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반창고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1-08-10
    방문 : 166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cook_83141
    작성자 : 반창고
    추천 : 10
    조회수 : 1339
    IP : 14.33.***.246
    댓글 : 20개
    등록시간 : 2014/03/03 02:17:03
    http://todayhumor.com/?cook_83141 모바일
    [스압주의][글만 많음][요약有]MSG 이야기
    이 게시물을 제가 책을 읽다가  <div>다른 사람들도 알면 유익할 것 같다고 생각해서 책 내용을 정리해서 쓴 것입니다.</div> <div>글 중간 중간에 <font color="#00b050">초록색</font>으로로 끼적인건 저의 의견입니다.</div> <div><br /></div> <div><br /></div> <div><br /></div> <div><br /></div> <div>카제인나트륨, 글루탐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div> <div>위 세 물질의 공통점은 모두 인위적으로 나트륨이 첨가되어 식품첨가물 중에서 <font color="#0070c0"><b>화학적 합성품</b></font>으로 분류된다.</div> <div>하지만 <b><font color="#ff0000">첨가물의 관리 편의상 분류일 뿐 화학적으로 합성되었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font></b>. </div> <div><br /></div> <div>-------------------------------------------------------------------------------------------------------------</div> <div>사카린은 합성물질 맞습니다. 나중 내용에 사카린에대해서 나오네요. 사카린 내용을 요약하자면 </div> <div>- 홉킨스 대학에서 우연히 개발된 최초의 인공감미료</div> <div>- 단맛은 설탕의 300배</div> <div>- 우리 몸에서 전혀 흡수 & 대사가 되지않아 칼로리 0인 물질</div> <div>- 캐나다에서 수컷 쥐들에게 사카린을 먹였더니 방광암 발병률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음(1977년)</div> <div>- 하지만 그 양은 사람으로 따지면 하루 800캔의 음료를 마신 것과 같은 양</div> <div>- 또한 설치류에는 인간과는 달리 높은pH, 고농도 단백질과 인산칼슘이 있음 --> 과다투여한 사카린과 결합 -->결석 </div> <div>  --> 결석에 의한 방광손상 -->방광암이라는 태크를 탐.</div> <div>- <font color="#ff0000">"사카린은 무해하다!!"라고 2001년에 공식적으로 앞 연구결과 번복</font></div> <div>-------------------------------------------------------------------------------------------------------------</div> <div><br /></div> <div>나트륨이 없는 상태의 카제인은 물에 거의 녹지않고, 글루타민과 사카린은 물에 1%도 녹지않는다.</div> <div>위 세 물질에 나트륨을 첨가하면 녹는 정도가 30~40배 증가하여 제 기능을 한다.</div> <div>따라서 식품 원료 중에서는 물에 잘 녹게 하기 위해 나트륨이나 칼륨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다.</div> <div>나트륨과 칼륨은 우리 몸에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미네랄이기 때문에 <font color="#0070c0">카제인,글루탐산,사카린의 안전성만 따지면 된다</font>.</div> <div><br /></div> <div><font color="#0070c0">카제인은 본래 우유단백질의 80%를 차지하는 천연물</font>이다.</div> <div>지방을 제거하여 유당이나 유단백질이 풍부한 저지방, 무지방 우유를 광고하는 마당에</div> <div>카제인이 유해하다고 하면 우유가 유해하다는 말과 다르지않다.</div> <div><font color="#00b050">(요즘에는 우유가 유해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던데...그거에 대해선 잘 모르겠으니 패스하겠습니다.</font></div> <div><font color="#00b050"> 그런 내용을 보며 "우유는 건강음식이 아닌 기호식품으로 먹자"로 생각하게 되었지만요..)</font></div> <div>모 커피믹스 제품의 카제인나트륨 어쩌고 하는 광고는 </div> <div>단지 <font color="#ff0000"><b>화학적 합성품이면 무조건 나쁘다는 소비자의 인식을 이용한 노이즈마케팅일 뿐이다.</b></font></div> <div><br /></div> <div>글루탐산나트륨(MSG)또한 마찬가지다. <b><font color="#0070c0">글루탐산은 기본 아미노산 20종 중에서 </font></b><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b><font color="#0070c0">생명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아미노산</font></b>이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따라서 MSG의 유해성 논란은 단백질 유해성 논란과 별 차이가 없다.</span></div> <div>혹, 글루탐산이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가공중에 물질의 구조가 조금이라도 변형되었으면 몰라도</div> <div><font color="#ff0000"><b>MSG의 글루탐산은 우리 몸의 글루탐산과 완벽히 똑같은 천연 그대로의 물질</b></font>이다.</div> <div><br /></div> <div>굳이 독성을 따져보자면</div> <div><font color="#ff0000"><b>소금의 독성을 1이라 했을 때, MSG의 독성은 1/7</b></font>로 오히려 비타민C보다 독성이 적다.</div> <div><font color="#00b050">(비타민C는 1/4입니다.)</font></div> <div><br /></div> <div>또한 MSG의 하루 섭취량은 2g으로 소금 12g의 1/6수준이다.</div> <div>안전성으로만 따진다면 MSG는 소금보다 40배 안전한 수준으로 섭취하고있다.</div> <div><br /></div> <div><div>                                                     MSG 안전성 비교자료</div> <div> <table border="1" width="70%" cellpadding="3" cellspacing="0" bgcolor="#FFFF66" bordercolor="#000000" style="border-style: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tbody> <tr> <td style="text-align: center"> 원료명</td> <td>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LD50</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rat) </span></div></td> <td>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섭취량</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g</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 </span></div></td> <td>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상대적 </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LD </span></div></td> <td>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상대적</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섭취정도 </span></div></td> <td>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상대적</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안전성 </span></div></td></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소금</td> <td style="text-align: center">3.0 </td> <td style="text-align: center">12.0</td> <td style="text-align: center">1.0 </td> <td style="text-align: center">1 </td> <td style="text-align: center">1 </td></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 젖산</td> <td style="text-align: center">3.7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 <td style="text-align: center">1.2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 비타민 B12</td> <td style="text-align: center">4.0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 <td style="text-align: center">1.3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비타민 C</td> <td style="text-align: center">11.9 </td> <td style="text-align: center">0.1 </td> <td style="text-align: center">4.0 </td> <td style="text-align: center">0.01 </td> <td style="text-align: center"> </td></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 MSG</td> <td style="text-align: center">19.9 </td> <td style="text-align: center">2.0 </td> <td style="text-align: center">6.6 </td> <td style="text-align: center">0.17 </td> <td style="text-align: center">40배 </td></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 설탕</td> <td style="text-align: center">29.7 </td> <td style="text-align: center">71.0 </td> <td style="text-align: center">9.9 </td> <td style="text-align: center">5.92 </td> <td style="text-align: center">2배 </td></tr></tbody></table>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WHO Food additive Serise, No 5.7.15.22</span></div></div></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br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b>(참고로 LD50이란 실험군을 대상으로 특정량을 먹였을 때 반수가 죽어나가는 양입니다. 괄호로 rat이라 쓰여진건</b></fon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b>쥐로 실험했다는 거고요. 위 자료를 토대로 설명하자면, 100마리의 쥐에게 소금 3g을 먹이면 50마리가 죽는다는 뜻입니다.)</b></font></span></div> <div><br /></div> <div>MSG유해성 논란은 중국음식 증후군이다.</div> <div>미국의 한 의사가 뉴욕에 있는 한 중국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고 난 후 마비가되는듯한 증상, 심장이 갑자기 뛰고 노곤해지는 것을 경험하였고(1968년)</div> <div>이 원인이 ⓐ간장 ⓑ포도주 ⓒ과량의 소금 ⓓMSG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div> <div>이를 신문, 라디오 ,TV 등에 <font color="#0070c0"><b>학문적인 뒷받침 없이 단순히 기사화</b></font>되었다.</div> <div>그러나 위 증세는 다양한 요리나 식품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과도기 증세에 지나지않는다.</div> <div><br /></div> <div>중국음식 증후군에 대하여 여러 시험을 하였다.</div> <div> 1970년 - 사람에게 경구(입)으로 최고 하루 147g의 MSG를 2주~6주간 투여 --> 별다른 중국음식 증후군을 보이지 않음.</div> <div> 1979년 - 3,000명 이상의 대상으로 조사함 --> MSG와 중국음식 증후군은 연관이 없다고 밝혀짐.</div> <div> 1991년 - 중국음식 증후군은 글루탐산이 들어 있지 않은 음식을 섭취한 뒤에도 발생한다고 발표.</div> <div> 1995년 - 미국 실험생물학회연합 패널조사 방식에 따라 확립된 기준에 의한 맹검조사 --> 실제로 MSG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 한 명도 없음.</div> <div> 1998년 - 스스로 MSG에 알레르기를 일으킨다고 믿는 13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 아무런 중국음식 증후군 관찰되지 않음.</div> <div><br /></div> <div><br /></div> <div><font color="#ff0000"><b>MSG는 안전한 물질이며, 2010년 이후 미국에서 'No MSG'라는 문구는 불법이다.</b></font></div> <div><br /></div> <div><br /></div> <div>MSG를 넣은 것과 다시마를 넣은 것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별 차이가 없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다시마를 우려낸 국물에는 특이하게 다른 아미노산은 거의 없고 글루탐산과 아스파트산만 추출된다.</span></div> <div>위 2가지 아미노산만이 아미노산 중에서 감칠맛을 낸다.</div> <div><font color="#ff0000"><u><b>다시마는 MSG를 조금 비싸게 집어넣은 방법일 뿐 영양상 차이가 없는 셈이다.</b></u></font><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이거 보고 충격....)</fon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br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다시마보다 고급재료인 가쓰오부시는 어떨까?</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가쓰오부시는 다시마와 거의 같지만 IMP(이노신산)가 많다는 것이 차이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IMP와 글루탐산이 1:1비율로 있으면 감칠맛이 최대 7배까지 증폭된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그렇다면 가쓰오부시가 MSG보다 안전할까? -->No</span></div> <div>물론 가쓰오부시는 식품으로 충분히 안전하다.</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요즘에는 방사는 때문에 잘 모르겠네요...)</fon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하지만 훈제과정에서 만들어진 벤조피렌 등 위험한 물질이 있고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히스티딘</span><font color="#00b050"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전구물질입니다.)</font><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도 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얼마전 농심라면 발암물질 관련 기사가 이 벤조피렌이라는 물질 때문입니다. </fon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많이 위험하다고 보지 않습니다. 기준치보다 약간 오버되었을 뿐...</font></span></div> <div><span style="color: #00b050; font-size: 9pt; line-height: 1.5">하지만 발암물질 기준치 초과된 것은 사실이니...</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font color="#00b050">발암물질 관련 기사가 뜬 것도 스프에 가쓰오부시가 원료로 들어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font></span></div> <div><br /></div> <div><br /></div> <div>안전에 문제가 없음이 밝혀지자 나쁜 재료름 감춘다??</div> <div><br /></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원문 그대로 타이핑한 구간=============================================</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MSG는 화학조미료라 무조건 위험하다고 하던 사람들이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최근 일련의 방송 프로그램의 노력으로 완벽하게 천연 그대로의 </span></span></div> <div><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글루탐산임이 밝혀지자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MSG는 그 자체는 문제가 없어도 나쁜 재료의 흠을 감추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나쁘다'고 주장한다.</span></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 닝닝하고 맛도 없는 MSG를 음식에 넣으면 맛이 확 나는 것은 첨가물의 마술 때문이라고? 전혀 아니다. </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그것이 맛의 근본 원리이다. <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음식에 소금을 넣으면 짜지는가? 전혀 아니다. 향도 풍부해지고 맛도 기가 막히게 좋아진다. </span></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혹시 음식에서 짠맛이 느껴지면 그것은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소금을 넣어도 너무 많이 넣었기 때문이다. </span></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그런데 세상 누구도 짜기 만한 소금을 넣었는데 짠맛이 나지 않고 맛이 좋아졌다고 요술이라고 하거나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불만을 가지지도 않고, </span></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background-color: #ffffff">소금으로 인하여 나쁜 재료의 흠집이 감추어졌다고 욕하지 않는다. </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MSG를 넣으면 갑자기 맛이 좋아지는 현상은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소금을 넣었을 때 맛이 좋아지는 현상과 완벽하게 같은 현상이다.</span></span></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MSG 자체는 닝닝하지만 음식에 넣으면 향이 좋아지고 맛이 기가 막히게 좋아진다.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맛의 현상이 원래 그런 것이다.</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span></span></div></div> <div><span style="background-color: #ffffff">=============================================================================================================</span></div> <div><br /></div> <div><font color="#ff0000"><b>MSG가 상한 음식을 맛있게 한다는 것은 전혀 상식 밖의 주장이다.</b></font></div> <div>상한 재료에 MSG만 넣어 보면 그 맛이 전혀 감추어지지 않는다.</div> <div>소금이나 향신료가 있을 때 MSG가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div> <div><font color="#0070c0"><b>실제로 상한 음식물의 맛을 숨기는데 효과적인 것은 후각을 자극하는 향신료 물질이다</b></font>.</div> <div>지금까지 수많은 탈취, 소취 연구가 있었다.</div> <div>식품에 뭔가를 첨가하여 쓴맛이나 나쁜 향을 제거하는 기술은 아직 없다.</div> <div><b><font color="#ff0000" face="궁서" size="4">상한 맛은 나지만 감칠맛이 있다고 먹을 사람이 세상에 어디에 있겠는가?</font></b></div> <div><font color="#00b050">(저자의 깊은 빡침이 느껴지네요 ㄷㄷㄷ;; 진지하게 궁서체로 바꿔봤어요.)</font></div> <div>무미의 식재료에 맛을 부여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상한 식재료의 결점을 감추는 기술은 없다.</div> <div><font color="#ff0000"><b>MSG로 나쁜 맛을 감출 수 있다는 주장은 결국 영세상인 죽이기이다.</b></font></div> <div><br /></div> <div><br /></div> <div>불량식품보다 불량지식이 문제다.<font color="#00b050"> (인용까지 하며 제대로 저격하네요.)</font></div> <div><br /></div> <div><table border="1" width="60%" cellpadding="3" cellspacing="0" bordercolor="#000000" style="border-style: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tbody> <tr> <td>' 자연식품에 들어 있는 MSG와 인공조미료의 MSG는 천지차이입니다. 자연식품에서는 MSG 성분이 유리된 형태로 존재하는 일이 없습니다. 항상 다른 아미노산이나 당류 등과 결합된 형대, 즉 '복합체' 형태로 존재하지요.'                                          _ 안병수</td></tr></tbody></table><br /></div> <div><table border="1" width="60%" cellpadding="3" cellspacing="0" bordercolor="#000000" style="border-style: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tbody> <tr> <td> <흥분독소(Extotoxin)>라는 책에는 자연식품으로 글루탐산을 섭취할 경우 혈액에 천천히 흡수되지만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글루탐산은 혈액에 빠르게 흡수, 혈액 농도를 짙게 만들어 뇌의 장벽을 침투해 뇌세포를 파괴한다고 주장이 있습니다.<br />                                                                        _이영돈 피디, 먹거리X파일에서</td></tr></tbody></table><br /></div> <div>자연식품으로 먹으면 천천히 흡수되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글루탐산은 빨리 흡수되어 위험하다는 주장은 언뜻 그럴듯 하나 <b><font color="#ff0000">전혀 사실이 아니다</font>.</b></div> <div><b><font color="#ff0000">유리 글루탐산이 유해하다면 유리 글루탐산을 추출한 다시마 국물, 육수 또한 유해물질이다.</font></b></div> <div><b><font color="#ff0000">또한 단백질을 분해하여 유리 글루탐산을 증가시킨 젓갈, 된장, 간장, 치즈도 유해물질이다.</font></b></div> <div><br /></div> <div>어떤 방송에서는 다시마 국물을 아주 진하게 만들어 하나는 약하게 타고 하나는 진하게 타서 먹여주자,</div> <div>진한 국물 맛에 이것은 틀림없이 MSG가 들어간 것이라고 확신하고 소화불량 등 중국음식 증후군을 겪었다고 했다가, </div> <div>둘 다 MSG가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는 사실에 다소 황당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div> <div><br /></div> <div><br /></div> <div><font color="#0070c0"><b>착한식당보다 착한방송이 절실하다.</b></font></div> <div><br /></div> <div>아주 많이 쓴다고? 항상 1인분 대신에 바가지로 넣는 100인분 만드는 장면을 보여준다.</div> <div><br /></div> <div><b><font color="#ff0000">TV 고발 프로그램은</font></b> MSG 들어가는 장면은 꼭 1인분을 만드는 화면 대신에 수십인분을 만드는 장면을 보여준다.</div> <div>100인분을 만들려면 당연히 큰 국자를 써서 만든다.</div> <div><font color="#ff0000"><b><u>미리 커다란 포장에 담긴 MSG 등을 보여주고 온갖 MSG 쓰는 장면은 반드시 국자로 퍼 넣는 화면을 동원하면서 </u></b></font></div> <div><font color="#ff0000"><b><u>그것이 몇 인분에 해당하는 것인지는 절대 말해주지 않는다.</u></b></font></div> <div>이는 대단한 <font color="#0070c0"><b>이미지 조작술</b></font>이다.</div> <div><br /></div> <div><br /></div> <div>다음은 착한식당 전도사가 된 이영돈 PD의 ㅇㅇ일보와의 인터뷰 기사 일부다.</div> <div><br /></div> <div><table border="1" width="60%" cellpadding="3" cellspacing="0" bordercolor="#000000" style="border-style: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tbody> <tr> <td><i> '먹거리X파일'은 '소비자 고발'을 먹거리 문제로 집중한 느낌이다. 먹거리 문제에 천착하는 이유가 있다면.</i><br />과거에도 먹을거리 코드를 넣었을 때 시청률이 높고 시청자의 관심이 높았다. 종편으로 옮겨 채널 친숙도를 높이는 데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었다. 여기에 내가 가진 인지도나 신뢰도를 더하면 감각적으로 느꼈다. 기본적으로 먹을거리란 본능이 아닌가. 사람들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소재이기도 하다.<br /><br /><i>뜨거운 반응을 예상했나.</i><br />그 소재를 어떻게 요리하느냐는 다른 문제다. 저는 그걸로 추리물, 수사물을 만든다고 생각했다. 실제 추리소설을 굉장히 좋아한다. 공포영화, 스릴러 영화는 극장에 가서든 VOD든 꼭 보는 편이다. <font color="#ff0000">추리물의 요소를 넣어서 사람들이 끝가지 볼 수 있도록 하는 거다.</font> 스튜디오에서 시연을 하고 판을 벌이는 부분은 예능적 요소로 볼 수 있다. 각 요소를 적절히 결합했을 때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td></tr></tbody></table><br /></div> <div>이영돈 PD의 프로그램을 대하는 기본적인 태도가 보인다.</div> <div><font color="#ff0000"><b><u>'먹거리'라는 주제를 가지고 공포영화나 스릴러 영화를 만들듯이 불안을 조장하며 그 불안을 판매한다.</u></b></font></div> <div>이런 식의 보도 때문에 한 중소기업인이 파탄 나기도했다.</div> <div>그것은 김영애 씨의 황토팩 사건!</div> <div>방송을 너무 선정적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나중에 진실이 밝혀져도 영원히 방송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햇다.</div> <div>한 번의 방송으로 월평균 60억 매출을 하던 판매는 '올스톱'되었고 전 재산을 잃었다.</div> <div>법원에서 이영애씨의 무죄가 증명됐지만 이영동 PD는 고의적 방송이 아니었다고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div> <div><font color="#00b050">(헐...이런 사건이 있었군요. 찾아보니 이영동 PD의 '소비자 고발'시절 일어났던 일이더군요...</font></div> <div><font color="#00b050">언론하나로 기업하나 죽이기 참 쉽네요;;;</font></div> <div><font color="#00b050"><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관련기사는  </span></font></div> <div><font color="#00b050"><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5; letter-spacing: -2px"><font size="2"><b><a target="_blank" href="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57196" target="_blank">'김영애 황토팩', KBS PD 2명에게 징역 1년 구형</a> </b> </font></span></font></div> <div><span style="color: #333333; letter-spacing: -1px; line-height: 1.2em"><font size="2"><b><a target="_blank" h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12131640462510" target="_blank">‘황토팩 쇳가루’ 보도 이영돈PD 무죄 확정 “공익 관련 보도였다”</a></b></font></span></div> <div><font color="#00b050">↑클릭)</font></div> <div><br /></div> <div><br /></div> <div><br /></div> <div>이상입니다.</div> <div><br /></div> <div>솔직히 먹거리X파일 초창기에는 종편이어도 꾀 괜찮은 방송이구나 했는데</div> <div>점점 한 회, 한 회 지나가니 제가봐도 뭔 저런걸 TV에 내보내냐고 생각이 바뀌더군요.</div> <div>착한음식점 찾는답시고 맛 평론하는 요리연구가나 모 대학의 교수...무슨 요리왕 비룡찍는줄...</div> <div><br /></div> <div>뜬금없지만 어디선가 주워들은 말이 떠오르네요.</div> <div>MSG를 많이 먹으면 구토, 울렁증 등이 올 수 있다. 다만 동량의 소금을 먹으면 죽는다.</div> <div><br /></div> <div><br /></div> <div><br /></div> <div>3줄 요약</div> <div>MSG는 안전하다.</div> <div>MSG가 위험물질이면 모든 단백질이 들어간 제품또한 위험물질이다.</div> <div>그리고 정보를 담은 매체를 접할 때는 비판적인 눈으로 보자.</div> <div><br /></div> <div>이 글 또한 비판적인 눈으로 보시고 각자 보시는 분들의 사고로 판단해서 받아들이시길 바랍니다.</div> <div>그리고 밑에 참고문헌책 읽어보시고. 책 지은이의 다른 책도 읽어보는것도 추천드립니다.</div> <div>유익한 내용많아요.</div> <div><br /></div> <div>참고문헌</div> <div>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감칠맛과 MSG이야기 / 리북 /  최낙언, 노중섭 / 2013년 / pp.149~255</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3/03 02:26:15  218.53.***.233  빵야빵ya  354229
    [2] 2014/03/03 02:44:58  124.51.***.195  남자의물건  466915
    [3] 2014/03/03 02:52:14  117.111.***.105  난너의큐티클  225640
    [4] 2014/03/03 04:14:56  124.111.***.240  불면증고생  459474
    [5] 2014/03/03 05:56:13  116.40.***.125  어슬렁늑대  404635
    [6] 2014/03/03 08:51:57  119.199.***.32  산대바구  74426
    [7] 2014/03/03 11:32:50  110.70.***.155  치실  516880
    [8] 2014/03/03 23:36:40  211.246.***.18  機巧少女  187118
    [9] 2014/03/05 10:10:12  61.33.***.143  이런썩을  59853
    [10] 2014/03/05 22:43:39  121.139.***.153  우리여우  52520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
    나심 하메드를 아시나요? [1] 반창고 14/03/04 12:12 76 1
    97
    여기가 멜론게시판인가여? 반창고 14/03/04 11:53 24 1
    96
    혐일수도...)중국 잉어 요리 [2] 반창고 14/03/04 02:48 176 0
    [스압주의][글만 많음]MSG 이야기 [8] 반창고 14/03/03 02:17 81 3
    94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10 [베이컨폭탄] 반창고 14/02/24 02:28 75 0
    93
    여러분의 꿈은 무엇인가요? 한 번씩 말해보아요. [2] 반창고 14/02/24 02:18 19 0
    92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8 [돼지갈비 바베] 반창고 14/02/24 02:11 60 1
    91
    올라프를 만들어 먹자 반창고 14/02/24 00:09 101 0
    90
    남자들의 캠핑 [1] 반창고 14/02/22 22:58 69 1
    89
    약빨고만든 성진국CF 모음집 [1] 반창고 14/02/22 18:02 132 0
    88
    집에서 자가발전기 말들기 [3] 반창고 14/02/21 14:15 56 1
    87
    쓰레기통 댓글들 다시 안 보이게 해주세요... 반창고 14/02/21 13:52 - -
    86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8[파이어볼 고기덩어리] [1] 반창고 14/02/20 17:32 108 0
    85
    [스압][자작] 빨래집개로 미니총만들기 반창고 14/02/20 01:09 20 18
    84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7 [피자] [2] 반창고 14/02/19 22:29 89 1
    83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6 [소세지 샌드위치] [1] 반창고 14/02/17 14:52 101 0
    82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5 [샌드위치] 반창고 14/02/17 03:55 154 4
    81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4 [햄버거] [1] 반창고 14/02/17 03:27 136 3
    80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3 [랍스타] [2] 반창고 14/02/17 03:11 100 2
    79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2 [악어] 반창고 14/02/17 02:59 94 1
    78
    상남자는 깨작깨작 조그마한걸로 요리하지 않는다. 반창고 14/02/17 02:51 125 1
    77
    [질문] 결승 진출할 때 이름 옆에 Q는 무슨 뜻인가요? [4] 반창고 14/02/10 21:54 210 0
    76
    [혐]개를 삼킨 비단뱀...ㅎㄷㄷ [1] 반창고 14/02/10 17:37 374 0
    75
    FOOD ART(젤리가 젤리젤리해) [1] 반창고 14/02/09 22:40 76 0
    74
    더 만져주세여.. 반창고 14/02/09 21:48 74 0
    73
    찰지구나! vs 방해하기 반창고 14/02/09 21:39 51 1
    72
    드라이아이스가 필요하다고? 집에서 만들면 되지!! 반창고 14/02/08 22:31 38 1
    71
    밑에 [질문)드라이아이스 먹어도 되나요?????]의 답변 [1] 반창고 14/02/08 17:17 53 2
    70
    액체질소로 파티를 즐기는 7가지 방법.youtube [1] 반창고 14/02/07 15:38 60 2
    69
    [혈흔주의] 치느님과 소형님 도축과정.avi [2] 반창고 14/02/06 20:38 55 1
    [1] [2] [3] [4] [5] [6] [7] [8] [9] [10]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