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三森すずこ♥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2-06
    방문 : 1885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computer_156519
    작성자 : ASUSTeK
    추천 : 10
    조회수 : 7638
    IP : 1.251.***.118
    댓글 : 16개
    등록시간 : 2014/03/01 16:17:37
    http://todayhumor.com/?computer_156519 모바일
    컴게인들이 작성중인 공지글 가져와봤는데..


    여러분이 보기는 어떤지요. 딱히 대표자는 아니지만 그냥 물어보는게 좋을거같아서;

    문제시 삭제합니다.















    -----------------------

    공지 작성의 최종 목적이 뭔가요?-공지요



    참여자 목록


    ML_유유미 참여(키보드, 마우스 부분)

    아… 사랑합니다! ♥


    헤헷 ‘ㅅ’ (여기 제작진 적어야 되나염)


    헤헤,, 저도참여,,,,123아


    저도 참여 TalesParty

    _SemperFi__


    저도 거의 안 했지만 여튼….. Nell-WDS

    후후후 저도 참여했습니다 기냥저냥

    저도…? -콘덴서


    pors


    소소하게 도와드렸네요 O.O SRpop

    저도 참여...0dRs

    쏘쏘 하게 참여인증… 고성방가.

    ASUSTeK Computer inc.


    큐타로. (약간 수정)

    아바타유머중









    목     차



    1. 글쓰기 전에 읽어보세요!

    2. 글 쓸 때 지켜주세요!

    3. 컴퓨터 견적 올리는 법!

    4. 기본 하드웨어 개념

      1. CPU

      2. 메인보드

      3. 주기억 장치(RAM)

      4. 그래픽카드(VGA)

      5. HDD / SSD

      6. ODD

      7. 파워서플라이(PSU)

      8. 케이스

    5. 주변기기

      1. 모니터

      2. 키보드

      3. 마우스

      4. 기타

    6. 컴퓨터 자가 수리 및 관리(간단한 문제 해결법과 백신, 청소법 등)(ccleaner,3dp Chip,3dp Net)

    7. 기타 유용한 정보

    8. 관련 사이트




    (클릭하면 그 페이지로 이동하게 할 수 없을까요, 한컴같은 경우 그런 기능은 있던데)










    라. 기본 하드 웨어 개념(여러 제조사와 전체적인 개념 및 용어 정리)

    “우리가 조립한컴 우리가 쓰자” -https://sites.google.com/site/lutcwc/

    1. CPU

      1. Intel(1150, 1155, 1156 /2011소켓)

    게임의 , 게임을 위한 , 게임에 의한 CPU라고도 볼수 있다. 비싸긴 비싸지만 그 값을 하는 편이며 코어당 성능이 AMD에 비해 월등히 좋다.

    샌디브릿지 이후로 나오는 제품들은 성능에 변화가 딱히 없다. 얘들도 좋은 성능의 CPU를 내고싶은데 AMD가 워낙 발전이 없어 이렇게 낸다는 소문이 있다..미국은 기업의 독점화를 막기 위해서 경쟁상태가 깨지게 될 경우 해당 회사에 엄청난 제약이 들어가게 된다. 고문받는 외계인들도 좀 쉬어야지

    사무용으로는 인텔 펜티엄 G 시리즈를 주로 추천하는 편이고 , 게이밍 용으로 I3는 적합하지 않다. 무엇보다 가성비가 좋지 않다. 사무용으로 쓰기에는 성능이 아깝고 게이밍용도로 사용하기엔 무언가 약간 모자라다. 계륵이죠 계륵

    1. AMD (FM/AM소켓)

    FX 비쉐라 시리즈의 CPU는 금전문제로 인텔 CPU를 구입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꽤 괜찮은 CPU 이다. (게이밍의 기준에서) 다만 코어가 많고 코어당 성능이 인텔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코어를 모두 지원하지 못하는 게임에서는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월드 오브 탱크나 마비노기 영웅전이 대표적인 예 이다. 하지만 스팀게임이라면 어떨까? 스! 팀!

    다만 게이밍의 용도가 아니고 코어를 무조건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이 목적이라면 코어가 많은 AMD CPU는 좋은 선택일것이다. 최근 프로그램들은 멀티코어 지원이 괜찮으니 자신의 프로그램을 잘 보고 고르자. AMD는 새로운 아키텍쳐인 스팀롤러 기반으로 현재 비쉐라 포지션(파일드라이버 기반)급의 CPU를 만들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따라서 AMD의 노선은 APU (CPU에 내장 그래픽카드가 혼합된 방식)로 전환한것이 아니냐는 말이 많다. 그럼 다음 세대 인텔 CPU도 하스웰이랑 별 차이 없는게 아닌가 결국 AMD가 망하고 인텔도 반독점법으로 으앙 쥬금 ㅠㅠ


    1. 메인보드   메인보드004.jpg

    메인보드의 모습. 위는 기가바이트 社의 H61M

    1. 인텔 하스웰의 메인보드 정리 표(1150 소켓)

    칩셋

    H81

    B85

    H87

    Z87

    위치

    보급형

    중급형

    고급형

    최상위형

    최대 USB포트 수

    (USB 3.0포트수)

    10 (2)

    12 (4)

    14 (4)

    14(4)

    오버클럭

    X

    △**

    △**

    O

    SLI 지원

    X

    X

    X

    O

    Crossfire지원

    X

    △*

    △*

    O

    *(△:지원은 가능하나,제 성능을 내지 못하고 부적절 하다.)

    **일부 아수스 H87 B85보드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하여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에즈락 보드가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마찬가지로 (연구소) 에즈락 보드중 다수가 지원하긴 한다.

    http://www.asus.com/kr/News/vZ3EBIfIxfQ7kLC1


    1. AMD 잠베지,비쉐라의 메인보드 정리 표 (AM3+ 소켓)

    칩셋

    970

    990FX

    위치

    중급형

    고급형

    최대 USB포트 수

    (USB 3.0포트수)

    14(4)

    14(4)

    오버클럭

    O

    O

    SLI 지원

    X

    O

    Crossfire 지원

    O


    *SLI와 Crossfire은 아래 그래픽카드 항목 참고.

    1. AMD 트리니티, 리치랜드, 카베리의 메인보드 정리 표 (FM2,FM2+ 소켓)

    FM2+ 마더보드는  FM2소켓의 CPU도 하위 호환이 된다.

    A55 칩셋은 SATA3를 지원하지않는다.

    칩셋

    A55

    A75

    A85

    A88X

    소켓

    FM2, FM2+

    FM2, FM2+

    FM2

    FM2+

    위치

    보급형

    중급형

    고급형

    고급형

    최대 USB포트 수

    6(2)

    8(4)

    10(4)

    10(6)

    오버클럭

    O

    O

    O

    O

    Crossfire 지원

    X

    X

    O

    O

    (듀얼 그래픽스 기능은 모두 지원한다.)

    1. -B,H,Z등은 용도, 숫자 XY중 X는 세대 Y는 등급

    2. AMD의 모든 CPU 쿨러는 서로 호환이 된다.

    3. A55와 A75의 경우 크로스파이어 미지원이라고 표기되어있지만. 외장+외장 크로스파이어의 경우 미지원이고 내장+외장의 하이브리드 크로스파이어는 모든보드가 지원한다.


    1. RAM800px-Memory_module_DDRAM_20-03-2006.jpg

    램의 모습.(DDR)

    램은 보통 다다익선이지만 일반적인 견적엔 8기가가 가정 적절하다. 하지만 레이어를 많이 올리는 포토샵등 특수 작업에는 더 많은 용량이 필요 할수있다.

    오버클럭 안하는 일반 사용자는 램 구매시 그냥 팀그룹이나 삼성으로 DDR 버전 맞춰서 사면 된다. 양면, 방열판 이런거 상관없이 그냥 싼거 사면 된다. 오버클럭 할 정도면 이글을 읽을 필요도 없을테니.. 듀얼채널은 같은 램을 두개로 하여 대역폭을 늘리는 방법으로서 , 일반적으로는 CPU 내장그래픽을 사용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내장그래픽이 아닐시 실제 성능향상은 미미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래픽카드 항목에서 AMD Radeon - APU 내장그래픽 항목을 참고.


    1. 그래픽카드ATI_Radeon_HD_4770_Graphics_Card-oblique_view.jpg

    그래픽카드의 모습. 위의 사진은 구 ATI의 HD4770 이다.

    1. Nvidia GeForce

    GT/GTS 시리즈

    보급형 라인업 주로 저가의 저전력 그래픽카드가 위치하고 있다.

    GT시리즈는 두 번째 숫자가 4 이하, 그 이상은 GTX 혹은 GTS이다.

    GTS 시리즈는 사실상 폐기된 라인업이다. 4년간 새 GTS 시리즈 그래픽카드는 나오고 있지 않다.

    가성비 좋은 중고의 표본. 최근 LOL의 인기가 부쩍 늘어나면서 GTS250 , GTS450 카드의 인기가 높아졌다. 중고가는 대략 3만원 전후.

    GTX 시리즈

    메인스트림~ 하이엔드 급이 자리잡고 있다. 전기를 많이 먹는 편이며, 가격도 비싸다.

    단 , GTX650은 11만원대의 가성비가 좋지 않으니 구매시 주의를 요한다. X50번대의  GTX시리즈는 사실 GTX가 아니라는 소문도 있다.ex)650

    사실 고기도 구울 수 있다 카더라. 믿으면 골룸

    SLI

    엔비디아의 2개이상의 그래픽카드가 파이널 퓨전하여 성능을 약 최대 200%가량 향상 시키는 기술. 하지만 200%까지의 성능향상은 엔비디아의 주장/이론이고 실제로는 아직 최대 160% 정도의 성능향상을 바랄수 있다.

    게임에 따라 지원하고 안하는 경우가 있으니 구입전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하다.

    메인보드를 가린다. 메인보드에 SLI ready 란 마크가 있는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  Zxx/990 칩셋을 사용하는 상위급 메인보드에서만 작동한다.

    옵티머스 희대의 똥덩어리

    엔비디아에서 출시한 노트북 그래픽 기술이다. 외장그래픽은 무거운 작업할때만 사용하고, 가벼운 작업할땐 내장그래픽으로 돌려 전력소모를 줄인다는 이론적으론 훌륭한 아이디어 였으나 여러 프로그램과 호환이 좋지 않아 필요할때 안켜지고 끝까지 내장그래픽으로 버틸려고한다.난 할수있어! 특히 국내 온라인게임에서 이런현상이 잦다.

    AMD의 엔듀로와 비슷하지만 옵티머스는 엔듀로와 다르게 직접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외장그래픽이 돌아가게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욕을 알차게(....)먹는다.1386042332241.jpg

    안 돼. 옵티머스!


    1. AMD Radeon

    HD 시리즈

    라데온의 표준 그래픽 시리즈. 최신의 Rx시리즈 이전엔 모두 HD시리즈였다.


    R5, R7,  R9 시리즈

    2014년 2월 26일 기준 라데온의 가장 최신 라인업

    그래픽카드시장에 혜성같이 나타나 자비없는 가성비로 모두를 충공깽에 빠트린 가성비 패왕.


    Crossfire


    엔비디아의 SLI과 비슷한 기술 엔비디아와 달리 190%까지 효율이 나온다

    R9 290 이상의 라데온 그래픽카드에서는 Crossfire시 둘을 연결해 주는 브릿지가 사라져 효율증대, 외관

    개선 등이 가능해 졌다.Crossfire는 일반적으로 지포스의 SLI보다 효율이 좋다.

    SLI와 마찬가지로 게임에 따라 지원하고 안하는 경우가 있으니 구입전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하다.

    비교적 저렴한 메인보드에서도 사용가능하며, 메인보드에 그래픽 카드를 2개 이상 낄 수 있으면 거의다 사용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Dual Graphics(Hybrid Crossfire)


    APU와 특정한 VGA끼리 Crossfire가 되는 기술. 효율은 그닥 좋지않아 권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카베리 들어와서 부터는 효율이 대폭 증가했다. 카베리 이용자들이 업글하고 싶다면 추천하는 방법이다. 랩탑쪽에선 상당한 성능향상이 있는 방법이다.



    APU 내장 그래픽

    APU는 AMD에서 만든 신조어로, AMD의 내장 그래픽 달린 CPU를 이렇게 부른다. 인텔도 달려있으나 , APU라는 명칭은 마케팅 용어에 가깝다. 다만 AMD의 APU 시리즈는 인텔의 내장그래픽과는 다르게 게임을 꽤 할만한 정도로 내장그래픽 성능이 좋으며 LOL(롤),서든어택 정도는 간단히 돌릴수 있다. 현재 램 성능에 발목이 잡혀 APU가 제 성능을 내지 못하는게 함정인데 내장그래픽 성능을 올리려면 램을 2개 장착해서 듀얼채널을 구성하는것이 좋다. 이것은 인텔의 내장그래픽도 포함되는 내용이다.

    맨틀 API

    API란 운영체제나 응용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명령어 집합이다. 게임쪽에서는 유명한게 OpenGL과 DirectX가 있는데 맨틀 API (이하 맨틀) 도 마찬가지 역할을 한다. DirectX는 윈도우에서만 돌아가며 , OpenGL은 플랫폼을 가리지않는 특징을 가진것처럼 맨틀은 GCN 아키텍쳐를 가진 라데온 그래픽 카드에서만 작동한다. (라데온 HD7000 시리즈 이상) 일반인이 맨틀을 적용할수 있게 된것은 카탈리스트 14.1 베타 버전 부터이며 카탈리스트 14.2 베타 버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맨틀이 적용된 게임은 배틀필드4 이다. 맨틀을 적용한 채로 게임을 구동하게 되면 DirectX로 구동할때 보다 훨씬 부드러운 화면을 맛볼수 있다. (프레임이 높아진다) 현재는 베타버전으로 테스트중이다.


    캡처.PNG

    까탈리스트?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AMD의 드라이버인 “카탈리스트 컨트롤 센터”는 좋지않은 최적화로 그 악명을 널리 퍼트렸으나 , 최근에는 꽤 괜찮은 드라이버가 많이 나오고 있다는것이 중론이다. 지금은 까일 것이 그다지 없으나 한번 굳어진 고정관념은 없애기 어려워서인지 아직도 까탈리스트라 불리운다. 까탈리스트 라는 별명은 드라이버가 제대로 일하지 않고 까탈스럽게 군다는 의미에서 지어진 별명이다.

    1. INTEL HD Graphics, Iris series   

    HD Graphics: 인텔 cpu를 사면 들어있는 내장그래픽이다. 성능은 보통 외장그래픽에 비해 딸리는게 일반적이다. 인텔 내장그래픽 특성상 쉐이더 유닛만 끼얹고, 텍스쳐링 유닛은 빼서 텍스쳐링을 이용하는 게임(마인크래프트 등) 에선 굉장히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최신의 Iris시리즈의 경우 내장그래픽치고는 상당히 발군의 성능을 보여주기도 한다.

    1. 그래픽카드 성능 순위. 다음은 그래픽카드 성능 순위이다. 국내에는 보통 패스마크(http://www.videocardbenchmark.net/ )를 많이 쓰는데, 꽤 부정확 한 점이 많다. 패스마크는 지포스 최적화가 좀 편중된듯 하고,  HD4770이 HD4850보다 위에 있는 엉뚱한 경우와 같은 부정확한 점이 생긴다. 그나마 가장 정확하게 표기해 놓는 곳을 찾았는데, 1번 및 2번에서 비교 해보길 바라는 바.

    원래는 랩탑전문 벤치마킹사이트였으나 데스크탑 제품도 상당수 등재되어있다. 현재 존재하는 벤치마크 사이트중 가장 정확할것으로 예상한다. 노트북체크 벤치마킹

    탐스 하드웨어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 표



    1. HDD/SSD

      1. HDD5536198442.jpg

    HDD는 우리가 흔히 아는 일반적인 하드디스크다.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플래터에 데이터를 쓰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제조사는 WD과 Seagate가 현재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으며 속도는 일반적인 사용시 7200RPM(64M) 이 적합하다.

    그보다 소음이 좀 적었으면 한다! 하는 사람들은 5400RPM 제품을 사면 된다. 물론 조금 느리긴 하다만 큰 차이는 없다.

    현재 500GB하드가 5만원대를 형성하는 반면 1TB는 6만원대이므로 1만원만 더 투자하면 용량이 두 배가 되기 때문에 1TB를 사는게 가성비가 훨씬 좋다. 물론 자신이 그 만큼 쓰질 않을게 확실하다 하면 500GB만 사도 좋고.

    성능은 이론적으로 용량이 클수록 빠르다. 플래터의 데이터 밀도가 좁아져 더 적은 헤더의 움직임으로도 원하는 자리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500GB와 1TB의 하드는 약 50MB/s 정도 차이가 난다.

    구글의 2005년 1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서버팜에서의 HDD손실량 보고서에 따르면 초반 3개월 내에 고장나기 쉽고 만약 사용 6개월을 넘겼다면 3년, 3년을 넘겼다면 그 이후로도 문제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하드디스크의 RPM(회전수),버퍼메모리가 높을수록 빠르며,보통 5400.32MB(느림)7400.64MB(보통)10000.128MB(빠름)정도 이다 다만 그렇게 체감이 나지 않으므로 굳이 연연할 필요는 없다. 용량이 깡패

    장점: 고용량, 가격 대 용량비가 높다. 즉 싸다 (1TB가 8만원정도)

               단점: 물리적 충격에 취약하며, ssd에 비해선 속도가 느리다, 소음 발생

    1. SSD (슈밤 속도 돋네 / Solid State Drive)

    SSD는 일반 하드와 달리, 플래시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접근 시간도 빠르며, 속도도 빠르다

    쉽게 생각하면 SSD는 여러분의 휴대전화에 들어가 있는 micro sd카드 수십개를 연결해 ‘컨트롤러’라는 장치로 묶어 놓은 것이다. Micro SD카드가 SSD랑 같은 메모리를 씀에도 불구하고 SSD보다 훨씬 느린 이유가 이 SSD의 컨트롤러때문. 샌디스크 익스트림같은 일부 마이크로 SD카드는 SSD용 컨트롤러를 쓴다지만.. 그러면 가격이...마이크론, 샌디스크, 플렉스터, 삼성 등 여러 업체가 SSD를 만들고 있으며, 각 회사마다 스펙이 달라지므로 잘 보고, 신중히 선택하여야 한다. 샌디스크와 플렉스터가 가성비 좋은 제조사로 알려져있다.

    SSD가 정말 꼭 필요한가? SSD가격이 많이 내려간 지금도 이 문제는 의견이 갈리는 떡밥이다. 하지만 대체로 “SSD는 써보기 전까지는 사치품, 써보고 나면 필수품” 이라는 명언이 정설로 통한다.

    TLC 플래시칩과 MLC플래시칩에 대한 논란이 분분하나 실험등으로 인해 일반인은 TLC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해도 10년은 버틴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사실상 큰 의미는 없다. 하지만 같은가격이면 MLC가 더 좋아보이는것은 사실.

    장점:  고속, 충격에 강하며, 소음 이 없으며(가끔 전자의 스핀소리듣는분도.. 물론 들을수 있다면 인간이 아니다.)전력 소비량이 HDD에 비해 월등히 작다.

    단점: 저용량, 가격 대 용량비 ↓, 일반적 하드에 비해 비싸다. 게임 로딩화면이 너무 빨리 지나가서 팁을 읽을시간이 없다. 윈도우 부팅시 드래곤볼 모이는걸 볼수없다. 물론 환영한다는 메세지도 읽지 못한다.

    1. SSHD

    SSD와 HDD의 짬짜면, 혹은 양념반 후라이드반

    원리는 HDD의 캐시메모리를 SSD를이용하여 속도를 향상하는 방법이다. 속도도 생각외로 빠르고 괜찮다는 평이지만 문제는 역시 수명.

    초기모델과 현재 일부모델은 SLC 지만 거의 MLC 방식이며 SSD가 MLC쪽이 좋다하여 이쪽도 그런것은 아니다.

    원리는 프로그램을 불러올때 SSD낸드플래쉬를 통해 불러오는방법이다. 고로 수명이 무진장 짧다. 하드디스크 액세스 형식으로 SSD를 사용해버리니...

    그나마 용량이 굉장히 클수록. SLC방식일수록 수명이 기니 굳이 사용해보고싶다면 SLC방식의 512GB이상 구매를 권한다. 그냥 구매 하지말자.

    SSD와 HDD의 장점만을 모았다고 하지만…. 그런거 없다. 착한 컴게인들은 SSD 하나와 HDD 하나를 사자. 요새는 거의 버려졌다. 아수스의 노트북 일부는 아직도 탑재중이다. 24gb가지고는 최신 버전 윈도우 깔기에도 벅찬데 대체 왜 집어넣은거냐

    1. ODD

    삼성보단 LG의 ODD가 소음면에서 낫다고 한다. (백색가전과 모터달린건 럭키금성(LG)이 진리다)

    사실 요즘은 씨디 사용율이 줄어들고 윈도우도 USB로 설치가 가능해 ODD는 안다는게 추세다. 안달았다가 필요하면 USB 외장형으로 사서 쓰면 된다.

    당연히 ODD 사용율이 크다면 사는쪽이 더 편하다.

    (usb 외장형은 cd를 넣을수 있는 장치를 컴퓨터에 usb로 연결하는 것이다)

    1. 파워서플라이

      1. 파워의 역할

    파워서플라이는 인체의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서, 가정용 교류전기를 컴퓨터가 쓸수 있게끔 직류전기로 변환하여 주는 역할을 도맡는다. 때문에 파워서플라이는 돈이 많이 들더라도 투자를 많이 해주는것이 좋다.파워는 파워 용량의 50%정도 사용할때 가장 효율이 좋다.

    기본적으로 파워는 100와트당 1만원정도는 써야 괜찮은 물건이 나온다. 물론 정격 용량이 늘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사실. 500W 이하에서는 100W/1만원 정도.

    컴게에서 많이 논란이 일고있는 뻥파워는 두가지의 의미로써 사용되고 있는데 말 그대로 터진다는 의미의 뻥파워와 출력을 속였다는 의미에서의 뻥이라는 의미가 사용된다. 터지는 의미의 파워는 천궁을 생각하면 좋다. 앞에서 서술했듯이 파워는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중 하나이다. 뻥파워 사용시 파워 본인만 사망하는경우는 잘 없다. 대부분 다른 부품과 동반자살시도 (뻥파워만 돌아가셨다면 로또를 해보자) 고급형 파워는 터질확률이 거의 없다고 봐도되고 터진다고하더라도 안정적이게 혼자 터진다. 살신성인돋네

    http://todayhumor.com/?humorbest_393675 이 꼴이 날수도 있다.

    파워렉스는 뻥파워축에 속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쓰레기 같은 기업마인드로 파레기라 불리며 대부분 커뮤니티에서 보이콧되는 추세다.(골든샘플문제가 대표적예시)

    1. 모듈러121013_0919_Waterpipe3.jpg

    위 사진은 탑파워의 세미모듈러. 위 모듈러 처럼 LED가 장착되어있는 모듈러도 많다.

    모듈러는 일반적인 파워서플라이와는 달리 직접 원하는 선만 연결해서 쓸수 있기 때문에 선정리의 유용함이 있다.


    아래는 풀모듈러 파워. 상당히 고급형이며 대부분 출력이 800W이상인 제품들이다.

    물론 가격도 출력만큼 비싸다.. 대신 세미모듈러와는다르게 24핀전원선 마저 모듈러화 되어있다. 929b350e42d74a57da56da557c830275.jpg

    남자의 로망 합체!

    1. 신뢰성있는 파워 제조사

      1. 탑파워(TOPOWER) 토파워같은건 기분탓이다

      2. 마이크로닉스

      3. 슈퍼플라워

    슈플 제품에서도 N, SE가 붙은건 하위제품이라 안좋은건 아니고 보급형이다. 대신 잘만 500LE 이런애들보다는 좋으니 예산이 너무 빡빡할때 쓰면 좋다.

    ‘N’, ‘SE’가 붙은 슈플 제품은 슈플로 안쳐줍니다/

    1. 3R Systems

    단AK 시리즈 제품 한정.

    1. Antec

    2. Enermax

    3. 커세어★★★★★ 허세어

    중세시대에 해적선의 파워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프로토스에 납품중에 있다.

    하지만 UED와 프로토스의 무역협정에 의해(?!) 프로토스에 납품되는 제품은 지구에서 구하기가 힘들며 시소닉 등에서 OEM생산하고 있다.1301595398725.jpg

    믿으면 골룸

    만약 프로토스 납품중인 진퉁을 구한다면 주저하지말고 써라!

    지구에 정식유통되고 있는 제품중에는 AX,HX,GS,CX시리즈 등이 있다.

    물론 가격은… 답이 없다. 검색을 해 보자.

    1. 시소닉 (보잘것 없는 커세어 납품업체)

    그래도 최상위 명품군에 속한다.

    1. 잘만

    사무용견적에 400LE가 자주 쓰인다. 일부 고주파가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

    1. 인윈

    84%의 효율의 500w파워가 최근까지 3만원대였으나 갑자기 인기가 솟아 4만원대로 올랐다고 한다. 그래도 인윈은 믿을 수 있는 브랜드고 4만원대여도 충분히 좋은 가성비이다.


    이 외에도 여러 좋은 파워를 생산하는 기업은 다수 있지만, 그 수가 너무 많아 생략한다.




    1. 컴게에서 파워 서플라이를 추천해 달라고 하면 베스트로 간다 카더라.. 파워를 추천해 달랬더니 베스트로 가버렸어요.. 사실 요새는 노리고 허접한 개드립을 치다가 보류로 가는일이 더 많다



    1. 80plus인증80sta.jpg80bro.jpg80sil.jpg80gol.jpgplatinum.giftitanium.gif

    20140227_212525.png

    파워서플라이가 사용하는 전력효율을 등급으로 매겨놓은 것이다, 예를

    들어서 100W의 전력소모량을 가진 파워의 효율이 90% 일때 90W의 출력 을

    낼수있고,84%일때 84W 정도의 효율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10%

    의 출력만 사용하는 구간,50%의 출력만 사용하는 구간 에 따라, 전압에

    따라서 효율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는 브론즈 정도의 제품만 사도 전혀 문제는 없다.


    1. 케이스

      1. ATX

    가장 일반적인 미들타워 이상 급 규격의 케이스.k112578p1n1_59_20121205180503.jpg

    1. M-ATX1338128488_thumb.jpg

    보통 슬림형의 케이스가 이쪽 분류에 들어간다고 할수 있다.

    이 규격의 케이스 부터 파워서플라이의 규격도 M-ATX로 맞춰야 하니 주의할것.


    1. 베어본(ITX)/일체형 피씨lianliPCQ07csm.jpgever.jpg

    왼쪽이 ITX 형식의 케이스 , 오른쪽이 일체형 피씨.

    일체형 피씨같은 경우에는 디자인 하나만을 목표로 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쿨링이나 성능을 놓치고싶지 않다면 구입하는데에 주의를 요한다.

    ITX 형식의 케이스나 일체형 피시 같은 경우 , 크기가 작은 관계로 부품의 교체를 하지 못하거나 매우 제한적이다.


    1. RTXColorful-Intros-Reversed-Technology-eXtended-Case-3.jpg

    일반적인 케이스와는 다르게 역방향(보통 cpu가 상단에 배치되어있고, 그래픽카드나 사운드카드를 꽃는 PCI 슬롯이 밑으로 향하게 메인보드를 장착한다. 위 사진의 경우 CPU가 밑에 설치되어있는게 보인다)으로 설계된 케이스이다. 쿨링효율이 더 좋다고 한다.

    1. 쿨러

      1. 수(水)냉


    a.일체형 수냉쿨러


    2_minjung402.jpg

    ▲(일체형수냉 커세어 H100)

    b.커스텀 수냉rog-tj11-mod-41.jpg

    수냉은 오버클럭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주로 쓰는 쿨러형식 이다. 위 사진a.에 보이는대로 비싼 가격대를 유지하는 편이다.

    (물론 수냉보다 비싼 공랭 쿨러도 있다. 써멀라이트社의 SilverArrow SB-E라던지...)

    1. 공(空)랭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

    대부분의 쿨러는 이 방식이다. 팬이 달려있으면 그 팬은 100% 공랭을 위한 것이다.1021471_2.jpg

    1. 유(油)냉(맛있는 컴퓨터 튀김)_Mineral_Oil_Submerged_Computer_1.jpg

    미네랄 오일같은 열전도율이 높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기름을 사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하지만 장점보다 단점이 많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장점: 매우 조용함, 외관이 좋음수족관, 쿨링능력 개선

    단점: 하드같은 경우는 이물질이 들어가면 안돼서 하드를 빼고 작동해야 한다. 어차피 같은 탱크에 오래있으면 오일의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레귤레이터가 장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업그레이드시 극악의 귀찮음을 느끼게 된다. 손에 기름 묻고... 게다 중고판매까지 어렵게 만든다.해체/재조립할려고 하면 토나온다…

    게다가 밀봉이 제대로 안되면 오일에 습기가 차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일에 물이 섞이는데… 망했어요


    1. 모니터

      1. 패널

    IPS

    LG디스플레이 에서 개발한 디스플레이 패널.  준수한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색감, 저전력 으로 인기가 많다. 흔히 알고있는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IPS패널의 일종인 AH-IPS 패널을 사용한다.

    명암비가 다소 다른패널보다 딸린다. 다만 A급 이상의 패널을 사용하고 보드가 고급형인 제품의 경우 크게 눈에 띌만큼 명암비가 떨어지는 모습은 없다. 대신 가격이 상상을...

    IPS라고 모두 좋은 패널은 아니고 중소기업제품이라던가…  C급 패널을 사용하고..(여러분이 흔히 쓰는 2-30만원대의 모니터는 B급 패널이다.) 게다가 보드에 노이즈캔슬링이라는 개념조차 없는 제품도있다. 그로인해 빛샘현상 보라돌이 과도한 회색(검은색 표현이 거의 회색에 가깝다카더라)등이 문제가 될수있으니 듣보잡회사의 IPS패널을 구매하지 말것.

    VA

    넓은 광시야각, 풍부한 색재현력, 어떤패널도 따라올수없는 굉장한 명암비,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 되겠다. 따라서 그림을 그린다던가 사진을 작업한다던가 하는 사람에게 좋은패널이다.

    다만 응답속도가 매우. 아주. 병맛이다. 게이밍용도로 사는거라면 그만두도록 하자.

    PLS

    삼성에서 개발, 광시야각, sRGB 기준 99% 색재현율 등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다. 주로 갤럭시 탭(노트) 또는 삼성 고급형 모니터 라인업에 사용된다. 사실상 IPS와 동일기술. 단순히 액정의 배열의 차이만 있을뿐이다.

    TN

    빠른 응답 속도와 낮은 전력 소모가 장점이지만 좁은 시야각이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일반적인 유저도 'TN 패널 = 후지다'라는 인식을 갖게 된 관계로 요즘 이 패널을 사용하는 모니터의 십중팔구는 광고에서 TN 패널이라고 표기를 해두지 않는다. 가격이 저렴하고 시야각이 160~170 정도로 표기되어 있다면 '이 녀석이구나' 하자. 사실 TN패널에도 품질 편차가 적지 않은데, 괜찮은 품질의 TN 패널은 주로 LCD 모니터에 쓰이고, 저질의 TN 패널은 노트북에 쓰인다.

    1. 해상도

    HD(1280*720)

    불과 몇년 전까지 대부분의 모니터가 이 해상도였다. 요즘도 사무용으로는 많이 쓰인다. TV도 대부분은 이 해상도.

    FHD(1920*1080)

    일반적인 다수의(보통 23,24인치) 모니터에 지원되는 해상도

    WQHD(2560*1440)

    720p 짜리 영상을 동시에 4개 틀수 있다! 쿼드야ㄷ..

    4K QHD(3840*2160)

    1080p 즉 FHD영상을 최대 4개 동시에 감상가능하다. 쿼드풀야ㄷ..

    작업환경이 굉장히 넓다.

    기타해상도

    1. 바이패스방식과 AD방식

      1. AD방식의 경우에는 모니터에 AD보드가 포함되어 있고 바이패스는 그래픽카드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그대로 보여준다. 쉽게 말하면 본인의 그래픽카드가 바이패스를 지원하면 무엇을 사든 상관이 없다.

      2. 싸구려 AD보드보다는 바이패스가 좋은경우가 많아서 오픈프레임 모니터라든지에는 바이패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 바이패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AD보드가 포함된 모니터보다 싼 경우가 많다.

    2. 입력단자

    HDMIMC838_AV2.jpg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약자로서 디지털 영상과 오디오데이터 모두를 한번에 송수신 가능한 규격입니다. 영상케이블과 오디오케이블 2개 대신 1개의 얇은 케이블로 모두 대체할 수 있어 콘솔이나 노트북등을 연결할때에 폭넓게 쓰입니다.

    D-SUB(RGB, VGA(Video Graphics array))na1356832395.jpg

    모니터를 연결하는 아날로그 단자입니다. LCD모니터의 경우 화질열화가 일어나니 다른 디지털식 단자로 변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DVI200px-DVI_Connector.jpg

    모니터를 연결하는 디지털 단자입니다. 디지털이니만큼 D-SUB케이블에서의 화질열화가 없 어 LCD모니터에서 깔끔한 화질을 보여줍니다.


    img_01.jpg

    최신규격 디스플레이 포트입니다. 줄여서 DP포트라고도 합니다. HDMI의 대체규격으로서 HDMI보다 고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나 데이터송수신또한 겸합니다.


    DockPort1392877025_g4CvNJVn_EC9DB4EBAFB8ECA780_28.png

    AMD에서 개발한 신형 전송 규격이다

    잠시 광고 듣고 가시죠!

    http://youtu.be/hjOg0z2XzPE


    1. 부가기능

    틸트

    화면의 각도 조절기능

    피봇

    모니터를 90도 회전하여 작업 중인 화면을 보다 길게 볼 수 있도록 해 줍니다.

    피봇기능이 포함된 모니터는 엘리베이션이 포함되있다.

    PiP

    Picture in Picture의 머릿글자를 딴 말.  tv겸용 모니터에 주로 포함되어 있는 기능이다. pc작업을 하면서 tv를 볼 수 있다


    PiP_TV_monitor.jpg

    그림3. PiP 기능의 예시


    1. 색재현율

    높을수록 더 많은 색역을 표현 가능하나, 현재 72%색역이 표준임에 따라 100%광색역 모니터등의 경우는 색이 과장되어보이는 현상이 일어난다. 72%모니터가 현재는 가장 정확한 발색을 보여준다.

    광색역 표준이 새로 지정되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1. 주변기기

      1. 마우스


    1. 유선 일반 마우스

    그냥 마우스다. 휠 + 버튼형식의 간단한 작동구조로, 가격도 싸다Cap 2014-02-26 23-26-22-921.jpg

    ▲일반 마우스의 예시


    1. 게이용 마우스

    마우스에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한 게이밍용 마우스.

    보통은 LED가 박혀있고, 3점사 버튼이라든가… DPI 조절 버튼이라든가, 무게추를 이용한 무게 커스터마이징 기능이라든가

    일반 마우스에 비하면 화려하고, 가격도 그만큼 비싸다.Cap 2014-02-26 23-27-13-489.jpg

    ▲게이밍용 마우스의 예시


    1. 무선마우스Cap 2014-02-26 23-23-26-169.jpg

    2.4GHz의 대역폭을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며, USB 리시버를 본체에 꽂아 사용한다. 선이 없어 디자인이나,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단 장점이 있지만 건전지로 작동되어 유지비가 들고,  전파가 끊길수도 있고, 무선 특유의 딜레이로 게이밍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로지텍과 여러 마우스 회사의 외계인 고문으로 현재는 유선과 체감 불가능한 차이로 무선마우스를 내놓고 있다. 실제로 로지텍은 자사의 상위 게이밍 마우스를 무선으로 발매하고있다.일부 마우스는 충전식으로 작동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배터리의 수명문제가 심각한데다가 마우스는 건전지를 얼마 사용하지 않아서 대개는 그냥 건전지식을 선호한다. 그냥 3개월에 한번 굴러다니는 건전지 갈아주는거랑 매일 충전독에 끼웠다가 배터리 수명 지나면 AS하러 가야하는거랑 어떤게 더 편할지. AS조차 안된다면?





    1. 키보드

    1.기계식

    1. 청축청축.gif

    ▲청축의 작동 방식


    가장 대중적이자 기계식키보드하면 가장먼저 연상되는 축. 클릭형식의 키보드라서 찰칵찰칵하는 특유의 소리가 나며, 키압도 적당한 수준이라 찰진(?) 타이핑이 가능합니다. 입문자들에게 추천한다.

    다만 키압이 일반 키보드에 비해선 높아 피로가 쉽게 축적되고, 기계식 키보드 특성상 굉장히 시끄럽다. 공공장소에선 타이핑하면 시끄러울 정도.


    1. 갈축갈축.gif

    ▲갈축의 작동 방식


    청축과는 다르게 넌클릭 형식의 키보드. 다른 축과 달리 구분감이 있고, 키압도 적절하여 타이핑하기엔 좋은편. 다만 멤브레인 키보드와 느낌이 비슷하여 “이거 기계식 맞아?” 하는 느낌을 가지실수 있음. 심지어는 돈낭비 하셨다는 분도 계십니다…

    이건 매니아들만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입문자에겐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청축보단 소음이 적고, 키압이 청축과 비슷하며, 구분감이 있어 어색하지 않아 좋습니다

    1. 백축백축.gif

    ▲백축의 작동 방식


    갈축처럼 넌클릭 형식의 키보드입니다.

    전반적으로는 갈축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으나, 갈축과는 비교가 안되는 무시무시한 MSI MSI한 키압으로 이 백축을 처음 만나시는 분들은 상당히 버거워합니다.

    요즘에는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1. 리니어

      1. 적축적축.gif

    ▲적축의 작동 방식


    리니어 형식의 키보드입니다! GIF파일을 허시면 클릭/넌클릭/리니어가 어떻게 다른지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실겁니다.

    소리는.. ‘찰칵’ ‘두둑’ ‘서걱’ 의 차이라고 해야하나요?

    기계식 키보드 중 가장 키압이 낮습니다!

    게다가 클릭/넌클릭처럼 걸리는것 없이 슈욱 내려가기 때문에 손에 무리가 가장 덜 가는 축이기도 하죠.

    구름타법이 가능한 키보드입니다! 즉 반만 눌러도 키가 입력됩니다. 그만큼 반응속도도 빨라 좋습니다. 다만 구분감이 적어 손 얹고 있다간 막 잘못 누르는 경우도 생깁니다

    키압이 낮고 걸리는 느낌이 없는 리니어방식이기 때문에 FPS게임등에 흑축과 같이 유리한 방식중 하나입니다

    흑축보다 신속한 입력을 필요로 하는 게임에는 더 좋습니다



    1. 흑축흑축.gif

    ▲흑축의 작동 방식


    적축과 마찬가지로 리니어 형식의 축입니다. 스펙상 가장 높은 키압을 가진 키보드라 처음 접하는 부분은 어색하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번째로 키압이 강한 백축이 더 누르기 버거운데, 이유는 넌클릭의 경우 구분감이 있는 순간 조금 더 힘이 들어가게 되는 반면, 리니어의 경우 누르면 슈욱 하고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구분감 없고 키압이 높아 게이밍에 적합합니다


    설명/움짤 참조:http://juric.tistory.com/m/5




                                   2. 진리의 정전용량 무접점식

                                               


                                                a.리얼포스

    일본의 토프레사가 만드는 키보드입니다.

    정전용량 무접점식  키보드중 가장 유명한 키보드중 하나입니다. 개당 가격이 기본 30만원대에서 시작할정도로 매우 비싸지만 게이밍 타이핑 모든

    상황에서 매우 좋은 키보드입니다

                                             

                                                b.해피해킹

    주로 리눅스사용자들과 프로그래머들에게 최적화된 키보드입니다.

    키 배치또한 매우 독특해서 일반 윈도우 유저에게는 불편할 때 도 있습니다. 그놈의 변태키배열프로그래머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 기타


    1. 멤브레인07.jpg

    멤브레인 키보드는 손가락으로 키를 누르면 키캡에 달린 스위치가 아래 부분의 러버돔을 누르게 되고, 이 러버돔이 키보드 본체의 PCB 회로판 접점에 닿아 해당 키의 입력신호가 전달되가 하는 방식이다.

    1. 펜타그래프penta.jpg


    노트북에 주로 사용되는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로, 굉장히 두께가 얇다는게 큰 특징이다. X자형 지지대를 사용하고 있어서 키캡 크기가 일반적인 멤브레인 키보드의 ½ 수준으로 줄어 얇다. 디자인 때문에 여성 사용자층의 인기가 많지만, 키감이 부족하고,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설명 참조: http://blog.naver.com/me1star/10128251770


    3. 플런저plunger.jpg

    멤브레인의 변형판.  멤브레인에 플런저라는 이상한 구조물, 프레임, 전용 러버돔을 이용해서 만든다.

    기계식 갈축이나 흑축과 멤브레인 중간의 키감, 소음, 가격을 가진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일부 플런저 축은 체리mx축용 키캡 사용이 가능하다.


    여담. 원래 기계식 키보드가 멤브레인보다 구식의 방식이다. 멤브레인이 더 싸고 많이 유통되어 대부분이 사용중일뿐이고… 기계식의 특유의 키감때문에 기계식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있다. 가격의 최저 6만원선 정도부터 시작하므로 키보드치고는 값나가는편.


    다. 랩탑

    1. 제조사

      1. 므시 므시한 가성비의 MSI

    게이밍용 랩탑 판매사로 유명하다. 한때  가성비의 1인자로 군림했었으나 한성에게 밀렸다. 저가형이든 고가형이든 일단 준수한 가성비가 돋보인다. 다만 AS센터는 용산에 한곳이기때문에 지방에 거주중이라면 약간 곤란하다.

    1. 한성컴퓨터

    가성비파괴자. 절대자. 가성비하나로 전부 씹어먹는다.유명한 인민에어의 제조사.

    다만 마감이 좋지못하다는게 일반적인 평이다. 보스몬스터 계열과 일반 저가형 계열은 서로 다른곳에서 발주를 받는데 보스몬스터 계열쪽은 마감이나 불량율이 저가형 계열보다 낮은편이긴하다. 이쪽역시 AS센터가 용산 한곳뿐이므로 AS가 문제될것같다면

    구매하지말자. 지방에선 택배로 AS 가능하긴하다. 그래도 가성비가

    너무 좋아 AS 를 대부분 신경쓰지않는다. 삼성컴살돈이면 걍 이거 쓰다 버리고 하나 더살돈.

    그래도 AS가 아주안되는건 아니니 버리진말자.

    1. ASUS

    한때 가성비 좋았던 대만의 제조사. 므시나 한성 하씨 등의 미친 가성비 제조사때문에 나쁜 가성비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비싸보인다. 이건 솔직히 한성이 마감이랑 가격이랑 등가교환한거잖아 마감이 상당히 뛰어나다. 같은 대만기업인 Acer와 비교많이아주 된다. 한국에 100개이상의 서비스센터를 보유하며 AS질 또한 괜찮은 편이다.(대부분은 외주형 AS센터고 정식AS센터는 서울시 용산구에 하나있다..대부분 이쪽에 택배로 AS보낸다) 외산 노트북중 HP와 더불어 가장  무난하다고도 볼 수 있다. AS좋고 가격도 꽤 괜찮고 저가노트북회사와 다르게 마감과 만듬새 내구도등이 뛰어나니. 또한 고급형라인들도 상당히 잘나와있다.

    1. HP

    가성비는 그럭저럭. 사실 대부분 좋지못하지만 좋은 제품이 하나둘 끼어있다. ASUS와 마찬가지로 국내에 AS 센터가 꽤나 되는편. AS 질문제로 한동안 대차게 까였었으나 그이후 서비스 개선을 하였고 그럭저럭 봐줄만한 수준이 되었다. 마감도 꽤나 훌륭한 편이지만 유격이 있는 제품이 상당수 있는듯.

    1. 레노버

    일명 빨콩으로 유명했던 제조사. 노트북 정중앙에 빨간색의 마우스

    트랙볼이  있었기때문에 빨콩으로 유명했다. 터치패드보다 편리하다.하지만 초보들은 처음에 적응하기 힘들수도.가성비는 나름 괜찮은편이지만 고가형으로 갈수록 별로 마음에 차지않게된다. 중.저가형에선 우수한편. 라인업으론 게이밍쪽인 씽크패드, 울트라북 계열인 아이디어패드 이렇게 나뉘었으나… 요샌 씽크 엣지 라던가 라인업이 뒤죽박죽이

    되버려 의미가 없다.마치 팬택을보는거같다. 그냥 사양보고 적당히 고르도록하자.

    이쪽도 AS 센터가 국내에 꽤 있는편이다.

    1. Hasee, Acer

    가성비로는 한성에 버금(사실 더 좋다)가는 가성비 파괴자. 다만 AS도 파괴한다 (...)

    국내에 AS센터가 없다.. 노트북 고장 안낼 자신있다면 구매 해보자.

    에이서는 창업자가 공식석상에서 직접 혐한발언을 한 적이 있다.

    1. 도시바 또 시x!

    가성비는 좋다고는 못한다. 마감도 문제가 꽤나 많은편이고 AS에있

    어서 굉장히 혹평이 돌고있다. 정말 질낮다. AS 안된다고 보는게 편

    할정도… 괜히 또 x발! 이라고 불리는게아니다.

    가성비도 그다지 좋지 않고 AS도 그다지 좋지 않으니 피하자

    1. 애플

    흔히 아는 감성노트북.

    맥판매업체다. 가성비는 따지지말자. 맥은 가성비보고 사는거아니다.

    1. 소니

    소형노트북에 특화되어있다. 다만 가성비는 최악이다… 쪼그마하고 가벼운데 성능은 괜찮다. 다만 가격이…. AS센터는 그래도 어느정도 존재한다.(근데 소니가 이번에 PC사업부 매각해서 더이상보기힘들거같다.)

    1. Dell

    가성비는 기대하지말자..

    다만 월드워런티라던가 AS는 기대이상의 질. 노트북 마감이나 디자인도 상당히 이쁜편. 특히 성능상으론 절대자의 위치에있다.

    또한 저 워런티가 상당히 무시무시한데 가입기간안에는 노트북의 잔해를 가져올수만 있으면 그냥 다 고쳐준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노트북이 떨어지더라도 잔해만 잘 수거해가면 고쳐준다.

    노트북 생명 연장의 꿈.

    델 에일리언 웨어면 웬만한 데스크탑은 씹어먹고도 남는 노트북을 가질수있다. 다만 가격이 최소 200….부터 많게는 1200만원까지…

    그냥 데탑을 들고다니는게 나을정도의 가격.

    그냥 데탑에 줄매달아서 매고 다니자.

    1. 삼성,LG등의 국내 메이커

    솔직한 평으론 가성비는 매우 안좋은수준. 국내메이커를 고르는 경우는 대부분 AS가 주 목적이기때문에 혹은 아빠가 삼성엘지사래요..  가성비를 보고 삼성 LG 를 구매하는 사람은 극히 드문편. AS는 동네 어딜가던 있는 삼성 LG 서비스 센터로 가면 된다.

    이 점때문에 가성비를 포기해서라도 국내메이커 노트북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꽤 있는편이다.

    1. 액세서리

      1. 노트북용 쿨러

      2. 노트북용 스킨

      3. 가죽 파우치등의 케이스

    2. 구매팁

    노트북은 데스크탑과 다르기 때문에 특히 그래픽쪽의 성능이 데스크탑에 비해 많이 불리합니다. 고사양 게임 풀옵션이나 극한의 성능을 노트북에서 추구하는 것은 다시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절대성능또한 데스크탑에 비해 많이 떨어지며 특히 가격면에서 2~3배의 가격을 투자하고도 한참 모자라는 성능을 낼 때가 많습니다.





    라.태블릿    

    1. 아이패드                          

                            애플사의 아이패드입니다. 장점으로는 막강한 OS완성도와 강력한 앱                 

                           생태계를 자랑합니다.

    1. 안드로이드 태블릿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OS를 내장한 태블릿입니다. 장점이라면 저렴한 가격대를 들 수 있겠는데, 넥서스7은 299달러에 7인치 풀 HD 쿼드코어 태블릿을 얻을 수 있으며 중국제 태블릿의 경우는 더욱 자비가 없는 가격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OS의 완성도나 앱 생태계 면에서 아이패드 시리즈에 비해 많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1. Microsoft Windows RT/Pro태블릿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계열 OS를 탑재한 태블릿계열이다

    삼성전자의 아티브,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 LG의 탭북, ASUS의 TransformerBook시리즈등이 있다.

    장점이라면 윈도우특유의 강력한 프로그램과 강력한 퍼포먼스

    대개 인텔의 I5이상급의 프로세서를 내장한다. 베이트레일 아톰을 장착하여 극대화된 배터리를 제공하는 기종도 있다.(요즘 아톰 프로세서는 나쁘지 않다. 써보는걸 추천한다)

    여러모로 생산성에 집중했다. 그덕에 소비용도로는 안드로이드나 아이패드에 비해 좀 딸리는 편.


    마. 질문 에티켓



    1. 견적 질문:

    1. 업그레이드 질문시 자신의 컴퓨터 사양을 파악하고 글에 첨부하여 올린다. (http://todayhumor.com/?databox_26610 CPU-Z로 사양 확인 하는법)

    2. 원하는 가격대와 용도를 구체적으로 적는다.

      1. 견적 가격대를 이야기할 때, 키보드, 마우스, 운영체제 등은 제외한다.

      2. 가격 상한선을 확실히 정한다.(ex80만원대의 견적을 받고싶습니다)

      3. 주로 사용하는 게임(ex배틀필드4)/프로그램(어도비 인디자인, 오토캐드) 제목이나 자주하는 작업(2D 일러스트/ 3D 메쉬, 폴리곤, 텍스쳐) 등을 명확히 이야기한다.

      4. 주의할점은 ‘게임을 가끔해요.’ 라는 말은 하지말자. 가끔한다고 그 게임 요구사항이 줄어드는것이 아니다. (평소에 던파만 하다가 가끔 배필4 를 한다고해서 던파용 견적을 맞춰줄 수 는 없는 문제다..)

    3. 인터넷에 컴팔이들이 많다 그들이 올린 견적이라도 들고와서 수정요청을 하자. 아무것도 들고오지 않고 처음부터 다짜고짜 견적을 뽑아달라고 하는 행위는 컴게분들의 혈압을 올리기에 딱 좋다

                     d.    컴퓨터게시판(일명 “컴게”)에 견적을 만들어 주시는 분들은 어떤 “보상”을

                            바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감사하다고 말하지는 못해도 글을 삭제 하지는

    말자. 기껏 열심히 댓글 수십개 달아가면서 견적짜줬더니 글삭제하고 튀면 한동안 컴게에 답변을 해주기 싫어진다          


    1. 컴퓨터 문제 질문

      1.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다음의 과정을 거친 뒤 질문글을 올리도록 한다.

      2. 경건한 마음으로 목욕재계(?)를 한다.

      3. 제일먼저 구글에 검색부터 한다. 세계, 심지어 우리나라만 해도 컴퓨터 사용하는 사람은 엄청나게 많다. 당신에게 생긴 에러는 95% 다른 사람에게도 생긴적이 있을것이다. 현상이나 정확한 에러메시지를 검색하면 블로그등에서 다른사람이 작성한 해결법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4. 질문을 할때는 항상 생각을 정리하고 고장나기전에 바꿨던점, 고장증상, 정확히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한다. 작성후에 먼저 한번 읽으면서 제3자가 읽어도 쉽게 이해 가능한지 확인하자.

               블루스크린.jpg

    1. 블루스크린의 경우 위의 사진처럼 붉은 박스안의 코드가 에러코드인데 보통의 경우 이 에러코드만 검색하여도 해결방법이 무수히 많이 나오며 마이크로소프트 공식홈페이지에는 이 오류코드에대한 해결법이 전부 존재한다. 가서 검색해 보도록 하자 (물론 해결방법이란게 메모리를 갈아버리세요! 이런것도 많다..)



    바. 간단한 문제 해결하기


    1. 컴퓨터 문제 중의 대부분은 먼지와 발열로 일어납니다.


    1.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블루스크린 발생시 대처법: 우선 하드웨어 부분인지, 소프트웨어 부분인지를  먼저 판단하시면 됩니다.

    일단 빨간색 부분을 구글 검색창에 검색합니다.


     크기변환_g2.jpg

    그림4. 블루스크린


    저 상황은 NV4_disp.dll 이라는 곳이 문제인데요.


    단순히 드라이버 충돌이나, 과열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방법은 2가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뉜다고 했었죠.


    하드웨어는 제일 첫번째로 발열을 들 수 있습니다.


    컴퓨터 중에 발열이 심한 부분은 그래픽카드, CPU,메인보드 전원부, 파워서플라이, 하드디스크 입니다.


    -아래는 부품별 온도 체크 할 수 있는 유틸리티

    그래픽카드 = GPU-z, Trixx, 애프터버너 등 95도까지 정상온도.

    CPU  =  코어템프 95도까지 정상온도

    메인보드/B  = HWinfo 50도까지 정상

    하드디스크 =  50도까지 정상 그러나 사실 하드디스크 온도는 체크할 일이 없다


    등으로 발열 정도를 체크하시면 되겠습니다.


    온도가 높다면 써멀을 재도포 하거나, 쿨러를 교체하는 방법이 있겠죠.


    소프트웨어 문제라고 생각된다면,


    시점을 잘 보셔야 합니다.


    1. 평소에 잘 되던 애플리케이션인가?

    2.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했던가?

    3. 이 앱을 실행하기 전 마지막으로 했던 행동이 무엇인가?


    그래픽은 흔히들 이전 드라이버를 그냥 덮어씌워서 업데이트 하시는데 그러면 안됩니다.


    이전 설치파일 눌러서 삭제 진행했다가,


    새 드라이버 설치하셔야 합니다.


    보통은 드라이버 버전 교체로 돌아오곤 합니다.





    4. 사촌동생이 툭 쳤는데 컴퓨터가 꺼졌어요!! -> 램 재장착 및 지우개 신공: 램이나 그래픽카드의 단자에 눈에 보이지 않는 산화막이 생겨 접촉 불량이 일어 날 수 도 있다. 이때 그래픽카드와 램을 제거하여 금색 단자를 지우개로 깨끗히 닦아준 후 다시 꽂아보자.

                                      


    1. 하드디스크 노후화나 배드섹터 등으로 하드가 손상된 경우를 확인 할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 경우 PC가 느려지거나 멈춤현상이 있을수 있습니다.[프리징]

    2. GMHDDSCAN : http://www.gmdata.co.kr/gmtools/hddscan.html 공식 홈페이지

    3. GMHDD로 확인 후 배드섹터에 대한 치료법

      1. 물리적 배드섹터와 비물리적 배드섹터로 나뉘지만 물리적 배드 섹터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고칠수가 없습니다. [하드를 바꾸기전 자료 백업등을 하고 하드를 교체 하셔야 합니다. 물리적 배드섹터인 경우가 발생하려면 하드디스크를 강한 충격등을 주어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2. 비물리 [논리적 배드섹터] 시에는 일반 적인 포멧 말고는 로우 포멧이라 하여 따로 로우포멧 툴을 받으셔서 하셔야 합니다. 로우 포멧 방법은 추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1. 컴퓨터가 안켜져요 / 켜졌다가 그냥 꺼져요

      1. 우선 트러블란의 글을 읽어보시고 안되면 테스트 해보셔야 하는 것.

        1. 파워의 노후화 : 파워는 다른 부품과 달라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처음 구입했을땐 500w의 효율을 내지만 점차 줄어들어 파워가 죽었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 경우에 언제 구입하였는지 기종이 무었인지를

    확인 하시고 구입하셔야 합니다 필요한 파워는 400w인데 1000w를 구입

    한다던가 그 반대의 상황이 나오면 아니되오니 질문글에 올려주세요!


    1. 그래픽카드 냉납시 드라이기/다리미 신공

      1. 그래픽카드에 이상이 있을시 코어가 아예 죽었을수도 있고 냉납현상이 일어났을수 있습니다.


    1. 컴퓨터에서 비프음이 나는경우 (※보드 제조사에 따라 증상이 다를수도있다.)


    1. 프로그램 실행중 컴퓨터 다운 or 프리징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1. CPU 확인 부분

      2. 검색창에 하드웨어 모니터를 다운 받은후 실행 [pc내부의 온도계 같은 프로그램]

      3. CPU 탭에서 Temperatures Core#0~3등에 max 온도 체크

      4. 온도가 높을시[기종마다 틀리지만 약 80도 이상] 서멀구리스의 재도포 혹은 오버클럭 유저분들은 오버클럭을 풀고 다시 한번 온도 확인

      5. 하드웨어 모니터에서 맥시멈 온도를 알아볼수 있는 프로그램 [ linx 링스] 와 함께 병용

      6. 그래픽카드 확인 부분

      7. 위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모니터 부분에서 자신의 그래픽카드 탭에 temperatures 확인

      8. 링스 프로그램으로 cpu를 확인 한다면 그래픽카드 온도 측정에는 msi kombustor  프로그램 사용

      9. kombustor 는 오버클럭 유저분들은 사용을 왠만하면 지양해 주셔야 하며 일반 노말클러커유저분들만 사용하시기를 권장해 드립니다.

      10. 버스터를 약 5-10분정도 돌려보신 후 블랙스크린이나 그래픽이 깨진다면 각 그래픽 제조사에 전화하여 상황을 전달 한 후 as를 보내어 점검을 받아보시는 걸 권장합니다.

      11. 디스크 조각모음 + 디스크 정리의 중요성 - 그이외에도 파일이 조각이 나거나 여러 파일이 분할되어 분산돼 있는 경우 하드디스크[ssd는 제외]가 느려지게 됩니다. 이러한 파일들을 모아주는 것이 윈도우 기능에 있는 디스크조각모음으로 분산되어있는것들을 한곳에 모아주어 더 빠른 실행과 성능향상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하지 마시고 디스크 분석시 약 15% 이상 조각이 났을시 사용을 권장 합니다. 디스크 정리는 안쓰는 찌꺼기 프로그램을 정리해 줌으로 조각모음 전 실행하시는게 좋으며 디스크 용량 관리에 용이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자동으로 OS가 포맷을 해주니 굳이 일부로 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특히 SSD는 거의 성능향상을 느낄 수 없을 뿐더러 SSD의 수명을 크게 깎아먹습니다.









    7. Dllhost.exe 메모리 누수 시 대처법.


    ㄱ. Dllhos.exe 파일 자체는 윈도우 기본 서비스 중 하나다. 위치는 System32 안에 위치한다.

    ㄴ. 가끔 다른 위치나, 이 파일을 변조하여 활용하는 바이러스, 악성코드, 웜 등이 있을 수 있다.

    먼저 백신과 악성코드, 웜은 개별적인 놈들이며, 조금씩 다른 방법을 써야 한다.

    바이러스는 백신을 악성코드는 멀웨어바이트(무료버전있음)를 웜은 백신 제조사 전용백신을 추천한다.

    상기 3총사를 돌려본다.

    ㄷ. dllhost.exe 의 원래 용도는 윈도우 셈네일 아이콘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녀석이다. 세상에는 수많은 코덱이 있는데, 윈도우 기본 코덱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최신형 코덱으로 작성된 비디오영상 파일의 섬네일을 그리지 못할 때 발생한다. 그런데 이 작업을 실패할 때 무한적으로 반복작업을 해, 시스템 자원을 갉아먹는다. 최대 32GB 까지 관측됐다는 정보가 있다.


    3가지 해결책이 있습니다.


    윈도우7 기준.


    1. 제일 간단한 방법으로는 바탕화면에 비디오영상파일을 생성 및 보관하지 않는다. 폴더를 만들어서 넣는다거나, 위치를 변경하시면 됩니다.


    2. 윈도우 파일탐색기 - 구성 - 폴더 및 검색 - 보기 - 미리 보기에 파일 아이콘을 표시(체크) - 아이콘은 항상 표시하고 미리보기는 표시하지 않음(체크)


    이 방법은 Dllhost.exe 가 작동할 이유를 없애버립니다. 섬네일 따위 필요없는 분에게 추천.


    3. dllhost.exe 에게 도움을 줄 코덱을 깔거나, 대신 프리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까는 거죠.

    이를테면 http://www.free-codecs.com/Media_Preview_download.htm 여기 이런 녀석이죠.


    하나 골라잡으세요.



    1. 최후의 해결책. 포맷을 해봅시다.


    왠지모르게 포맷이라 하면 무서워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요새는 포맷과정에도 GUI와 자동시스템이 들어가서 생각보다 쉽다. 하지만 포맷은 최후의 수단이라는 것.



    사. 기타 유용한 정보

    1. 학생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정품 소프트웨어 지원

    드림스파크 https://www.dreamspark.com/

    드림스파크에서 win 8 임베디드, win 8.1 인더스트리 프로를 받을 수 있고 win 7 을 원하면 server 2008 r2 를     받아 약간의 세팅만 하면 win 7 과 동일하게 사용가능 함

    대학생의 경우 대학메일을 이용해 매우 간단히 인증할수 있고 고등학생 중학생 심지어 초등학생(?)의 경우는 학생증을 찍어서 보낸다거나 하는 등으로 자신의 재학 증명을 하면 인증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1년마다 학생신분인증을 갱신해야하니 주의.


    1. 서멀 도포법http://todayhumor.com/?computer_91147

    2. 세탁소에 컴퓨터 크리닝을 맡기면 청소를 해준다.(응?)

    3. 윈도우 키와 같이 누를경우 신세경을 보여주는 단축키들

    윈도우키 + ㅁ

    내용

    7

    8

    숫자 키(1-9)

    작업표시줄의 프로그램 열기

    위쪽 화살표

    최대화

    d

    d

    아래쪽 화살표

    최소화

    d

    d

    왼쪽 화살표

    왼쪽에 맞추기

    d

    d

    오른쪽 화살표

    오른쪽에 맞추기

    d

    d

    HOME

    다른 모든 창을 복원하거나 최소화

    d

    d


    T

    첫번째 작업표시줄 항목에 포커스를 맞춤

    d

    d

    G

    가젯을 맨 위로 가져가기

    d

    d

    D

    바탕화면 보기

    d

    d

    X

    제어판의 주요 기능 열기

    d

    d

    TAB

    화면 전환

    d

    d

    F

    파일 검색

    d

    H

    공유


    D

    C

    사이드바 열기

    d

    L

    잠금

    d

    Q

    앱 검색

    d

    W

    설정 검색

    d

    E

    내 컴퓨터

    d

    R

    실행

    d

    U

    접근성 센터

    d

    I

    사이드바 설정

    d

    P

    두번째 화면 관리

    d

    S

    *원노트 사용시

    화면 캡쳐


    K

    사이드바 장치


    N

    *원노트 사용시

    원노트 메뉴


    M

    모든창 최소화


    Ctrl+Shift+Esc를 같이누르면 작업관리자가 열린다.







    ASUSTeK의 꼬릿말입니다

    ==========이하 구매예정목록==========
    2014 Q'1까지 구매목표
    Intel Core™ [email protected]
    Seagate 1TB HDD-70000
    ASUS XONAR DGX-60000
    22"Monitor for Dual Screen-100000
    ASUS RT-AC66U-220000
    Thermalright Silver Arrow SB-E-110000
    CoolerMaster JetFlo 120*2-35000
    GTX480 for SLI+POWER 600W- ?















    <style>textarea{color:#000000; background:url(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2/1392634867c3YMq5UBxAS6trcPVJJZW.png); border-width:0; border-color:#000000; border-style:solid;}div.whole_box {background-image:url(http://i.imgur.com/r4hsivm.jpg);background-attachment: fixed;background-repeat:repeat;background-position:bottom;}#okNokBookDiv img{content:url("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1/1389711648djKeai5d8bD2NLg2L1c.png");}#okNokBookDiv img:nth-child(2){content:url("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1/1389711649Z2UPtjpuvCY.png");}#okNokBookDiv a img{content:url("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1/1389711649Im9fdBKQh.png");}#logo_line1 a img{content:url("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1/1389708809bZNGWrbR2I8UPBDbI8zPx.jpg");}#login_span span b a:before{content: "ASUS 명예회원- "}#login_span span b a:after{content: ""}#memo_insert_ div b:after{content: "-Welcome to ASUS WORLD";font-family: "굴림"; color: blue;}#logoDiv_white a img{content:url("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09/1379164781uxLcT1YPjxof3BuGZ.jpg");}</style>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3/01 16:23:29  222.110.***.145  BandBuzz4136  202126
    [2] 2014/03/01 16:25:23  119.201.***.50  ATi  525153
    [3] 2014/03/01 16:37:00  175.213.***.11  댓글달고싶어  403870
    [4] 2014/03/01 17:06:18  219.249.***.55  라임오렌지★  261058
    [5] 2014/03/01 17:09:41  211.107.***.200  한조각의추억  58557
    [6] 2014/03/01 17:56:05  118.36.***.47  큐타로  402416
    [7] 2014/03/01 18:16:48  115.20.***.39  6월엔민간인  412496
    [8] 2014/03/01 20:07:58  116.124.***.217  140번째푸틴  469874
    [9] 2014/03/01 21:48:29  175.197.***.246  비비Q  531159
    [10] 2014/03/02 14:42:10  121.129.***.167  3343  3213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74
    벌레가 호롤롤ㄹ ASUSTeK 14/03/02 15:58 15 0
    1573
    배필 닉을 바꾸던가 해야지.. [1] ASUSTeK 14/03/02 12:48 49 0
    1572
    저...스쿠페스는 어디서받나요? [11] ASUSTeK 14/03/02 01:20 60 0
    1571
    내부망쓸때는 앞으로 무선랜 두개써야겠네요 ASUSTeK 14/03/01 23:15 42 1
    1570
    이런 어처구니없는서버도 있나요 [1] ASUSTeK 14/03/01 21:18 46 0
    1569
    럽라 재밌나요? [14] ASUSTeK 14/03/01 20:48 52 2
    1568
    노트북 프로세서속도.. [6] ASUSTeK 14/03/01 20:29 31 0
    1567
    목표를 세웠더니 [1] ASUSTeK 14/03/01 18:04 84 6
    1566
    아오 암덩어리 [3] ASUSTeK 14/03/01 16:55 96 0
    컴게인들이 작성중인 공지글 가져와봤는데.. [3] ASUSTeK 14/03/01 16:17 50 3
    1564
    단어필터링이 날이갈수록 늘어가는거같은데.. [5] ASUSTeK 14/03/01 00:58 39 1
    1563
    뺑소니 10 적사살 100 뺑소니 10 적사살 100 뺑소니 10 적사살 [2] ASUSTeK 14/02/28 18:38 61 3
    1562
    피그툴박스라는거 [1] ASUSTeK 14/02/28 18:25 40 0
    1561
    브금)유루유리 [2] ASUSTeK 14/02/28 17:04 80 4
    1560
    크파점수저장용 [4] ASUSTeK 14/02/28 16:43 54 0
    1559
    크파 테스트 하고있는데 [5] ASUSTeK 14/02/28 16:23 49 1
    1558
    닉언인감)크파 테스트중.. [16] ASUSTeK 14/02/28 15:20 82 1
    1557
    근데 요즘도 FDD 4PIN쓰는기기가 있나요? [2] ASUSTeK 14/02/28 13:55 39 1
    1556
    서피스 프로버전은 안내고 RT먼저 냈네요 [5] ASUSTeK 14/02/28 13:08 50 0
    1555
    암드 apu 쿼드코어 아니었나요? [4] ASUSTeK 14/02/27 19:53 60 0
    1554
    공지초안작성... [6] ASUSTeK 14/02/27 19:28 48 1
    1553
    마켓에서 게임받는중인데 왜 대기중에서 안넘어갈까요 [4] ASUSTeK 14/02/26 22:36 23 0
    1552
    아 결국 t100키보드님께서 사망하셨습니다 [3] ASUSTeK 14/02/26 21:34 58 0
    1551
    키보드 물청소 해도 무리없겠죠 [9] ASUSTeK 14/02/26 20:31 77 0
    1550
    컴게 공지초안 공동작성글 테러리스트들은 봅니다 [2] ASUSTeK 14/02/26 19:51 48 0
    1549
    컴게는 당신을 원한다. [8] ASUSTeK 14/02/26 18:51 93 10
    1548
    아 양놈들 플레이 겁나 드럽네요 [5] ASUSTeK 14/02/26 17:25 83 0
    1547
    유루유리 팬북을 중고로 샀는데 ASUSTeK 14/02/26 00:39 48 0
    1546
    어라 [6] ASUSTeK 14/02/26 00:10 70 0
    1545
    프사를 이걸로하면 일코에 도움이나마 될줄알았는데 [4] ASUSTeK 14/02/25 21:08 114 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