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니가와베이베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1-06-27
    방문 : 1848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economy_1438
    작성자 : 몽환증
    추천 : 5
    조회수 : 628
    IP : 77.107.***.95
    댓글 : 6개
    등록시간 : 2012/11/23 02:02:41
    http://todayhumor.com/?economy_1438 모바일
    간단히 해보는~ "한국 경제 분석" v.2 [내용추가]
    <p><br></p><p></p><p>말이 한국 경제 분석이지</p><p>깊이있게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그럴 만한 실력도 없습니다.</p><p><br></p><p><br></p><p><span style="font-size: 14pt;"><b>한국 경제의 상태를 2000년 부터 2012년 까지 나열하고 그것에 대해 약간의 코멘트가 달았습니다. </b></span></p><p><span style="font-size:10pt;">글쓴이는 고등학생으로 그 정도 수준임을 감안해주세요.</span> </p><p><span style="font-size: 12pt;"><br></span></p><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2pt;">역으로 말해서<b> 해석이 어렵지 않고 간단합니다 ㅋ</b></span></p><p><br></p><p><br></p><p><br></p><p><br></p><p><br></p><p><br></p><p>버젼 1을 이미 읽으신 분들은 스크롤을 쭉 내리시면 11월 23일 추가 라고 되어있는 경계선이 있습니다. 그 아래부터 읽어 주시면 됩니다.</p><p><br></p><p><br></p><p><br></p><p><br></p><p><br></p><p><br></p><p>-------</p><p><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b>GDP</b> / Billions of U.S dollars</span><br></p><p><br></p><p><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443d6be777c30415bbdba16d373cc125.JPG" class="txc-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p><p><br></p><p>환율은 <b>$1 : 1082원    </b></p><p><b>2012년 11월 기준 GDP value</b></p><p>$ 1049,240,000,000 x 1082원 = <b> 1135조 원</b></p><p><b><br></b></p><p>2002년 이후 <u>10년동안 GDP가 무려 두배 이상</u>이나 늘었습니다. </p><p><br></p><p>하지만 그래프를 보시면 알겠지만</p><p> 2002년 이후 2008년 까지 꾸준한 속도로 성장을 하다 모종의 이유로 급격히 하락</p><p>거기서 <b>회복</b>한게 현재 2011년의 1135조 원의 년간 총 생산량 (GDP)이군요.</p><p><br></p><p><br></p><p>2002년 이후 보여졌던 경제 성장의 동향을 보아하니, 2008년에 있었던 모종의 이유가 없었다면 아마 한국 경제의 GDP는 1135조원보다 높지 않았을까요.</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p><p><br></p><p><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GDP Annual Growth Rate / percent change in GDP per year</span><br></p><p><br></p><p><br></p><p></p><p><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dcc54c06acf81e769a7704585092b071.JPG" class="txc-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p><p><br></p><p>한국의 연간 GDP 성장 속도입니다.</p><p><br></p><p>2008년 부터 보여졌던 GDP의 하락은 여기서도 나타나네요. 하지만 2010년부터 아주 빠른 속도(최대 연간 9%)로 회복을 해낸 모습이 보입니다.</p><p><br></p><p>위 GDP value그래프만 보시면  2008년부터 2010년 까지의 하락 이후 반짝하고 다시 경제 성장이 빨라질거 같아보일지 모르지만</p><p><br></p><p>현재 <b>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span style="font-size: 12pt;">둔화</span></b> 되고 있습니다. </p><p>지금은 거의 0%를 향해 가고 있네요. </p><p><br></p><p>성장률의 하락세는 <u>2011년부터 꾸준히 이어져온 모습을 보입니다.</u> </p><p><br></p><p><br></p><p>과연 왜 그럴까요?</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p><p>GDP 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 / Consumer spending을 봅시다.</p><p><br></p><p><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Consumer Spending / Billion Won</span></p><p><span style="font-size: 14pt;"><br></span></p><p><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7b053a4300b454c995de9ea148bedaea.JPG" class="txc-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p><p><br></p><p>2012년 11월 기준</p><p></p><h2 style="font-size: 11px; font-weight: normal; text-align: justify; width: 720px; color: rgb(65, 68, 69); font-family: sans-serif; line-height: 16px;"><span style="font-size: 10pt;">1</span><span style="font-size: 10pt;">40264,000,000,000 원이군요  140조원 가량됩니다.</span></h2><div>2년 사이에 바 그래프가 8개 있으니 4개가 1<span style="color: rgb(65, 68, 69); font-family: sans-serif; font-size: 10pt; line-height: 16px;">년치 소비자 지출 이라고 생각되네요.</span></div><div>2011년에는 138조 x 4 = 552조원이 총 소비자 지출이네요</div><div><br></div><div>2011년의 GDP 총 생산량은 830조원 정도로 대략<b> 연간 총생산량의 66%</b>를 차지 해주는 무시무시함을 보여줍니다.</div><div><br></div><div>전 한국이 수출만으로 먹고사는 줄 알았는데 내수 소비가 장난 아니네요.</div><div>여기서도 2008년과 2009년 사이 잠깐 내려앉는 모습을 보여주네요.</div><div> 2010년에 보여졌던 GDP의 빠른 회복세는 바로 원상 복귀한 소비자 지출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네요.</div><div><br></div><div><br></div><div><b>어찌됬든 </b>현재 한국 경제가 보여주고 있는 <u>경제 성장 속도의 둔화의 <b>원인</b></u> 중 하나가 여기서 나타나네요. </div><div><b>현재 한국은 소비자 지출의 성장 속도가 줄고 있습니다. </b></div><div><b><br></b></div><div><b><br></b></div><div>그 영향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 된 거 겠죠. 다른 이유도 많이 있을테고요.</div><div><br></div><div>또 물어봅니다. 왤까요?</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span style="font-size: 24pt;">-----</span><span style="font-size: 24pt;">11월 23일 추가-----------------------</span></div><div><span style="font-size: 24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 24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 24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 24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 24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 24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8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4pt;">대한민국 Consumer Confidence / <b>소비자 자신감 지수</b></span><br></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소비자들의 소비에 대한 자신감, 확신감에 대한 지수입니다.</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719b10fb8d3ca0e663ce7cde7307abf5.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br></p></span></div><div>우선 이 그래프가 <u>소비자 지출과 얼마나 연관</u>이 있는지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div><div><br></div><div>2008년 전에는 큰 연관성이 없어보이나, 2008년 이후 Consumer Confidence는 추락을 합니다. </div><div>그 시기의 소비자 지출도 줄어드는 모습이 보이네요.</div><div><br></div><div>그리고 2009년에 들어서자 가파르게 수직 상승합니다. </div><div>역시나 소비자 지출도 하락을 멈추고 빠르게 원상 복귀합니다.</div><div><br></div><div>분명 소비자 자신감 지수는 소비자 지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처럼 보이네요.</div><div><br></div><div>-</div><div>2011년부터 소비자 자신감 지수는 전반적으로 100 이하에 자리 잡게 되고, 2012년에 들어서서는 좀더 깊게 하락하는 모습이 보입니다.</div><div><br></div><div><b><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소비자 지출</span><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 성장 속도의 하락세는</span><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 </span><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소비자 자신감 지수</span><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의 하락이 이유 중 하나라고 판단되네요.</span></b></div><div><b><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br></span></b></div><div><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span></div><div><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br></span></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span style="font-size: 11pt;">소비자 자신감 지수는 그렇다면 왜 떨어졌을까요?</span></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br></div><div><span style="font-family: 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0pt;">소비자들의 자신감의 영향을 주는 것들은 크게 물가상승과 실업률이 있습니다. </span></div><div><br></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우선 물가를 보도록 합시다.</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br></div><div><br></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Inflation Rate / <b>물가 상승률</b> / Annual change on consumer price index</span><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7b87e9e57fdeb8fb55a81652ef16c6b5.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br></p>또 다시 2008년 때를 봅시다. 소비자 자신감이 급속도로 추락한 이유가 여기서 나타나네요. </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바로 급상승한 물가 때문입니다. </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오래 지속 되지 않고 2009년쯤에 급하락한 모습이 보입니다.</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분명 그에 따라 소비자들이 소비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소비자 지출이 원상 복귀 했었음을 알 수 있네요.</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2012년 1월 이후를 봅시다.</font></div><div><br></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물가 상승률은 아주 안정된 모습이 보입니다. 그것은 2012년 1월부터 유지 지속된 모습이 나타나네요.</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어라 이상하네요. 소비자 자신감 지수는 계속 하향세인데, 물가는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니요.</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모종의 이유가 현재 소비자들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b></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br></b></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br></b></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물가의 급상승은 아니고, 그럼 뭘까요?</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소비자 자신감 지수의 다른 큰 영향을 미치는 실업률을 보겠습니다.</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Unemployment Rate / <b>실업률 /</b> percentage of labour force</span><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b4ae4fb4fe42c175461e8800f8be8ddf.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 style="text-align: left;"><br></p><p style="text-align: left;">놀랍습니다!</p><p style="text-align: left;"><b>현재 대한민국의 실업률은 2.8% 정도로 지난 10년 중 가장 낮은 상태입니다.</b></p><p style="text-align: left;"><b><br></b></p><p style="text-align: left;">그것도 2012년에 접어들면서 꾸준히 하락을 한 모습이 보이네요.</p><p style="text-align: left;"><br></p><p style="text-align: left;">저는 한국이 청년 실업이다 , 뭐다 해서 실업이 사회적 큰 문제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실은 경제적으로 봤을 때 별일 아닌거 같습니다.</p><p style="text-align: left;"><br></p><p style="text-align: left;">사실 대한민국은 <b>2002년 전을 제외하면 실업률이 평균적으로 3.5% 이하에 꾸준히 위치</b>하는 나라입니다.</p><p style="text-align: left;">대한민국은 실업이 큰 문제가 되는 나라는 아닌거 같습니다.</p><p><br></p><p><br></p><p>설명을 위해 또다른 그래프를 보여드리겠습니다.</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여기서 잠깐!---</p><p><br></p><p><span style="font-size: 18pt;">쉬어가는 코너  / <span style="font-size: 10pt;">안읽어도 됩니다</span> /</span><br></p><p><br></p><p><br></p><p>뉴스에서도 자주나오고 왠지 문제 있는 것처럼 보여지는 <span style="font-size: 14pt;"><b>청년실업!</b></span></p><p><span style="font-size: 14pt;"><b></b><br></span></p><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436d59b1683b2cad758d8b43d8c94e0a.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span style="font-size: 14pt;"><b><br></b></span></p><p><span style="font-size:10pt;"><b>헐</b> 청년 실업 <b>100만</b>이랍니다! 큰일이군요. 정부가 얼른 나서야 할텐데 말이죠.</span><br></p><p><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size: 10pt;">어디한번 자세한 자료를 보고 좀더 상세하게 알아봅시다.</span></span></p><p><br></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33px;"> 우선 청년 정의는 15세 ~ 29세 사이의 사람입니다.</span></p><p><br></p><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cccecfa78043c258ada3a4069385634b.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br></p><p>그러합니다. 청년실업자 100만은 커녕,  총 실업자 수도 100만이 안 넘습니다.</p><p><br></p><p><br></p><p>그래도 청년 실업자는<b> 평균적으로 전체 실업자 수의 40%</b>를 차지하네요.</p><p><br></p><p>와우 그러면 <span style="font-family: Batang, 바탕;">청년 실업은 정말 문제 아닌가요?</span> </p><p><br></p><p><br></p><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9b743c42276cb99d9f894174a03c57c5.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장난입니다...</p><p><br></p><p><br></p><p>하지만 청년 실업은 타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 밖에 없습니다. </p><p><br></p><p>왜냐! 이제 막 공부 끝냈으니까...  </p><p><br></p><p><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line-height: 18px; text-indent: -84px;">  </span><font color="gree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line-height: 18px; text-indent: -84px;"><u>실업자</u></font><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x; line-height: 18px; text-indent: -84px;">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으로서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span></p><p><br></p><p>상대적으로 사회 경험도 부족한 청년이 과연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한달 안에 찾을 수 있을까요. </p><p><br></p><p>또한 청년 시기의 실업 기간은 <u>오히려 경제적으로 필요한 부분입니다</u>. </p><p><br></p><p>자신에게 더 맞는 직장, 조건, 전공과 맞는 일을 찾는데 시간을 쓰겠죠. 그리고 취업하였을때  만족도는 당연히 더 높습니다.</p><p>괜히 일 빨리 하자 하다가 전공은 경제인데 디자인 회사에 들어가면 그것만큼 기술, 실력 낭비가 없죠. 경제적으로 손실입니다 그건.</p><p><br></p><p><br></p><p>다른나라들이랑도 비교해보겠습니다.</p><p><br></p><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933064f1afb1c14af57194ac327246fe.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br></p><p>그러합니다.</p><p>한국 청년 실업률과 실업률이 다른 나라에 비해 얼마나 안정성을 가졌는지는 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p><p><br></p><p><br></p><p><br></p><p><br></p><p><br></p><p><br></p><p>----------------------<span style="font-size: 18pt;">그럼 다시 돌아가볼까요--</span><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Employed Persons / 취직 인구 수 /</span><br></p><p><span style="font-size: 14pt;"><br></span></p><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76fdcae806cb33501648f3a13f9f0101.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 style="text-align: left;"><br></p><p style="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9pt;">대한민국의 취직 인구수입니다.</span></p><p><span style="font-size: 9pt;">2012년 11월 기준 24780,000 명   즉 </span><b><span style="font-size: 9pt;">2,478만 명</span></b><span style="font-size: 9pt;">이 취직하여 열심히 일하고 계십니다.</span></p></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보시다시피, 취직 인구 수는 <u>꾸준하게 또한 꽤나 빠른 속도로 증가</u>하고 있습니다.</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한국 경제는 실업, 취업의 측면에선 강한 안정성이 보입니다.</b></font></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실업률은 감소하고, 취직 인구 수는 늘고 있고, 물가는 안정되어있는데, 소비자들의 자신감은 하락하고있습니다.</b></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br></b></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그로 인해, 소비자 지출이 줄고, 한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습니다.</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font face="Gulim, 굴림,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div>왜 우리는, 소비자는, 경제가 안정된 상태에서도 불안감을 느끼는 걸까요?</div><div><br></div><div><b>혹시 임금이 줄어서 인가? </b>임금이 줄면 소비자 자신감도 , 소비자 지출도 줄어드는게 당연지사.</div><div><br></div><div>한번 확인해봅시다</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div><div><br></div><div><br></div><div><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Total Households Disposable Income / 총 가처분(실질) 소득</span><br></div><div><span style="font-size: 14pt;"><br></span></div><div><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aaf00cac2816ebb4fd4223ce9a0109dc.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한 바(Bar)는 일년 간 개인의 평균 월 실질 소득을 나타냅니다.</p><p>실질 소득이란 , 세금 때고 난 뒤, 소비자가 실제로 사용 가능한 금액의 양입니다.</p><p>2011년 월 실질 소득은 123만 7715원 입니다.</p><p><br></p><p>와우.</p><p>실질 소득은 2000년 부터<b> 12년 가량 상승 속도가 일정합니다</b>. 12년 전과 비교했을때 <u>실질 소득은 두배가 되었네요.</u></p><p><u><br></u></p><p>물론 그렇다고해서 2000년과 비교했을때 지금 살 수 있는 물건 량이 두 배가 되었다는 말은 아닙니다.</p><p>물가 또한 상승했으니까요.</p><p><br></p><p><br></p><p>어찌됬든 잠시 소비자 자신감 지수/ Consumer confidence를 봐주셨으면합니다. (안봐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좀 위에 있어요.)</p><p><br></p><p><b>실질 소득의 증가량은 소비자 자신감과는 연관성이 떨어짐</b>이 보이실겁니다.</p><p><br></p><p>실질 소득은 꾸준히 증가하지만 소비자 자신감은 위 아래로 흔들리느라 정신 없어보이네요.</p><p><br></p><p><br></p><p><br></p><p>임금은 줄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소비자들은 불안해 하는거 같습니다. 왤까요.</p><p><br></p><p><b>는 훼이크고 </b></p><p>잠시 다른 그래프를 보시겠습니다. 상당히 흥미로운 정보가 하나 있습니다.</p><p><br></p><p><br></p><p><br></p><p><br></p><p>---</p><p><br></p><p><span style="font-size: 14pt;">대한민국 Households Savings / 개인 저축</span></p><p><span style="font-size: 14pt;"><br></span></p><p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0dda9ced8999d42b95ff9d977e7efb0b.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span style="font-size:10pt;">개인 저축량을 보여줍니다.</span><br></p><p>-여기서 잠깐-</p><p>글쓴이는 이 수치가 년간 <b>평균 월 저축량인지, 년간 총 저축량인지</b>,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0, 0, 0);">잘모르겠습니다</span>. 죄송</p><p>하지만 평균 월 저축량으로 보는게 타당하리라 생각합니다. 일년에 40만원만 저축하진 않잖아요? </p><p><br></p><p><br></p><p>어찌됬든, 2011년에는 평균적으로  월 37만원 가량을 저축한것으로 보입니다.   2000년에는 평균적으로 월 20만원정도.</p><p><br></p><p><br></p><p>오잉? 근데 2011년의 실질 소득은 123만원. 2000년의 실질 소득은 60만원 정도.</p><p><br></p><p>그렇습니다. </p><p>평균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은 <b>본인의 실질 소득의 무려 33% 가량을 저축하며 살아가는 미래를 대비하는 개미들입니다.</b></p><p><br></p><p>저축은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중요합니다.</p><p>저축을 해야 투자를 하고 투자를 해야 생산 능력이 늘고, 생산 능력이 늘어야 생산 잠재성(Productive Potential)이 늘어납니다.</p><p>많은 양의 저축은 한국 경제가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금은 그 성장이 둔화 되고 있지만요.</p><p><br></p><p><br></p><p>그래프를 잠시 보시겠습니다. 저축량은 2010년에 큰 폭으로 증가 했습니다.</p><p> 그 이후 증가율은 꺽였지만, 소비자 지출이 줄어 든 것에 대해, 약간이 실마리가 보입니다. </p><p><br></p><p><br></p><p><b>실질 소득은 꾸준히 늘지만 평소보다 저축을 더 많이 해서 지출이 줄은 것입니다.</b></p><p><br></p><p><br></p><p>근데 저축이 늘어나는 이유는 대부분, 경제의 불안성에서 옵니다. 근데 경제는 안정되어 있잖아요? 으잉?<br><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br></p><p></p><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앞으로 추가될 그래프, 내용들</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이자율</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사업 자신감, 코스피</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수출, 수입 균형</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국가 부채, 예산, 외화보유량, 환율</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수정 해야할 부분 , 지적등 은 전부 감사히 받겠습니다. 비방만 하지말아주세요</b></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그리고 글 수정, 내용 추가 할때마다 글 삭제하고 다시 쓸 예정입니다.</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18pt;">댓글 달아주시고, 추천 주신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span></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18pt;"><br></span></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14pt;">앞으로도 잘부탁드립니다. 이번주안에 끝날 예정입니다.</span><br></div><div style="font-family: Gulim; font-size: 12px; line-height: 21px;"><br></div><p></p><p><br></p><p><b><br></b></p><p><br></p><p><br></p><p><br></p><p><br></p><p><br></p><p><br></p><p><br></p></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br></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div><br></div><p></p>
    몽환증의 꼬릿말입니다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11/29a8366eb4a7fd11b230200d8b61333c.jpg">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11/23 15:45:05  117.111.***.76    
    [2] 2012/11/23 21:15:18  119.206.***.163  꼬마자동차  80776
    [3] 2012/11/25 13:16:48  112.171.***.91  그시기하네  153603
    [4] 2012/11/29 02:21:54  61.105.***.27  환장한날  264469
    [5] 2013/04/02 16:47:16  119.194.***.129  하라구  1817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4
    오늘 나런은 연출 최고인듯 [2] 몽환증 12/12/29 10:24 50 0
    123
    엔젤 비트에 대한 생각 [3] 몽환증 12/12/28 17:29 64 0
    122
    오후 4시 기준 투표율 65.2%... 최종은75% 내외 전망 몽환증 12/12/19 16:29 0 2
    121
    프랑켄 프랑 보신분 잠깐만 [4] 몽환증 12/12/13 03:47 55 0
    120
    프랑켄 프랑ㅋㅋㅋ 2화 봤는데 빵터졌습니다. [3] 몽환증 12/12/13 01:27 76 0
    119
    아청법 대비/ 애니 검열!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몽환증 12/12/09 20:23 128 0
    118
    아마존 재팬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2] 몽환증 12/12/09 01:44 19 0
    117
    일본에 거주 중이신 애니게 분들 잠시 봐주세요. 몽환증 12/12/09 00:48 48 0
    116
    재밌고 행복한 애니 추천좀해주세요 [14] 몽환증 12/12/08 23:50 76 0
    115
    크크.. 이 녀석에게 여자의 즐거움을 알려줘라 [1] 몽환증 12/12/08 06:02 161 10
    114
    크크.. 이 녀석에게 여자의 즐거움을 알려줘라 몽환증 12/12/08 06:00 157 1
    113
    후회 없는 삶이란? 몽환증 12/12/05 19:10 11 0
    112
    착해지려고 하지마세요. 몽환증 12/12/03 06:48 71 1
    111
    헐 대박. 오유 이런것도 있었어? [1] 몽환증 12/12/02 23:20 48 0
    110
    나이트런. 오늘자 으아니!!!!! 이게뭐야?! [1] 몽환증 12/12/01 23:02 59 0
    109
    '엔젤 비트'를 봤습니다. [스포] [8] 몽환증 12/11/29 16:50 73 0
    108
    아청법에 저촉되는 일반 애니 있나요? [5] 몽환증 12/11/29 04:09 90 0
    107
    '다크 카나' 라 안 카나 !!!!!! [혐인가?] [5] 몽환증 12/11/27 05:29 236 1
    106
    근데 솔직히 안카나 아이콘이 둘리보다 괜춘지 않나요? [1] 몽환증 12/11/26 16:49 79 1
    105
    다크 안 카나 - 설정/화 [2] 몽환증 12/11/26 04:35 138 2
    104
    [안카나] 무기 설정 [4] 몽환증 12/11/26 02:03 166 2
    103
    만화 제목좀 찾아주세요 ㅋㅋㅋ 몽환증 12/11/25 20:41 33 0
    간단히 해보는~ "한국 경제 분석" v.2 [1] 몽환증 12/11/23 02:02 23 0
    101
    간단히 해보는 ~ " 한국 경제 분석" 몽환증 12/11/22 07:52 45 1
    100
    애니 제목좀 알려주세요 -사진 유- [7] 몽환증 12/11/20 22:20 136 0
    99
    만화 제목 좀 알려주세요.-사진 유- [1] 몽환증 12/11/19 06:38 129 0
    98
    바케모노가타리를 다 봤습니다. [5] 몽환증 12/11/17 20:24 74 1
    97
    늘 생각했던게 있는데 [3] 몽환증 12/11/16 04:04 42 0
    96
    와 트레져헌터 쩌내... 근데 3시즌은 도대체?? [2] 몽환증 12/11/14 07:19 66 0
    95
    궁금한게 있는데요 루나가드님들 [2] 바르돈 12/11/09 04:17 40 0
    [1] [2] [3] [4] [5] [6] [7] [8]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