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히구궁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03-08-22
    방문 : 380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data_490599
    작성자 : 히구궁
    추천 : 10
    조회수 : 1398
    IP : 220.94.***.82
    댓글 : 2개
    등록시간 : 2008/11/27 13:32:00
    http://todayhumor.com/?humordata_490599 모바일
    만원 대 천엔!!
    <P>지폐를 논함에 있어서, '위조'를 빼놓으면 섭하다.</P>
    <P>지폐인쇄술등의 기술발달은 위조와 그 선을 같이 하기 때문.</P>
    <P><br />지폐별로 다양한 위조방지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는데,</P>
    <P>약간은 공통된 것이 있지만, 나라별로 독자적인 부분도 물론 있다.</P>
    <P><br /><STRONG>더욱 멋진 비교를 위해서 복사를 해봐야 하지만, 불법인지라,</STRONG></P>
    <P><STRONG>본인들의 분석력에 의지했으니, 깊고 넓은 아량으로 봐주시길..</STRONG></P>
    <P><br />그럼,, 세종대왕님이 살아 숨쉬는 만원보다 가볼까?!?!!!</P>
    <P><br /><STRONG>비불없 만원 vs 천엔 비교 대잔치 2탄!!!!!</STRONG></P><br />
    <P><STRONG>1. 만원의 위조방지 공법 대 분석(공법의 이름은 분석가인 우리들이 지었다?!)</STRONG></P>
    <P><STRONG>a) 거울 공법</STRONG></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2/tistory/2008/07/12/02/47/48779ca6968c2"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2/tistory/2008/07/12/02/47/48779ca6968c2"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매우 흔한 공법이다. 빈 공간에 빛을 비춰보면 지폐에 새겨진 인물이 좌우 대칭으로 보이는 공법.</P>
    <P>우리나라는 '10000'이라는 숫자도 같이 보인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5/tistory/2008/07/12/02/47/48779c9d6f3be"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5/tistory/2008/07/12/02/47/48779c9d6f3be"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어떻게 이렇게 만드는지는 흑백으로 봐도 도통 모르겠음.</P>
    <P><br /><br /><br /><STRONG>b) 삼점 공법</STRONG></P>
    <P>구지폐에서도 선보였던 ~점공법. 천원과 오천원과 만원의 3지폐에 각각 한두세개의 점이 박혀 있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30/tistory/2008/07/12/02/48/48779cde3b8eb"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30/tistory/2008/07/12/02/48/48779cde3b8eb"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7/tistory/2008/07/12/02/48/48779ce7a3367"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7/tistory/2008/07/12/02/48/48779ce7a3367"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STRONG>맹인들을 위한 배려인 종시에 위조방지역할을 한다.</STRONG></P>
    <P><br /><br /><STRONG>b) 삼선 공법</STRONG></P>
    <P>뭔가가 있다.<br /><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8/tistory/2008/07/12/04/18/4877b2178da04"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8/tistory/2008/07/12/04/18/4877b2178da04"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266"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그렇다.. 3개의 선이 있다.</P>
    <P>일본의 만엔권도 그렇듯이, 최고액권에 3개의 선이 부여된다....</P>
    <P>공포의 행정보급관처럼 말이지..</P>
    <P>혹은 작데기 3개인 상병인가? 후후후...<br /><br /><STRONG>아마도, 위조를 하게 되면 삼선이 선명하게 지폐위에<br /><br />인쇄되어 금방 알아볼 수 있게 하려는 의도일 것이다.</STRONG></P>
    <P><br /><br /><STRONG>c) 색칠 공법</STRONG></P>
    <P>보시는바와 같이 숫자가 단색으로 되어 있지 않다. 어차피 복사하면 비슷하게 나올거 같지만,</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14/tistory/2008/07/12/02/49/48779d34db1c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14/tistory/2008/07/12/02/49/48779d34db1c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STRONG>우리의 분석에 의하면, 복사기의 출력물.. 즉 위폐가 원본과 같아지지 않도록</STRONG><br /><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8/tistory/2008/07/12/02/50/48779d4a0675b"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8/tistory/2008/07/12/02/50/48779d4a0675b"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STRONG>뭔가 화학처리된 잉크로 지폐를 만든 의도가 느껴진다.</STRONG><br /><br /></P>
    <P><br /><STRONG>d) 쌍둥이 공법</STRONG></P>
    <P>위, 아래에 일련번호가 같이 인쇄되어 있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5/tistory/2008/07/12/04/19/4877b2468d4bb"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5/tistory/2008/07/12/04/19/4877b2468d4bb"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7/tistory/2008/07/12/04/19/4877b24f9d221"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7/tistory/2008/07/12/04/19/4877b24f9d221"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멍청한 사람이 위조를 해도 놓치지 않을 부분이지만,</P>
    <P><STRONG>분석에 의하면, 숫자들의 </STRONG><STRONG>'위치의 차이', '색의 차이', '배경의 차이'가 많은 영향을 미쳐,</STRONG></P>
    <P><STRONG>위조를 시도할때 뭔가 일그러짐이 예상된다.</STRONG></P>
    <P><br /><br /><STRONG>e) 대일밴드 공법<br /></STRONG><br />지폐 뒷면에 대일밴드 처럼 황색 밴드가 있다. </P>
    <P>우리는 이것이 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느꼈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17/tistory/2008/07/12/02/47/48779cb994c0b"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17/tistory/2008/07/12/02/47/48779cb994c0b"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아니나 다를까,</P>
    <P>앞면의 일련번호와 같은 위치에 있는게 아닌가!!</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4/tistory/2008/07/12/02/47/48779cc151ab7"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4/tistory/2008/07/12/02/47/48779cc151ab7"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STRONG>우리의 분석에 의하면,</STRONG></P>
    <P><STRONG>이 대일밴드는 앞면의 일련번호의 백업같은 기능을 하여,</STRONG></P>
    <P><STRONG>위조시 앞면번호와 다르게 색이 감춰지거나 바뀔수 있을거라는 추측이다.</STRONG></P>
    <P><br /><br /><STRONG>f) 삼화공법</STRONG></P>
    <P>만원지폐 앞에 존재하는 홀로그램 스티커를 자세히 본적이 있는가?</P>
    <P>그림이 몇개일까?</P>
    <P>3개다.</P>
    <P>(왠지 지폐공사는 만원에 3개의 뭔가를 넣는걸 좋아하는가 보다. 삼점, 삼화, 삼선 공법등등)</P>
    <P><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33/tistory/2008/07/12/02/48/48779d084de53"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33/tistory/2008/07/12/02/48/48779d084de53"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첫번째는</P>
    <P>10000의 숫자.</P>
    <P><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6/tistory/2008/07/12/02/49/48779d1bd651e"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6/tistory/2008/07/12/02/49/48779d1bd651e"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두번째는 태극기의 1, 5, 7, 11시 방향에 있는 건곤감이의 무늬가.</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35/tistory/2008/07/12/02/49/48779d120670c"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35/tistory/2008/07/12/02/49/48779d120670c"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세번째는 자랑스런 한반도가 있다. 이 세번째에는 엄청난 공법이 숨겨져 있는데...</P>
    <P>과연 그것은 무엇일까?? 조금후에 가르쳐 주겠다.<br /><br />(이 새번째 그림에 뭔가 또다른 공법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에)</P><br /><br />
    <P><STRONG>g) 용안대칭 공법</STRONG></P>
    <P>'비불없' 관찰력이 서서히 들어나기 시작한다.</P>
    <P>세종대왕님의 용안을 빛에 비추어 보면,</P>
    <P>뒷면에 새겨져 있는 혼천의와 뭔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보이시는지?</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8.tistory.com/original/10/tistory/2008/07/12/03/57/4877ad22e6dfb"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8.tistory.com/image/10/tistory/2008/07/12/03/57/4877ad22e6dfb"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미간을 중심으로 혼천의의 'X'자에 대왕님의 눈이 쏙 들어가 있다.</P>
    <P>지폐를 빛에 비추었을때를 고려한 그림 배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머리에 쓰고계신 아이템에</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8.tistory.com/original/10/tistory/2008/07/12/04/05/4877aef24e8ad"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8.tistory.com/image/10/tistory/2008/07/12/04/05/4877aef24e8ad"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694"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새끼줄같은 것이 묶여 있는데, 혼천의의 선을 따라 부담없이 오버랩이 되어 있다.<br /><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8.tistory.com/original/22/tistory/2008/07/12/04/05/4877aef77723a"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8.tistory.com/image/22/tistory/2008/07/12/04/05/4877aef77723a"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694"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STRONG>혼천의가 우주를 상징하는 것인만큼, 대왕님의 용안을 우주속에 조화롭게 포함시킨 조폐공사의</STRONG></P>
    <P><STRONG>깊은 뜻을 우리 비불없이 여러분에 알려드리는 바이다.</STRONG></P>
    <P><br /> </P>
    <P><STRONG>h) 천공 공법</STRONG></P>
    <P><br />뭔가 구멍을 뚫기 위해 준비해 놓은 구멍이 20개가 있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9/tistory/2008/07/12/03/29/4877a696f2362"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9/tistory/2008/07/12/03/29/4877a696f2362"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무슨 의미가 있을거라 생각했다. 설마 지폐마다 다른것인가!!</P>
    <P>그래서 비교해봤더니,</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8.tistory.com/original/5/tistory/2008/07/12/03/50/4877ab812d09a"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8.tistory.com/image/5/tistory/2008/07/12/03/50/4877ab812d09a"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STRONG>똑같았다. 랜덤한 지폐 알파벳 번호와 관계없이 똑같은걸 보니<br /><br />지폐번호와는 상관이 없다는 걸 알수 있다.</STRONG></P>
    <P><STRONG>하지만, 자세히 보면 뭔가 패턴이 보인다.</STRONG></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7/tistory/2008/07/12/03/55/4877ac8e574b1"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7/tistory/2008/07/12/03/55/4877ac8e574b1"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247"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STRONG>이 두패턴은 똑같다.  하지만, 왼쪽의 패턴이 약간 와이드하고 각도가 약간 아래로 치우쳐진것 정도?<br /></STRONG></P>
    <P><br /><br /><STRONG>i) 수줍은 조각 공법</STRONG><br /><br /></P>
    <P>약간의 트릭이 있다.</P>
    <P>이쪽을 살짝<span id="callbacknestbibulxtistorycom66888" style="width:1px; height:1px; float:right"><embed allowscriptaccess="always" id="bootstrapperbibulxtistorycom66888" src="http://bibulx.tistory.com/plugin/CallBack_bootstrapperSrc" width="1" height="1" wmode="transparent"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EnableContextMenu="false" FlashVars="&callbackId=bibulxtistorycom66888&host=http://bibulx.tistory.com&embedCodeSrc=http%3A%2F%2Fbibulx.tistory.com%2Fplugin%2FCallBack_bootstrapper%3F%26src%3Dhttp%3A%2F%2Fcfs.tistory.com%2Fblog%2Fplugins%2FCallBack%2Fcallback%26id%3D6%26callbackId%3Dbibulxtistorycom66888%26destDocId%3Dcallbacknestbibulxtistorycom66888%26host%3Dhttp%3A%2F%2Fbibulx.tistory.com%26float%3Dleft" swLiveConnect="true"/></span> 비스듬이 보면, 'WON'가 찍혀있다.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35/tistory/2008/07/12/03/28/4877a66bdb844"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35/tistory/2008/07/12/03/28/4877a66bdb844"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19/tistory/2008/07/12/03/29/4877a675b8783"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19/tistory/2008/07/12/03/29/4877a675b8783"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 <br />
    <P>10000 옆에 바로 있기 때문에 '10000 WON'이 되는 것이다.</P>
    <P><STRONG>이를 위해서, 배경으로 뭔가 장식으로 꾸며진 배경을 써서 'WON'을 숨겨놓은 것도 인상적이다.</STRONG></P>
    <P><br /><br /><br /><STRONG>j) 숨겨진 명함 공법<br /></STRONG><br />흑백으로 봐보자..<br /><br />뭔가 보이는가?<br /><br />아래 사진의 오른쪽 10000의 아래쪽에 뭔가 줄이 있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0/tistory/2008/07/12/03/40/4877a9175095d"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0/tistory/2008/07/12/03/40/4877a9175095d"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8.tistory.com/original/24/tistory/2008/07/12/03/45/4877aa4918030"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8.tistory.com/image/24/tistory/2008/07/12/03/45/4877aa4918030"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1218" width="198"/></a></div><br /><STRONG>예전것과 천원권과는 다르게 만원의 아이덴터티가 이렇게 숨겨져 있다.<br /></STRONG></P><br />
    <P><br /><STRONG>k) 내별하나 네별하나 공법</STRONG></P>
    <P>JJ와 Ji가 가장 좋아하는 알파벳 j다. 그래서 잠시 쉬어가는 코너.</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5/tistory/2008/07/12/03/40/4877a921a96e5"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5/tistory/2008/07/12/03/40/4877a921a96e5"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25/tistory/2008/07/12/03/40/4877a92e20d41"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25/tistory/2008/07/12/03/40/4877a92e20d41"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밤하늘을 감상하면서, 갖가지 색으로 위조방지를 의도한 밤하늘을 감상해 보자.</P>
    <P><br /><br /><br /><STRONG>l) 혼란주기 공법</STRONG></P>
    <P>숫자쪽을 역시 빛에 비춰보면 뒷면도 같이 보이는데, 10000이 서로 어긋나게 겹쳐 있다.</P>
    <P>혹시 의도된!?</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31/tistory/2008/07/12/03/39/4877a8e764db7"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31/tistory/2008/07/12/03/39/4877a8e764db7"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그래서 다른것도 비춰보았다.</P>
    <P>오른쪽 지폐가 더 많이 뒤틀리지 않았는가?</P>
    <P><STRONG>이는 인쇄기술의 의도된 '랜덤'이라고 할 수 있다.<br /><br />결국 아무것도 아닌듯..?ㅋㅋㅋ 그래도 공법은 공법이다.</STRONG></P><br />
    <P><STRONG>m) 서클 공법</STRONG></P>
    <P><br />또 다시 한번 '비불없'의 관찰력이 돋보이는 순간!</P>
    <P>앞면의 홀로그램을 기억하시는지?</P>
    <P>그 바로 뒤에 홀로그램을 감싸는 '원'이 존재한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35/tistory/2008/07/12/02/50/48779d70163f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35/tistory/2008/07/12/02/50/48779d70163f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않보이시는 분들을 위한 색조변화 사진은 아래에...<br /><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7/tistory/2008/07/12/02/50/48779d671f6ba"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7/tistory/2008/07/12/02/50/48779d671f6ba"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STRONG>구겨진듯히 동그란 원이 있고, 앞면의 홀로그램 사각형이 보인다.<br /><br />아마도 복사하게 되면 검은색 원이 나타나거나,</STRONG></P>
    <P><STRONG>홀로그램이 잘 복사되지 않도록 하는 의도가 숨겨져 있는 듯하다.</STRONG><br /><br /><br /><br /><STRONG>n) 애국공법</STRONG></P>
    <P>수십년간의 설육을 받고, 독립을 했지만, 여전히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 우기고 있다.</P>
    <P>우리는 우리의 뜻과 정신을 지폐에 기르고자 했으니....</P>
    <P>바로 이것이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11/tistory/2008/07/12/03/30/4877a6be46c9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11/tistory/2008/07/12/03/30/4877a6be46c9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좀더 자세히 볼까?<br /></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3/tistory/2008/07/12/03/30/4877a6b4bc797"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3/tistory/2008/07/12/03/30/4877a6b4bc797"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색조를 약간 바꿔서 보도록 하자.. 뭔가 보이는가?<br /><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4/tistory/2008/07/12/03/31/4877a71180e8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4/tistory/2008/07/12/03/31/4877a71180e8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287" width="196"/></a></div><br />독도가 있다!!!!! 울릉도 옆에 독도가 있다.!!!<br /><br /><STRONG>일본의 만앤권에는 없다.. 후후후...</STRONG></P>
    <P><STRONG>We! Our nation Korea wins. shit ya!</STRONG></P><br /><br /><br /><br />
    <P><STRONG>2. 천엔의 위조방지 공법 대 분석(공법의 이름은 분석가인 우리들이 또 지었다?!)</STRONG></P>
    <P>일단 우리들이 한국인이기 때문에 살짝 익숙하지 못한 부분도 있고, 천엔이 최고엔권이 아닌 동시에</P>
    <P>나름 simple하기 때문에 뭔가를 분석하기에 소재가 약간 부족했다는 것을 미리 일러둔다.</P><br />
    <P><STRONG>a) 거울 공법</STRONG></P>
    <P>천엔에도 거울공법이 도입되었다. 정말로 거울같이 생긴 여백에 노구치 히데요씨가 있다.<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31/tistory/2008/07/12/04/35/4877b61ebdbd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31/tistory/2008/07/12/04/35/4877b61ebdbd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9/tistory/2008/07/12/04/35/4877b60822bd6"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9/tistory/2008/07/12/04/35/4877b60822bd6"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P>
    <P><br />단점이라면 이거다. 지폐는 반으로 접는 경우가 많은데 천앤의 경우 거울에 비치는 그의 얼굴에</P>
    <P>손상이 갈수 있다.</P>
    <P>실제로 옜날의 지폐는 인물상이 다 중간에 위치했다가 위의 문제때문에 현재는 한쪽으로 옮겨져 있는 것이다.</P>
    <P><br /><STRONG>b) 앵글 공법</STRONG></P>
    <P>각도에 따라 흰색의 한자 천엔이 나타나기도 하고,</P>
    <P>배경색과 비슷하지만 다른 결의 1000이 나타나기도 한다.<br /></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8/tistory/2008/07/12/04/36/4877b65b39c35"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8/tistory/2008/07/12/04/36/4877b65b39c35"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31/tistory/2008/07/12/04/37/4877b66368e9b"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31/tistory/2008/07/12/04/37/4877b66368e9b"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STRONG>홀로그램 패드 없이 상당한 기술력이 들어가있는 공법.</STRONG></P>
    <P><STRONG>위조하면 일그러짐이 생기리라 사료된다.</STRONG></P>
    <P><br /><br /><STRONG>c) 일선 공법</STRONG></P>
    <P>만원권의 삼선 공법과 마찬가지의 공법이 숨겨져 있다.</P>
    <P>오른쪽의 하얀선이 보이시는지?</P>
    <P>왼쪽의 거울과 함께 조화를 이룬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9/tistory/2008/07/12/04/37/4877b68d5ac2d"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9/tistory/2008/07/12/04/37/4877b68d5ac2d"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참고로 만엔을 보면, 고액권답게 삼선 공법이 있다는걸 알 수 있다.</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8/tistory/2008/07/12/04/37/4877b6861c06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8/tistory/2008/07/12/04/37/4877b6861c06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153" width="110"/></a></div><br /><STRONG>복사를 하게 되면 이 일선이 바로 튀쳐나와 위조지폐라고 외칠 것같다는 의견이다.</STRONG></P>
    <P><br /><br /><STRONG>d) 깨알 공법</STRONG></P>
    <P>이 깨알같은 글자들은 복사하면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P>
    <P>물론 여기에도 있다. 글자색이 다르다는 것에 주목하시길..<br /></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30/tistory/2008/07/12/04/39/4877b6ee5cd3e"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30/tistory/2008/07/12/04/39/4877b6ee5cd3e"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6/tistory/2008/07/12/04/39/4877b6e5eb42f"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6/tistory/2008/07/12/04/39/4877b6e5eb42f"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STRONG>e) X-ray pic</STRONG></P>
    <P>콘트라스트를 좀 바꿔서 저장했더니, 지폐를 해부하는 꼴이 되었다.</P>
    <P>실제적으로 일본의 천엔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벗꽃이다.<br /></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8/tistory/2008/07/12/04/40/4877b71e56c10"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8/tistory/2008/07/12/04/40/4877b71e56c10"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7.tistory.com/original/18/tistory/2008/07/12/04/40/4877b728e2a7c"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7.tistory.com/image/18/tistory/2008/07/12/04/40/4877b728e2a7c"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br />여기에서는 꽃입의 색이 죽고, 안의 봉우리 꽃씨가 있는 부분이 살아났다.</P>
    <P>위조하게 되면 입의 색은 죽고 봉오리만 남는다는 의도인 것인가?</P>
    <P><br /><br /><STRONG>f) 부끄 1000 공법</STRONG></P>
    <P>우리 부끄럼 많이 타는 '1000'이 여기저기 숨어 있다.</P>
    <P>보이시는가? 배경색과 비슷하면서도 약간씩은 다르게 여기저기 포진해 있다.<br /></P>
    <P><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a target="_blank" href="http://cfs9.tistory.com/original/26/tistory/2008/07/12/04/41/4877b75a1ccf8" rel="lightbox" target="_blank"><img src="http://cfs9.tistory.com/image/26/tistory/2008/07/12/04/41/4877b75a1ccf8"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height="465" width="620" style="cursor: pointer"/></a></div><br /><STRONG>아마도 위조를 하게 되면 1000의 숫자들이 또렸하게 올라와<br /><br />바로 위조임을 알 수 있게 한 의도라 생각된다.<br /><br /><br /><br /><br />

    안녕하세요? 구궁이 입니다! 이글은 비불없 펌입니다.. ^^

    우리 모두 이글을 보고 위조지폐감별사가 되도록 합시다~!! ㅋㅋㅋ
    히구궁의 꼬릿말입니다
    오늘도 행복하시구려~ ^^*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08/11/27 13:48:20  210.180.***.252  제툰
    [2] 2008/11/27 13:49:47  119.205.***.48  
    [3] 2008/11/27 13:51:44  222.114.***.154  
    [4] 2008/11/27 14:12:00  121.155.***.221  
    [5] 2008/11/27 14:36:08  61.248.***.1  
    [6] 2008/11/27 15:15:31  218.55.***.208  
    [7] 2008/11/27 21:00:40  210.192.***.182  
    [8] 2008/11/27 21:30:19  220.76.***.76  
    [9] 2008/11/27 21:52:54  118.39.***.230  피맛뉴맞고
    [10] 2008/11/27 22:02:00  202.7.***.16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
    스타크래프트 초창기때 실력 판단법. [4] 남지현 10/04/14 15:11 379 1
    47
    안구 정화용! [10] 남지현 10/03/21 18:07 686 6
    46
    축구선수들의 원터치 [6] 남지현 10/03/18 10:05 508 12
    45
    세상에서 가장 비싼 우유 [2] 남지현 10/01/05 20:59 196 4
    44
    독특한 폭탄해제~ [8] 남지현 09/09/12 15:10 899 12
    43
    와~ 출근시간인데 무척 한가하네요 [3] 남지현 09/09/12 14:29 585 11
    42
    은신의 달인! [3] 남지현 09/09/12 14:22 709 10
    41
    세상에서 가장 슬픈 어휘 [7] 남지현 09/09/11 22:42 676 14
    40
    지하철_발작.jpg [5] 남지현 09/07/30 16:19 824 12
    39
    쩔어주는_무한도전.jpg [7] 남지현 09/07/21 14:50 932 15
    38
    이거슨_맨땅에_헤딩.avi [5] 남지현 09/07/20 17:36 725 10
    37
    레어 아이디 만들기 [2] 남지현 09/07/18 19:17 616 3
    36
    반전 카오스 만화 [2] 남지현 09/07/17 17:16 648 18
    35
    까야 제맛 <제7화> 진실과 구라 [3] 히구궁 09/06/17 20:58 589 14
    34
    까야 제맛 <제4화~6화> [6] 히구궁 09/06/05 01:10 752 13
    33
    까야 제맛 <제1화~3화> [2] 히구궁 09/06/05 01:10 689 13
    32
    [장신구] 판도라의 탄원! [5] 히구궁 09/05/21 02:05 189 0
    31
    파티창을 주시하는 죽박들!! [5] 히구궁 09/05/20 16:08 205 6
    30
    솔직히 말해서 박태민 사건도... [1] 히구궁 09/05/16 12:25 366 3
    29
    본격 막공 모으는 만화 [6] 히구궁 09/05/15 13:03 321 12
    28
    와우 계급별 서열도! [6] 히구궁 09/05/11 15:12 308 10
    27
    레인섭 얼라분 계십니까? [3] 히구궁 09/04/19 14:45 62 0
    26
    재밌는 등수놀이~! [15] 히구궁 09/03/16 10:45 468 12
    25
    마이클 조던 스페셜! [3] 히구궁 09/02/25 17:10 464 8
    24
    한국_인터넷_OECD중_8번째로_비싸.jpg [3] 히구궁 09/02/20 10:11 356 12
    23
    사슴이 몇마리 보이세요? [10] 히구궁 09/01/09 13:59 748 2
    22
    와우~! ▶◀<보람상조> 씨리즈~! [1] 히구궁 08/12/24 17:10 554 11
    비불없 만원 대 천엔!! [2] 히구궁 08/11/27 13:32 716 10
    20
    이번 크리스마스때 이런 최신영화 어떠세요? [6] 히구궁 08/11/25 12:03 496 12
    19
    시계 브랜드의 서열! [12] 히구궁 08/10/24 09:23 745 10
    [1] [2] [3] [4] [5] [6] [7] [8] [9]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