용이 ‘후한서(後漢書)’에 실려 있는 것이다.

    또한 ‘눈 위에 서다’의 이야기는 북송 때 유명(游酩)과 양시(楊時)의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유명과 양시 두 사람은 당대 최고의 유학자인 정이천(程伊川)을 처음 뵈올 때 정이천은 모른 체하고 눈을 감고 앉아 있었다. 그래도 두 사람은 모시고 서 있었더니, 얼마 뒤 정이천이 눈을 뜨고 ‘아직도 서 있었는가, 그만 물러가라.’고 하였으므로 문을 열고 나와 보니 문밖에 눈이 내려 깊이가 한 자가 되었다는,‘주자어류(朱子語類)’에 나오는 내용이었던 것이다.

    또한 ‘손님을 맞이하다’의 이야기는, 당나라의 왕원빈(王元賓)이란 사람이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릴 적마다 종을 시켜 눈길을 뚫어두고 주효를 갖춰 손님을 맞아들였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난한지회(暖寒之會)’란 고사성어는 바로 이러한 왕원빈의 행동에서 비롯된 말.

    그리고 ‘친구를 찾다’란 이야기는 진나라의 왕자유(王子猷)가 산음(山陰)에 살 때 큰 눈이 내리던 날 밤 흥에 겨워 작은 배를 타고 강을 거슬러 친구 대안도(戴安道)를 찾아 그의 집까지 갔다가 막상 그의 집 앞에 다다르자 흥이 식어 친구를 만나지 않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말이었던 것이다.

     

    며칠 동안 골머리를 썩이며 과거시험을 출제한 정사룡은 반드시 대부분의 거자들이 이 함정에서 헤어나지 못할 것이라 회심의 미소를 짓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아니었다.

    놀랍게도 거자는 정사룡이 쳐놓은 덫을 단숨에 타파하고 있음이 아닌가.

    그뿐 아니라 그러한 시험문제를 출제한 시험관의 탐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질책까지 하고 있음이 아닌가.

    “…원안이 문을 닫고 눈 속에 누워 있는 것과 양시가 눈 속에 서 있는 것과 난한지회(暖寒之會)와 산음의 흥(山陰之興)과 같은 것은 혹은 고요함을 지키는 즐거움이 있고, 혹은 도를 찾는 정성이 있으며, 혹은 호사(豪舍)에서 나오고, 혹은 방달(放達)에서 나온 것으로 이는 모두 하늘의 도와는 상관없는 것이니, 어찌 오늘날 말할 가치가 있겠습니까.”

    ―정문일침(頂門一鍼)이다.

    정사룡은 순간 정수리의 급소에 침을 한방 맞은 것처럼 부끄러움을 느꼈다.

    거자의 말은 사실이었다.

    그러한 눈(雪)에 얽힌 고사들은 현학(衒學)적인 호사취미일 뿐 ‘하늘의 도와는 상관없는 질문’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말할 가치가 없다.’는 거자의 질책은 지극히 당연한 지적이었던 것이다.

    한 방망이 얻어맞은 정사룡은 정신을 차리고 다시 답안지의 내용을 읽어내렸다.

    “…또 우박이란 것은 거슬린 기운에서 나온 것입니다. 음기가 양기를 협박하기 때문에 그것이 나오면 자연 만물이 해쳐집니다.

    지나간 옛일을 상고하건대, 큰 것은 말머리만 하고, 작은 것은 달걀만 하여 사람을 상하게 하고, 짐승을 죽인 일은 혹은 전란이 심한 세상에 나타나고, 혹은 화를 만드는 임금에게 경계가 되었으니, 우박이 족히 역대의 경계가 된 것은 반드시 일일이 말하지 않더라도 이를 미루어 알 수 있습니다.

    아아, 한 기운이 운화(運化)하여 흩어져 만 가지 다른 것이 되니, 나눠서 말하면 천지만상이 각각 독립된 기운이요, 합쳐서 말하면 천지만상이 다 같은 기운입니다.

    오행의 바른 기운이 뭉친 것은 해와 달과 별이 되고, 천지의 거슬린 기운을 받은 것은 흙비와 안개와 우박이 됩니다.

    우레와 번개와 벼락은 두 기운이 서로 부딪치는 데서 나오고, 바람과 구름과 비와 이슬은 두 기운이 서로 합치는 데서 나옵니다. 그 나뉨이 비록 다르지만 그 이치는 하나인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거자는 마침내 정사룡이 던졌던 ‘어떻게 하면 일식과 월식이 없을 것이며, 별들이 제자리를 잃지 않을 것이며, 우레가 벼락을 치지 않고 서리가 여름에 내리지 아니하며, 눈과 우박이 재앙이 되지 않고 모진 바람과 궂은비가 없이 각각 그 질서에 순응하여 마침내 천지가 제자리에 바로 서고 만물이 모두 잘 자라날 수 있겠는가.’하는 질문의 핵심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었다.

    “…집사께서 편말(篇末)에 또 가르쳐 말씀하시기를 ‘천지를 제자리에 있게 하고, 만물을 기르는 것은 그 도가 어디서부터 오느냐.’하고 물으셨는데, 저는 이 말에 깊이 느낀 바가 있습니다.

    제가 듣건대 ‘임금이 자기의 마음을 바로 하여 조정을 바로잡고, 조정을 바로 하여 사방을 바로잡고, 사방이 바르면 천지의 기운도 바르게 된다.’하였습니다.

    또 듣건대,‘마음이 화평하면 형체가 고르고, 형체가 고르면 기운이 고르고, 기운이 고르면 천지가 고른 기운에 응한다.’고 하였습니다.

    천지의 기운이 이미 바르면 해와 달이 어찌 엷어지고 먹히는 일이 없고, 별들이 어찌 길을 잃는 일이 있으며, 천지의 기운이 이미 고르면 우레와 번개와 벼락이 어찌 그 위험을 드러내고, 바람과 구름과 서리와 눈이 어찌 그때를 이루며, 흙비와 거슬린 기운이 어찌 재앙을 일으키겠습니까.

    하늘은 비와 별과 더위와 추위와 바람을 가지고 모든 것을 생성하고, 임금은 공경과 어짐과 슬기와 계획과 성스러움을 가지고 위로는 하늘의 도에 응하는 것입니다. 하늘이 제때에 비를 내리는 것은 공경함에 따르는 것이요, 하늘이 제때 추운 것은 계획함에 응하는 것이며, 때맞게 바람이 부는 것은 거룩함에 응하는 것입니다.

    이를 가지고 보면 천지가 자리를 지키고 만물이 생장하는 것은 오직 임금 한 사람의 수덕(修德)에 달린 것이 아니겠습니까.

    자사(子思)가 말하기를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이라야만 화육(化育)할 수 있다.’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크게 만물을 발육시켜 큰 덕이 하늘 끝까지 닿았다.’고 했습니다.

    또 정자(程子)는 말하기를 ‘하늘의 덕과 임금의 도의 요체는 다만 홀로 있을 때를 조심하는 근독(謹獨)에 있을 뿐이다.’고 했습니다.

    아아, 지금 우리나라의 동물, 식물들이 잘 자라고, 솔개가 하늘에 날고, 고기가 못에 뛰노는 자연의 화육이 고무되고 있음이니, 이 어찌 성주(聖主)께서 홀로 삼가시는 것에 말미암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바라건대 집사께서 천한 사람의 어리석은 말씀을 임금께 올려 주신다면 가난한 선비는 움막 속에서도 남은 한이 없겠습니다.

    삼가 대답합니다.”

    마침내 답안지는 끝이 났다.

    숨죽여 답안지를 모두 읽어 내린 정사룡은 그러나 손쉽게 눈을 뗄 수 없었다.

    단 한 자의 오자도 탈자도 없는 이 완벽한 한갓 젊은 유생에 의해서 그것도 한식경이라는 짧은 시간에 완성되었다는 사실을 정사룡은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다.

    더구나 처음부터 끝까지 한 획도 고칠 수 없을 만큼 완벽한 문장이 아닐 것인가.

    “이것은…”

    정사룡은 한숨을 쉬면서 홀로 중얼거렸다.

    “사람이 쓴 문장이 아니다. 이것은 귀신이 쓴 문장이다. 귀신의 솜씨인 것이다.”

     

    조선왕조의 역사를 통틀어 율곡이 23세 때에 쓴 ‘천도책’의 내용은 최고의 명문장으로 손꼽힌다.

    ‘천도책’의 내용은 명나라의 조정 사이에서도 널리 회자되어 많은 중국의 선비들이 율곡을 ‘해동의 주자’라고 일컬을 정도였다.‘천도책’의 내용이 얼마나 비중 있게 다루어져 있음인가는 출제자 중의 한 사람이었던 양응정의 문집인 ‘송천유집(松川遺集)’에도 ‘천도책’의 내용이 전재되어 있음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또한 이 ‘천도책’의 중요한 점은 율곡이 평생 동안 추구하였던 이기론이 23세의 젊은 나이 때 이미 정립되었으며, 이러한 철학관은 평생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음인 것이다.

    평생 동안 성리학연구에 몰두하였던 율곡의 이기론은 ‘이(理)가 아니면 기(氣)는 근거할 데가 없고 기가 아니면 이는 의착할 데가 없다.(非理則氣無所根 非氣則理無所依著)’라고 36세 때 절친한 친구 성혼에게 보낸 편지에서 주장함으로써 ‘이(理)’와 ‘기(氣)’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음을 이미 주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한 율곡의 독특한 이기론은 이미 ‘천도책’의 내용에 그 단서를 보이고 있다. 

    이는 퇴계가 주장하였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즉 ‘이(理)는 기(氣)의 주재(主宰)요, 기(氣)는 이(理)의 자료’로서 이와 기를 두 가지로 나누었던 사상과 정면으로 대비되는 것이었다.

    퇴계의 ‘이기이원론’은 마치 ‘말을 타고 출입하는 사람의 경우에 비유(人馬之喩)’할 수 있다. 퇴계는 사람이 말 위에 타고 있을 때, 사람은 이(理)이고, 말은 기(氣)이므로 사람과 말이 함께 타고 있지만 말을 부리는 것은 사람이므로 사람과 말은 분별(分別)되어야 하듯 이와 기는 마땅히 분별되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훗날 퇴계와 조선조사상 최대의 논전을 벌였던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과 같이 율곡은 ‘사람이 간다’하면 ‘말도 간다’하고,‘말이 간다’하면 ‘사람도 간다’는 것이므로 이와 기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일원론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퇴계는 ‘이와 기는 서로 나누어 생겨난다’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하였다.

    퇴계는 맹자가 말하였던 측은지심의 인(仁)과 수호지심의 의(義)와 공경지심의 (禮)와 시비지심의 지(智)의 사단(四端)은 성선설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이는 이(理), 즉 이성이 바라는 것이요, 기쁘고(喜), 화내고(怒), 슬퍼하고(哀), 즐겁고(樂), 사랑하고(愛), 미워하고(惡), 탐욕스러운 것(慾)과 같은 7가지 감정은 기(氣)가 발한 것으로 퇴계는 기(氣)라는 말 위에 이(理)의 사람이 올라탄 것으로 ‘칠정의 말’을 ‘사단의 이성을 가진 사람’이 잘 다스릴 수 있다면 공자처럼 군자에 이를 수 있음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율곡은 이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율곡은 스승 퇴계가 주장하였던 ‘이기이원론’, 즉 말과 사람을 분리하는 것은 일찍이 주자가 말하였던 ‘숨바꼭질(迷藏之戱)’과 같은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일축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율곡은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즉 사단과 칠정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 하나의 정(情)이며, 따라서 사람이 탄 말이 함께 길을 갈 때 이를 ‘사람이 간다.’고 말할 수도 있고,‘말이 간다.’고 말할 수 있듯이 이성과 기는 동체라는 사상이었던 것이다. 

    퇴계는 이와 기를 선과 악의 대립으로 파악하는 데 반하여 율곡은 사단과 칠정, 즉 도덕성과 욕망은 모두 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엄격한 구분을 나눌 수 없다고 파악하고 있음인 것이다.

    마치 오늘날 불교에서 근대의 선승 성철이 제기하였던 ‘돈오돈수(頓悟頓修)’냐, 아니면 ‘돈오점수(頓悟漸修)’냐는 치열한 논쟁과 흡사한 유가의 논쟁이 퇴계와 그의 제자 율곡을 통해 이미 500여 년간 계속되어 내려오는 것이다.

    ‘돈오돈수’가 ‘단박 깨치고 깨치는 순간 단번에 닦는다.’는 뜻이라면 ‘돈오점수’는 ‘단박 깨치더라도 그것을 지켜나가며 차츰차츰 닦아간다.’는 뜻으로 그 어느 쪽이 절대의 불교적 진리일 수는 없듯이 불교에 있어 ‘돈오점수’를 연상시키는 퇴계의 ‘이기이원론’과 ‘돈오돈수’를 연상시키는 율곡의 ‘이기일원론’ 중 어느 쪽이 사람의 성리(性理)를 밝혀내는 궁극적 요체인가, 단정 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23세의 청년 율곡이 쓴 ‘천도책’의 문장 속에 이미 그러한 율곡의 철학이 기초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율곡은 ‘천도책’에서 ‘사람의 기가 바르면 천지의 기도 역시 바르게 된다.’라고 주장함으로써 ‘마음은 곧 기(心是氣)’임을 간파하고 있음인 것이다.

    특히 정사룡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다음과 같은 문장이었다.

    “임금이 마음을 바로 하여 조정을 바르게 하고, 조정을 바르게 함으로써 사방을 바르게 하고, 이렇게 하여 사방이 바로잡히면 천지의 기운도 바르게 된다.(人君正其心以正朝廷 正朝廷以正四方 四方正則天地之氣亦正矣)”

    천지를 안정시키고 모든 자연현상이 순조롭게 되기를 기대한다면 우선 정치가 잘 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최고 지도자인 임금의 덕이 하늘의 길에 부합되어 잘 닦아야 한다는 율곡의 주장은 유가에 있어 최고의 ‘군주론(君主論)’이었던 것이다.

    물론 율곡의 ‘천도책’은 500여 년 지난 문명이 극도로 발달한 현대에서 보면 지극히 미신적이며, 전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일축되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늘과 사람이 서로 감응한다.’는 ‘천인상감설’은 비록 정치 최고 지도자인 임금의 올바른 치도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하더라도 자연현상과 인간 사회가 서로 상응해야만 천지가 평안하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믿어질 수가 없는 것이다.

    만약 실로 그렇다면 연산군 때에는 가뭄이 별로 없었는데 비해 성군으로 일컫는 세종 때에 극심한 가뭄이 자주 있었다는 이조실록의 기록은 어떻게 설명되어질 수 있을 것인가.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23세의 청년 율곡이 쓴 ‘천도책’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제시하는 계시록(啓示錄)임에 틀림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천도책’은 21세기에 던지는 예언서이기도 한 것이다.

    왜냐하면 오늘날 심각한 전 세계적인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 등장한 각종 공해와 지구온난화 현상은 결국 율곡이 ‘천도책’에서 주장하였던 대로 ‘사람의 마음이 바르면 천지자연의 모든 현상이 모두 바르게 나타날 것’인데, 문명의 발달로 물과 공기를 더럽히고, 나무를 함부로 베어내고, 자연을 훼손함으로써 홍수와 흙비, 안개와 가뭄, 우레와 폭풍이 재앙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예언하고 있는 도참(圖讖)이기도 한 때문이다.

    즉, ‘천지가 제자리에 바로 서고 만물이 모두 잘 자라게 하려면 그 도는 어디서 오느냐.’는 질문에

    ‘하늘은 비와 별과 더위와 추위와 바람을 가지고 모든 것을 생성하고 임금(오늘날에 있어서는 자연의 주체인 사람)은 공경과 어짐과 슬기와 계획과 성스러움을 가지고 위로는 하늘의 도에 응하는 것입니다.…(중략)… 이를 가지고 보면 천지가 자리를 지키고 만물이 생성하는 것은 오직 임금(사람)의 수덕에 달린 것이 아니겠습니까.’라고 대답하였던 율곡의 결론처럼 인간과 자연은 서로 친화하고, 悶Ю?두려워하고, 슬기와 장기적인 계획으로 자연을 보호할 때 천재지변과 같은 자연적인 재앙은 미리 막을 수가 있음을 선언하는 ‘자연보호헌장’인 것이다.

    여기에서 율곡이 쓴 ‘천도책’의 내용은 율곡의 철학사상을 담고 있는 ‘철학론’이며, 또한 율곡의 정치철학을 담고 있는 ‘왕도론’이다.

    그뿐인가, 미래의 환경론을 예언하고 있는 묵시록(默示錄)이기도 한 것이다.

    “도대체 누구인가.”

    답안지를 읽어 내리는 동안 어느새 어둑새벽은 물러가고 동이 트는 신새벽이었다.

    정사룡은 이러한 문장을 쓴 주인공이 도대체 누구인가 알아보고 싶은 참을 수 없는 호기심을 느꼈다.

    그러나 그것은 불가한 일이었다.

    이미 답안지를 받는 순간 수권관이 시험지에 종이를 붙여 이름을 가렸으므로 그 종이를 벗겨내기 전에는 신원을 밝혀낼 수 없음이었다.

    모든 채점이 끝나고 시험관들끼리 답안지를 다섯 개로 분류해낸다.

    우선 ‘통(通)’의 판정을 받으면 급제로 분류된다. 급제의 숫자가 적으면 그 다음 단계인 ‘략(略)’에서 선발하여 다시 뽑아 올린다. 그 다음은 ‘조(粗)’, 마지막은 ‘불(不)’과 ‘방외(方外)’인 것이다.

    일단 급제할 답안지를 고르고 다시 성적순으로 등급을 나누어 관별한 후에야 종이를 떼어 거자의 이름을 확인한 후 또는 조부와 증조부의 품계를 살펴 성적이 좋더라도 혹 나라에 대역죄를 지은 가문인가를 최종적으로 확인한 후 방방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정사룡은 그러한 절차를 참을 수 있는 인내를 이미 상실하고 있었다.

    그는 천재에 대한 호기심과 또 한편의 불같은 질투심을 느꼈다. 그래서 한순간 정사룡은 이름을 가린 종이를 찢어내렸다. 그곳에는 다음과 같은 이름이 적혀 있었다.

    “李珥”

    그로부터 사흘 뒤.

    율곡은 아침 일찍 집을 떠나 성균관으로 향하였다.3일 전에 본 과거시험에 대한 결과를 직접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그 무렵 율곡은 한마디로 상심의 계절이었다.1년 전에 결혼하여 한참 꿀맛 같은 신혼생활을 보내야 할 시절이었지만 아내 노씨는 지병인 폐병으로 병약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결혼하던 해 절친한 친구 성혼의 아버지였던 청송선생에게 보낸 율곡의 짤막한 편지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금년 봄에 혼씨(渾氏:성혼)와 함께 공부를 하고자 했건만 아내의 병이 심하여 서울에 올라가지 못하니 한탄할 뿐입니다.”

    율곡의 집안과는 달리 처가 노경린의 집안은 비교적 넉넉하여 서울에 있던 집도 처가에서 장만하였지만 그 무렵 율곡의 집은 가세가 기울어 형제들이 모두 굶주림을 면치 못할 정도로 궁핍하였다. 어머니 신사임당이 죽고 나자 무능한 아버지는 더 이상 집안을 돌볼 여력이 없어 유일한 방법이라고는 율곡이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양명에 오르는 길뿐이었던 것이다.

    그 무렵 얼마나 율곡이 고통스러웠던가는 조익(趙翼)이 상소한 다음과 같은 글을 통해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인조실록 13년 조에 실려 있는 상소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율곡의 집이 가난하여 형제들이 모두 굶주림과 추위를 면치 못하였는데, 그의 처가는 재산이 조금 있어서 장인 노경린이 서울에 집을 사주어 살도록 하였습니다. 그러자 형제들의 가난함을 차마 못 보아서 곧바로 그 집을 팔아 무명을 사다 나누어 주었으며, 끝내는 한 고랑의 터전도 없게 되었으며,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수 없게 되었으므로 형제들을 모두 불러와 같이 살며 죽을 쑤어서 함께 나누어 먹었습니다. 그의 아내는 어린시절부터 폐질을 앓았으나 죽을 때까지 예의와 공경을 다하고 죽은 뒤에는 자제들을 불러 모아 예절을 다하였습니다. 집안에서의 몸가짐이 이와 같았으니 인륜을 다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록에 기록된 대로 굶주림과 추위를 면치 못하는 대가족들을 위해 처가에서 마련해준 집까지 팔아 그 당시 물물교환의 척도로 삼던 무명을 나누어 줄 수밖에 없었던 청년 이율곡.

    그뿐인가.

    율곡은 가족을 위해 반드시 급제했어야 할 과거시험에서 낙방까지 하였던 것이다. 사람들은 9번이나 과거에서 장원급제하여 ‘구도장원’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조선 최고의 천재였던 율곡도 과거시험에서 한번 낙방하였다는 사실에서는 거의 모르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스승 퇴계를 만나고 돌아간 직후 그 해 봄에 치르는 과거시험에서 그대로 낙방하였던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퇴계가 율곡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은 위로의 구절이 있음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옛 사람이 이르기를 ‘젊은 나이에 과거에 오르는 것은 하나의 불행이다.’라고 하였으니, 자네가 이번 과거에 실패하였던 것은 아마도 하늘이 그대를 크게 성취시키려한 까닭인 것 같으니 아무쪼록 힘을 쓰시게나.”

     

    물론 퇴계의 위로는 맹자가 ‘고자장 하편’에서 ‘하늘이 장차 큰 인물을 이 사람에게 내리려 할 때에는 반드시 그 마음을 괴롭게 하며, 그 신세를 수고롭게 하며, 그 몸을 굶주리게 하며, 그 몸을 궁핍하게 하여 행하는 바를 어그러지게 함이요, 이것은 마음을 분발시키고 성질을 참게 하여 그 능하지 못한 바를 보태주고자 함이다.’라고 한 말을 상기시킴으로써 율곡을 오히려 분발하게 하려는 뜻이었으나 이 무렵 율곡은 실로 사면초가에 봉착하고 있었던 것이다.

    폐병을 앓는 아내와 굶주림과 추위에 떨고 있는 가족들을 위해서라도 과거에 급제해야 하는 절박한 처지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절박한 심정은 이 무렵 율곡이 지은 시에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강릉에 머물고 있을 때 율곡은 지정(智正)이란 산인(山人)을 만난다. 아마도 율곡이 금강산에 입산수도하고 있을 때 만났던 사람으로 스님은 아니었고, 산중에 살고 있던 거사처럼 보여진다.

    두 사람은 함께 술을 마시다가 서로 불교와 유교에 대해서 토론을 하는데, 이 토론의 내용이 ‘산인 지정에게 주다(贈山人智正)’라는 시 속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우리 유가에는 본래 참된 낙지(樂地)가 있어

    외부의 물질을 꺾지 않고도 능히 본성을 기른다네.

    고원(高遠)하거나 기이한 길, 다 중도(中道)가 아니라

    자신에 돌이켜 성실하면 성인에 이를 수 있다오.…”

    이 구절을 통해 이율곡은 이미 불교와 완전히 단절하고 스승 퇴계가 내려준 유가적 화두인 ‘거경궁리’에 완전히 몰입하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즉 불교에서 말하는 욕계(欲界)와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의 삼계와 지옥(地獄), 아귀(餓鬼), 아수라(阿修羅), 축생(畜生), 인간(人間), 천상(天上)의 육도를 벗어나기 위해서 굳이 불교적 중도(中道)를 취하지 않더라도 ‘자신에게 돌이켜 성실하면 성인에 이를 수 있다.(反身而誠可醒聖)’는 유교적 진리를 주장하고 있음인 것이다.

    토론 중에 율곡은 지정과 함께 술을 마시며 담소한다.

    국화꽃 꺾어 꽃잎을 띄우며 술을 마셨는데, 이러한 풍습은 일찍이 도연명이 읊은 ‘동쪽 울타리 밑에서 국화를 딴다(採菊東籬下)’란 시구절을 인용하여 그대로 풍류를 즐긴 것이었다.

    또한 전국시대 초나라의 비극적인 시인이자 정치가였던 굴원(屈原)이 남긴 ‘저녁에는 국화의 낙화를 먹는다(夕餐秋菊之落英)’는 사(詞)를 그대로 인용한 행동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국화꽃잎을 술잔에 넣어 마시던 청년 율곡은 문득 다음과 같은 시를 남긴다.

    “서리 속의 국화를 사랑하기에(爲愛霜中菊)

    노란 잎 따서 술잔에 가득 띄웠네.(金英摘滿觴)

    맑은 향내는 술맛을 돋우고,(淸香添酒味)

    수려한 빛은 시의 창자를 적셔 주기도 하네.(秀色潤詩腸)

    도잠(陶潛)이 무심히 잎을 따고,(元亮尋常採)

    굴원(屈原)이 잠시 꽃을 맛보았으나,(靈均造次嘗)

    어찌 정담만 나누는 일이(何如情話處)

    시와 술로 서로 즐기는 것만 하겠는가.(詩酒兩逢場)”

    별시해를 보기 직전인 그해 가을, 산림거사인 지정과 술을 마시며 ‘국화를 술잔에 띄우고’란 즉흥시를 지은 율곡은 자신을 ‘서리맞은 국화(霜中菊)’로 비유함으로써 자신의 심정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한 초나라의 불우한 정치가이자 비극시인이었던 굴원이 쓴 초사(楚辭)의 ‘아침엔 목란의 추로(墜露)를 마시고 저녁엔 가을국화의 떨어진 꽃(落英)을 씹는다.’라는 구절을 인용함으로써 자신의 처지를 굴원처럼 불우하고 비극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그뿐인가.

    율곡은 강릉에 낙향하여 본의 아니게 은둔생활을 하고 있는 자신의 처지를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비유하고 있음인 것이다. 그리하여 시 속에 도연명의 음주시 한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일찍이 귀거래사를 읊고 고향으로 돌아와 청빈을 달게 여기고 전원에서 밭을 갈며 고풍청절하게 지내던 전원시인 도연명은 어느 날 다음과 같은 시를 짓는다.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에/작은 집 한 채를 마련한다.

    그러나 마차나 방울소리는 없다/그럴 수가 있냐고 물을 것이다.

    마음이 떨어져 있으면 땅도 자연히 멀다.

    동쪽울타리 아래서 국화를 자르다가 유연히 남산을 바라본다.

    산공기가 석양에 맑다. 날던 새들은 떼 지어 제 집으로 돌아온다.

    여기에 진정한 의미가 있으니/말하려 하다 이미 그 말을 잊었노라.(피천득 번역)”

    율곡은 도연명의 ‘동쪽울타리 아래서 국화를 자른다(採菊東籬下)’란 한 구절을 인용함으로써 이 무렵 ‘서리맞은 국화’와 같은 자신의 곤궁한 처지를 자조적으로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번 별시에는 율곡으로서는 배수의 진을 치고 치른 과거시험이었다.

    율곡이 성균관에 도착하자 반수당 안은 이미 결과를 보려는 수많은 과유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었다. 대부분의 유생들은 심부름하는 종자들까지 데려오고 또한 이들을 상대로 한 술 파는 장사치들까지 판을 벌이고 있었으므로 반수당 안은 그야말로 야단법석이었다.

    그들 중에는 전번에 과거시험을 치르기 위해서 부문을 통과하려 하였을 때 율곡의 앞을 막아세웠던 세도가의 모습도 보였으므로 율곡은 한 곁에 멀찌감치 물러서서 방방(放榜)을 기다리고 있었다.

    율곡은 이번 별시의 결과에 은근히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지난봄의 과거와는 달리 이번 별시의 책제는 ‘천도책’이란 철학 시험문제로 난해하고 까다로운 것이었으나 율곡에게는 오히려 족집게처럼 집어낸 예상문제와 같은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왜냐하면 율곡은 지난 일년 동안 스승 퇴계로부터 점지받은 거경궁리의 화두에 전념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율곡은 자연 한대 유학에서 제기되고 있었던 ‘사람의 마음은 천지의 마음(人者天地之心也)’이기 때문에 사람의 마음이 바르면 천지의 마음도 바르게 되고 ‘사람의 기가 순하면 천지의 기도 역시 순하게 된다(人之氣順則天地之氣亦順矣).’는 ‘천인상감설’에 대해서 이미 깊은 궁리를 끝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끝.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3/21 11:14:15  61.97.***.13  거칠마루
    [2] 2012/03/21 11:16:39  39.114.***.19  naburange
    [3] 2012/03/21 14:45:25  58.151.***.216  이글아이즈
    [4] 2012/03/22 22:20:00  143.248.***.147  혁님
    [5] 2012/04/06 11:37:05  123.142.***.156  krebirth
    [6] 2016/06/07 05:42:37  125.137.***.145  막시버무스  54574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
    근데 진짜(?) 어벤져스 나오는 날이 올까요 ?? [3] Aokizi 12/04/26 18:57 83 0
    32
    어벤져스, 후회? 전혀없습니다. [2] Aokizi 12/04/26 18:48 121 0
    31
    구단명 앞이나 뒤에 붙는 영어, 숫자들의 뜻 [2] Aokizi 12/04/26 14:30 217 5
    30
    세계 축구史 불패와 연승의 전설들 [1] Aokizi 12/04/20 08:55 303 2
    29
    파블류첸코 파워 프리킥 [2] Aokizi 12/04/19 10:40 209 1
    28
    대부분 싫다지만 난 너무 좋다 ! "호스텔 시리즈" [1] Aokizi 12/04/14 14:29 107 1
    27
    리버풀 vs 블랙번 전 하이라이트 보다가 깜놀 [1] Aokizi 12/04/11 18:11 91 0
    26
    제라드 있고 없고 [2] Aokizi 12/04/09 20:19 320 6
    25
    아스날 vs 맨시티 (어제 경기) 최고의 명장면 [2] Aokizi 12/04/09 15:27 361 8
    24
    [UFC] '코리안 좀비' 정찬성 vs 마크 호미닉 [1] Aokizi 12/04/08 18:59 59 1
    23
    대박 ㅋㅋ 앤더슨 실바, 자신의 멘토 '이소룡' 흉내 Aokizi 12/04/08 18:49 61 1
    22
    [UFC] 명경기. 앤더슨 실바 vs 빅토 벨포트 Aokizi 12/04/08 18:43 38 0
    21
    호돈신 브라질 쌈바시절 월드컵 15골 모음 [2] Aokizi 12/04/07 17:38 126 2
    20
    [잡상식] 백넘버 (등번호)의 유래 [4] Aokizi 12/04/07 03:59 388 2
    19
    독일 No.1 의 위엄 [1] Aokizi 12/04/07 03:28 514 8
    18
    [UFC] 감동받은 명경기. 앤더슨 실바 vs 차엘 소넨 Aokizi 12/04/06 21:19 68 0
    17
    퍼기의 패기 with 슈마이켈 [3] Aokizi 12/04/06 14:46 385 4
    16
    아..... 오브레임.. 약했네요 [1] Aokizi 12/04/05 10:56 102 1
    15
    [BGM] '헤어드라이어'라 불리는 인자한 영감님 Aokizi 12/04/04 16:32 339 4
    14
    퍼기의 선수 다루기. [5] Aokizi 12/04/03 23:57 424 5
    13
    콩진호 vs 김택용 명경기 풀영상 [1] Aokizi 12/04/03 20:59 141 1
    12
    [BGM] 축구 좀 본 사람이면 어떤 선수가 생각날 BGM [8] Aokizi 12/04/03 19:25 290 5
    11
    호날두 패션으로 까는(?)건 옛말입니다 [3] Aokizi 12/03/30 11:03 400 2
    10
    게리 네빌의 실수... [1] Aokizi 12/03/30 10:42 397 2
    9
    맨유팬의 멘탈 [2] Aokizi 12/03/23 11:23 373 6
    율곡 이이 선생의 조선최고의 장원급제문 '천도책' (초스압) Aokizi 12/03/21 07:05 97 6
    7
    그 때 그 사건. '존 테리 사망위기와 메딕첸코' [5] Aokizi 12/03/19 23:29 261 3
    6
    다비드 비야의 클래스.swf [2] Aokizi 12/03/17 18:45 307 2
    5
    상대 가랑이 사이로 리프팅 ㅋㅋㅋ [1] Aokizi 12/03/14 15:35 162 3
    4
    루니 배짱의 원천. [3] Aokizi 12/03/14 15:16 310 4
    [◀이전10개] [11] [12] [13] [14] [15]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