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nasica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11-09
    방문 : 54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930376
    작성자 : nasica
    추천 : 35
    조회수 : 3754
    IP : 211.109.***.9
    댓글 : 6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8/12 18:56:06
    원글작성시간 : 2014/08/12 09:06:27
    http://todayhumor.com/?humorbest_930376 모바일
    약스압) 마리우스는 왜 체포되지 않았을까 ?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500" height="500" style="border:medium none;" alt="23995810486150320_bsoivy3e_c.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1350KudgfizFekyOzBtP.jpg"></div><br>(영화의 실질적인 주인공 앙졸라입니다.  앙졸라 Enjolras 라는 이름의 발음을 앙졸라스 라고 하는 것이 맞는지 앙졸라 라고 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왈가왈부 말이 많으나, 정작 프랑스인들끼리도 통일이 안되어 있습니다.)<br><br><br>레 미제라블에서 폭동에 참여하여 군인을 살해하기도 한 마리우스가 그 이후 왜 처벌을 면하고 코제트와 행복하게 부르조아의 삶을 누릴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보시려면, 이야기가 아주 길어집니다.  먼저 먹는 과일인 배 이야기부터 들으셔야 합니다.<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503" style="border:medium none;" alt="pear.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495dD5cxTr4El.jpg"></div><br><br>(물론 프랑스니까 우리나라 나주 배가 아닌 서양배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서양배는 저렇게 좀 표주박처럼 생겼어요.)<br><br><br>-----------------------------------------<br>어 느 여름날 저녁 루이 필리프는 걸어서 돌아오다가 어리디어린 건달 하나가 뇌이 궁전의 쇠 문설주에 엄청 큰 배 하나를 숯으로 그리려고 발돋움하며 땀을 흘리고 있는 것을 보고, 왕은 앙리 4세로부터 이어받은 착한 마음씨를 가지고 그 건달을 도와 배를 다 그리고 나서, 그 아이에게 루이 금화 한 닢을 주면서 말했다.  "이 금화에도 배가 있구나."<br>-----------------------------------------<br><br>사실 배라는 것은 루이 필립의 문장이 아니라 별명이었고, 그것도 조롱하는 별명이었습니다.   1831년, 그가 왕좌에 오른 이후에 나온 아래 만화를 보면 아시겠지만 그의 두상이 약간 배를 닮았거든요. <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27" height="698" style="border:medium none;" alt="Caricature_Charles_Philipon_pear.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684SGkoIsMQPlPT.jpg"></div><br><br>(루이 필립, 배로 진화하다)<br><br><br><br>아, 여기서 배란 물론 서양배를 뜻합니다.  서양배는 굳이 따지면 약간 표주박처럼 생겼지요.  그러니까 저 대담한 부랑아 소년은 감히 궁전 문설주에다 왕을 조롱하는 낙서를 하다가 왕 본인에게 딱 걸린 것인데, 왕 본인이 그 조롱 낙서를 그리는 것을 도와주고 이 불쌍한 소년에게 금화까지 준 것입니다.  그러면서, 금화 위에 새겨진 자신의 얼굴을 가리키면서 루이 필립이 "이 금화 위에도 배가 있다" 라고 농담을 한 것입니다.  당시 금화 앞면에는 항상 왕의 얼굴을 새기게 되어 있었거든요.<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25" height="304" style="border:medium none;" alt="Louis_XIV_Gold.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704WzejRnMl5U.jpg"></div><br><br>(이것이 루이 14 때의 금화, 흔히 Louis d'Or 라고 부르는 물건입니다.  불어로 금이 Or 에요.   금값만 따져도 현재 가치로 약 40만원 정도 합니다.)<br><br><br><br>레미제라블 속의 저 문장은 가브로슈를 소개하면서 파리의 어린 부랑자들에 대해 장황하게 설명하는 부분에서 나옵니다.  하지만 여기서 여러분이 느끼셔야 하는 것은 바로 저 루이 필립이라는 왕의 관대함입니다.<br><br>잠 깐, 루이 필립이 관대하고 착한 왕이었나요 ?  예, 맞습니다.  이건 레미제라블 속에도 언급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의 주인공 마리우스와 앙졸라, 그리고 ABC의 친구들은 이 어질고 착한 왕을 몰아내려고 했었나요 ?  그건 나중에 보도록 하고, 먼저 이 루이 필립이라는 왕에 대해서 간단히 보셔야 합니다.<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414" height="599" style="border:medium none;" alt="414px-Louis-Philippe_de_Bourbon.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724husmJj9E1vF8qy88fiO5eiGj.jpg"></div><br><br>(어서 와, 내 진짜 얼굴은 처음이지 ?  저 위에 배는 잊어버려.)<br><br><br><br><br>루 이 필립은 이렇듯 애초에 왕이 될 운명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지요.  루이 필립의 아버지인 오를레앙 공작 루이 필립 2세 (Louis Philippe II)는 당시 왕이었던 루이 16세와는 사이가 좋은 편이 아니었고, 무엇보다 계몽 사상을 신봉하는 자유주의자였습니다.  그로 인해 운명의 삼부회가 소집되었을 때도 루이 필립 2세는 제3신분 편을 들었고, 혁명에 협조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혁명을 주도했습니다.  오를레앙 공작으로서 그의 거처였던 파리 시내 루아얄 궁 (Palais-Royal)은 급진파인 자코뱅들의 본거지일 정도였습니다.  루이 필립 2세 자신도 열혈 자코뱅이었습니다.  참 묘하지요 ?  공작이 자코뱅이라니 !  미국의 오올리언즈 (Orleans, 루이지애나의 뉴 오올리언즈가 아니라 메사츄세스 주의 소도시입니다)라는 도시 이름은 독립 전쟁 당시 자신들을 후원해준 바로 이 양반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입니다.<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566" style="border:medium none;" alt="mont_saint_michel_normandy_france-wallpaper-800x60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743jvUiLayTXjdWk.jpg"></div><br><br>(몽생미셸 하니까 어딘지 귀에 익지 않습니까 ?  화보에 자주 나오는 해안가의 그 유명한 몽생미셸 성 바로 그 곳입니다.)<br><br><br><br>그 의 아들 루이 필립도 당연히 그 아버지 영향을 받아서 자유주의자로 교육을 받고 자랐습니다.  혁명이 터지기도 전인 1788년, 당시 불과 15살이었던 루이 필립은 몽생미셸(Mont Saint-Michel)의 감옥 문을 부수기도 할 정도였습니다.  이 이야기는 레미제라블에도 나오지요.  뿐만 아니라, 그는 1792년 유명한 발미 (Valmy) 전투에 직접 참전하여 혁명을 진압하러 침공하는 프로이센 군과 싸우기도 했지요. <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506" style="border:medium none;" alt="Feron_-_Le_Duc_de_Chartres_%C3%A0_Valmy_(179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7661En5aItJP4cnO11NJQj9LC3Qt2t8ViH.jpg"></div><br><br>(1792 년 발미 전투에서의 루이 필립입니다.  중앙에서 약간 왼쪽에, 말에서 내려서서 투구를 쓴 채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바로 루이 필립입니다.  바로 그 옆에 말을 탄 장교는 그의 친동생이고요.  발미 전투의 의의에 대해서는 발미(Valmy)에서 생긴 일 <a target="_blank" href="http://blog.daum.net/nasica/6862441" target="_blank">http://blog.daum.net/nasica/6862441</a> 참조)<br><br><br><br>그 의 따뜻하고 고귀한 품성을 전해주는 일화는 많습니다.  가령 젊어서 군에 있을 때, 성난 마을 주민들이 혁명에 반대하는 카톨릭 사제들을 때려죽이려고 몰려들자 자신이 홀홀단신으로 폭도들과 사제들 사이에 버티고 서서 카톨릭 사제들을 구해낸 적이 있었지요.  본인 자신은 혁명파인데도, 혁명으로 인해 불필요한 살상이 일어나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아마 덕분에 사제들을 놓친 마을 사람들은 이 젊은 귀족 장교에게 무척 화가 났을텐데, 바로 다음날 어떤 사람이 강물에 빠지자, 루이 필립이 물에 뛰어들어 이 사람을 구해냈습니다.  결국 이 용감함에 감복한 마을 사람들이 그에게 월계관을 선사했다고 합니다.<br><br>하지만 그 자신은 결국 반혁명파로 몰리게 되었습니다.  그는 루이 16세의 처형에는 반대한, 입헌 군주제를 지지하는 온건파였습니다.  반면에 그의 과격한 자코뱅 아버지는 아예 성을 '평등'이라는 Égalité 로 바꿔버리고 루이 16세의 처형에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혁명은 그다지 아름답게 돌아가지만은 않습니다.  발미 전투에서 그의 상관이었던 두무리에 (Charles François Dumouriez) 장군은 혁명 정부의 무능력과 과격함에 질려버린 상태라서, 차라리 1791년의 헌법 체제, 즉 입헌 군주제로 되돌리기 위해 오스트리아군과 손잡고 반혁명 군사 쿠데타를 계획했습니다.  이 계획은 사전에 탄로가 나서 실패했는데, 두무리에의 부하였던 루이 필립도 이에 연루되어, 결국 두무리에와 함께 오스트리아로 망명을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아들의 망명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파리의 아버지 오를레앙 공작은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게 되지요.<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504" height="600" style="border:medium none;" alt="504px-Charles-Fran%C3%A7ois_Dumouriez.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782V4lvcTMxMHASbGGZCWz.png"></div><br><br>(이 분이 두무리에 장군입니다.  그는 영국으로 가서 영국의 연금을 받으며 나폴레옹에 저항하며 살았습니다.  루이 18세 복위 이후, 프랑스군으로의 복귀를 꾀했으나, 이미 프랑스군은 나폴레옹의 실력파 부하 원수들이 다 꽉 잡고 있었으므로 실패... 결국 영국에서 쓸쓸히 여생을 마쳤습니다.)<br><br><br><br>여기서부터 루이 필립의 진짜 고생이 시작됩니다.  그는 곧 오스트리아를 떠나 스위스, 스칸디나비아, 핀란드, 심지어 미국 등으로 정처없는 떠돌이 생활을 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마치 낭만적인 세계 여행을 즐긴 것 같지만, 그는 따로 금전적인 지원을 받는 곳이 없었기 때문에, 생활이 궁핍했던 것입니다.  레미제라블에도 나오는 이야기지만, 그는 끼니를 때우기 위해 타고 다니던 말을 팔기도 했고, 어떤 기숙 학교에서 수학과 지리, 프랑스어 교사 노릇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와 동행하던 여동생은 놀랍게도 삯바느질을 해서 생활비를 보탰다고 합니다.  (다만 그런 와중에도 여기저기서 여자들과 놀아나 사생아들을 남겼다는 점은 에러...)  그래서 루이 필립은 젊어서 고생을 해 본, 시민 왕으로 불릴 자격이 있는 사람이었지요.<br><br>1830년 7월 혁명이 벌어졌을 때, 샤를 10세는 자신의 손자에게 양위를 한다고 선포하고는 망명길을 택했습니다.  그러나 민중들은 당연히 공화제를 원했습니다.  부르주아 계급은 그에 비해서 공화제의 혼란을 두려워했고, 이런 상황 속에서 '시민 왕'이라고 할 수 있던 루이 필립이 그 대안으로 떠올랐습니다.  서민의 삶이 무엇인지 아는 착한 왕이라, 참 멋져 보이지 않습니까 ?  결국 루이 필립은 부르봉 왕조를 쫓아낸 세력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던 것이지요.  19세기의 프랑스 혁명은 대개 부르조아, 즉 중산층 계급이 선도하지만 결국 일반 민중들이 몸빵을 담당해서 피를 흘리는데, 그 성과는 역시 다시 중산층 계급에서 독점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 같습니다. <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597" style="border:medium none;" alt="Eug%C3%A8ne_Delacroix_-_La_libert%C3%A9_guidant_le_peuple.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00RW7OvYt5V46TsTqUy5yGJbpQvOi.jpg"></div><br><br>(이 그림이 1830년 7월 혁명을 묘사한 가장 유명한 그림이자 제 블로그의 타이틀 화면인 Eugène Delacroix 작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입니다.  이 그림은 당시 역사화치고는 파격적으로 사건 직후인 1830년에 그려졌습니다.  화가인 들라크루아는 정작 이 혁명에 직접 참여하여 총을 들지는 않았는데, 동생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내가 조국을 위해 싸울 수 없다면, 조국을 위해 그리겠다 !' 라고 말을 했다고 합니다.  저 그림에는 노동자와 부르조아 중산층 시민, 거리의 불량 소년 등이 모두 합심하여 왕정 타파에 나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 불량 소년이 훗날 빅토르 위고에게 가브로슈에 대한 영감을 주었을 거라는 추측이 많으나, 정작 위고는 그에 대해 아무 말을 한 것이 없습니다.  이 그림은 제작 즉시 매우 유명해졌는데, 레미제라블의 배경이 되는 1832년 6월 봉기 이후 대중에게 전시되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합니다.  ㅉㅉ)<br><br><br><br>루이 필립은 이렇게 인기 많은 왕으로 시작했지만, 그 인기는 급속도로 나빠졌습니다.  애초에 공화제를 원했던 민중이 '자신들이 이용만 당하고 얻은 것은 없다'라고 분노했기 때문이기도 했고, 루이 필립의 정치는 결국 투표권 보유자를 줄이고, 금융가 및 지주들만을 위한 방향으로 나아갔기 때문입니다.  그런 분노가 좀 설익게 터져 나온 것이 루이 필립 즉위 2년 만인 1832년 6월, 즉 레미제라블에 묘사된 무장 봉기 사건입니다. <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466" height="292" style="border:medium none;" alt="June_Rebellion.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14BHt4oA6ZnlhpudbIwaAw1b4XB.jpg"></div><br><br>(이 1832년의 파리 무장 봉기 사건은 실패한 사건이다 보니 별로 잘 알려지지도 않았으나, 빅토르 위고에 의해 불멸의 영광을 누리게 되었지요.)<br><br><br><br>빅 토르 위고는 이 봉기 사건 당시에는 루이 필립의 지지자였고, 레미제라블 내에서도 루이 필립 개인에 대해서는 무척 칭찬을 아까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앙졸라가 굳이 무장 봉기를 일으켜야 했던 것은, 루이 필립을 몰아내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프랑스에서 왕을 몰아내기 위해서였다고 묘사했지요.<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503" style="border:medium none;" alt="LESMISSTILL-00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2981moWFGjIV88.jpg"></div><br><br>(루이 필립 당신에게 개인적인 감정은 없소이다 !)<br><br><br><br>자, 원래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왜 마리우스가 중대 범죄인 반란을 저지르고도 무사할 수 있었는지를 보지요.  사실 그 답은 레미제라블 안에 다 묘사되어 있습니다.  민음사의 번역을 그대로 옮깁니다.<br><br>-----------------------<br>폭동은 사회의 현 상태에서, 모두의 책임이므로 거기에는 어느 정도 눈을 감아 줄 필요가 뒤따른다.<br>게 다가 또 언어도단인 지스케의 법령은 의사들에게 부상자들을 고발하도록 명령했는데, 그것은 여론을 분개시켰고, 단지 여론 뿐만 아니라 첫째로 국왕을 분개시켰으므로, 부상자들은 그 분개 때문에 감추어지고 보호받았으며, 현행의 전투에서 포로가 된 사람을 제외하고, 군법회의는 감히 아무도 괴롭히지 못했다.  그러므로 아무도 마리우스를 괴롭히지 않았다.<br>-----------------------<br><br>여 기서 지스케 (Henri Gisquet)라는 양반은 당시 실존 인물로서 1831년부터 1836년 사이에 파리 경찰청장을 한 분입니다.  저 양반은 제딴에는 자기 임무에 충실하고자, 여기저기 많이 도망쳤을 반란 가담자들을 색출하기 위해 파리 전역의 의사들에게 총상이나 자상을 입은 부상자들의 신원을 경찰에 알리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것이 무척 효과적인 방법이었던 것이, 이 명령을 어길 경우 의사들은 면허를 잃는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으므로, 본인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신고를 할 수 밖에 없었으니까요.  하지만 반란 가담자 색출을 위해, 그것도 부상자들의 색출을 위해 의사들에게 신고를 강제한 것은 너무나도 비인도적인 조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어디까지나 착한 왕이었던 루이 필립 본인이 그 조치에 대해 벌컥 화를 냈던 모양입니다.  결국 마리우스가 사법 조치를 피할 수 있었던 것은 지스케 청장의 악의에 루이 필립 왕의 선의가 빚어낸 오묘한 조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는 빅토르 위고의 말, '폭동은 사회 모두의 책임'이라는 표현이 마음에 와서 닿네요.<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47" style="border:medium none;" alt="Attentat_de_Fieschi_-_28.07.1835_-_2_(Eug%C3%A8ne_Lami).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437HK8KE8KtzzXU5VWKf1q.jpg"></div><br><br>(1835년의 루이 필립 암살 미수 사건입니다.)<br><br><br><br>루 이 필립의 관용 정신은 특히 자기 자신의 목숨을 노렸던 암살 미수 사건에서 극에 달합니다.  1835년 쥬세페 피에스키 (Giuseppe Mario Fieschi)라는 코르시카인이 무려 25개의 총신을 묶은 특수 화기를 동원해 루이 필립의 암살을 시도한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루이 필립은 이마만 살짝 총알에 긁혔으나, 그의 말은 총알에 맞아 죽었고, 나폴레옹의 부하였던 모르티에 (Édouard Adolphe Casimir Joseph Mortier) 원수를 포함한 무려 17명이 사망했으며 다수가 부상당했습니다.  이 대학살극을 벌인 피에스키는 나폴레옹의 매제이자 유럽 제일의 기병 지휘관이었던 뮈라(Murat)의 부하 병사였는데, 고향에 돌아와 절도 등의 범죄로 인해 10년 형을 살았고, 그 이후에도 (꼭 장발장처럼) 평생 따라다니는 가석방 감시 때문에 어려움을 겪다가 사회에 불만을 품고 일을 저질렀다고 합니다.  그의 딱한 사정을 들은 루이 필립은 특히 모르티에 원수의 죽음을 안타까와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부상을 입은 것이 나였다면 그 자를 사면해줄 수 있었을텐데 !" <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467" height="600" style="border:medium none;" alt="467px-Dubufe_-_Marshal_Mortier.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60nIxc7Le6Zup5Ykgc5sxl.jpg"></div><br><br>(이 분이 모르티에 원수입니다.  루이 필립은 모르티에 원수의 장례식장에서 아예 대놓고 통곡을 했다고 합니다.  왕실 예법에는 어긋나지만,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부분이지요.)<br><br><br><br>레 미제라블에 나왔던 봉기 사건은, 확실히 너무 설익은 혁명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파리 시민들은 아직 이 착한 루이 필립을 지지했던 것 같습니다.   이 봉기 사건이 진압된지 얼마 안되어 행사에 참여했던 루이 필립에게 파리 시민들은 진심어린 환호를 보냈다고 하니까요.  어떻게 보면 시대에 뒤떨어진 왕정이 루이 필립이라는 개인의 매력으로 십수년 더 버틸 수 있었던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는 결국 1848년 2월 혁명으로 쫓겨나 영국으로 망명하여 거기서 죽었습니다.<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424" style="border:medium none;" alt="LESMISTRAILERA-0017.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75Er4tjK4d8jAcHUv6fgELepK9jsQ.jpg"></div><br><br>(영 화 레미제라블 피날레 부분에서 나온 이 초대형 바리케이드는 마침내 왕정을 무너뜨린 1848년 혁명을 뜻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1848년 2월 혁명 때 만들어진 바리케이드는 정말 초대형으로서, 높이가 20m에 달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공화국은 극심한 혼란을 겪다가 불과 3년만에 나폴레옹 3세에 의해 다시 무너졌다는 것은 에러...)<br><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55" height="503" style="border:medium none;" alt="LESMISSTILL-01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7800888RsGTY5WFs73cKzRFFsf.jpg"></div><br><br>(하 지만 괜찮습니다.  민중의 힘은 강합니다.  언제든 민중을 억압하는 정권이 나오면, 결국 바리케이드의 영웅들이 또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왜 이번 대선에서는 졌냐고요 ?  민주당이 정말 민중을 대표하나요 ?  민주당의 목표는 정권 획득인지 모르겠으나, 제 목표는 합리적인 조세 제도에 의한 빈부격차 축소, 복지제도 개선, 인권을 기반으로 한 사회 정의 구현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그런 목표를 위해 바리케이드를 쌓고 피를 흘리며 하지 않아도 되고, 그저 임시 공휴일인 투표일에 동네 투표장에 가서 도장만 찍고 오면 되는 것이 다 과거 바리케이드의 영웅들 덕택입니다.  고맙게 생각하고, 또 소중하게 투표권을 행사하십시요.)<br><br><br><br>대 선이 끝난 이후, 여당이 재집권하게 되자 이에 절망한 노동자들의 자살이 잇달았지요.  내용을 보면 회사 측에서 파업에 의해 재산상의 손해를 보았다면서 엄청난 액수의 손해 배상 소송을 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 같더군요.  노동 운동하시는 분들 개개인도 식구가 딸린 가장이니까, 당장 사람을 빚더미에 깔리게 하는 손해 배상 소송은 어떻게 보면 감옥에 보내는 것보다도 더 무서운 압박인 것 같습니다.  제가 노동 운동에는 별로 관심을 못 기울여서 잘 모르긴 합니다만, 그래도 사람을 극단적인 선택으로 몰아 붙이는 그런 조치들은 너그러운 마음으로 풀어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8/12 09:12:49  113.131.***.130  ILoveCaRRier  479013
    [2] 2014/08/12 09:19:27  113.216.***.125  백마턴기사  474055
    [3] 2014/08/12 09:20:22  118.35.***.88  부러진면봉  194144
    [4] 2014/08/12 09:46:42  203.232.***.18  Noble6  254090
    [5] 2014/08/12 10:24:24  125.139.***.9  GwangGaeTo  124470
    [6] 2014/08/12 10:51:08  203.247.***.82  댓글매니아  272392
    [7] 2014/08/12 12:04:02  175.223.***.18  Orca  232650
    [8] 2014/08/12 14:05:17  175.244.***.7  3985576  121690
    [9] 2014/08/12 18:18:56  121.183.***.179  scotch  512610
    [10] 2014/08/12 18:56:06  125.176.***.24  무량수  20736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왜 캡틴 아메리카가 인기있는지 알겠더라 [41] nasica 16/04/30 23:15 14914 65
    뜻 밖의 과거사 청산 영화 - 우먼 인 골드 (Woman in Gold) [7] nasica 15/10/04 00:14 6045 76
    중국에서는 부자가, 미국에서는 기업이 이민을 간다 [11] nasica 15/09/08 21:15 6917 71
    웹툰 송곳의 사이다 [14] nasica 15/08/09 17:32 12080 73
    사자와 오렌지 왕자 - 벨기에의 2.5 유로 동전 이야기 [2] nasica 15/06/22 22:47 1508 19
    영화 '드래프트 데이'를 통해 본 빈부격차 문제 [13] nasica 15/05/25 13:09 3891 50
    강철의 공작 vs. 홍차의 백작 - 혁명없는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 [7] nasica 15/04/26 23:22 3517 41
    독일인들이 싫어하는 독일의 성공 - 하르츠 개혁 [10] nasica 15/03/04 01:16 9093 65
    오바마의 도발에 선제대응하는 애국보수 [33] nasica 15/01/24 18:31 7209 88
    최저임금이 올라가면 실업률이 높아진다 ?? - 독일의 영국 사례 연구 [7] nasica 14/11/26 04:30 6330 86
    서양인들은 한 그릇에서 여럿이 먹는 일 없나요 ? [31] nasica 14/11/16 20:12 13277 71
    어이없는 결말 - 프리틀란트 (Friedland) 전투 [2] nasica 14/09/20 05:33 4472 24
    전쟁과 필기구 - 깃털펜과 연필 [7] nasica 14/09/14 14:23 6416 60
    상속세가 경제를 망친다는 주장에 대한 짧은 문답 [52] nasica 14/09/13 22:01 6491 121
    뜻 밖의 공통점 - 세금과 성폭행 [13] nasica 14/09/09 12:04 9167 139
    약스압) 세계에서 제일 행복한 나라를 통해 본 세금과 복지 [22] nasica 14/08/28 09:04 6938 78
    선진국 미국이 한국만도 못한 의료보험 체계를 가진 역사적 이유 [35] nasica 14/08/25 09:06 9793 167
    약스압) 나는 고발한다 [7] nasica 14/08/22 17:08 3277 40
    스압)문제는 세금이야 이 멍청아 ! - 폴 크루그먼의 '미래를 말하다' [5] nasica 14/08/15 23:16 2782 64
    우리 목사님을 불편하게 만드시는 교황 성하 [45] nasica 14/08/15 15:44 9446 103
    약스압) 마리우스는 왜 체포되지 않았을까 ? [6] nasica 14/08/12 18:56 3754 35
    스압) 카투사 경험으로 본 군내 구타 근절 방안 [58] nasica 14/08/03 04:25 12882 125
    잃어버린 프로이센의 영토, 그리고 클로제 [11] nasica 14/07/21 02:54 4663 56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