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creed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0-08-19
    방문 : 116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792654
    작성자 : creed
    추천 : 109
    조회수 : 8976
    IP : 58.79.***.121
    댓글 : 5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12/04 20:28:59
    원글작성시간 : 2013/12/04 19:34:29
    http://todayhumor.com/?humorbest_792654 모바일
    BGM) 이론적으로 구상된적 있는 초거대 구조물들 TOP10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object width="300" height="50"><param name="movie" value="//www.youtube.com/v/2TwR_ZW27bQ?hl=ko_KR&autoplay=1&loop=1&playlist=1&version=3&rel=0" /><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true" /><param name="allowaccess" value="always" /><embed src="//www.youtube.com/v/2TwR_ZW27bQ?hl=ko_KR&autoplay=1&loop=1&playlist=1&version=3&rel=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300" height="50" allowaccess="always" allowfullscreen="true"></embed></object><br />출처 : <a target="_blank" href="http://www.youtube.com/watch?v=2TwR_ZW27bQ" target="_blank">http://www.youtube.com/watch?v=2TwR_ZW27bQ</a><br /><a target="_blank" href="http://dmdlzaaa.ufree.kr/tool/youtubebgm.php" target="_blank">유튜브 태그 생성기</a></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br /></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b>출처는 리스트버스입니다.</b></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a target="_blank" href="http://listverse.com/2010/03/07/top-10-theoretical-megastructures/" target="_blank">http://listverse.com/2010/03/07/top-10-theoretical-megastructures/</a></div> <div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br /></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face="맑은 고딕" size="5">10위 : 우주 엘리베이터</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4"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4"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134mT4kWtwaljKU2pbiQN4.jpg" alt="spaceelevator.jpg" id="image_01080713679548353"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387px"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우주 엘리베이터는 행성의 표면에 있는 물자를 우주로 나르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구조물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다양한 디자인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고정된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는 일반적 디자인 대신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로켓의 추진력을 이용해 수송하는 디자인 같은것도 존재하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가장 자주 언급되는 것은 적도 부근에 정지위성을 띄우고 지구 반대편에 카운터매스를 둔다는 개념의 디자인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오늘날의 재료 공학으로는 우주 엘리베이터를 세우는데 필요한 케이블의 물성치를 얻는것은 불가능하지만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언젠가는 발달된 <b>카본 나노튜브</b> 기술에 의해 적도상에 우주 엘리베이터가 서는것을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face="맑은 고딕" size="5">9위 : 궤도 링</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4"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4"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291RIdcYLhNmmZgzb2hbJg.jpg" alt="earthring_1024.jpg" id="image_007505468116141856"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371px"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것은 크게 보면 우주 엘리베이터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가장 단순한 디자인은 지구를 한바퀴 감는 길이의 <b>초전도 케이블</b>을 적도의 저궤도 상공에 올리는 것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그러면 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 정거장이 해당 지점으로 이동하여 카본 나노튜브 케이블을 지구로 내림으로서</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지표면의 물자를 우주로 수송시키는것이 가능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face="맑은 고딕" size="5">8위 : 헤일로</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4"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4"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399QveNHLa5.jpg" alt="halo.jpg" id="image_0007013819646090269"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360px"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헤일로는 비디오 게임 <b>헤일로 시리즈</b>에 등장하는 초거대구조물이자 <b>슈퍼웨폰</b>의 일종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것은 래리 나이븐의 링월드(1번 항목 참고)를 축소화시킨 생김새의 초거대구조물로 </span><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회전하는 고리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고리의 내부에는 대기와 물의 순환까지 이루어지는 <b>자체적인 생태계</b>도 존재할수 있습니다.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고리의 바깥은 금속재질로 된 유지 보수 구역으로 발전과 거주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7위 : 글로부스 카수스</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br /></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499ed63t8lSV.jpg" width="720" height="403" alt="05_globus_cassus_02.jpg" style="border: none" id="image_0.519653357565403" /></div></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글로부스 카수스는 스위스의 건축가이자 예술가인 <b>Christian Waldvogel</b>가 고안한 아트북과 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것은 우리가 사는 행성 지구를 좀 더 크고 속이 빈 인공 구조물로 만들어 지구의 가용성을 높인다는 프로젝트로</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계획의 완성을 위해서는 <b>지구의 모든 질량</b>이 그 재료로 필요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변형이 무사히 끝나면 인류는 모두 다른 막들과 거대한 지지대로 연결되는 외부막의 내부에 모여살게 되고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대기와 물은 모두 지구의 중심부에 구속되어 생태계의 유지와 작물경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6위 : 토포폴리스</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br /></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6082hcTqENfGk3Obo1OEMfGk57XrquF.jpg" alt="megastructure.jpg"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330px" id="image_0.0011043376289308071" /></div></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562EaGQuirydpiWIBAXTIz.jpg" width="650" height="521" alt="Topopolis CABLEVILLE2.jpg" style="border: none" /></div><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토포폴리스</b>는 튜브 형태의 우주 거주지로,회전을 통해 내부 표면에 유사 중력을 만들어 낼 수도 있고</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태양을 중심으로 여러 바퀴 도는 형태로 무한정 길게 연장될수도 있기에 <b>우주 스파게티</b>라고도 불립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 개념은 <b>팻 군켈</b>에 의해 처음 탄생되었으며 래리 나이븐의 저서 "Bigger than Worlds"에서 언급된 적도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5위 : 항성 추진 엔진</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1828O8fMOmc7lKWFdWJ.jpg" alt="stellar_engine_by_elementj21-d20iyav.jpg" id="image_0567809558939188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453px"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항성 추진기는 항성이 자체적으로 발산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항성과 그 주변을 도는 위성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추진</b>시킨다는 개념의 구조물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런 규모의 건조물을 만들기 위해선 문명의 규모가 최소한 <b>카르다셰프 타입-II</b>까지는 이르러야 할 것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카드다셰프 규모란? </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참고 링크 :</b> http://mirror.enha.kr/wiki/%EC%9A%B0%EC%A3%BC%20%EB%AC%B8%EB%AA%85%EC%9D%98%20%EB%8B%A8%EA%B3%84%EC%84%A4</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엔진의 세가지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A 타입 항성 엔진은 항성계를 이동시키는 시스템으로 막대한 규모의 거울과 태양풍 돛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 타입 항성 엔진은 다이슨 스피어(3번 항목 참고)의 형태를 하고 있어 항성과 항성간 공간의 온도차를 이용한 에너지 추출이 가능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C 타입 항성 엔진은 A와 B 형태를 결합한 형태로 발전과 추진이 동시에 가능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4위 : 마트료쉬카의 뇌</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2138AJQ5hNH8HGRqEtiU.jpg" width="400" height="273" alt="matrioshka3-tm.jpg" style="border: none" id="image_0.40164090134203434"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 구조물은 하나나 그 이상의 다이슨 스피어(아래 항목 참고)를 건조하여 항성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러시아 특산의 인형 안에 인형이 있는 인형 <b>마트료시카</b>란 이름을 하고 있는것도 이 때문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대부분의 막은 <b>나노사이즈의 컴퓨터</b>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의 항성으로부터 받아들인 에너지를 계산에 사용하고 바깥으로 내보내게 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러한 구조물의 제작은 그 과정에 있어서 어디에서도 물리학의 법칙에 어긋나는 점은 없지만</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재료 수급을 위해서는 <b>태양계 내부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행성</b>들이 분해되어야할 것이라고 계산되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face="맑은 고딕" size="5"><b>3위 : 다이슨 스피어</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face="맑은 고딕" size="5"><b><br /></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2280cwF4zvW7RYdk.jpg" alt="fractal_dyson_sphere_by_eburacum45-d2yum16.jpeg" id="image_04127123283687979"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407px" /></div></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다이슨 스피어란 과학자 <b>프리먼 다이슨</b>에 의해 처음 고안된 가상의 초대형 구조물에 관한 컨셉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것은 항성의 주변을 완벽히 덮어서 그 에너지를 100% 사용 가능한 구체 형태의 구조물에 관한 컨셉으로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다이슨 스피어의 등장 이후로 항성의 주변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의 구조물들은 모두 다이슨 구체의 일종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후 추가된 디자인들에 따르면 다이슨 구체는 태양 에너지의 발전뿐 아니라 거주구와 산업지구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2위 : 앨더슨 디스크</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23543xcwTQyQJD19xRfpHXnJG.jpg" width="600" height="300" alt="alderson.jpg" style="border: none" id="image_0.9319371436722577"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제안자 <b>댄 앨더슨</b>의 이름을 따 명명된 앨더슨 디스크는 링월드나 다이슨 스피어와 비슷한 개념의 우주적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 디스크는 CD나 축음기 레코드와 같은 거대한 원반의 형태를 하고 있으나 그 두께는 무려<b> 수천마일</b>에 달합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원반의 가운데에는 중심 항성이 자리잡고 있으며 원반의 외부 직경은<b> 화성이나 목성의 궤도거리</b>까지 달하기에</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구조물의 건조를 위해서는 <b>태양 그 자체보다 더 큰 질량</b>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또 구조물의 형태상 원반의 표면에는 낮과 밤의 순환이 없고 오직 어스름한 태양빛만이 계속 비춰질 것으로 여겨지기에</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밤낮을 만들기 위해서는 <b>중앙의 태양을 강제적으로 위 아래로 회전</b>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1위 : 링월드</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br /></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5" face="맑은 고딕"><b>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2472MokbqdFaS5bIxQW56gOfnkeCKLByfcPp.jpg" width="640" height="482" alt="Ringworld-picture.jpg" style="border: none" /></div></b></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것은<b> 지구 공전궤도 크기</b>의 인공적인 링을 태양 주변에 한바퀴 돌린다는 개념의 구조물로서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자체 회전을 통해 앞서 소개한 헤일로처럼 내부에 인공 중력을 발생시킬수도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그러나 링월드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b>태양계에 존재하는 모든 행성</b>이 재료로 필요하며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링의 회전을 위해서도 <b>목성의 20배</b>에 달하는 외부 질량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고 계산되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이러한 우주적 구조물들의 건축이란 인류에게 있어서 아직까지는 완전한 상상의 영역에 머물고 있습니다.</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앞서 소개한 초거대 건축물들이 완공만 된다면 인류에게 막대한 추가 거주지와 능력을 제공할수 있음은 분명하나</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1번 항목의 링월드만해도 건설과 회전,안정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태양이 <b>수백년간 방출하는 모든 에너지</b>를 합한것과 맞먹으리라고 계산되고 있습니다.</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따라서 이 정도 규모의 우주적 건조물을 인류가 납득 가능한 시간틀 안에서 완성할 방법을 찾는다는건 </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먼 미래의 인류에게 있어서도 상당히 난해한 과제로 남아있을 것입니다.</font></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font size="3" face="바탕"><br /></font></span></div> <div><br /></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보너스 : 아틀란트로파</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br /></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font size="5" face="맑은 고딕">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152622Dqn3g7ZyqDja3fdGCZxxalF55jltE5L.jpg" alt="Atlantropa.jpeg" style="border: none; width: 640px; height: 507px" id="image_0.7651436245068908" /></div></font></b></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아틀란트로파</b>,혹은 <b>판로파</b>로고도 불리는 초거대 규모의 토목안이 1920년대 독일의 건축가 <b>헤르만 조글</b>에 의해 제안된적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것은 지브롤터 해협을 가로지르는 초거대 수력댐의 건설에 의해 지중해의 수면을 낮춤으로서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지중해 바닥 전체</b>를 유럽인들이 거주할 새로운 영토로 만든다는 계획이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그는 장차 유럽의 대항마로 미국과 판아시아 지역이 대두할것이라고 확신하고</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유럽도 자급자족이 가능한 영토의 확보와 아프리카 지역의 식민지화에 힘써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br /></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하지만 이 계획은 그 <b>터무니없는 스케일</b>과 <b>유럽 중심의 확장 정책</b> 때문에 누구의 지지도 받지 못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나찌의 강점기 아래에서도 이 계획은 나찌의<b> 순혈주의 제국 사상</b>과 반하는것으로 여겨져 조롱거리가 되었고</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이탈리아인들은 그들의 주요 도시가 해변과 밀접한 관계로 이 계획을 한번도 지지한적이 없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거기다 2차 대전 이후 연합세력의 관심사는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span><b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연대 회복</b><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과 </span><b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공산주의와의 경쟁</b><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으로 돌아섰고</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 normal; font-size: 9pt">이후 이어진<b> 핵무기의 발명</b>과 <b>식민주의의 종식</b>은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normal">아틀란트로파 계획을 정치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영구히 </span><span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normal">불필요하고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span></div></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2/04 19:40:20  115.126.***.121  검은수염고래  328288
    [2] 2013/12/04 19:41:02  123.211.***.167  ↖ㅇㅅㅇ↘  493756
    [3] 2013/12/04 19:51:49  118.41.***.1  껄껄  94133
    [4] 2013/12/04 20:00:33  180.211.***.233  해기사  270841
    [5] 2013/12/04 20:02:35  14.51.***.49  블랙마커  101202
    [6] 2013/12/04 20:06:14  58.143.***.228  갈치통조림  178237
    [7] 2013/12/04 20:14:43  36.39.***.96  라임오렌지★  261058
    [8] 2013/12/04 20:15:18  39.120.***.35  효이  266780
    [9] 2013/12/04 20:23:12  222.235.***.98  튜나Fewward  371749
    [10] 2013/12/04 20:28:59  220.67.***.47  ㅌㄴ073  49104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사이트명 바뀌기 전에 기념글 하나 남기고 갑니다 [6] creed 17/12/21 18:45 1150 26
    BGM) 인류의 자리를 대체할수도 있는 존재들 TOP 10 [7] 펌글 creed 15/06/24 14:19 9346 37
    BGM) 인류의 자리를 대체할수도 있는 존재들 TOP 10 [15] 펌글 creed 15/06/22 12:47 24351 63
    BGM) 가볍게 애니짤로 보는 인류의 미래 (스압주의) [15] creed 14/09/15 11:48 10499 41
    BGM) 미래의 고기,배양육 (스압주의) [141] creed 14/08/23 01:56 9941 166
    BGM) 나노기술로 유토피아를 만들어낼수 있을까? (스압주의) [32] creed 14/08/16 10:00 8570 93
    BGM) 가볍게 사진으로 보는 여러가지 속력의 비교 [23] creed 14/08/09 10:40 10344 67
    키&필 - 인신 비하 개그 (스압주의) [26] creed 14/08/07 16:03 15297 96
    BGM) 언젠가 새로운 음악이 완전히 고갈되는 날이 올까? [44] creed 14/07/29 03:03 8395 104
    윤회론에 관한 짤막하지만 인상적인 단편 - The Egg [67] creed 14/05/08 21:02 12590 171
    BGM)슈퍼맨의 펀치를 실제로 맞는다면 어떻게 될까? [26] creed 14/04/27 02:32 13285 88
    BGM)사람은 얼마나 많은 짐을 나를수 있을까? [8] creed 14/04/26 23:23 6643 56
    BGM) 기상천외한 건축 프로젝트 TOP10 [11] creed 14/04/25 12:14 9943 69
    BGM) 가혹한 아동 노동 TOP10 [30] creed 14/03/01 02:06 14703 142
    BGM) 고대 로마 동물 아레나의 잔인한 진실 TOP10 [43] creed 14/01/29 21:58 14505 152
    BGM) 내가 맨티스 쉬림프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 [43] creed 13/12/22 07:32 6096 116
    동물만화)) 우리집 개 람보에 대하여 [10] creed 13/12/20 11:55 3619 89
    BGM) 우리 생애에 보게 될지도 모르는 세상의 변화 TOP10 [27] creed 13/12/19 03:47 9121 93
    BGM) 우리 우주에 존재하는 기묘한 것들 TOP10 [38] creed 13/12/15 01:33 9528 144
    BGM) 살인에 쓰였던 기묘한 무기 TOP10 [33] creed 13/12/13 21:18 18327 104
    BGM) 남자의 성기가 손상된 엽기적 사례 TOP10 [107] creed 13/12/05 18:44 22831 171
    BGM) 이론적으로 구상된적 있는 초거대 구조물들 TOP10 [57] creed 13/12/04 20:28 8976 109
    BGM) 자연적으로 불타오르는 장소 TOP10 [12] creed 13/12/03 22:09 9623 75
    BGM) 인류를 슈퍼맨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들 TOP10 [78] creed 13/11/28 00:53 12238 107
    BGM) 자연계 속에 존재하는 인셉션 TOP10 [28] creed 13/11/25 22:11 10626 108
    BGM) 스스로 자기 몸을 수술한 사례 TOP 10 [40] creed 13/11/24 00:43 20254 163
    볼리비아 죽음의 도로 [18] creed 13/11/23 00:00 11556 38
    BGM) 가장 강력한 폭발들 TOP 10 [37] creed 13/11/19 00:48 12259 110
    BGM) 우주로 나간 동물들 TOP 10 [16] creed 13/11/18 11:27 9994 67
    BGM) 가장 괴상한 동물 실험 TOP 10 [52] creed 13/11/17 04:45 17374 104
    [1] [2] [3] [4] [5] [6] [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