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962210
    작성자 : light77
    추천 : 59
    조회수 : 2912
    IP : 142.129.***.195
    댓글 : 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10/19 00:43:08
    원글작성시간 : 2014/10/18 00:05:16
    http://todayhumor.com/?humorbest_962210 모바일
    LA타임스, 영화 ‘다이빙벨’ 논란 배경 심층 보도

    LA타임스, 영화 ‘다이빙벨’ 논란 배경 심층 보도
    – 당시 이종인 씨 한국 정부와 언론에 왜곡
    – 한국 사회 6개월간 보수와 진보로 양분화

    세월호 참사 후 6개월이 지났지만 그 동안 유가족뿐만 아니라 많은 국민들이 함께 요구해 왔던 진실 규명을 위한 기소권과 수사권이 보장된 특별법의 제정은 여전히 요원하다. 한편, 이 시대의 한 구석에서 진실을 좇아 양심에 따라 기록의 의무를 묵묵히 다하고자 하는 이들의 끊임없는 노력 또한 이 땅에 존재한다.

    미 서부 지역 대표 일간지인 로스앤젤레스 타임스(Los Angeles Times, 이하 LA타임스)가 부산영화제 기간이었던 지난 8일 “doc-umentary about Sewol ferry sinking roils South Korea film festival – 세월호 침몰 다룬 다큐멘터리 한국영화제에서 상영”이라는 제목의 부산발 기사를 통해 영화 ‘다이빙벨’을 둘러싼 한국 사회의 논란과 배경에 대해 심층 보도했다.

    LA타임스는 이 영화 속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인 이종인 씨의 다이빙벨을 통한 구조 노력과 정부의 비협조 및 방해에 대해 언급하며, “그는 언론 매체로부터 동조도 거의 받지 못했고, 오늘날까지도 정부 구조노력에 방해가 되었던 사기꾼으로 많은 한국 언론사들에 의해 묘사되고 있다”고 이 영화의 바탕이 되었던 이종인 씨의 사연을 전했다. 또한, 이 영화의 제작 의도에 대해 “정신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사고 직후의 시간으로 돌아가 진실을 추적하는 것”이라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인 이상호 씨의 답변을 전했다.

    이어서, 이 기사는 영화 속 희생자들의 비극과 유가족들의 슬픔에 공감의 메시지를 전한다. “영화는 수학여행중인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던 세월호 승객들을 구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비난하며 정부 관료들과 열띤 공방을 벌이는 유가족들의 눈물을 흘리는 모습들을 적절하게 보여준다.” 진도에 있던 한 어머니의 정부 관료를 향한 절규는 영화의 소리로, 이 기사의 문자로 메아리가 되어 울린다. “내 자식이 물고기 밥이 되고 만다면 당신이 책임질 건가요?”

    이와 함께, LA타임스는 “많은 것이 함축된 이 주제 때문에 영화 “진실”은 상영되기도 전에 부산에서 논쟁의 소재가 됐다. 영화제의 의장이기도 한 부산시장은 국민세금으로 일부 후원되는 이벤트에 정치적인 영화는 적당하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상영목록에서 이 영화를 빼려했다고 보도됐다.”고 비판했다. 끝으로, “세월호 이후 수개월에 걸쳐서 세월호 문제는 한국사회를 정치노선에 따라 심하게 분열시켜왔다. 정부의 대처에 대해 수사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정치적 진보세력과 연관이 됐고, 이는 보수그룹들의 반발을 초래했다.”고 세월호를 둘러싸고 양분된 한국의 정치적 상황을 그대로 전했다.

    한편, 영화 ‘다이빙벨’은 이 같은 논란들 속에서 최종 오는 23일로 극장 개봉이 확정된 상태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10월 8일자 LA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lat.ms/1Ctu1bZ

     

    doc-umentary about Sewol ferry sinking roils South Korea film festival

    세월호 침몰 다룬 다큐멘터리 한국영화제에서 상영



    A relative weeps at an area where family members of victims of the South Korean ferry Sewol
    are gathered, at Jindo harbor on April 21, 2014. (Nicolas Asfouri / AFP / Getty Images)
    2014년 4월 21일, 한국 세월호 여객선의 희생자 가족들이 모여 있는 진도 항구에서 친지 한 사람이 흐느끼고 있다.

    By Steven Borowiec
    October 8, 2014, 5:15 PM | REPORTING FROM BUSAN, SOUTH KOREA

    With South Korea still healing from the aftermath of the Sewol ferry sinking, one of its worst maritime disasters, a doc-umentary that makes damning allegations about the government response to the crisis is taking the spotlight at the country’s biggest film even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한국인들이 최악의 해상참사 중 하나였던 세월호 침몰의 후유증으로부터 아직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이 참사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책임을 묻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한국의 가장 큰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The Truth Shall Not Sink With the Sewol” (original title “Diving Bell”) allege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ishandled the response to the sinking in April and that the country’s mainstream media uncritically relayed the government’s claims to have done everything in its power to rescue passengers. “Truth” made its world premiere on Monday amid tight security and controversy after the Busan mayor tried to keep it out of the festival.

    “진실은 세월호와 함께 가라앉지 않는다”(원제는 “다이빙 벨”)는 한국 정부가 지난 4월의 세월호 침몰에 대에 잘못 대응했으며 한국 주류 언론은 승객을 구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다는 정부의 주장을 비판 없이 그대로 전했다고 주장한다. 영화 “진실”은 부산시장이 이 영화가 영화제에서 상영되는 것을 막으려 시도한 후 엄중한 보안과 논쟁 속에서 지난 월요일 세계 초연을 선보였다.

    The 77-minute doc-umentary, directed by Lee Sang-ho and Ahn Hae-ryong, is anchored by the story of Lee Jong-in, head of a private diving company who offered to use his “diving bell” to assist the rescue. A diving bell is equipment that can provide divers a space underwater to breathe, eat and rest, allowing them to work for much longer. It can also bring divers down through moving water and place them at a designated search location.

    이상호 기자와 안해룡 감독이 공동 연출한 77분 다큐멘터리는 구조를 돕기 위해 자신의 “다이빙 벨”의 사용을 제안했던 사설 다이빙 회사의 사장 이종인씨에 대한 이야기에 기반을 두고 있다. 다이빙 벨은 잠수사들이 수중에서 숨쉬고 먹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서 보다 장시간 동안의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이다. 그것은 또한 흐르는 물살을 관통해 내려가 잠수사들을 지정된 수색지점까지 데려다 줄 수 있다.

    At the time of the Sewol sinking, the government repeatedly attributed its diving operation’s lack of results to strong currents and poor visibility. Lee Jong-in showed up offering to help overcome those two obstacles. He was stonewalled at every turn, the movie says, with the government refusing his company permission to attach its barge to the coast guard’s barge and eventually kicking the company out of the rescue area without explanation. He received little sympathy in the media and to this day is depicted by many Korean news outlets as a fraud who was getting in the way of the government’s rescue efforts.

    세월호가 침몰할 당시 여러 차례, 정부는 잠수 작업에 성과가 없는 것을 강한 조류와 나쁜 시야의 탓으로 돌리곤 했다. 이종인씨는 이러한 두가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며 등장했다. 영화에 의하면, 정부가 해경 바지선에 그의 바지선을 연결시킬수 있는 허가를 주지도 않고 결국에는 아무런 설명도 없이 그를 구조현장에서 쫓아내는 등, 그는 매번 작업 진행에 방해를 받았다. 그는 언론매체로부터 동조도 거의 받지 못했고, 오늘날까지도 정부 구조노력에 방해가 되었던 사기꾼으로 많은 한국 언론사들에 의해 묘사되고 있다.

    Co-director Lee Sang-ho, an independent television journalist, is also one the film’s main subjects, spending much of “Truth” on camera, often in conversation with Lee Jong-in, with whom he obviously sympathizes.

    독립 TV 기자이자 공동 연출가인 이상호씨는 이 영화의 주요 주제 중의 하나로서, 영화 “진실”의 많은 부분에 자신이 명백히 동조하는 이종인씨와 종종 대화를 나누며 카메라에 잡힌다.

    In a post-screening question-and-answer session on Monday, Lee Sang-ho said his intention with the film was to “mentally and emotionally go back to the time immediately after the incident and pursue the truth.”

    월요일 상영 후 질의 응답 시간에 이상호씨는 이 영화의 제작의도는 “정신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사고 직후의 시간으로 돌아가 진실을 추적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The question still is, why did these children die? Why did the state fail to protect them?” Lee added.
    The Sewol was carrying 476 people, only 172 of whom were rescued, many by private vessels who came to the scene to help out. Ten bodies have not been recovered.

    그는 “여전히 중요한 질문은 왜 그 아이들이 죽었는가? 왜 정부는 그들을 보호하지 못했는가? 라는 것이다” 고 덧붙였다. 세월호에는 476명이 승선 중이였고, 그중 단지 172명만이 목숨을 건졌는데, 이들 중 다수가 구조작업을 돕기 위해 현장에 도착한 민간인 배에 의해 구조됐다. 열명의 시신은 아직도 인양되지 못했다.

    The film draws most of its material from months that the two Lees (no relation) spent together. It intersperses footage at sea with voice-overs from South Korea’s mainstream broadcast media, which narrated the daily figures of casualties and the details of the rescue operation as dictated by the government. The film’s strongest visuals show Lee Jong-in at his elaborate desk on a barge, with the night sky illuminated by emergency flares that stream overhead.

    영화는 이씨 성의 (인척관계 아님) 두 사람이 함께 보냈던 수개월의 기간에서 그 대부분의 자료를 취한다. 영화는 바다에서의 영상장면을 매일의 사망자수와 정부가 알려주는대로의 구조작업의 세부사항을 보도하는 한국의 주류 방송매체의 해설자 목소리와 섞어 내보낸다. 머리 위로 연달아 오르는 비상용 신호탄에 의해 밝혀진 밤하늘을 배경으로 이종인씨가 정교하게 정리된, 바지선 위의 자신의 책상 앞에 있는 모습이 영화의 가장 강렬한 장면이다.

    The film conveys some of the emotional weight of the tragedy and the grief of family members who felt helpless to rescue their loved ones. “Truth” features judicious use of scenes of teary bereaved relatives in heated exchanges with government officials they accused of not doing enough to save the Sewol’s passengers, most of whom were high school students on a field trip. One distraught mother asks a government official, “Are you going to be responsible if my child ends up as food for fish?”

    영화는 이 비극이 주는 일부 감정적 무게와 사랑하는 이들을 구하지 못하는 무력감을 통감하는 가족들의 비통함을 전달한다. “진실”은 수학여행중인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던 세월호 승객들을 구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비난하며 정부 관료들과 열띤 공방을 벌이는 유가족들의 눈물을 흘리는 모습들을 적절하게 보여준다. 거의 제정신이 아닌듯한 한 어머니가 정부 관료에게 묻는다 “내 자식이 물고기 밥이 되고 만다면 당신이 책임질 건가요?”

    As a result of this loaded subject matter, “Truth” was a source of controversy in Busan even before it was screened. The mayor of Busan, who also is also chairman of the film festival, reportedly attempted to have it removed from the docket, arguing that a political film did not belong at the event, which is partly funded with taxpayer money.

    많은 것이 함축된 이 주제 때문에 영화 “진실”은 상영되기도 전에 부산에서 논쟁의 소재가 됐다. 영화제의 의장이기도 한 부산시장은 국민세금으로 일부 후원되는 이벤트에 정치적인 영화는 적당하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상영목록에서 이 영화를 빼려했다고 보도됐다.

    Monday’s screening went ahead with no mishaps, albeit in a tense atmosphere, as organizers expressed concern that conservative civic groups might attempt to cause a disruption.

    보수시민단체들이 난동을 부릴지도 모른다고 주최측이 염려를 피력해서 긴장된 분위기이긴 했지만, 월요일의 상영은 불상사없이 진행됐다.

    In the months since the sinking, the Sewol issue has bitterly divided South Korean society along political lines. Calls for an investigation into the government response have become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left, leading to a backlash from right-wing groups.

    세월호 이후 수개월에 걸쳐서 세월호 문제는 한국사회를 정치노선에 따라 심하게 분열시켜왔다. 정부의 대처에 대해 수사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정치적 진보세력과 연관이 됐고, 이는 보수그룹들의 반발을 초래했다.

    Lee said the touchy topic will make it difficult for “Truth” to find wide distribution in South Korea, but he plans screenings in a limited number of theaters later this month.

    이상호씨는 민감한 주제때문에 한국에서 영화 “진실”이 널리 배급되는 것은 어렵겠지만 이달하순부터 한정된 수의 영화관들에서 상영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10/18 00:07:49  61.72.***.64  날아라ss  555659
    [2] 2014/10/18 00:51:30  74.76.***.95  낰  396086
    [3] 2014/10/18 10:47:05  222.116.***.82  션한바람  548940
    [4] 2014/10/18 11:15:58  223.62.***.22  중복확인!  566593
    [5] 2014/10/18 13:25:17  112.162.***.67  낙엽엔딩  365217
    [6] 2014/10/18 17:08:03  211.36.***.128  nana0524  358838
    [7] 2014/10/18 19:41:17  198.199.***.18  홍길순  536617
    [8] 2014/10/19 00:17:33  175.223.***.206  키무여명  370443
    [9] 2014/10/19 00:17:55  59.44.***.5  0416remember  574479
    [10] 2014/10/19 00:43:08  1.251.***.237  산돌림  163075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IUPUI에서 열린 세월호 희생자 추모 전시회 [2] light77 14/11/16 19:40 1430 40
    글로벌 포스트, 천주교 연석회의의 세월호 철저 진상조사 촉구 보도 light77 14/11/14 14:44 785 23
    10/31 여·야의 특별법 합의에 대한 재외동포 성명서 [1] light77 14/11/12 09:38 898 22
    AP, 한국언론에서도 외면하는 노동자 시위 보도 [6] light77 14/11/10 10:57 4356 90
    요미우리, 미흡한 세월호 특별법 통과 보도 [2] light77 14/11/09 20:08 1326 31
    이코노미스트, 레임덕 박근혜? 그러나 야당은 무,능,력! [13] light77 14/11/09 14:22 4494 58
    미국 동포 세월호 영령과 함께 걸었다! [2] light77 14/11/02 13:11 1343 46
    글로벌포스트, 세월호 실종자 가족 철저한 수색 요구 [1] light77 14/11/01 23:32 1407 31
    해외동포가 종북? 그래도 우린 계속 간다! light77 14/10/28 17:17 2111 53
    이너시티프레스, 한국정부의 언론탄압에 대한 미국과 유엔의 묵인 보도 [9] light77 14/10/27 14:21 3862 83
    재미교포 주부들, 명예훼손으로 블루유니온 권유미 대표 등 41명 형사고소 [1] light77 14/10/25 16:47 4084 83
    디플로마트, 한국의 언론탄압,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이라 상세 보도 [4] light77 14/10/19 17:26 1154 51
    LA타임스, 영화 ‘다이빙벨’ 논란 배경 심층 보도 [1] light77 14/10/19 00:43 2912 59
    르몽드, 한국에서 수난 당하는 언론의 자유 [3] light77 14/10/17 17:45 3023 80
    CNN, 세월호 참사 실종자 가족의 슬픔 보도 [4] light77 14/10/17 17:31 1576 44
    국경없는 기자회, 산케이 기자 기소에 대해 “경악” [9] light77 14/10/14 17:38 2434 50
    뉴욕타임스, 박근혜 7시간 보도한 산케이 기자 기소돼 [7] light77 14/10/11 15:46 2675 44
    BBC, 한국 일주일새 텔레그램으로 150만 망명 [40] light77 14/10/11 01:02 8639 107
    버라이어티 지,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에 나선 한국 영화인들 light77 14/10/08 15:00 1640 39
    야후, 한국의 텔레그램 사이버 망명사태 보도 [15] light77 14/10/08 13:13 10794 92
    뉴욕타임스, 세월호 참사후 국가 양분화 [6] light77 14/10/05 19:49 3315 65
    외신, 세월호 선장 ‘가만 있으라’ 지시, 폭로 이어져 [2] light77 14/10/04 23:38 3357 58
    세월호가족 지원 네트워크, 세월호 가족 지지성명서 발표 [2] light77 14/10/03 17:26 1626 51
    글로벌 포스트, “박근혜 7시간” 계속 주시 [9] light77 14/10/03 15:04 5265 73
    외신, 朴 세월호 진상규명 외면, 북한 인권 거론 어불성설 [4] light77 14/09/30 18:01 3454 89
    로이터, 박근혜 성격, 세월호 정국 타개 걸림돌 [2] light77 14/09/24 17:54 3411 46
    뉴욕, 인디애나폴리스 에서 열린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시위 [3] light77 14/09/23 15:39 1867 50
    통영함 세월호 구조 출동 번복, 박근혜에게 번지나? [11] light77 14/09/22 11:25 4422 89
    외신들, 뉴스프로 기자 압수수색 줄줄이 보도 [4] light77 14/09/21 18:16 2489 65
    버클리大 학보, 박근혜 유엔 연설에 항거하라 [18] light77 14/09/21 14:43 6352 118
    [1] [2] [3] [4] [5] [6] [7] [8] [9] [10]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